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9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and the hydroenhanced fabric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and the hydroenhanc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97B1
KR940002697B1 KR1019890702415A KR890702415A KR940002697B1 KR 940002697 B1 KR940002697 B1 KR 940002697B1 KR 1019890702415 A KR1019890702415 A KR 1019890702415A KR 890702415 A KR890702415 A KR 890702415A KR 940002697 B1 KR940002697 B1 KR 94000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uid
yarn
inche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700675A (en
Inventor
스털리브 허셀
시겔 조디엠.
미카엘 그린웨이 존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패니
아더 월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패니, 아더 월레이스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패니
Publication of KR90070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9/00Finishing or dressing, of textile fabric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4Needling machines with water jets

Abstract

An apparatus (10) and related process for enhancement of woven and knit fabrics through use of dynamic fluids which entangle and bloom fabric yarns. A two stage enhancement process is employed in which top and bottom sides of the fabric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members (22), (34) and impacted with a fluid curtain including high pressure jet streams. Controlled process energies and use of support members (22), (34) having open areas (26), (36) which are aligned in offset relation to the process line produces fabrics having a uniform finish and improved characteristics including, edge fray, drape, stability, abrasion resistance, fabric weight and thickness.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직물의 수처리식특성개량방법, 그 장치 및 특성개량된 직물Method for improving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fabrics, apparatus and properties improved fabrics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직포 및 편성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수행하기 위한, 포목교정기, 평판형 및 드럼형 수처리식 특성개량모듈 및 텐터프레임을 포함하는 생산라인의 개략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ion line comprising a wood straightener, flat plate and drum typ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module and tenter frame for carrying out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woven and knitted fabr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 및 b도는 제1도의 평판형 및 드럼형 수처리식 특성개량 모듈에 각각 사용된 36×29 90°및 40×40 45°의 메쉬플레인위브지지부재의 10배 확대사진.Figures 2a and b are 10x magnifications of the 36x29 90 ° and 40x40 45 ° mesh plane weave support members used in the flat and drum typ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modules of FIG.

제3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식 특성개량 전후의 미세한 폴리에스테르 직포의 10배 확대사진.3a and b is a 10 times magnified photograph of the fine polyester woven fabric before and after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a 및 b도는 제3a도 및 제3b도의 대조예 및 가공직물의 16배 확대사진.4a and b are 16 times magnified photographs of the control examples of FIGS. 3a and 3b and the finished fabric.

제5a 및 b도는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직조아크릴직물의 10배 확대사진.5a and b are 10 times magnified photographs of the woven acrylic fabric with the control and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d.

제6a 및 b도는 랩스펀얀(wrap spun yarn)으로 직조된,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아크릴직물의 10배 확대사진.Figures 6a and b show a 10-fold magnification of the control and water-treated characteristic woven acrylic fabrics woven with wrap spun yarn.

제7a 및 b도는 랩스펀사로 직조된,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 개량된 아크릴직물의 10배 확대사진.Figures 7a and b show a 10-fold magnification of an acrylic fabric with comparative and water treatment properties woven with a labspun yarn.

제8a 및 b도는 오픈엔드우울(open end wool) 스펀얀을 포함하는,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아크릴 직물의 10배 확대사진.Figures 8a and b show a 10x magnification of the control and water treatment improved acrylic fabric, including open end wool spun yarns.

제9a 및 b도는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우울나일론(80/20%) 직물의 10배 확대사진.Figures 9a and b show a 10-fold magnification of the control and water-treated depressed nylon (80/20%) fabrics.

제10a 및 b도는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스펀/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면 능직물의 16배 확대사진.10A and B are 16-fold magnifications of the control and water treatment improved spun / filament polyester / cotton twill.

제11a 및 b도는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이중 편성직물의 16배 확대 사진.11A and B are 16-fold magnifications of control and water treatment modified dual knit fabrics.

제12a 및 b도는 대조예의 벽지직물의 16배 확대된 전면사진 및 배면사진.Figures 12a and b are 16x enlarged front and back pictures of the wallpaper fabric of the control example.

제13a 및 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제12a 및 b도의 벽지직물의 확대된 전면사진 및 배면사진.Figures 13a and b are enlarged front and back pictures of the wallpaper fabric of Figures 12a and b, which have been improved water treatmen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4a 및 b도는 제7a 및 b도의 직물의 대조예 및 수처리식 특성개량된 아크릴직물스트립의 0.09 배율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 직물토크의 감소를 나타낸다.Figures 14a and b are 0.09 magnification photographs of the control and water treatment improved acrylic fabric strips of fabrics of figures 7a and b, showing the reduction in fabric torque achiev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5a 내지 c도는 각각 제5도, 제7도 및 제8도의 랩스펀얀 및 오픈엔드우울스펀얀으로 구성되어있는 직조 아크릴 직물의 0.23 배율사진으로서 대조예 및 가공직물의 세탁성과 주름 특성을 나타낸다.15A-C are 0.23 magnification photographs of woven acrylic fabrics composed of wrapspun yarn and open-end wool spun yarns of FIGS. 5, 7 and 8, respectively, showing washability and wrinkl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and processed fabrics.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직포 및 편성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수행하는 또 다른 생산라인장치의 개략도.16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production line apparatus for performing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woven and knitted fabr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발명의 수처리식 특성개량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일체 구조로 결합시킨 냅직물(napped fabric)을 포함하는 복합직물의 설명도.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mposite fabric comprising a napped fabric bonded together in an integral structure by using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직포 및 편성직물의 품질을 개량하는 직물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적유체젯(dynamic fluid jets)을 사용하여 섬유얀(fabric yarns)을 엉키게하여 불루밍가공(blooming)을 함으로써 직포 및 편성직물의 특성을 개량하는 수처리식 엉킴 가공(hydroentangling proces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직물은 향상된 가공표면과, 개량된 피복성(cover), 내마모성, 드레이프성, 안정성등의 특성과, 감소된 통기성, 주름회복성, 땀빠짐성(seam slippage) 및 모서리풀림성(edge fray)등의 특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fabric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oven and knitted fabric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oentangling process that improves the characteristics of woven and knitted fabrics by tangling fabric yarns by using dynamic fluid jets to bloom the fabric yarns. process). Fabrics produced by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improved processing surface, improved cover, wear resistance, drape, stability, reduced breathability, wrinkle recovery, seam slippage and It has characteristics such as edge fray.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직포 또는 편성직물의 품질은 여러가지특성, 즉 얀카운드(yarn count ; 번수), 드레드카운트(thread count), 내마모성, 피복성, 중량(weight), 얀벌크(yarn bulk), 얀 블룸(yarn bloom), 토크저항(torgue resistance ; 뒤틀림 저항), 주름회복성, 드레이프성 및 촉감(hand)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quality of woven or knitted fabrics can be characterized by a number of properties: yarn count, thread count, wear resistance, sheathing, weight, yarn bulk, yarn bloom. It can be measured by torque resistance (torgue resistance), wrinkle recovery, drape and hand.

얀카운트는 얀크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주어진 수치적 정의로서 중량과 길이와의 관계이다.Yarn cou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length as a numerical definition given to represent yarn size.

직포 또는 편성직물의 드레이드카운트는 각각 직물 1인치당 엔드(ends) 및 위사의 수와, 웨일(wales) 및 단(courses)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들면, 천(cloth)의 카운트는 우선 인치당 경사(warp end)의 수를 카운트 한다음, 인치당 위사(filling picks)의 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한다. 즉 68×72는 인치당 68개의 경사와 72개의 위사를 가진 직물을 나타낸다.The countdown of woven or knitted fabrics refers to the number of ends and wefts per inch of fabric and the number of wales and course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ount of cloth first counts the number of warp ends per inch and then counts and displays the number of filling picks per inch. Ie 68 × 72 represents a fabric with 68 warp yarns and 72 weft yarns per inch.

내마모성은 표면마모(surface wear) 및 러빙(rubbing)의 파괴작용에 의해 외관, 유용성, 융털(pile) 표면이 손상되는것에 대해 직물이 견딜수있는 능력을 나타낸다.Abrasion resistance refers to the fabric's ability to withstand the appearance, usability, and damage to the pile surface by the destruction of surface wear and rubbing.

피복성은 직물의 하부구조가 표면물질에 의해 은폐되는 정도이다. 피복성의 척도는 직물통기성, 즉 공기의 직물통과 용이성에 의해 제공된다. 통기성은 여과성 및 피복성과 같은 기본적인 직물의 품질과 특성의 척도이다.Coverability is the extent to which the fabric's underlying structure is concealed by the surface material. The measure of coverage is provided by the fabric breathability, ie the fabric passability of the air. Breathability is a measure of the quality and properties of basic fabrics such as filterability and coating.

얀블룸(yarn bloom)은 얀섬유의 개면(opening)과 연면(spreading)의 척도이다.Yarn bloom is a measure of the opening and spreading of yarn fibers.

적물중량은 단위면적당 중량, 예를들면 평방야드당 온스의 수로 측정된다.The load weight is measured in weight per unit area, for example, the number of ounces per square yard.

