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763Y1 -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763Y1
KR940002763Y1 KR2019910020145U KR910020145U KR940002763Y1 KR 940002763 Y1 KR940002763 Y1 KR 940002763Y1 KR 2019910020145 U KR2019910020145 U KR 2019910020145U KR 910020145 U KR910020145 U KR 910020145U KR 940002763 Y1 KR940002763 Y1 KR 940002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ay tube
cathode ray
projection type
typ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988U (ko
Inventor
김상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763Y1/ko
Publication of KR930011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제 1 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패널을 도시하는 상세 단면도.
제 3 도는 일반적인 투사형 음극선관의 단면도.
제 4 도와 제 5 도는 종래 투사형 음극선관 패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라스벌브 3 : 전자총
4 : 패널 6 : 네크부
7 : 밀폐실 8 : 플랜지부
12 : 렌즈군 44 : 패널내면 중앙부
45 : 패널내면 코너부 47 : 패널외면 주변부
48 : 패널외면 중앙부
이 고안은 투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 패널의 형상을 개조하여 고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사용하고 있는 투사형 디스플레이는 비교적 적은 치수의 광학면을 가지는 음극선관 내에서 전자총으로부터 사출된 전자빔이 형광체를 여기하여 얻게 된 발광을 음극선관의 전면에 근접배치된 광학렌즈를 통하고, 이것을 비교적 큰 스크린에 투사하여 확대 화상을 얻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사형 음극선관에서는 화상을 확대 투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직시형 음극선관에 비하여 높은 광출력이 요구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고안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형광면으로부터 사출되는 빛은 흔히 램버트의 법칙을 따르는데, 이것은 여현분포를 하고있는 것을 이용하며 형광면에 세워진 법선을 패널 전면으로 근접하여 배치한 광학계의 광축의 경사진 것에 의하여 렌즈로 집광한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패널부의 내곡면은 전자빔을 사출하는 전자총측으로 부터 볼 때 볼록형의 구면 또는 이것을 변형한 배구면과 비슷한 볼록형 만곡면이 보통 바람직하다. 또한 음극선관의 전방에 근접 배치된 광학계는 수차보정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지만, 음극선관의 바로 전면에는 오목렌즈를 배치하여 상면 만곡보정을 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화면의 각기 크게 된 것을 렌즈만으로서는 충분한 보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패널 내곡면상에 구성된 형광면을 전자총측으로부터 보이는 렌즈를 볼록형으로 만드는 것이 유효하다.
제 3 도는 볼록형 만곡의 내곡면을 보유한 패널부를 사용한 투사형 음극선관의 종래 구성과 그 광학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라스벌브(1)는 펀넬부(2)의 대경측에 전자총(3)측으로부터 보이는 볼록형 만곡의 내곡면을 보유하고 있는 패널(4)과, 상기 패널의 안쪽면 위에 형광면(5)과, 소경측에서 상기 전자총을 가지고 있는 네크부(6)를 각각 봉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패널부(4)의 볼록형 만곡의 내곡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5)은 네크부에 설치된 전자총(3)으로부터 사출되는 전자빔의 충돌에 의하여 발광한다. 고광출력을 얻으려면, 음극선관으로의 입력전력을 증가시키면 바람직하지만, 입력전력의 발열에 의하여 그라스벌브(1)의 파손과 형광체의 수명저하 및 투사렌즈의 온도특성 등으로 인해 제한적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래서 상기의 광출력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패널부 페이스를 액체로 냉각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광학계를 구성하는 오목렌즈와 패널부 페이스 사이에 밀폐실(7)을 형성하고, 이 중앙을 패널과 동등의 굴절률을 보유한 에틸렌 글리콜 수용액 등의 액상냉매를 충전하고 있다. 다시말하면 밀폐실(7)은 프렌지부(8)를 가지는 테두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고 있는 렌즈군의 기단측에 위치한 렌즈의 평탄면(9)을 패널부(4)와 대향하여 근접 배치하고, 테두리부에 있는 렌즈와 패널 사이에서 스페이스의 역할을 하며, 또한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어 방열핀을 가지는 열전도성 브라켓을 개재시키고, 이 열전도성 브라켓과 렌즈, 패널 사이에 실리콘 수지 등의 접착제를 충전하여 이것을 봉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제 4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볼록형 내면(41)을 이루는 패널(4)의 경우 그 구면이 전자빔이 이루는 구면(점선으로 도시)과 역으로 이루어져 전자빔이 투사될 때 포커스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패널부(4)가 양호한 광학특성을 얻기 위하여는 패널부 내곡면의 중심축(10)과 광학계의 광축(11)이 광학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나, 압압성형법을 사용하여 형성한 패널부의 내곡면은 금형 당시의 정밀도와 프레스 기계의 정밀도 등의 이유 때문에 제 3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곡면의 경사 및 중심점의 빗나감이 발생하여 해상도를 저하시켜 실용상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일본의 특개소63-181246에 나와 있다.
