KR940002909B1 -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09B1
KR940002909B1 KR1019910013834A KR910013834A KR940002909B1 KR 940002909 B1 KR940002909 B1 KR 940002909B1 KR 1019910013834 A KR1019910013834 A KR 1019910013834A KR 910013834 A KR910013834 A KR 910013834A KR 940002909 B1 KR940002909 B1 KR 94000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monitoring
monitoring system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899A (ko
Inventor
무쯔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무쯔오 다나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쯔오 다나까 filed Critical 무쯔오 다나까
Priority to KR101991001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909B1/ko
Publication of KR9300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경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2a도는 제2d도는 제1도의 경비 시스템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의 원리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의 요부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비 시스템의 요부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경비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
제7도는 제6도의 경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비 정보로부터 빌딩 관리정보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정보를 전화회선, ISDN등의 공중회선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비 시스템은 피감시건물에 배체된 복수의 센서와, 경비보장회사의 관제 센터의 표시장치와 피감시건물 및 관제 센터를 접속하는 전용회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경비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감시건물에 수상한 자가 침입하면(스텝 1), 센서가 감지하여(스텝2) 관제 센터에 경보한다(스텝 3). 경보에 응답하여 관제 센터의 표시장치는 제2a도의 원으로 둘러싸인 바와 같이 센서가 있는 건물의 경비담당 지역을 표시한다. 또한, 기능키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표시장치는 건물의 구조 및 센서의 배치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제2 b도의 경비건물 센서 설치평면도, 제2c도의 경비 건물 최단거리 맵 및 제2d 도의 경비 건물등록정보등을 표시한다. 관제 센터는 표시장치에서 얻은 정보에 따라 기동대차량을 수배하여(스텝 4), 무선으로 현장에 출동하라는 지시를 내린다(스텝 5). 기동대차량이 현장에 도착하여(스텝6) 경비원이 수상한 자를 확인하면(스텝7), 110번에 신고하고(스텝 8) 계속 감시한다(스텝9). 순찰차가 도착한 후에 경비원은 경찰과 협력하여 수상한 자를 검거한다(스텝 10).
한편, 센서 및 촬상수단을 가지는 Information Network System(INS) 도 공지의 것이다. INS에서는 센서의 감지에 응답하여 촬상수단이 피감시대상의 동화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므로 피감시대상이 특정된다.
그러나, 전자의 종래의 경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1) 종래의 센서는 동물이나 대형 폐기물등 시스템 앞을 횡단하는 것이 수상한 자가 아니라도 반응한다. 따라서 센서가 반응해도 수상한 자인지 아닌지를 특정하지 못하여, 경비원의 헛된 출동이 되는 경우가 있다.
2) 센서의 경보로부터 110번 신고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다.
3) 관제 센터와 감시 건물간에 배설(配設)되는 전용회선을 고가이다.
한편, 후자의 종래의 경비 시스템도 전용회선이 대단히 고가인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새롭고도 유용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감시대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특정하는 비교적 저렴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을 피감시대상을 감지하면 소정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가 감지한 피감시대상을 동화로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 및 공중회선과 접속되며, 상기 촬상수단이 촬상한 동화를 나타내는 제1정보를 상기 공종회선을 개재시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제2정보로 압축ㆍ변환하는 정보압축수단과, 상기 공중회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제1정보로 변환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처리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처리수단이 변환한 제2정보를 동화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피감시대상을 감시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수단이 피감시대상을 동화로 촬상하므로 피감시대상은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특정된다. 또한 공중회선이 사용되므로 전용회선을 이용할 때 보다도 저렴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름 목적 및 특징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1)와, 촬상수단(12)과, 모뎀(13)과, 처리수단(15)과, 표시수단(16)과, 피제어기기(17) 및 원격제어수단(18)으로 이루어진다. 단, 피제어기기(17) 및 원격제어수단(18)의 배설(配設)은 자유이다. 센서(11)와 촬상수단(12)과 모뎀(13) 및 피제어기기(17)는 피감시건물에 설치된다. 처리수단(15)과 표시수단(16) 및 원격제어수단(18)은 관제 센터에 설치된다. 센서(11)는 촬상수단(12)과 모뎀(13)에 각각 접속된다. 촬상수단(12)은 모뎀(13) 및 피제어기기(17)에 접속된다. 모뎀(13)은 처리수단(15) 및 원격제어수단(18)에 공중회선(14)을 개재시켜 접속된다. 처리수단(15)은 표시수단(16)에 접속된다.