직물의 토크(torgue)는 가연가공(twisting)결과 그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려는 특성을 의미한다. 직물의 토크는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이와같은 토크의 섬유를 스트립형태로 현수시킬 때 그 섬유를 비틀리게하므로 수직블라인드(vertical blind)에 사용되는 직물은 토크가 없어야한다.Torque of a fabric refers to the property of resisting its torsional moment as a result of twisting. It is desirable to remove or reduce the torque of the fabric. For example, fabrics used for vertical blinds should be free of torque, as they will twist the fibers when suspended in strip form.

주름회복성은 폴딩변형(folding deformations)에서 회복될 수 있는 직물의 특성이다.Wrinkle recovery is a property of fabrics that can be recovered from folding deformations.

촉감(hand)은 유연성 및 드레이프성과 같은 직물의 감촉특성이다.Hand is the feel characteristic of a fabric, such as flexibility and drape.

부직포를 생산함에 있어서 수처리식 엉킴가공방법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이 공지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The prior art using water treatment entanglement processes in producing nonwovens is known.

종래의 수처리에 의한 엉킴가공방법에 있어서는, 부직섬유의 웨브(web)를 천공 패턴화스크린(patterning screen)상에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웨브를 고압유체로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패턴화스크린은 드럼 또는 연속식 평면컨베이어상에 구성되어 있으며, 그 컨베이어는 가압유체 젯을 통과하여 웨브를 점착성의 정열된 섬유군과 스크린의 개방영역에 대응자는 구조에 엉키게 한다. 엉킴은 웨브의 섬유를 스크린의 개방영역으로 이동시켜서 엉키고, 인터트와인(intertwine) 되도록하는 유체젯의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In the conventional tangle processing method by water treatment, the web is treated with a high pressure fluid while a web of nonwoven fibers is supported on a perforated patterning screen. In general, patterned screens are constructed on drums or continuous flat conveyors, the conveyors passing through a pressurized fluid jet to entangle the web in a structure with cohesive aligned groups of fibers and open areas of the screen. The entanglement is carried out by the action of a fluid jet that causes the fibers of the web to entangle and intertwine into the open area of the screen.

패턴형 부직포를 생산하는 종래의 수처리식 엉킴가공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3,485,706호(발명자 Evans), 제3,498,874호(발명자 Evans 등)와, 미합중국 특허 제3,873,255호 및 제3,917,785호(발명자 Kalwaites)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angle processing methods for producing patterned nonwovens are disclosed in US Pat. Nos. 3,485,706 (Inventor Evans), 3,498,874 (Inventor Evans, etc.), and US Pat. have.

수처리식 엉킴가공기법은 또한 직포 및 편성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이용되었다. 이와같은 기술은 응용함으로써,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섬유가 교차점 (cross-over points)에서 수처리에 의한 엉킴이 일어나서 직물의 피복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방법들은 직물의 특성을 균일하게 개량하는데 있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생산라인효율을 얻기위한 생산라인기술과 그 장치를 개발하지는 못하였다.Water treatment entanglement techniques have also been used as a technique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woven and knitted fabrics. By applying this technique, the warp and weft fibers of the fabric are entangled by water treatment at the cross-over points, thereby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fabric. However, conventional processing methods have not been satisfactory in uniformly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In addition, the prior art did not develop a production line technology and its apparatus to obtain production line efficiency.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명세서 제287821호(발명자 Bunting등)는 종래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코오스다공성부재(course porous members)에 지지된 직물상에 고속주상유체스트림(high speed columnar fluid streams) 충격을 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오스트레일리아 명세서의 실시예 XV-XVII에 기재되어 있는 Bunting등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변수는 20-30 메쉬의 지지스크린, 1500 psi의 유체압, 0.050 인치중심부상에서 직경 0.007인치를 가진 젯오리피스(jet orifices)등이다. 직물을 다중의 수처리식 엉킴통과를 수행하여 가공하며, 직물을 균일하게 엉키도록 하기위하여 진행방향에 대하여 바이어스 방향으로 재배향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한 데이타는 직물의 피복성 및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적당한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Australian patent specification 287821 (Inventor Bunting et al.) Discloses a prior art technique in which high speed columnar fluid streams are applied to a fabric supported by course porous members. It is described. Preferred parameters used in the method of Bunting et al. Described in Example XV-XVII of the Australian specification are jet orifices having a support screen of 20-30 mesh, a fluid pressure of 1500 psi, and a 0.007 inch diameter on a 0.050 inch center. orifices). The fabric is processed by performing multiple water treatment entanglement passages and reorients in a bias direction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travel in order to uniformly entangle the fabric. The data exemplified in the above examples show that the most appropriate improvement in the coa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fabric was achieved.

또하나의 종래기술은 유럽특허출원 제0177277호(발명자 Willibanks외 다수)에 기재되어있는바, 이것은 수처리식 패턴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Willibank의 기술은 장식효과를 위해서 직포, 편성직물 및 접착포에 고속유체의 충격을 가한다. 직물내의 얀장력을 재분배시킴으로쩌 패턴화를 수행하는바, 얀을 선택적으로 촘촘하게, 느슨하게, 그리고 개면시켜서 직물에 볼록구조(relief structure)을 형성시킨다.Another prior art is describ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177277 (Inventor Willibanks et al.), Which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patterning technique. Willibank's technology applies high velocity fluid impact to woven fabrics, knitted fabrics and adhesive fabrics for decorative effects. Patterning is performed by redistributing the yarn tension in the fabric, whereby the yarns are selectively densely, loosely and refurbished to form a relief structure in the fabric.

Willibank의 기술로는 패턴화가공의 2차산물로서 제한된 정도의 직물특성개량이 얻어진다. 그러나, Willibank은 직물특성을 균일하게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수처리식 엉킴가공방법에 대해서는 제안 또는 시사한 바가 없다(상기 유럽특허 명세서 제40면 실시예 4참조).Willibank's technology yields a limited degree of fabric characterization as a secondary product of patterning. However, Willibank does not suggest or suggest a water treatment type tangle processing method that can be used to uniformly improve the fabric properties (see Example 4 on page 40 of the European Patent Specification).

따라서, 당해기술분야에서는 시장성있는 직조직물의 수처리식 특성 개량방법이 요망된다. 이와같은 직물의 특성개량에 의해 미적효과 및 기능적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각종직물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수처리식 특성개량 방법은 직물의 안정성을 개량하기위해 직물얀의 동적유체식 엉킴가공 및 벌크가공을 통해 직물의 피복성을 개량한다. 이와같은 결과는 종래의 직물가공 방법의 요건을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얻을수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 method for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marketable woven fabrics.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that can provide aesthetic and functional effects by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fabric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fabrics. The water treatment improvement method improves the coatability of the fabric through dynamic fluid tangle and bulk processing of the fabric yarn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abric. Such a result can be easily obtained without having the requirements of the conventional fabric processing method.

이 기술은 또한 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위한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필요로한다. 상업적 규모의 생산은 균일한 특성을 가진 직물을 생산하기위해 직물의 연속적인 수처리식 특성개량가공을 수행하고 조절된 조건하에서 상기 직물의 즉석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This technique also requires a simple structured device for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properties of the fabric. Commercial scale production requires an apparatus to perform continuous water treatment of the fabric to produce fabrics with uniform properties and to perform instant drying of the fabric under controlled condi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개량된 특성을 가진 신규의 각종 직포 및 편성직물을 제조하기위한 개량된 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properties of an improved woven fabric for producing a variety of new woven and knitted fabrics with improved properties.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스펀얀 및 스펀얀/필라멘트얀으로된 직물을 개량하기 위한 수처리식 특성개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property improvement method for improving fabrics made of spun yarn and spun yarn / filament yar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신규의 복합직물 및 층상직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수처리식 특성개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property improvement method which can be used to prepare novel composite fabrics and layered fabr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기술을 개량한 수처리식 특성 개량을 위한 생산라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line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improved in the prior art.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과 이하에서 명백하게될 다른 목적들은 일반적으로 동적 유체의 작용을 통해 직포 및 편성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처리식 특성개량모듈을 사용하는바, 직물을 하나의 부재상에 지지시키고 조정된 공정에너지하에 유체커튼으로 충격을 가한다. 직물의 특성개량은 직물의 위브(weave) 또는 편성의 교차점에서 얀섬유를 엉키게하거나 인터트와인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특성개량된 직물은 균일한 가공표면 및 모서리 풀림성, 드레이프성, 안정성, 주름회복성, 내마모성, 직물의 중량 및 두께등의 개량된 특성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which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are generally achieved by provid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woven fabrics and knitted fabrics through the action of dynamic fluids.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reatment type characteristic improvement module is used. The fabric is supported on one member and impacted with the fluid curtain under the adjusted process energy.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is carried out by tangling or interwinning yarn fibers at the intersection of the weave or knitting of the fabric. Fabrics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e improved properties such as uniform processing surface and edge unevenness, drape, stability, wrinkle recovery, abrasion resistanc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fabric.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의하면,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포목교정기(weft straigencer)에 의해 하나의 공정라인상에서 2개의 인라인유체모듈(in-line fluid modules)로 진행시켜 1단계 및 2단계 직물특성개량가공을 수행한다. 직물의 상하부측면을 각각 모듈의 부재상에 지지시키고 유체커튼에 의해 충격을 가하여 직물에 균일한 가공을 제공한다. 지지부재는 유체투과성이며, 약 25%의 개방면적을 포함하고,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유체를 통과하도록하는 파인 메쉬패턴을 갖는 지지부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모듈에서 지지부재를 사용하는데 있는바, 이 모듈은 공정라인에 대한 옵셋관계로 배열되어 있는 파인메쉬패턴화스크린(fine mesh patterned screens)을 포함한다. 이 옵셋배열은 가공직물의 유체줄무늬(strick)을 제한하고 바디자국을 제거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ven or knitted fabric is processed by two striking straighteners (weft straigencer) to two in-line fluid modules on one process line to improve the fabrication of one and two stage fabrics. Do thi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abric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members of the module and impacted by the fluid curtain to provide uniform processing to the fabric. The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includes a support area of about 25% and has a fine mesh pattern that allows the fluid to pass through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 of a support member in a module, which comprises fine mesh patterned screens arranged in an offset relationship to the process line. This offset arrangement limits the fluid streak of the fabric and eliminates body traces.

