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103B1 -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103B1
KR102516103B1 KR1020220178520A KR20220178520A KR102516103B1 KR 102516103 B1 KR102516103 B1 KR 102516103B1 KR 1020220178520 A KR1020220178520 A KR 1020220178520A KR 20220178520 A KR20220178520 A KR 20220178520A KR 102516103 B1 KR102516103 B1 KR 10251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vr
cctv
failure
cctv camera
clos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103B9 (ko
Inventor
박병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7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103B1/ko
Publication of KR10251610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10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4Monitoring of server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카메라와 폐쇄망으로 연결된 NVR에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도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모듈을 연결하여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장애 또는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 조치가 가능한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CTV 카메라; 상기 CCTV 카메라와 폐쇄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는 NVR; 상기 NVR에 연결되고,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뎀이 구비된 제어모듈;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리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의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 또는 상기 NVR의 장애여부를 판단하여 장애신호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장애판단부를 통해 장애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장애정보를 문자로 전송하는 장애문자전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CLOSED NETWORK CCTV}
본 발명은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카메라와 폐쇄망으로 연결된 NVR에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도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모듈을 연결하여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장애 또는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 조치가 가능한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폐쇄 회로 텔레비전을 말한다.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 용도가 다양하다.
일반 텔레비전 방송과 달리 CCTV 신호는 동축케이블, 마이크로 웨이브 링크 혹은 제어 접근이 가능한 다른 전송 매체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일반 대중은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보안이 필요한 은행이나 골목길 등과 같은 우범지대에 무인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텔레비전 카메라와 수상기를 설치하여 확인한다.
한편, NVR은 Network Video Recorder의 약자로 IP카메라와 대응되어 사용 가능한 CCTV 녹화기를 말한다.
즉, NVR은 카메라, 비디오 네트워크, 레코더, 모니터 전체를 디지털화한 감시 장치이다.
기존의 CCTV 및 NVR 시스템은 폐쇄망에서 각종 장애 및 비상 상황에 대한 확인을 관제요원이 직접 현장에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비인가 지역의 장비 점검시에도 매번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현재 CCTV 카메라의 개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관제요원의 인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폐쇄망 CCTV 및 NVR 시스템의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CCTV 및 NVR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해보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906호(2011.03.02. 공개)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실시간 영상보안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7014호(2021.07.14. 공고)에는 'VPN 기반의 CCTV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인터넷망 또는 VPN(가상사설망) 등의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는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도 NVR과 연결된 제어모듈을 매개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장애 또는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 조치가 가능한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CTV 카메라; 상기 CCTV 카메라와 폐쇄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는 NVR; 상기 NVR에 연결되고,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뎀이 구비된 제어모듈;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리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의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 또는 상기 NVR의 장애여부를 판단하여 장애신호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장애판단부를 통해 장애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장애정보를 문자로 전송하는 장애문자전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애판단부는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상기 NVR로 전송되는 영상의 트랙픽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의 장애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의 내용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상황판단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비상상황판단부를 통해 비상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비상상황정보를 문자,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전송하는 비상상황전송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상황판단부는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에 객체 및 배경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객체의 움직임 또는 배경 변화를 학습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식된 객체의 이상 움직임 또는 배경의 이상 변화를 특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정해진 관리자단말을 통해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NVR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상기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정해진 관리자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현장 관제요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과 실시간으로 양방향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관제요원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폐쇄망에서 CCTV 카메라 및 NVR이 정상 가동 중인지 원격에서 관리자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비인가지역의 시스템의 가동 상태 또한 원격에서 관리자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비상상황 발생시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비상상황정보를 문자,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신속 조치가 가능하여 비상상황에 이른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현장에 위치된 모니터링부와 원격에 위치된 관리자단말 사이에 실시간 양방향 통화 또는 정보 전송이 가능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판단부에서의 판단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판단부에서의 판단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에서의 정보 전송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판단부에서의 판단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판단부에서의 판단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에서의 정보 전송 예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CCTV 카메라(10)와, NVR(20)과, 제어모듈(30)과, 관리자단말(40)을 포함한다.
상기 CCTV 카메라(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구성이다.
상기 NVR(20)은 상기 CCTV 카메라(10)와 폐쇄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CCTV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는 구성이다.
상기 NVR(20)은 통상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DVR 즉,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CCTV 카메라(10) 및 상기 NVR(20)은 폐쇄망 CCTV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NVR(2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뎀(31)과, 장애판단부(32)와, 장애문자전송부(33)와, 비상상황판단부(34)와, 비상상황전송부(35)와, 모니터링부(3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기존의 NVR(20)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NVR(20)에 상기 제어모듈(30)이 내장된 ALL-IN-ONE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뎀(31)은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모뎀(31)은 CDMA, 3G, LTE, 5G 등과 같은 이동통신이 가능한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모뎀(31)의 구성에 의하여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도 원격으로 상기 제어모듈(30)을 매개로 상기 CCTV 카메라(10) 및 상기 NVR(2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보의 송수신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애판단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VR(20)에 녹화되는 영상의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10) 또는 상기 NVR(20)의 장애여부를 판단하여 장애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애판단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CTV 카메라(10)에서 상기 NVR(20)로 전송되는 영상의 트랙픽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10)의 장애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CCTV 카메라(10)는 상기 NVR(20)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데, 상기 CCTV 카메라(10)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NVR(20)로 영상이 제대로 전송되지 않아 그 전송라인에는 트랙픽이 발생되지 않거나 기준 트랙픽보다 적은 트래픽이 발생되게 되고, 상기 장애판단부(32)은 이러한 트래픽 상태를 분석해서 상기 CCTV 카메라(10)의 장애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장애문자전송부(33)는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장애판단부(32)를 통해 장애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31)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40)에 장애정보를 문자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장애문자전송부(33)는 현장 관제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애판단부(32)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장애판단부(32)와 상기 장애문자전송부(33)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관제요원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폐쇄망에서 상기 CCTV 카메라(10) 및 상기 NVR(20)이 정상 가동 중인지 원격에서 관리자단말(40)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비상상황판단부(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VR(20)에 녹화되는 영상의 내용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10)가 설치된 지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비상상황판단부(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VR(20)에 녹화되는 영상에 객체 및 배경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객체의 움직임 및 배경 변화를 학습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식된 객체의 이상 움직임 또는 배경의 이상 변화를 특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인공지능 모델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객체로 인식된 사람의 쓰러짐, 객체로 인식된 사람들 간의 싸움 등과 같은 객체의 이상 움직임을 학습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체의 이상 움직임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경으로 인식된 장소에서의 고정 구조물의 쓰러짐, 화재 등과 같은 배경의 이상 변화를 학습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경의 이상 변화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공지능 모델로서의 딥러닝 알고리즘은 공지기술인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r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의 이상 움직임 또는 배경의 이상 변화를 특정하는 인공지능 기술 자체는 공지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비상상황전송부(35)는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비상상황판단부(34)를 통해 비상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31)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40)에 비상상황정보를 문자, 상기 CCTV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비상상황전송부(35)는 상기 장애문자전송부(33)와 마찬가지로 현장 관제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상황판단부(34)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36)는 현장 관제요원 또는 정해진 관리자단말(40)을 통해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CCTV 카메라(1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NVR(20)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통신모뎀(31)을 통해 상기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정해진 관리자단말(40)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모니터링부(36)의 구성에 의해 원격에서 관리자가 관리자단말(40)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1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NVR(20)에 녹화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3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관제요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40)과 실시간으로 양방향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 관제요원과 원격 관리자의 소통을 통해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리자단말(4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30)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관리자단말(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CTV 카메라(10) 및 상기 NVR(2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화재 등의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경찰서, 소방서 등과 같은 관제센터에 구비된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CCTV 카메라
20 NVR
30 제어모듈
31 통신모뎀
32 장애판단부
33 장애문자전송부
34 비상상황판단부
35 비상상황전송부
36 모니터링부
40 관리자단말