제 5 도에서 상기 일본 특허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패널(4)의 내면 중심부(42)가 평면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과 이웃하고 있는 양 코너부(43)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제 3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볼록형 패널에 비해 포커스 특성을 상당히 개선하여 주었으나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심부에서 휘도와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볼록한 내면인 상기 패널에서의 포커스 특성의 불리함을 개선함과 아울러, 평면부를 형성한 패널의 휘도와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의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투사형 음극선관은 그라스벌브의 소경측 네크부에 격납되어 있는 전자총과 이것과 마추하고 있는 패널, 그리고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그라스 벌브와, 높은 전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열을 냉각 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용액이 들어 있는 밀폐실과, 플랜지부를 가지는 테두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고 있는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중앙부가 평면으로 되어있고, 상기 중앙부 평면과 연속하고 있는 양 코너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패널 외면의 중앙부는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오목화면과 이웃하고 있는 주변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은, 이 고안에 따라 형성된 투사형 음극선관의 단면도인데, 네크부(6)에 격납되어 있는 전자총(3)과 이것과 마주하고 있는 패널(4), 그리고 상기 패널(4)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도시생략)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그라스벌브(1)와 높은 전력에 대해 냉각열할을 하는 수용액이 들어있는 밀폐실(7)과, 프렌지부(8)를 가지는 테두리 의하여 보유 지지되고 있는 렌즈군(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4)은 그 내면의 중앙부가 평면으로 되어있고, 그 외면의 중앙부는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오목외면의 곡율은 내면 곡율의 굴절율을 계산하여 형성한다.
제 2 도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있는 상기의 패널은, 패널(4) 내면부의 중앙부(44)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앙부(44)와 이웃하고 있는 양코너부(45)가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표면에 형광체(46)가 도포되어 있는 형광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패널의 외면에서는 그 주변부(47)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48)에서 오목면을 이루고 있어 상기 내면의 중앙부(44)의 평면을 지나는 빛이 굴절을 일으켜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그 내면과 외면과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빛의 투과가 휠씬 용이하고, 휘도 역시 상당히 향상되며 볼록형 패널에 비하여 중앙부가 평면이고 그 외면의 중앙부가 오목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포커스 특성도 좋아져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고, 아울러 렌즈의 가공도 용이하여 지게된다.
또한 이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페이스 패널의 외면 즉 투자렌즈의 구조도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그라스 벌브(1)의 소경측에 있는 네크부(6)에 격납되어 있는 전자총(3), 상기 전자총(3)과 마주하고 있는 패널(4), 그리고 상기 패널(4)의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는 형광면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그라스벌브(1)와 높은 전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용액이 들어있는 밀폐실(7)과, 플랜지부(8)를 가지는 테두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고 있는 렌즈군(12)으로 구성되어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4) 내면의 중앙부(44)가 평면으로 되어있고, 상기 중앙부 평면과 연속하고 있는 양 코너부(45)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패널 외면의 중앙부(48)는 오목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오목면과 이웃하고 있는 주변부(47)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투사형 음극선관.
KR2019910020145U 1991-11-22 1991-11-22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KR940002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145U KR940002763Y1 (ko) 1991-11-22 1991-11-22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145U KR940002763Y1 (ko) 1991-11-22 1991-11-22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988U KR930011988U (ko) 1993-06-25
KR940002763Y1 true KR940002763Y1 (ko) 1994-04-23

Family

ID=1932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145U KR940002763Y1 (ko) 1991-11-22 1991-11-22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7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988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598B2 (ja) 投影装置用光源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US7316487B2 (en) Projector light source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68290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for use therein
JPH0636710A (ja) 表示制御回路及び装置
US4645966A (en) Display tube with fluid cooled window
US4634918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with liquid cooled front panel
KR900003215B1 (ko) 액냉식 음극선관
US4904899A (en) Projection cathode ray tube
KR940002763Y1 (ko) 고 해상도 투사형 음극선관
US4731557A (en) Liquid cooling type projection picture tube
KR900003216B1 (ko) 음극선관장치
JPH05232432A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冷却装置
JPS6322604Y2 (ko)
US20060097619A1 (en) Projection-type cathode ray tube
US20030034727A1 (en) Projection type cathode ray tube
JPH10154474A (ja) 液冷型陰極線管装置
KR830000667B1 (ko) 투사형 음극선관
JPS63168615A (ja) 投写形テレビ用光学装置
JPH0645935Y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H0228585Y2 (ko)
KR0142700B1 (ko) 투사형 음극선관
KR20020093440A (ko) 투사형 음극선관
JPS6290822A (ja) 投写形陰極線管装置
JPH0469642A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40022590A (ko) 투사형 음극선관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