제1단계 및 제2단계의 특성개량은 직물에 200-3000psi 범위내의 압력으로 충격을 가하고, 약 0.10-2.0hp-hr/ℓb의 총에너지를 직물에 가하는 주상유체분사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prov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columnar fluid spraying the fabric with an impact at a pressure in the range of 200-3000 psi and applying a total energy of about 0.10-2.0 hp-hr / lb to the fabric. .

특성개량에 이어서, 직물을 텐터프레임(tenter frame)으로 진행시켜, 직물을 일정한 장력하에서 특정 너비로 건조시켜서 직물을 균일하게 정리가공 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잇점은 간단한 구조의 연속공정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제1단계 및 제 2단계 특성개량 스테이션은 횡방향("CD")으로 이격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매니폴드을 포함한다. 약 0.005인치의 오리피스직경과 약 0.017 인치의 중심-중심간격을 가진 주상젯노즐이 스크린에서 약 0.5인치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너지에서, 이 이격배열구성은 유체커튼을 형성하여 직물의 균일한 특성개량을 제공한다. 옵셋관계로, 바람직하게는 45도로 편향된 유체투과성 지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공직물의 젯줄무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바디자국을 제거한다.Foll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the fabric is advanced to a tenter frame, and the fabric is dried to a specific width under constant tension to uniformly arrange the fabric. The advantages of the apparatus of the invention are obtained by providing a continuous process line of simple constructio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characterization stations comprise a plurality of manifolds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CD "). Columnar jet nozzles with an orifice diameter of about 0.005 inches and a center-to-center spacing of about 0.017 inches are arranged at about 0.5 inches apart on the screen. At the process ener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pacing arrangement creates a fluid curtain to provide a uniform improvement in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In an offset relationship, the use of a fluid permeable support member, preferably deflected at 45 degrees, effectively limits the jet stripe of the fabric and eliminates body traces.

데니어와 스테이플길이가 각각 0.5-6.0 그리고 0.5-5인치범위이고, 얀카운트가 0.55-50S의 범위인 섬유를 포함하는 얀의 직포 또는 편성직물에서 직물의 최적 특성개량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바람직한 얀스펀시스템에는 코튼스펀(cotton spun), 랩스판(wrap spun), 우울스펀(wool spun) 및 마찰스펀(friction spun)이 포함된다.Optimal quality improvement results of the fabric are obtained in woven or knitted fabrics of yarns comprising fibers with denier and staple lengths in the range 0.5-6.0 and 0.5-5 inches, and yarn counts in the range 0.55-50S. Preferred yarn spun systems of the fabric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e cotton spuns, wrap spuns, wool spuns and friction spuns.

본 발명의 다른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명백해지며, 다음의 구체적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발명의 최선 실시태양]Best Mode of the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 스펀얀 및/또는 스펀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물(12)의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산라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일반적으로 부호(10)으로 나타낸다. 이 생산라인은 통상의 포목교정기(14), 평판형 및 드럼형 특성개량모듈(16)(18), 및 텐터프레임(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arrying out a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a fabric 12 comprising a spun yarn and / or a spun yarn / filament yarn. ). This production line includes a conventional wood straightener 14, a flat and drum type characteristic improvement module 16, 18, and a tenter frame 20.

모듈(16)(18)은 직물얀의 유체식 엉킴 및 벌크가공을 통해 직물의 양측면의 특성개량을 수행한다. 이러한 엉킴가공은 얀의 교차영역에서 직물에 부여된다. 공정에너지의 조절과 균일한 유체커튼을 구성함으로 인해 균일한 가공 표면 및 모서리풀림, 토크, 주름회복성, 커핑성(cupping), 드레이프성, 안정성, 내마모성, 직물의 중량 및 두께를 비롯한 개량특성을 갖는 직물이 생산된다.Modules 16 and 18 perform characterization of both sides of the fabric through fluid entanglement and bulk processing of the fabric yarn. This entanglement is imparted to the fabric at the cross section of the yarn. By adjusting the process energy and constructing a uniform fluid curtain, the improved characteristics including uniform processing surface and uneven edge, torque, wrinkle recovery, cupping, drape, stability, abrasion resistance, fabric weight and thickness Fabrics are produced.

[직물의 특성개량모듈의 작동방법 및 메카니즘][Operation Method and Mechanism of Fabric's Characteristics Improvement Module]

직물을 포목교정기(14)를 통해 진행시켜 직물특성개량모듈(16)(18)에서 처리하기에 앞서 직물의 경사를 정렬시킨다. 직물의 특성 개량가공을 수행한후, 직물을 텐터프레임(20)(통상의 구조로 되어있음)으로 진행시켜, 장력하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특정너비의 균일한 직물이 생산된다.The fabric is run through a tooling modifier 14 to align the warp of the fabric prior to processing in the fabric characteristic improvement module 16, 18. After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of the fabric, the fabric is advanced to the tenter frame 20 (having a normal structure) and dried under tension to produce a uniform fabric of a specific width.

모듈(16)은 제1지지부재(22)를 포함하며, 이것은 롤러(24)의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도시하지않음)을 포함하는 무한컨베이어수단상에 지지되어 있다.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선속도는 10-500ft/min의 범위이다. 선속도는 직물의 종류와 중량의 함수로서 변화되는 공정에너지의 요건에 따라 조정된다.The module 16 comprises a first support member 22, which is supported on an endless conveyor means comprising drive means (not shown) for rotating the roller of the roller 24. The preferred linear speed of the conveyor is in the range of 10-500 ft / min. The linear veloc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process energy which varies as a function of the type and weight of the fabric.

평판형 구조를 갖는것이 바람직한 지지부재(22)는 조밀하게 이격배치된 유체투과성 개방영역(26)을 포함한다. 제2a도에 나타낸 바람직한 지지부재(22)는 폴리에스테르 경사 및 슈우트 라운드 와이어(shute round wire)로 제작된, 23.7% 개방영역을 가진 36×29 90°메쉬 평직이다. 지지부재 (22)는 각변위 또는 스낵이 일어나지 않은 타이트 시임리스 위브(tight seamless weave)이다. 스크린(미합중국, 위스콘신 54913, 애플론, 피.오.박스 1939의 알바니 인터내셔날(Albany International), 애플톤 와이어, 디비젼에서 제작)의 특징은 하기표 1에 나타낸다.The support member 22, which preferably has a plate-like structure, includes a densely spaced fluid-permeable open area 26. The preferred support member 22 shown in FIG. 2A is a 36x29 90 ° mesh plain weave with 23.7% open area, made of polyester warp and shout round wire. The support member 22 is a tight seamless weave in which no angular displacement or snack occu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s (manufactured by Albany International, Appleton Wire, Division of Wisconsin 54913, Applelon, P. Box 1939)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table]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모듈(16)은 또한 직물(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CD")으로 평행하게 이격배열된 매니폴드(30)의 배열을 포함한다. 서로 약 8인치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매니폴드는 조밀하게 이격배열된 다수의 주상젯오리피스(32)를 포함하며, 이 오리피스는 지지부재(22)로부터 약 0.5인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Module 16 also includes an array of manifolds 30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C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fabric 12. The manifolds arranged at about 8 inches apart from each o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nsely arranged columnar jet orifices 32, which are disposed about 0.5 inches from the support member 22.

젯오리피스는 직경과, 중심-중심간격이 각각 0.005-0.010인치와 0.017-0.034인치의 범위내이며 200-3000psi 범위의 압력에서 유체젯으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오리피스는 직경이 약 0.005 인치이고, 중심-중심 약 0.017인치이다.Jet Orifices are designed to impact fabrics with fluid jet at pressures in the range 200-3000 psi, with diameters and center-to-center spacing in the range of 0.005-0.010 inches and 0.017-0.034 inches, respectively. Preferred orifices are about 0.005 inches in diameter and about 0.017 inches in center-center.

