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84Y1 -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84Y1
KR940002884Y1 KR2019930016475U KR930016475U KR940002884Y1 KR 940002884 Y1 KR940002884 Y1 KR 940002884Y1 KR 2019930016475 U KR2019930016475 U KR 2019930016475U KR 930016475 U KR930016475 U KR 930016475U KR 940002884 Y1 KR940002884 Y1 KR 940002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hinge
sewage treatment
extension pl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실
Original Assignee
김정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실 filed Critical 김정실
Priority to KR2019930016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제 1 도는 배수로를 따라 순환되는 오물 제거장치 설치상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절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로 11 : 수직벽
13 : 헌치 20 : 플라이트구동부
21 : 구동모터 24 : 플라이트
30 : 연장판 31 : 고무부재
32 : 볼트 50, 60 : 경첩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의 배수로에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구동되는 플라이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의 배수로에는 비중이 무거워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스러지와, 비중이 물보다 가벼워 부유되는 부유물, 즉 스컴(SCUM)을 제거하기 위하여 플라이트(FLIGHT)가 주로 체인(22)의 구동수단에 의해 수면과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 수로를 따라 비교적 긴 궤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라이트(24)는 목재로 체인(22)과 브라켓트(23)에 의해 결합되어, 이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의 회전력 전달로,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과 배수로의 바닥면(12)에 접할수 있는 높이를 가지며 대략 정타원의 궤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순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면에 플라이트(24)가 접하는 것에 의해 가라앉은 스러지를 제거하고, 다시 수면위로 뜬 각종 부유물들을 제거하며 순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플라이트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각종 오물을 제거토록 하는 배수로는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바닥면(12)양측면에는 벽면과의 경계에 경사지게 이음부를 형성되도록 하는 모떼기 형식의 헌치(13)-HUNCH-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 헌치(13)는 주로 콘크리트에 의해 시공되는 배수로의 바닥면과(12)수직벽(11)의 경계가 직각되게 시공할 경우, 그 경계부에 크랙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특히 이 경계위치로 오물이 집중될 경우 제거하기가 난이하므로 모떼기와 같은 형여상으로 경사지게 반드시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헌치의 위치를 감안하여 바닥면(12)에 가라앉은 스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플라이트(24)의 폭이 설정되어 양측 헌치(13)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러지의 제거시에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게 된다.
그러나, 이 플라이트(24)가 수면위로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는 플라이트(24)의 양단과 수직벽(11)사이에는 많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부유물들을 제거하는 과정중에 플라이트(24)가 이동될 경우 물살이 그 양측으로 형성되며 부유물들, 즉 스컴이 대부분 물살과 함께 양측벽으로 위치되는 결과로 제거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오물들 중에서 특히 부유물인 스컴의 제거 효과가 거의 없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면위로 플라이트가 위치될 경우에는 그 양측벽으로 플라이트를 밀착되게 연장시키고, 바닥면으로 위치될 경우 장애물들 및 헌치의 위치에서는 그 연장부가 절첩되도록 하므로써 스컴재거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수처리용 플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양측에 수직벽(11)이 세워지고 바닥면(12)과의 경우에 경사지게 헌치(13)가 형성된 배수로(10)와, 상기 배수로(10)의 양측에 형성된 헌치(13)의 폭을 감안한 그 사이로 플라이트(24)들이 체인(22)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구동모터(21)의 구동으로 배수로를 따라 순환되며 바닥면(12)에 가라앉은 스러지와, 수면위로 위치되는 부유들을 제거하는 플라이트구동부(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24)의 양단으로 수직벽(11)위치로 연장된 연장판(30)을 절첩수단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탄력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로(10)는 하수처리장에 하수가 흐르게하여 오물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배수로(10)는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처리되는 하수량을 감안한 거리를 양측에 수직벽(11)을 세워지게 하고, 그 하부에는 바다면(12)으로 평편하게 시공한다.
그리고, 그 경계에는 크랙등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사지게 헌치(13)를 성형하게 되며, 수로의 일측에는 바닥면(12)에 가라앉은 스러지가 플라이트(24)에 의해 분리 제거된후 포집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포구(15)를 형성하고, 수면위로 부유된 스컴등을 플라이트(24)가 이동시킨 것은 경사지게 바닥면(12)을 향해 진입되는 위치로 분리구(1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각종 부유되는 오물들, 즉 스컴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라이트구동부(20)는 수로를 따라 순환되며 구동모터(21)의 회전을 스프라켓(25)에 치차 결합되는 체인(22)으로 플라이트(24)들을 일정 간격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되며 바닥면(12)에 낙하되어진 스러지 및 수면위로 부유된 스컴을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이 플라이트(24)는 주로 사각 단면을 갖는 목재로 그 길이는 바닥면(12)의 양측에 형성되는 헌치(13)의 폭을 감안하여 바닥면(12)에 접한 상태로 구동될때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 플라이트(24)를 체인(22)에 결합하는 것은 브라켓트(23)를 이용하여 배수로의 바닥면(12)과 수면의 위치로 순환되는 궤적의 절곡위치마다 스프라켓(25)들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중 하나를 구동모터(21)에 결합하여 이 구동모터(21)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 간격 설치되는 플라이트(24)들이 이동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순환로에는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26)이 지주에 고정 지지되어 플라이트(24)들은 이 레일(26)의 안내로 일정한 상태로 이동되며, 바닥면(12)의위치에서는 가라앉은 스러지를 긁어 제거하고, 수면의 위치에서는 스컴을 이동시키며 제거토록 하는바, 이는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플라이트(24)의 양측으로 수직벽(11)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판(30)을 절첩수단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있다.