센서(11)는 피감시대상을 감지하면 출력신호를 촬상수단(12) 및 모뎀(13)에 출력한다.
촬상수단(12)은 센서(1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피감시대상의 동화(動畵)를 동화신호로 촬상한다.
모뎀(13)은 예를들어 동일 화상의 중복 전송을 생략함으로써 압축한다. 또한 모뎀(13)은 센서(11)의 출력신호도 압축한다.
공중회선(14)는 전화회선, ISDN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탈 케이블, 광케이블 중 어느것으로 구성해도 된다.
처리수단(15)은 모뎀(13)에서 공중회선(14)을 개재시켜 전송된 압축된 동화신호를 원래의 동화신호로 복원한다.
표시수단(16)은 센서(1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2a도 내지 제2d도의 기능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수단(15)이 출력하는 원래의 동화신호를 동화로서 표시한다. 또한, 센서(11)로부터의 출력신호가 표시 수단(16)에 공급되고나서 감시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해도 된다.
피제어기기(17)는 센서(11)나 촬상수단(12)의 주변에 배치되며, 피감시건물의 도어 잠금기기, 스피커기기, 조명기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원격제어수단(18)은 센서(11)의 감지에 응답하여 피제어기기(17)를 원격제어한다. 예를들어, 도어잠금기기를 제어하여 피감시건물의 모든 도어를 잠그거나 스피커기기를 제어하여 수상한 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보내어 경고하거나 조명기기를 제어하여 필요한 조명을 점등 및 소등하기도 한다.
다음에, 감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센서(11)는 피감시대상을 감지하여 출력신호를 촬상수단(12) 및 모뎀(13)에 출력한다. 촬상수단(12)은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피감시대상의 동화를 촬상한다. 촬상후, 촬상수단(12)은 동화신호를 모뎀(13)에 출력한다. 모뎀(13)은 센서(11)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촬상수단(12)으로부터의 동화신호를 각각 압축하여 공중회선(14)을 개재시켜 처리수단(15)에 전송한다. 처리수단(15)은 압축된 동화신호를 원래의 동화신호로 복원하여 표시수단(16)에 출력한다. 표시수단(16)은 출력신호에 따라 제2a도 내지 d도에 나타낸 기능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동화신호에 따라 피감시대상의 동화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표시수단(16)의 작동자는 실제 시간으로 피감시대상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하다면 원격제어수단(18)을 개재시켜 피제어기기(17)를 원격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은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21)와, 아날로그 카메라(22)와, 초고속 모뎀(23)과, 내선교환기(25)와, 처리수단(15) 및 표시수단(1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도와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센서(21)는 센서(11)에, 아날로그 카메라(22)는 촬상수단(12)에, 초고속 모뎀(23)은 모뎀(13)에 각각 대응한다. 센서(21)는 아날로그 카메라(22) 및 초고속 모뎀(23)에 각각 접속된다. 아날로그 카메라(22)는 초고속 모뎀(23)에 접속된다. 센서(21)와 아날로그 카메라(22) 및 초고속 모뎀(23)은 피감시건물에 배치된다. 내선교환기(25)와 처리수단(15) 및 표시수단(16)은 관제 센터에 배치된다. 초고속 모뎀(23) 및 내선교환기(25)는 공중회선(24)으로 접속된다. 내선교환기(25)는 처리수단(15)에 접속되며, 처리수단(15)은 표시수단(16)에 접속된다.
센서(21)는 피감시대상을 감지하는 열센서, 자기센서,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센서(21)는 피감시대상을 감지하면 출력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송신기를 개재시켜 초고속 모뎀(23)에 출력한다. 센서(21)는 통상 피감시건물에 복수 배치된다.
아날로그 카메라(22)는 센서(21)의 출력신호를 응답하여 피감시대상을 촬상하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카메라(22)는 복수의 센서(21)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복수의 센서(21)에 고유되어도 괜찮다. 복수의 아날로그 카메라(22)중에서 통상 최후에 감지한 센서(21)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카메라(22)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단 2개 이상의 센서(21)가 동시에 출력하는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센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병렬적으로 출력된다. 또한, 아날로그 카메라(22)에는 가시광 텔레비젼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중 그 어느 것이라도 된다.