이와같은 배열의 유체젯은 유체식엉킴스트림커튼을 제공하여 직물의 최적 특성개량을 수행한다. 직물에 입력된 에너지는 생산라인을 따라 누적되며 모듈(16,18) (2단계 시스템)에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고정되어 직물의 상하면에 대해 균일한 특성개량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얀의 효과적인 제1단계 특성개량가공은 적어도 0.05hp-hr/ℓb, 바람직하게는 0.1-2.0hp-hr/ℓb 범위의 에너지출력에서 얻어진다.Fluid jets in this arrangement provide fluid entangled stream curtains to achieve optimal characterization of the fabric. The energy input to the fabric is accumulated along the production line and is preferably fixed at about the same level in the modules 16 and 18 (two-stage system) to achieve uniform characterization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abric. An effective first step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the fiber yarn is obtained at an energy output in the range of at least 0.05 hp-hr / lb,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2.0 hp-hr / lb.

제1단계 특성개량가공에 이어서, 직물을 모듈(18)로 진행시켜서 직물의 다른면의 특성개량을 수행한다. 모듈(18)은 드럼상에 지지되어 있는 원통형구조의 제2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재(34)는 스크린면적의 약 36%를 구성하는, 조밀하게 이격배열된 유체투과성 개방영역(36)을 포함한다. 제2b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지지부재(34)는 40×40 45°메쉬스테인레스강 스크린으로서, (표 1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애플톤와이어 제품이다) 모듈(18)은 평판형 모듈(16)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매니폴드(30)과 젯오리피스(32)는 제1단계 특성개량 모듈에서와 같이 거의 동일한 특징을 갖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0.5hp-hr/ℓb, 바람직하게는 0.1-2.0hp-hr/ℓb의 직물에 대한 유체에너지가 제 2단계 특성개량가공을 수행한다.Following the first step of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the fabric is advanced to module 18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The module 18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34 of cylindrical structure which is supported on a drum. The second support member 34 includes a densely spaced fluid permeable open area 36 that constitutes about 36% of the screen area. The preferred support member 34 shown in FIG. 2B is a 40 × 40 45 ° mesh stainless steel screen, which is an AppletonWire product having the features shown in Table 1. Works the same. Manifold 30 and jet orifice 32 are configured to have approximately the same characteristics as in the first stage characteristic improvement module. A fluid energy for a fabric of at least 0.5 hp-hr / lb, preferably 0.1-2.0 hp-hr / lb, performs a second step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통상의 위빙가공(weaving processes)은 직물에 바디마크를 헝성한다. 이와같은 마킹의 예는 제3a도 및 제4a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LIBBEY" 브랜드직물스타일번호 S/X-A8O5(표Ⅱ 참조)의 10배 및 16배 확대 사진이다. 제3a도와 제4a도의 바디마크는 문자 "R"로 표시하였다.Conventional weaving processes form body marks on the fabric. Examples of such markings are illustrated in FIGS. 3a and 4a and are 10x and 16x magnifications of polyester "LIBBEY" brand fabric style number S / X-A8O5 (see Table II). Body marks in FIGS. 3A and 4A are denoted by the letter "R".

본 발명은 1단계, 바람직하게는 2단계 특성개량가공을 통해 종래의 위빙가공의 결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잇점을 수처리식 특성개량라인의 종방향("MD")에 대하여 옵셋관계로, 바람직하게는 45°로 드럼형지지부재(34)를 배열시킴으로써 얻어진다.(제2a와 b도 참조).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weaving through a one-step, preferably two-step,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 The advantage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obtained by arranging the drum-shaped support member 34 in an offse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line, preferably at 45 °. See also b).

지지부재(22,34)는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이 지지부재를 통해 유체를 통과시킬정도의 크기를 갖는 파인메쉬개방영역(fine mesh open areas)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지지부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효 개방면적이 17-40%의 범위이다.The support members 22 and 34 preferably have fine mesh open areas sized to allow flui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member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Preferred support members range from 17-40% of the effective opening area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제3a, b도, 제4a 및 b도의 대조예와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비교결과는 특성개량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대조예 폴리에스테르직물의 바디마크 R은 직물의 특성개량가공을 통해 거의 제거된다. 옵셋스크린 배열은 또한 직물특성개량가공과 관련된 선형젯줄무늬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of FIGS. 3a, b, 4a, and b and the processed polyester fabric show the effect obtain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method. Body mark R of a control polyester fabric is almost eliminat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fabric's properties. The offset screen arrangement is also effective in reducing the linear jet stripe associated with fabric improvement.

[실시예 Ⅰ-XIII]Example I-XIII

제3도 내지 제15도는 제1도의 생산라인과 동일한 시험조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특성개량된 대표적인 직포 및 편성직물을 예시한다. 표Ⅱ는 도면에 예시된 직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3 through 15 illustrate representative woven and knitted fabrics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ame test conditions as the production line of FIG. Table II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illustrated in the figures.

제1도의 생산라인에서와 같이, 시험용 매니폴드(30)은 모듈(16,18)에서 약 8인치정도 이격배열되며, 약 60/인치로 조밀하게 패킹된 주상젯오리피스(32)를 구비한다. 오리피스(32) 각각은 직경이 0.005인치이고 제1 및 제2지지부재(22)(34)에서 약 0.5인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As in the production line of FIG. 1, the test manifold 30 is arranged about 8 inches apart from the modules 16 and 18 and has columnar jet orifices 32 packed densely at about 60 / inch. Each orifice 32 is 0.005 inches in diameter and arranged about 0.5 inches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2 and 34.

제1도의 공정라인은 6개의 매니폴드를 각각 구비한 특성개량모듈(16)(1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모듈(16,18)에 각각 2개의 매니폴드(22,34)가 구성되어 있다. 라인조건을 동일하게 하기위하여, 직물을 라인상에 복수주행시켜서 진행시켰다. 두 매니폴드모듈에서 각각 3회 주행시킨것은 6개의 매니폴드 모듈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The process line of FIG. 1 includes characteristic improvement modules 16 and 18, each having six manifolds. In this embodiment, two manifolds 22, 34 are formed in the modules 16, 18, respectively. In order to make the line conditions the same, the fabric was run by running multiple times on the line. Three runs on each of the two manifold modules were considered equivalent to six manifold modules.

직물을 약 1500psi의 공정압력에서 수처리식 특성개량을 수행하였다. 모듈의 선속도와 누적에너지출력은 각각 약 30fpm과 0.46hp-hr/ℓb로 유지시켰다. 선속도와 유체압력을 조절하여 균일한 가공을 위해 직물의 중량차이를 수용하고 바람직한 에너지 수준을 유지시켰다.The fabric was subjected to water treatment characterization at a process pressure of about 1500 psi. The linear velocity and cumulative energy output of the module were maintained at about 30 fpm and 0.46 hp-hr / lb, respectively. The linear velocity and fluid pressure were adjusted to accommodate the weight difference of the fabric for uniform processing and to maintain the desired energy level.

본 실시예들에서 가공한 직물은 미관과 피복성, 블룸(bloom), 내마모성, 드레이프성, 안정성 및 감소된 땀빠짐성 및 모서리풀림성과 같은 특성을 비롯한 품질면에서 현저히 개량되었음을 나타내었다.The fabrics processed in these exampl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quality including properties such as aesthetics, coatability, bloom, abrasion resistance, drape, stability and reduced sweating and undulation.

표 Ⅲ-XI은 시험용 공정라인상에서 본 발명에 의해 특성개량한 직물에 대한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ASTM(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표준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대조예 및 가공직물의 특성을 시험하였다. 표 Ⅲ-XI에 나타낸 데이타는 하기 ASTM 기준에 따라 얻어진 것이다 :Table III-XI shows data for fabrics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 a test process line. The properties of the control and fabrics were tested using the standard test method of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The data shown in Table III-XI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STM criteria: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세탁내구성(washability) 시험은 하기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각각 8.5"×11"(위사방향 8.5",경사방향 11")의 크기를 가진 대조예 및 가공직물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였다("세탁전"). 이어서 샘플을 통상의 세탁기와 건조기로 3회 연속해서 세탁 및 건조시킨후, "세탁후"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샘플의 세탁전후의 중량손실(%)은 다음식에 따라 구하였다. : 중량손실(%)=D/B×100 여기서, B=세탁전 샘플중량, A=세탁후 샘플중량, D=S-A이다.Washability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The weights of the control and fabric samples were measured ("before washing") each having a size of 8.5 "x 11" (weft direction 8.5 ", inclined direction 11"). The sample was then washed and dried three times in a conventional washer and dryer and then weighed "after washing". The weight loss (%) before and after washing of the sampl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 Weight loss (%) = D / B × 100 where B = sample weight before washing, A = sample weight after washing and D = S-A.

제4도 내지 제15도의 직물에 대한 현미경사진은 본 발명에서 얻어진 직물피복성의 개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A로 표시한 비가공 직물의 현미경 사진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개방영역이며, 이 영역은 B로 표시한 가공직물의 현미경사진에서 보다 감소된 크기를 갖는다. 수처리식 특성개량가공으로 말미암아, 섬유얀은 교차점에서 블루밍가공 및 엉킴가공이 일어나고 개방영역이 충전되어 직물의 피복성이 개량되고 공기투과도가 감소되었다.Micrographs of the fabrics of FIGS. 4-15 show an improvement in the fabric coatability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Of note in the micrographs of the unwoven fabrics labeled A are the open areas, which areas have a reduced size in the micrographs of the workpiece fabric labeled B. Due to the water treatment improvement, the fiber yarns had blooming and entanglement at the intersection and filling of the open area,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fabric and reducing the air permeability.