따라서, 플라이트(24)가 수면의 위치에서 이동될때 그 양측에 수직벽(11)과의 사이로 오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는 것이며, 바닥면(12)의 위치로 도달될때는 절첩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로 이동되어 진행에 지장을 주지않고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이 연장판(30)은 플라이트(24)와 같이 이동되는 상태에서 하부면 일부가 수면에 잠긴 상태로 이동되며 스컴을 함께 이동할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데, 커다란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은 판형상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플라이트(24)의 양단에서 연장판(30)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수단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경첩(50)(60)들을 이용하여, 대략 직각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되게 하고, 일측의 경첩(50)은 플라이트(24)와 고정하며, 타측에 이와 대략 직각되게 고정된 경첩(60)에는 고정플레이트(67)를 이용해 상기 연장판(30)과 결합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첩(50)(60)들의 구조는 2개의 힌지축(51)(52)(61)(62)을 연결하는 고정판(55)(65)양단에 회동판(53)(54)(63)(64)들이 힌지축(51)(52)(61)(6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어, 힌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 힌지축(51)(52)(61)(62)들에는 스프링(56)이 회동판(53)(54)(63)(64)을 탄력 지지하고 있어, 강제적으로 회동시킨후 그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제 4 도에서 그 설치상태를 평면도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플라이트(24)의 끝단 일측면에는 수평상태에서 힌지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일측 경첩(50)의 회동판(53)이 고정부재(57)를 이용해 볼트(58)와 너트(59)결합으로 플라이트(24)에 고정되어, 이 플라이트(24)에 고정되지 않는 타측 방향의 회동판(54)이 설치된 힌지축(52)에서 진행시에 장애물의 걸려지거나 할때, 스프링(56)의 탄력보다 큰 저항이 발생될 경우, 하측의 힌지축(52)을 중심으로 가상선의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장애물로 부터 걸림이 해제될 때는 다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플라이트(24)에 결합되는 위치의 상기 경첩(50)이 플라이트(2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플라이트(24)의 끝단이 양측 힌지축(51)(52)에 밀착되므로, 회동판(53)이 고정판(55)의 위치로 접혀지려는 탄력이 작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경첩(50)(60)들 및 이 경첩(50)(60)들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장되는 연장판(30)이 일직선을 유지하며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플라이트(24)에 경첩(50)이 직접 접하며 직각되게 설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이외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브라켓트를 이용해 회동판(53)과 힌지축(51)(52)의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판(55)의 사이를 직각되게 유지토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제 5 도에서 그 설치상태를 진행방향의 정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측 경첩(50)의 회동판(54)에 수직측 경첩(60)의 하부 회동판(64)을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하고, 타측의 상단에 위치한 회동판(63)과 연장판(30)을 직접적으로 또는 고정플레이트(67)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져 진행 방향중 장애물등에 의해 걸릴경우 그 외력방향이 하부로 미치는 것에 의해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하측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연장판(30)이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수직및 수평한 방향에서 각각 외력이 가해지거나, 장애물들에 의해 걸리는 것에 의해 저항이 스프링(56)의 탄력보다 클 경우에 회동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배수로(10)의 바닥면(12)양측에 형성되는 헌치(13)에 접할때 그 걸림방향에 대해 절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부유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플라이트(24)가 상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될때는 연장판(30)이 플라이트(24)와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로 수직벽(11)과의 틈새없이 진행되며 스컴을 제거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양측의 헌치(13)사이로 가라앉은 스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이 연장판(30)은 자동으로 접혀진 상태로 각도 전환되어, 그 진행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고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연장판(30)이 절첩수단에 의해 접혀지는 동작은 바닥면(12)양측에 설치되는 헌지(13)의 위치 이외에, 체인(22) 및 레일(26)이 설치되는 장애물 위치를 지나칠 때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체인(22) 및 레일(26)등이 직접 연장판(30)이 걸리지 않토록 하기 위하여 부드럽게 통과될수 있도록 체인(22)과 레일(26)을 감싸는 가이드(도시없음)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절첩동작을 수행하는 경첩(50)(60)은 오물이 포함된 배수로에서 항시 잠긴 상태에서 동작되므로,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비철금속중에서 특히 스레인레스판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또, 이 경첩(50)(60)의 내부로 탄력 