초고속 모뎀(23)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 예정인 V.42bis에 준거한다. 음성대역의 공중회선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96000bps의 전이중모뎀에 대해서의 권고 v.32bis 는 공지의 것이다. 또한 데이터 통신의 오류정정 기능을 가지며, 공중회선에서 발생하는 잡음등에 의한 송신 데이터의 오류를 자동적으로 정정하는 권고 V.42bis도 공지이다. V.42bis는 공중회선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속도의 고속화를 꾀한다. 송신된 데이터에는 오류정정함수와 데이터 압축 함수가 포함되며, 데이터 압축에 의해 38400bps의 전송속도가 고중회선상에서 얻어진다. 초고속 모뎀(23)은 아날로그 카메라(22)에서의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센서(21)의 출력신호를 디지틀 데이터로 변환하여 공중회선(24)을 이용하여 내선교환기(25)에 전송한다. 초고속 모뎀(23)은 복수의 센서(21) 및 아날로그 카메라(22)에 공용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카메라(22)의 수에 대응하는 디지틀 데이터가 순차 시분할적으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중회선(24)에는 메탈 케이블이 사용된다. 또 공중회선(24)는 전화회선, ISDN중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공중회선(24)은 기본요금 2700엔 또는 5,400엔으로, 79,000엔-수백만엔이나 드는 전용회선 보다도 저렴하다.
처리수단(15)은 초고속 모뎀(26), 퍼스컴(27) 및 (29), 에테르네트(Ethernet) 프로세서 보드(28) 및 (32), 키보드(30), 브라운관(CRT ; 31)으로 이루어진다. 초고속 모뎀(26)은 내선교환기(25) 및 퍼스컴(27)에 접속된다. 퍼스컴(27)은 에테르네트 프로세서 보드(28)와 접속된다. 퍼스컴(29)은 키보드(30), CRT(31) 및 에테르네트 프로세서 보드(32) 및 표시수단(16)에 접속된다.
내선교환기(25)는 복수의 피감시건물과 접속된 가입자선과 관제 센서와를 접속한다. 초고속 모뎀(26)은 CCITT 권고예정의 V.42bis에 준거하며, 압축된 디지틀 데이터를, 예를들어 CCITT 권고 X.21에 준거하는 원래의 디지틀 데이터로 변환한다.
퍼스컴(27)은 디지틀 데이터를 에터르네트로 규정하는 사양(仕樣)으로 변환하는 인테페이스를 가진다.
에티르네트 프로세서 보드(28)는 퍼스컴(27)으로부터의 버스모양의 전송로를 개재시켜 송신되는 디지틀 데이터를 고속으로 사분할 처리한다. 에티르네트 프로세서 보드(28)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의 일례로 에테르네트 펌웨어(Ethernet firmware)가 편입된 통신 보드이다. 에테르네트 프로세서 보드(28)는 디지틀 데이터를 퍼스컴(29)에 IEEE802.3 표준 동축 케이블을 개재시켜 출력한다.
퍼스컴(29)은 하드 디스크 및 키보드(30)를 가지며, 키보드(30)로부터의 입력문자를 CRT (31)에 표시한다. 센서(2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CRT(31)은 제2a도 내지 d 도에 나타낸 바오 같은 기능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CRT(31)을 표시수단(16)에 포함시켜도 된다. 퍼스컴(29)은 CCITT 권고 X.21의 디지틀 데이터르 에테르네트로 규정하는 사용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표시수단(16)은 초고속 모뎀(33) 및 모니터(34)로 이루어진다. 초고속 모뎀(33)은 처리수단(15)의 퍼스컴(29) 및 모니터(34)에 접속된다. 초고속 모뎀(33)은 CCITT 권고 V.42bis에 준거하며, 디지틀 데이터를 디지틀ㆍ아날로그 변환하고,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모니터(34)에 출력한다. 모니터(34)는 초고속 모뎀(3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동화를 표시한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중회선(14)에 광 네트(34)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은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 어뎁터(37) 및 (39), 광 네트(38)를 가진다. 아날로그 카메라(22)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센서(21)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초고속 모뎀(23)에 공급되어 디지틀 데이터로 변환되며, 광 어뎁터(37)에 출력된다. 광 어뎁터(37)는 디지틀 데이터를 CCITT 권고의 I인터페이스로 변환하여 광 네트(38)을 개재시켜 광 어뎁터(39)에 출력한다. 광 네트(38)는 예를들어 2개의 64kbps의 정보 채널(B채널)과 1개의 16kbps의 신호 채널(D채널)로 이루어진 INS네트(64)로 구성된다. 광 어뎁터(39)는 I인터페이스를 CCITT 권고 X.21 사양으로 데이터 변환하여, 제4도의 초고속 모뎀(26)에 출력한다.