제12도 및 제13도는 HYTEX 브랜드의 벽지직물(미합중국, 메사츄우세츠, 랜돌프 Hytex Inc. 제품)의 현미경 사진이다. 직물의 멀티-텍스쳐드 표면외관은 직물전면의 분리된 영역들을 통해 얀을 직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2b도와 제13b도에서 문자 "S"로 표시한 프리플로팅위브스티치 (free floating weave stitches)는 직물의 배면에 형성되어있다.Figures 12 and 13 are micrographs of wallpaper fabrics of the HYTEX brand (products of Randolph Hytex Inc., Massachusetts, USA). The multi-textured surface appearance of the fabric is formed by weaving the yarn through separate regions of the fabric front. Free floating weave stitches, denoted by the letter "S" in Figures 12b and 13b, are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fabric.

직물의 배면에 프리플로팅스티치 S를 고정시킨 "HYTEX"벽지직물의 수처리식 특성개량 결과, 직물의 안정성 및 피복성이 향상되었다(제12b도와 제13b도 참조). 벽지를 사용함에 있어서, 직물의 특성개량과 그와 관련된 안정성효과로 말미암아 접착성 백코팅(adhesive back coatings)의 필요성이 감소 또는 제거된다. 직물의 특성개량결과, 직물을 통한 벽지용접착제의 침투가 제한된다. 특성개량 직물이 음향용으로 사용될때 또 다른 효과가 얻어지는바, 백코팅의 제거로 말미암아 음향반사가 감소되며, 또 직물을 통해 소리가 효과적으로 전달된다.As a result of the water treatment improvement of the "HYTEX" wallpaper fabric with the pre-floating stitch S fixed to the back of the fabric, the stability and coating property of the fabric were improved (see FIGS. 12b and 13b). In the use of wallpaper, the need for adhesive back coatings is reduced or eliminat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and its associated stability effect.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the penetration of the wallpaper adhesive through the fabric is limited. Another effect is obtained when the fabric is used for acoustics: the removal of the back coating reduces acoustic reflections and effectively transmits sound through the fabric.

[표 2]TABLE 2

섬유의 특징Characteristic of the fiber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표 3]TABLE 3

Nomex A805-제4도Nomex A805-4th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표 4]TABLE 4

22/6075(16ppi)-제5도22/6075 (16 ppi) -fifth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5

* ASTM 실험기준(D1295-67)에 의한 직물의 주름회복성 개량은 회복각의 증가로 나타낸다.* Improvement of wrinkle recovery of fabric by ASTM test standard (D1295-67) is indicated by the increase of recovery angle.

[표5]Table 5

(Libbey) S/X-1160-제6도(Libbey) s / x-1160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6

[표 6]TABLE 6

(Libery) S/X-1160-제7도(Libery) S / X-1160-Chapter 7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7

[표 7]TABLE 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8

[표 8]TABLE 8

Guilford Wool(80% 우울/20% 나일론)-제9도Guilford Wool (80% melancholy / 20% nylon)-the ninth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09

[표 9a]Table 9a

스펀/필라멘트-기초 중량-제10도Spun / Filament-Base Weight- FIG. 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표 9b]TABLE 9b

마모-스펀 필라멘트-기초중량-제10도Abrasion-Spun Filament-Base Weight-Figure 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1

[표 10]TABLE 10

이중편-제11도Double Piece-Part 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2

제14a와 b도는 W.S.Libbey)에 의해 제조된 스타일표시 S/406의 아크릴 수직블라인드직물의 대조예 및 가공직물의 현미경사진을 나타낸다. 직물의 특정개량결과, 섬유토크가 감소되어 수직블라인드용으로 특히 효과적이다. 제14a와 제14b도의 토크감소시험에서는 길이 84", 폭 3.5"의 섬유스트립을 사용하였는데, 섬유스트립은 구속됨이 없이 수직으로 현수되었다.Figures 14a and b show micrographs of the control and fabrics of the acrylic vertical blind fabric of style designation S / 406 made by W.S.Libbey). As a result of the specific improvement of the fabric, the fiber torque is reduced, which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vertical blinds. In the torque reduction test of FIGS. 14A and 14B, a 84 "long and 3.5" wide fiber strip was used. The fiber strip was suspended vertically without being restrained.

토크는 평판형지지면에서 꼬인 섬유의 각도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현미경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4a도의 비가공직물에서의 90도의 토크는 특성개량시 제거되었다.Torque was measured based on the angle of the twisted fiber on the flat paper surface. As can be seen in the micrographs, the torque of 90 degrees in the raw fabric of FIG. 14a was removed upon characteristic improvement.

제15a 내지 c도는 세탁내구성을 시험한 아크릴 직물, LIBBEY 스타일 번호 022,406 및 152에 대한 현미경사진을 나타낸다. 비가공직물은 모서리풀림성이 므고 쉽게 파손되었으며, 이에 반해 특성개량된 직물은 제한된 모서리풀림성과 얀(중량)손실을 나타내었다. 표 XI는 세탁내구성 시험결과, 중량손실데이타를 나타낸다.15A-C show micrographs for acrylic fabrics, LIBBEY Style Nos. 022,406 and 152, which were tested for wash durability. Unwoven fabrics are easy to break and easily break, whereas the improved fabrics exhibit limited edge unwinding and yarn loss. Table XI shows the weight loss data of the laundry durability test results.

[표 11]TABLE 11

200, 406, 152-제15a-제15c200, 406, 152--15a-c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3

제16도는 부호(4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직물(44)이 특성개량 가공공정으로 진행하기 위해 그 위를 통과하는 다수의 드럼(42a)-(42d)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직물(44)는 드럼(42)의 위와 아래를 연속하여 사인파형상의 통로라인을 통과한다. 롤러(46)는 드럼 (42a)-(42d)에 인접한 라인의 대향단부에 구비되어 직물을 지지한다. 드럼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적당한 모터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시켜 직물을 라인상에서 전진시킬 수 있다.1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 The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drums 42a-42d through which the fabric 44 passes to proceed to the improvement process. Specifically, the woven fabric 44 passes through the sinusoidal passage line continuously up and down the drum 42. The rollers 46 ar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line adjacent to the drums 42a-42d to support the fabric. Either or both of the drums can be rotated by suitable motor drive means (not shown) to advance the fabric on the line.

다수의 매니폴드(48)은 몇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6도에서는 4개의 군이 예시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드럼(42a)-(42d)로부터 이격 배열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manifolds 48 consists of several groups, four group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FIG. 16, which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drums 42a-42d, respectively.

사인파형상의 직물통로상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매니폴드군은 직물의 대향면에 대하여 이격관계로 매니폴드를 연속적으로 위치시킨다. 각 매니폴드(48)은 직물에 대하여 물과 같은 주상유체젯(50)으로 충격을 가한다. 유체공급원(52)는 유체를 매니폴드(48)로 공급하며, 그 유체는 가공중에 라인(56)을 통해 매니폴드로 재순환되도록 액체배수조(54)에 수집된다.A group of manifolds arranged at 90 degree intervals on a sinusoidal fabric path places the manifolds continuously in spaced relation to opposite sides of the fabric. Each manifold 48 impacts the fabric with columnar fluid jets 50 such as water. Fluid source 52 supplies fluid to manifold 48, which is collected in liquid drain 54 to be recycled to line manifold via line 56 during processing.

지지드럼(42)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으로 할 수 있다. 천공지지면을 포함하는 드럼을 사용함으로써 효과가 얻어짐을 알 수 있다. 지지면의 개방영역은 특성개량가공에 사용되는 유체의 재순환을 용이하게 한다.The support drum 42 can be porous or nonporous.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is obtained by using a drum including a perforated paper surface. The open area of the support surface facilitates the recirculation of the fluid used for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machining.

상기 제1실시예에서 구체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파인메쉬 개방영역패턴을 갖는 지지면을 사용함으로써 또다른 효과가 얻어진다. 지지부재의 옵셋배열,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45도 옵셋배열로 말미암아 특성개량된 직물에서 처리수줄무늬와 위브바디마크가 제한된다.A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irst embodiment, another effect is obtained by using a support surface having a fine mesh open area pattern that facilitates fluid passage. The treatment stripe and weave body mark are limited in fabrics characterized by an offset arrangement of the support member, for example a 45 degree offset arrangement as shown in FIG.

직물의 특성개량은 직물에 부여되는 에너지의 함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특성개량을 위한 바람직한 에너지수준은 0.1-2.0hp-hr/lb의 범위내이다. 공정에너지수준을 결정하는 변수에는 라인속도,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액체의 양 및 속도, 직물중량 및 직물특성이 포함된다.Improving the fabric's properties is a function of the energy imparted to the fabric. Preferred energy levels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fabric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in the range of 0.1-2.0 hp-hr / lb.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process energy level include line speed, amount and rate of liquid impacting the fabric, fabric weight and fabric properties.