설치된 스프링(56)도 부식등에 의해 탄력성을 저하하지 않토록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에는 보는 바와 같이 연장판(30)의 끝단으로는 계속되는 마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스컴제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부재(31)를 연장하고, 볼트(32)등으로 고정 부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로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수직벽(11)과 합성수지재및 금속재로된 연장판(30)이 지속적으로 접합 경우 마찰에 의해 쉽게 훼손되어 틈새가 형성될 염려가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플라이트(24)가 진행중에 유동이 좌우로 발생될 경우에도 완충하는 역할과, 수직벽(11)과의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유지하며 보다 완전한 스컴제거 기능을 가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이 고무부재(31)는 반복되는 사용시 교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장판(30) 및 고무부재(31)가 스컴제거시에는 플라이트(24)와 일직선으로 펼쳐지고, 헌치(13)와 같은 장애물에 접할때는 수직 수평은 물론 경사방향으로 그 걸림이 작용되는 방향에 대하여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절첩되어 스컴 및 스러지의 제거동작이 항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수면위로 부유되는 스컴제거의 효과가 우수하여 오물제거율이 크게 증대되는 등의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양측에 수직벽(11)이 세워지고 바닥면(12)과의 경경에 경사지게 헌치(13)가 형성된 배수로(10)와, 상기 배수로(10)의 양측에 형성된 헌치(13)의 폭을 감안한 그 사이로 플라이트(24)들이 체인(22)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구동모터(21)의 구동으로 배수로를 따라 순환되며 바닥면(12)에 가라앉은 스러지와, 수면위로 위치되는 부유들을 제거하는 플라이트구동부(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24)의 양단으로 수직벽(11)위치로 연장된 연장판(30)을 절첩수단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탄력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수직및 수평방향으로 힌지 회동이 이루어지는 경첩(50)(60)들을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여, 일측의 경첩(50)은 플라이트(24)와 고정하며, 타측에 이와 대략 직각되게 고정된 경첩(60)에는 상기 연장판(30)과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30)의 양단에는 수직벽(11)과 탄력적으로 막착되는 고무부재(3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50)(60)들은 힌지축(51)(52)(61)(62)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판(55)(65)양단에 회동판(53)(54)(63)(64)들이 힌지축(51)(52)(61)(6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프링(56)이 힌지축(51)(52)(61)(62)을 각각 탄력 지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부재(31)는 연장판(30)과 볼트(3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50)과 플라이트(24)의 결합은 회동판(53)이 용접부착된 고정부재(57)에 볼트(58)와 너트(59)로 나사 체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6)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KR2019930016475U 1993-08-24 1993-08-24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KR940002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75U KR940002884Y1 (ko) 1993-08-24 1993-08-24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75U KR940002884Y1 (ko) 1993-08-24 1993-08-24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884Y1 true KR940002884Y1 (ko) 1994-04-27

Family

ID=1936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475U KR940002884Y1 (ko) 1993-08-24 1993-08-24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916B1 (ko) * 2020-07-10 2020-12-24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916B1 (ko) * 2020-07-10 2020-12-24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6595B2 (ja) 汚泥掻寄せ機
KR101877738B1 (ko)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크래퍼 회전형 스컴 제거 장치
KR101636693B1 (ko) 가압 부상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CA2034862C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KR20100035238A (ko) 간단한 스컴제거수단을가진 슬러지수집기
KR940002884Y1 (ko) 하수처리기의 플라이트 절첩장치
JP4584744B2 (ja) 沈殿池
JP2013244480A (ja) 汚泥掻き寄せ機
JP5845369B2 (ja) 汚泥掻き寄せ機
JP5837544B2 (ja) 汚泥掻き寄せ機
KR200175037Y1 (ko) 제진기
US4810383A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rectangular clarifiers
JP3033482U (ja) 汚泥掻寄装置
JP7336076B2 (ja) 汚泥掻寄機
JPH08257308A (ja) 汚泥掻寄機
JP2805740B2 (ja) 除塵設備
JPH08267059A (ja) 汚泥掻寄機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JP2607864Y2 (ja) 汚泥・浮遊物掻寄装置
JPH0330804A (ja) 沈澱分離装置
KR200341020Y1 (ko) 로타리 제진기
KR100337593B1 (ko) 폐수처리에 있어 윈치와이어 구동에 의한 바 스크린장치
KR20030091893A (ko) 로타리 제진기
JP5947433B2 (ja) 汚泥掻き寄せ機
JP2603724Y2 (ja) 汚泥掻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