또한, 공중회선(14)에 메탈 케이블 및 광 네트를 병용해도 된다. 메탈 케이블 및 광 네트와도 쌍방향 전송이 가능하므로 표시수단(16)의 작동자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수량(水量)관리, EV체크, 자동 검침 시스템, 출퇴근관리등의 빌딩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비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6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 부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41)은 피감시건물에서 내부의 필요한 각 방에는 센서(21)와 아날로그 카메라(22)가 쌍으로 배치된다. (42)는 ID카드가 삽입 및 취출되는 키박스다. 센서(21), 아날로그 카메라(22) 및 키 박스(42)의 각 출력단자는 버스(43)를 개재시켜 초고속 모뎀(23)에 접속된다. 한편, (44)는 경비 보장회사로, 내부의 관제 센터는 제4도의 감시 센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특히 퍼스컴(45), CRT(46), 비디오 프로젝터(47) 및 VTR(48)을 가진다.
다음에, 경비 시스템의 동작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건물(41)의 마지막 퇴근자가 키 박스(42)에 ID카드를 삽입한 후 퇴근한다. 이에 따라. ID카드의 기억정보가 키 박스(42)에 독취되어 경비보장회사(44)내의 퍼스컴(29)으로 입력된다. 정당사용자의 ID카드이면 퍼스컴(29)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경비 시스템을 세트한다. 이 결과, 센서(21)의 출력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송신기를 개재시켜 수퍼스피드 모뎀(23)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아날로그 카메라(22)에도 출력된다.
건물(41)내에 수상한 자(49)가 침입하면(스텝61) 센서(21)의 하나가 수상한 자(49)를 감지하면(스텝62), 이 센서(21)로부터 경보로서의 출력신호가 버스(43), 초고속 모뎀(23), 공중회선(24) 및 내선교환기(25)를 개재시켜 퍼스컴(45)에 공급되며, 경비 시스템이 작동한다(스텝63). 즉, 센서(2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아날로그 카메라(22)가 침입자(49)를 촬상하여 추적 시스템이 작동한다(스텝64). 아날로그 카메라(22)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초고속 모뎀(26), 퍼스컴(27), 에테르네트 프로세서 보드(28)을 개재시켜 퍼스컴(29)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감시 센터의 작동자는 침입자(49)의 동화를 감시한다(스텝65).
작동자는 센서(2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퍼스컴(45), 공중회선(24), 초고속 모뎀(23)등을 개재시켜 수상한 자(49) 부근의 도시하지 않은 조명장치를 점등함과 동시에 아날로그 카메라(22)를 조작한다. 또한 VTR(48)에서 수상한 자(49)의 동작을 증거보전을 위하여 기록한다. 작동자는 퍼스컴(45)를 조작하여 CRT(46)에 제2a도 내지 d도에 나타내는 원하는 기능화면을 선택 표시한다. 작동자는 제 2b도에 나타낸 센서 설치 평면도의 점멸하는 센서의 위치에서 수상한 자(49)의 이동에 맞추어 아날로그 카메라(22)를 조작한다(스텝66). 아날로그 카메라(22)에서 촬상된 수상한 자(49)의 동화는 비디오 프러젝터(47)에 표시되므로 작동자는 수상한 자(49)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자는 현장을 감시하면서 경찰(51)에 110번에 신고하여 현장 상황을 연락한다(스텝 67-69). 작동자가 110번에 연락하면 순찰자(52)가 현장으로 직행한다. 한편, 관제 센터는 종래와 같이 기동대차량(50)을 수배하여 기동대차량에 대해 무선으로 현장 직행등의 지시를 한다(스텝70 및 71).