유체속도와 유체압력은 유체오리피스의 특징, 예를들면 주상젯과 팬젯의 구조 및 프로세스라인에서의 배열 및 간격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프로세스라인상에서 유체커튼에 충격을 가하여 직물에 약 0.46hp-hr/lb의 에너지플럭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오리피스의 유형과 배열에 대한 바람직한 설명은 제1도의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젯오리피스는 중심-중심간격이 약 0.017인치로 조밀하게 인접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에서 0.5인치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있다. 0.005인치의 오리피스직경과 매니폴드 1인치당 60개의 밀도는 균일한 유체커튼을 형성하는 주상유체젯을 분사한다.Fluid velocity and fluid pressure are determined in par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orifice, such as the structure of columnar jets and panjets, and the arrangement and spacing in the process lin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act the fluid curtain on the process line to provide an energy flux of about 0.46 hp-hr / lb to the fabric. A preferred description of the type and arrangement of the orifices is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of FIG. In brief, the jet orifices are densely adjacent to the center-center spacing of about 0.017 inches and spaced 0.5 inches apart from the support member. An orifice diameter of 0.005 inches and 60 densities per inch of manifold eject the columnar fluid jet forming a uniform fluid curtain.

다음 실시예는 제17도에 나타낸 공정 라인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 illustrates the results obtained on the process line shown in FIG.

[실시예 XIV]Example XIV

다음의 특징을 가진 마찰스펀얀(friction spun yarns)으로 된 평직 100% 포리에스테르직물을 본 발명에 따라 가공하였다.Plain weave 100% polyester fabrics of friction spun yarns wit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카운트 16×10얀/in2,Count 16 × 10 yarn / in 2 ,

중량 8온스/yd2,Weight 8 oz / yd 2 ,

내마모성 500gr(CS17 마모시험휠의 50사이클에 의해 측정),Abrasion resistance 500 gr (measured by 50 cycles of CS17 wear test wheel),

공기투과도 465ft3/ft2/minAir permeability 465ft 3 / ft 2 / min

직물은 약 1500psi의 압력에서 4개의 드럼(42)과 18개의 노즐(16)을 포함하는 가공장치에서 300ft/min의 속도로 작동되는 시험라인상에서 가공하였다. 그러한 공정변수에서 직물에 대한 에너지출력은 약 0.46hp-hr/lb이었다. 표 XII는 직물의 대조예 및 가공직물의 특성을 나타낸다.The fabric was processed on a test line operated at a speed of 300 ft / min in 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four drums 42 and 18 nozzles 16 at a pressure of about 1500 psi. At such process variables, the energy output for the fabric was about 0.46 hp-hr / lb. Table XII shows the control examples of the fabrics and the properties of the fabrics.

[표 12]TABLE 12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4

[실시예 XV 및 XVI]Example XV and XVI

실시예 XIV의 가공조건을 사용하여 평직면 오스나버그(osnaburg)와 평직폴리에스테르링 방적직물을 가공함으로써 얻은 결과를 표 XIII 및 XIV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obtained by processing plain weave osnaburg and plain polyester polyester spun fabrics us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Example XIV are shown in Tables XIII and XIV.

[표 13]TABLE 13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5

[표 14]TABLE 14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6

실시예 XIV-XVI에서 가공한 직물은 상당히 감소된 공기투과도와 증가된 내마모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공정에너지 수준은 약 0.46hp-hr/lb이었다. 공정에너지와 특성개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에너지수준을 증가시키면 최적의 특성개량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가닥 직포 및 편성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수처리식 특성개량가공방법을 응용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것이다.Fabrics processed in Example XIV-XVI are characterized by significantly reduced air permeability and increased wear resistance. The process energy level in this example was about 0.46 hp-hr / lb.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ocess energy and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Increasing the energy level achieves an optimal characteristic improvement effect. 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a method of applying the water treatment property improve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ingle-stranded and knitted fabrics.

본 발명의 수처리식 특성개량가공방법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직물층을 수처리식 결합에 의해 일체구조의 복합직물로 만든다. 제17도는 직물층(62)(64)를 포함하는 복합플란넬(flannel)직물을 나타낸다. 층들의 수처리식 결합은 우선 각 층들의 대향면(62a), (64b)을 냅가공(napping)하여 표면섬유를 기모시킨다. 이어서, 대향면(62a), (64a)을 본 발명의 생산라인상에 중첩 배치하여 가공한다(제1도 및 제16도 참조). 층(62,64)의 특성개량은 냅가공표면의 섬유들을 엉키게하고 층들을 결합하여 일체구조의 복합직물(60)을 형성시켜서 수행한다. 외부표면(62b,64b)도 가공중에 특성개량되어 복합직물의 피복성과 품질이 향상된다.In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layer is made into a composite fabric of integral structure by water treatment bonding. FIG. 17 shows a composite flannel fabric comprising fabric layers 62 and 64. The hydrothermal bonding of the layers first naps the opposing surfaces 62a, 64b of each layer to raise the surface fibers. Subsequently, the opposing surfaces 62a and 64a are superimposed and processed on the production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S. 1 and 16).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62 and 64 is carried out by tangling the fibers of the nap processing surface and combining the layers to form the integral composite fabric 60. The outer surfaces 62b and 64b are also improved during processing to improve the coverage and quality of the composite fabric.

냅가공표면(62a,62b)는 종래의 기계적인 냅가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장치는 직물표면을 마모시키는 메탈포인트(metal points) 또는 티즐버르(teasel burrs)로 피복된 실린더를 포함한다.Knap processing surfaces 62a and 62b are 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nap factory. Such devices include cylinders coated with metal points or teasel burrs that wear the fabric surface.

복합직물(60)은 종래의 적층접착제를 필요로 함이 업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복합직물은 통기성이 좋고 종래의 적층복합직물에서 얻어지는 것보다 개량된 감촉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복합직물은 의류 및 신발류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최적의 특성개량(단가락 및 다중가닥 직물에서)은 에너지의 함수이다. 바람직한 결과는 에너지수준 약 0.46hp-hr/lb에서 얻어진다 물론, 최적 에너지 수준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공정 조건이 다르기때문에 다른 종류의 직물에 대하여 에너지조건도 다르다. 일반적으로, 가공속도, 노즐구조 및 간격을 변화시켜 바람직한 공정에너지수준을 얻을수 있다.Since the composite fabric 60 requires a conventional laminated adhesi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bric is manufactured. As a result, the composite fabric has good breathability and has improved feel characteristics than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laminated composite fabrics. It can be seen that such a composite fabric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lothing and footwear. Optimal characterization (in short and multi-strand fabrics) is a function of energy. Preferred results are obtained at an energy level of about 0.46 hp-hr / lb. Of course, because of the different process conditions necessary to meet the optimum energy level, the energy requirements for different fabrics are also different. In general, the desired process energy level can be achieved by varying the processing speed, nozzle structure and spacing.

본 발명의 특성개량 직물은 데니어 길이가 각각 0.3-10.0 및 0.5-6.0인치 범위내이고 얀카운트가 0.5S-805인 섬유를 포함하는 얀으로 직조된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특성개량은 섬유데니어 0.5-6, 스테이플섬유 0.5-6.0인치, 얀카운트 0.5S-50S의 직물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직물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얀스피닝시스템에는 면스펀, 랩스펀, 우울스펀이 있다. 실험결과, 바람직한 특성개량결과는 낮은 데니어, 짧은 길이의 섬유,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직물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It is preferred that the inventive improved fabric is woven from yarns comprising fibers having denier lengths in the range of 0.3-10.0 and 0.5-6.0 inches, respectively, and yarn counts of 0.5S-805. Optimum properties were obtained for fabrics of 0.5-6 of fiber denier, 0.5-6.0 inches of staple fiber and 0.5S-50S of yarn count. Preferred yarn spinning systems for use in the fabr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tton spuns, wrap spuns, melancholy spuns.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desirable properties have been obtained for fabrics containing low denier, short length fibers and loosely twisted yarns.

본 발명은 조절된 공정조건과 에너지수준하에서 우수한 직물의 특성개량이 얻어짐을 인식함으로써 당해기술분야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즉, 종래의 기술은 수처리식 특성개량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그 정도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 달성되는 효과는 당해기술분야에 각별현저하고도 놀라운 기여를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rt by recognizing that improved fabric properties can be obtained under controlled process conditions and energy levels. That is, the prior art did not recognize at all about the effect and the ext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abric by using th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improved processing method. The effect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made a remarkable and surprising contribution to the art.

상기의 구체적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방법 및 장치는 유체투과성지지 부재를 사용하나 비다공성 지지부재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1도 및 제16도는 각각 2단계 및 4단계 특성개량공정라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사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평판형, 드럼형 또는 다른 지지부재 구조를 가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preferred methods and apparatus use fluid permeable support members, although nonporous support member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16 show similar two-step and four-step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 line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structure including one or more modules having a plate type, drum type or other supporting member structure can be used.