Claims (6)

  1.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CTV 카메라;
    상기 CCTV 카메라와 폐쇄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는 NVR;
    상기 NVR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NVR에 내장되고, 네트워크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외부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뎀이 구비된 제어모듈;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리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의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 또는 상기 NVR의 장애여부를 판단하여 장애신호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장애판단부를 통해 장애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장애정보를 문자로 전송하는 장애문자전송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정해진 관리자단말을 통해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NVR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상기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정해진 관리자단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현장 관제요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단말과 실시간으로 양방향 음성 또는 영상 통화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판단부는,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상기 NVR로 전송되는 영상의 트랙픽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의 장애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의 내용 분석을 통해 상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상황판단부와, 현장 관제요원 또는 상기 비상상황판단부를 통해 비상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통신모뎀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단말에 비상상황정보를 문자,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전송하는 비상상황전송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판단부는, 상기 NVR에 녹화되는 영상에 객체 및 배경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객체의 움직임 또는 배경 변화를 학습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식된 객체의 이상 움직임 또는 배경의 이상 변화를 특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78520A 2022-12-19 2022-12-19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51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20A KR102516103B1 (ko) 2022-12-19 2022-12-19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20A KR102516103B1 (ko) 2022-12-19 2022-12-19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103B1 true KR102516103B1 (ko) 2023-03-30
KR102516103B9 KR102516103B9 (ko) 2023-10-19

Family

ID=8598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520A KR102516103B1 (ko) 2022-12-19 2022-12-19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1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34B1 (ko) * 2016-10-12 2017-05-22 주식회사에스에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cctv 보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3308B1 (ko) * 2018-11-08 2019-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서 딥 러닝을 이용한 영상 내 이동객체 및 돌발상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6310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이엠맵정보 Cctv 카메라 영상 장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34B1 (ko) * 2016-10-12 2017-05-22 주식회사에스에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cctv 보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46310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이엠맵정보 Cctv 카메라 영상 장애 관리 시스템
KR101963308B1 (ko) * 2018-11-08 2019-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서 딥 러닝을 이용한 영상 내 이동객체 및 돌발상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103B9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22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fire an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7015806B2 (en) Distributed monitoring for a video security system
US20020005894A1 (en)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US20050146606A1 (en) Remote video queuing and display system
KR20190072703A (ko)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US20040168194A1 (en) Internet tactical alarm communication system
CN106358022A (zh) 一种基于视频的安防监控方法
JP2611092B2 (ja) 遠隔監視警備システム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20030085921A (ko) 원격 감시 시스템
US20160044282A1 (en) Desk-side surveillance
CN1489116A (zh) 银行安防系统和方法
KR102516103B1 (ko) 폐쇄망 cctv용 정보 전송 시스템
JP2003063747A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KR102108547B1 (ko) 지하철 역사에서 nvr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KR20070010554A (ko)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US20100020177A1 (en) Apparatus for remotely, privately, and reliably monitoring a fixed or moving location, property or asset
AU2008246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a first data processing system and a second data processing system via an at least partly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KR102090879B1 (ko)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JP412263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20200047438A (ko)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7065B1 (ko) 카메라 연동 출동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