비디오 프로젝터(47)에는 수상한 자(49)의 거동이 실제 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작동자는 수상한 자(49)의 거동을 관제 센터에 있으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원격제어로 도어 잠금등을 행하고(스텝72), 음성으로 수상한 자(49)에게 경고한다(스텝73). 마지막으로, 기동대차량(5)이나 순찰자(52)가 현장에 도착하여(스텝74 및 75) 수상한 자(49)를 검거한다(스텝76).
본 실시예에서는 퍼스컴(29)이 처리수단(15)와 함께 원격제어수단(18)을 겸하고 있으며, 각 센서(21)의 세트 및 세트 해제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야간의 출근, 납품, 인수등 심야의 출입등이 있을때에도 경비원이 그때 그때 나갈 필요 없이 출근한 사람이 정당한 ID 카드를 키 박스(42)에 삽입하면, 원격제어로 센서(21)의 세트,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센서(21)의 세트를 해제하는 것은 건물(41)내에 사람이 있으면 경비가 필요 없으며, 센서(21)가 불필요하게 빈번히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한자(49)를 동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혀 오보가 없어진다. 또한, 신속한 110번 신고와 함께 대단히 신뢰성이 높은 경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관리 원가는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1/10-1/15정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경비원은 원격제어에 의해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내에서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피감시대상을 감지하면 소정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가 감지한 피감시대상을 동화로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 및 공중회선과 접속되며, 상기 촬상수단이 촬상한 동화를 나타내는 제1정보를 상기 공중회선을 개재시켜 전송할 수 있는 제2정보로 압축ㆍ변환하는 정보압축수단과, 상기 공중회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제1정보로 변환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처리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처리수단이 변환한 제2정보를 동화롤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피감시대상을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압축수단은 상기 센서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의 출력하는 소정의 출력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공중회선 및 처리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하며, 상기 소정의 출력신호가 상기 표시수단에 입력하면 상기 촬상수단은 작동하는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회선은 전화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회선은 ISD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압축수단은 CCITT 권고 V.42bis에 준거하는 모뎀으로 이루어지는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압축수단은 CCITT 권고 V.42bis에 준거하는 모뎀 및 광 어뎁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공주회선에 접속되며, 사익 정보압축수단은 CCITT 권고 V2bis에 준거하는 모뎀으로 이루어지는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스템은 원격제어수단 및 상기 원격수단에 공중회선을 개재시켜 접속되는 감시 보조수단을 가지며, 상기 원격제어수단은 상기 피감시대상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감시보조수단을 원격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보조수단은 상기 피감시대상의 주위를 점등/소등하는 조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보조수단은 상기 피감시대상에 음성 메시지를 보내는 스피커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KR1019910013834A 1991-08-10 1991-08-10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KR94000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834A KR940002909B1 (ko) 1991-08-10 1991-08-10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834A KR940002909B1 (ko) 1991-08-10 1991-08-10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99A KR930004899A (ko) 1993-03-23
KR940002909B1 true KR940002909B1 (ko) 1994-04-07

Family

ID=1931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834A KR940002909B1 (ko) 1991-08-10 1991-08-10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9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99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22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fire an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4825457A (en) Cellular network data transmission system
JP2000278671A (ja) テレビ電話対応遠隔監視端末装置
US6970183B1 (en) Multimedia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network configuration
US20020005894A1 (en)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KR100696728B1 (ko) 감시정보송신장치 및 감시정보송신방법
JPH03230297A (ja) 遠隔地警報監視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40168194A1 (en) Internet tactical alarm communication system
CA2048898C (en) Monitoring system which monitors object via public line
JP2611092B2 (ja) 遠隔監視警備システム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9762A (ko) Ip/sip/ims카메라, ip/sip/ims카메라가 구비된 사설보안시스템 및 사설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940002909B1 (ko) 공중회선(公衆回線)을 개재시켜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
JP4202228B2 (ja) 管理サーバ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20030012950A (ko) 인터넷-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네트워크 출입통제시스템
JPH01236397A (ja) 自動通報システム
KR20010100434A (ko) 영상 감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79477B2 (en) Multicamera video alarm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method
CA1045732A (en) Intruder detector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H09159535A (ja) 侵入者警報器
JPH03235595A (ja) 監視システム
KR20040085754A (ko)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102516103B1 (ko)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KR10034874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경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