본 발명의 방법은 다양한 특성개량직물을 생산하는데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들이 아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 improved fabrics. That is, the abov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전술한 특성개량가공방법에서는 주상젯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유체커튼을 형성시키나, 유체커튼의 형성을 위해서 다른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수인, 인터내셔날 페이퍼 컴패니에 양도된 "직물의 수처리식 패턴화 장치 및 그 방법"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995,151호(1991. 2.26)를 참고할 수 있는바, 상기 특허에는 직포 및 부직포직물의 수처리식패턴화에 사용하기 위한 분기형 젯유체 엉킴가공장치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른 수처리식 특성개량장치 및 방법을 고안해낼 수도 있으며, 이들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 및 사상에 포함된다.Finally, i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ing method, the fluid curtain is formed using columnar jet orifices, but other devices may be used for forming the fluid curtain. Reference may be made to U.S. Patent No. 4,995,151 (1991. 2.26) entitled "Water Treatment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ssigned to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h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nched jet fluid entanglement apparatus for use in water treatment patterning is described. Accordingly,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devise other water treatment property improve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hich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Claims (78)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물의 특성개량 가공방법으로서,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3~16.0 및 0.5~8인치의 범위내이며 얀카운트가 0.5s~80s의 범위내인 얀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제1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직물의 일면에 충분한 시간동안 비압축성 유체의 제1연속 커튼을 통과시켜 교차점에서 상기 얀들의 엉킴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커튼은 0.1~2.0hp-hr/lb 범위의 에너지로 상기 직물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 및 품질을 균일하게 개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process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fabrics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 filament yarns intersecting at intersections, wherein denier and length are in the range of 0.3 to 16.0 and 0.5 to 8 inches, respectively, and the yarn count is in the range of 0.5 to 80 s. Supporting a fabric comprising phosphorus yarn fibers on a first support member, and passing the first continuous curtain of incompressible fluid for a sufficient time on one side of the fabric to perform entanglement of the yarns at the intersection; , The fluid curtai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uniformly improve the coatability and quality of the fabric by impacting the fabric with energy in the range of 0.1 ~ 2.0hp-hr / l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커튼은 약 0.005인치의 직경, 약 0.017인치의 중심-중심간격, 그리고 약 0.5인치의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의 간격을 갖는 주상유체젯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 압력의 유체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luid curtain of claim 1, wherein the fluid curtain is formed by a columnar fluid jet orifice having a diameter of about 0.005 inches, a center-center spacing of about 0.017 inches, and a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of about 0.5 inches. And the fluid jet impinges the fabric with a fluid at about 1500 psi press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1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이격 배열된 유체 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pattern of fluid permeable open regions densely spaced in a first direction alignment.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의 약 17~4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n area occupies about 17-40% of the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개량직물을 제2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직물의 다른면에 충분한 시간동안 비압축성 유체의 제2연속 커튼을 통과시켜 직물의 피복성을 일층 더 개량하고 균일한 직물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유체 커튼은 0.1-2.0hp-hr/lb 범위의 에너지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upporting the feature improved fabric on a second support member and passing a second continuous curtain of incompressible fluid for a sufficient time to pas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to further improve coat coverage and uniformity. And further performing a weaving, wherein the second fluid curtain impacts the fabric with energy in the range of 0.1-2.0 hp-hr / l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체커튼은 각각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 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유체젯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체커튼들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서 약 0.5인치 이격배열되며, 상기 유체젯은 유체압력 약 1500psi 압력의 유체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이격배열된 유체 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영역은 직물에 패턴화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유체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uid curtains are formed by columnar fluid jets having a diameter of about 0.005 inches and a center-center spacing of about 0.017 inches, respectively, wherein the fluid curtains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Spaced about 0.5 inches apart, the fluid jets impinge on the fabric with fluid at a pressure of about 1500 psi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densely spaced in alignment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pattern of the fluid permeable open area, wherein the open area is large enough to allow flui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member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각각의 약 17~ 4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en area occupies about 17-40%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평판형 및 드럼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each have a plate-like and drum-like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드럼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have a drum-like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은 약 45°로 옵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re offset by about 45 degre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은 약 45°로 옵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re offset by about 45 degre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특성 개량에 이어서, 특성 개량된 직물을 장력하에 특정너비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A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second step, drying the property improved fabric to a specified width under tension. 제6항의 방법에 의해 특성 개량된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3~16 및 5~8인치의 범위내이며 드레드카운트가 0.5s~80s 범위내인 얀섬유를 포함하고, 직물위브의 얀교차점은 틈새형 개방영역을 구획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틈새형 개방영역에서의 얀의 특성개량을 수행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이 개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 fabric improved by the method of claim 6, the fabric comprising denier and yarn fibers in the range of 0.3-16 and 5-8 inches in length and with a dread count in the range of 0.5s to 80s, respectively. The yarn crossing point of the fabric divides a crevice opening area, and the coating property of the fabric is improved by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the yarn in a crevice opening area by the said method. 제6항의 방법에 의해 특성 개량된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5~6 및 0.5~8인치의 범위내이며 드레드카운트가 0.5s~50s의 범위내인 얀섬유를 포함하고, 직물위브의 얀교차점은 틈새형 개방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 틈새형 개방 영역에서 얀의 특성개량을 수행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이 개량되고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10~90%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 fabric improved in properties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denier and yarn fibers in the range of 0.5-6 and 0.5-8 inches in length and with a dread count in the range of 0.5s-50s, respectively. Yarn cross point of weave partitions the crevice opening area, and improves the coating property of the fabric and reduce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by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the yarn in the crevice opening area by the above method. Fabric. 제6항의 방법에 의해 특성개량된 폴리에스테르 직포로서, 상기 직포는 2데니어, 1.9인치의 폴리에스테르섬유, 17s의 얀수 및 49×23/인치의 얀카운트를 갖는 오픈-엔드 면스펀얀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48%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A polyester woven fabric improved by the method of claim 6, the woven fabric comprising an open-end cotton spun yarn having 2 denier, 1.9 inch polyester fiber, 17 s yarn count and 49 x 23 / inch yarn count, Woven fabr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48% by the method.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개량된 아크릴직포로서, 상기 직포는 3 데니어, 1.5인치의 섬유, 9s의 얀수, 인치당 28엔드를 갖는 오픈-엔드 면스펀얀과, 3데니어, 3인치의 아크릴섬유, 4s의 얀수, 1인치당 16위사를 가진 오픈-엔드 우울 스펀 필 얀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36%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An improved acrylic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oven fabric is 3 denier, 1.5 inch fiber, 9 s yarn, open-end cotton spun yarn with 28 ends per inch, 3 denier, 3 inch acrylic fiber, A woven fabric comprising an open-end melancholy spun pill yarn with yarns of 4 s, 16 weft yarns per inch,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36% by the method.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 개량된 아크릴 랩스펀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3 데니어, 3.0인치의 아크릴 섬유, 4s의 얀수, 인치당 14×16얀카운트를 갖는 100데니어의 텍스쳐드 폴리에스테르 랩스펀얀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65%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 characteristic improved acrylic wrapspu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100 denier textured polyester wrapspun yarn with 3 denier, 3.0 inches of acrylic fiber, 4s yarn number, and 14 x 16 yarn counts per inch. And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65% by the method.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 개량된 아크릴 직포로서, 상기 직포는 3데니어, 1.5인치의 아크릴 섬유, 9s의 얀수, 인치당 28엔드를 갖는 오픈-엔드면스펀랩얀과, 3데니어, 3인치의 아크릴섬유, 4s의 얀수, 인치당 16위사를 갖고 인치당 6개의 꼬임이 있는 중공랩스펀필얀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48%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A characteristic improved acrylic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oven fabric is 3 denier, 1.5 inch acrylic fiber, 9 s yarn, open-end cotton spun yarn with 28 ends per inch, and 3 denier, 3 inch acrylic A woven fabric, comprising: fiber, 4s yarn, 16 wraps per inch hollow hollow spunfil yarn with 6 twists per inch, by which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48%.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개량된 아크릴직포로서, 상기 직포는 3데니어, 1.5인치의 아크릴 섬유, 4s의 얀수, 인치당 14엔드를 갖는 오픈-엔드우울스펀랩얀과, 3데니어, 3인치의 아크릴섬유, 2.6s의 얀수, 인치당 16위사를 가진 오픈-엔드우울스펀필얀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48%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An improved acrylic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oven fabric is 3 denier, 1.5 inch acrylic fiber, 4s yarn number, open-end wool spun yarn with 14 ends per inch, and 3 denier, 3 inch acrylic A woven fabric comprising an open-end wool spunfil yarn with fibers, yarns of 2.6 s, and 16 weft yarns per inch, wherein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of about 48% reduced.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 개량된 직포로서, 상기 직포가 2×1 능조직의 80% 우울/20% 나일론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49.5%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A characteristic improved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oven fabric comprises 80% melancholy / 20% nylon of 2 × 1 twill, by which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49.5%. Woven fabric.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개량된 53% 폴리에스테르/47% 면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3×1 능조직, 120 엔드×38위사의 드레드카운트를 갖고,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50.6%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n improved 53% polyester / 47% cotto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bric has a 3 × 1 twill, a thread count of 120 ends × 38 weft,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weak by the method. 50.6% less fabric.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개량된 50% 폴리에스테르/50% 면 2중직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100데니어 폴리에스테르랩스펀얀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직물의 공기투과도가 약 16%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n improved 50% polyester / 50% cotton bi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100 denier polyester labspun yarn,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reduced by about 16% by the method.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교차점에서 교차하여 틈새형 개방영역을 구획하는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고, 상기 얀은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5~6 및 0.5~5 인치인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얀은 0.1~2.0hp-hr/lb 범위의 유체에너지에 의해 상기 틈새형 개방 영역에서 유체에 의해 엉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개량된직포 또는 편성직물.A spun yarn and / or a spun filament yarn that intersect at the intersection to define a crevice open area, the yarn comprising denier and fibers having a length of 0.5-6 and 0.5-5 inches, respectively, wherein the yarn is 0.1- A characteristic-improved or knitted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tangled by a fluid in the interstitial open area by a fluid energy in the range of 2.0 hp-hr / lb.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얀이 면스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24. The fabric of claim 23 wherein said yarn is a cotton spu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얀이 랩스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The fabric of claim 23 wherein said yarn is a wrapspa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얀이 우울스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The fabric of claim 23 wherein said yarn is a melancholy spun.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수처리결합시켜서,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일정구조의 패턴을 가진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복합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제1 및 제2표면을 냅 가공하여 그것의 표면섬유를 기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표면을 마주보도록 층상으로 중첩배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층상 직물을 지지부재상에서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층상 직물의 일면에 충분한 시간동안 유체의 제1연속 커튼을 통과시켜 상기 제1 및 제2표면에서 기모된 표면섬유들의 엉킴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커튼은 0.1~2.0hp-hr/lb 범위의 에너지로 상기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fabric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filament yarns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pattern intersecting at intersections by water treatment bonding a woven or knitted fabric,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fabric are snapped together. Processing and raising the surface fibers thereof, laminating the layers in such a manner a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upporting the layered fabric on a support member, and sufficient time on one side of the layered fabric. Passing through a first continuous curtain of fluid during the entanglement of the surface fibers raised at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the fluid curtain is applied at an energy in the range of 0.1-2.0 hp-hr / lb. Impacting the fabric.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커튼은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간격 약 0.017 인치의 주상유체젯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체커튼은 약 1500psi 압력의 유체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luid curtain of claim 27 wherein the fluid curtain is formed by a columnar fluid jet orifice of about 0.005 inches in diameter and about 0.017 inches in center-center spacing, wherein the fluid curtain impacts the fabric with a fluid of about 1500 psi pressure. How to.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1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이격배열된 유체 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pattern of densely spaced fluid permeable open regions aligned in a first direction.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의 약 17~4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open area occupies about 17-40% of the support member. 제27항에 있어서, 상지 층상직물을 제2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층상 직물의 다른면에 제2연속유체커튼으로 제2엉킴가공단계를 수행하여 균일한 복합직물의 결합 및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엉킴 가공 단계에서는 층상 직물에 0.1~2.0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further comprising: supporting the upper limb layered fabric on a second support member, and performing a second entanglement process with a second continuous fluid curtain on the other side of the layered fabric to bond and process the uniform composite fabric.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wherein in the second entanglement processing step, the layered fabric is impacted with an energy of 0.1-2.0 hp-hr / lb.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체커튼은 각각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 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유체젯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체커튼들은 약 1500 psi 압력의 유체로 직물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이격배열된 유체 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직물에 패턴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유체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2. The system of claim 3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uid curtains are each formed by columnar fluid jets having a diameter of about 0.005 inches and a center-center spacing of about 0.017 inches, the fluid curtains being fabricated with a fluid of about 1500 psi pressure. Impa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each having a pattern of densely spaced fluid permeable open regions arranged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openings having a pattern effect on the fabric. And has a size enough to allow flui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member without providing it.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일정구조의 패턴을 가진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 얀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직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층은 기모된 표면섬유를 가진 제1 및 제2냅가공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두 냅가공 표면은 마주보도록 중첩관계로 배열되어 동적유체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표면에서 상기 기모된 표면섬유를 엉킴가공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개량된 복합직포 또는 편성직물.At least two fabric layers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 filament yarns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ntersecting at the intersection, the fabric layer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nap surface having raised surface fibers. And the two nap processing surfaces are arranged in an overlapping relationship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by tangling the brushed surface fibers at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by dynamic fluid energy. Knitted fabric.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면을 가진 직포 및 편성직물을 가압유체젯에 의해 충격을 가하여 특성개량 가공하는 장치로서 제1특성개량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생산라인을 통해 종방향("MD")으로 상기 직물을 이동시키며, 상기 제1특성개량 스테이션에서 상기 직물을 지지해주는 제1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수단과 ; 직물의 제1면에 유체커튼을 가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이격배치되며, 고압유체젯을 분사하는 다수의 조밀하게 배열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커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공동 작동하여 교차점에서 직물얀을 엉킴가공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을 개량하고 직물에 가공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device comprising a spun yarn and / or a spun filament yarn intersecting at an intersection point and subjected to a characteristic improvement process by applying a pressurized fluid jet to a woven fabric and knitted fabric having first and second fac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haracteristic improvement station. Conveyor means for moving said fabric longitudinally ("MD") through a production line and supporting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aid fabric at said first characteristic improvement station; A curtain means spaced from said first support member to apply a fluid curtain to a first side of a fabric, said curtain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ensely arranged orifices for ejecting a high pressure fluid jet, said curtain means including said first means;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operates with a support member to entangle the fabric yarn at the intersection to improve the coatability of the fabric and impart processing to the fabric.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오리피스는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구조를 가지며, 직물에 대한 충격 에너지는 약 0.1~2.0hp-hr/l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5.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fluid orifice has a columnar structure of about 0.005 inches in diameter and about 0.017 inches in center-center spacing, with an impact energy of about 0.1 to 2.0 hp-hr / lb.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의 분무 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6. The apparatus of claim 35, wherein the fluid jet has a spray pressure of about 1500 psi. 제34항에 있어서, 제2특성개량 스테이션과, 상기 직물이 상기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생산라인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직물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서 이격배치되어 직물의 제2면에 유체커튼을 가하는 제2커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튼수단은 고압유체젯을 분사하는 다수의 조밀하게 배열된 제2오리피스를 포함하여 직물을 부가로 특성개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5. The fabric of claim 34,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haracteristic improvement station, a seco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abric such that the fabric is moved on a production line by the conveyor means, and a second support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A second curtain means for applying a fluid curtain to a surface, said second curtain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ensely arranged second orifices for injecting a high pressure fluid jet to further characterize the fabric.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체커튼은 각각 약 0.1~2.0hp-hr/lb의 에너지를 상기 직물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8. The apparatus of claim 3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uid curtains each impart an energy of about 0.1 to 2.0 hp-hr / lb to the fabric.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유체투과성이며 생산라인의 종방향에 대하여 바이어스 관계로 정렬된 개방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38 wherein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and has an open area aligned in a biased relationship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duction line.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튼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서 약 0.5인치 이격배치되며,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의 분무 압력을 갖고, 컨베이어수단의 속도는 약 100f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3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urtain means are spaced about 0.5 inches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he fluid jet has a spray pressure of about 1500 psi, and the speed of the conveyor means is about 100 fp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평판형 및 드럼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41. The apparatus of claim 4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of flat plate and drum type structures, respectively.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균일하게 특성개량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가 0.3~16.0 및 0.5~8인치의 범위내이며 얀카운트가 0.5s~80s의 범위내인 얀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지지된 직물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배열된 유체젯의 인접 정지 어레이를 포함하며 직물에 대해 대략 수직인 축을 가진 오리피스들로부터 방출되는 연속유체커튼에 의해 이동되는 직물의 적어도 일면에 균일하게 충격을 가하는 단계와, 직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이동속도, 젯압력, 및 오리피스의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직물에 0.1-2.0hp-hr/ 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교차점에서 얀들의 엉킴가공을 수행하고 직물의 피복성 및 품질을 개량하는 단계와, 충격 처리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for uniformly improving the quality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comprising spun yarn and / or spun filament yarn, wherein denier and length are in the range of 0.3-16.0 and 0.5-8 inches, and the yarn count is 0.5s to 80s. Supporting a fabric comprising yarn fibers in the range on a support member, moving the supported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djacent stops of the densely arranged fluid jets in a transverse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iformly impac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being moved by continuous fluid curtains emitted from orifices having an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abric, the array, the speed, jet pressure, And selectively adjusting the orifice's diameter and center-to-center spacing to impact the fabric with an energy of 0.1-2.0 hp-hr / lb, thereby avoiding entanglement of the yarns at the intersections. Perform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rying the treated fabric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and coating quality of the fabric. 제42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속도가 10~500fpm이고, 젯압력이 200~3000psi이며, 젯이 주상구조를 갖고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이 각각 0.005~0.010인치 및 0.017~0.03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conveyor speed is 10 to 500 fpm, the jet pressure is 200 to 3000 psi, the jet has a columnar structure and the diameter and center-center spacing are 0.005 to 0.010 inches and 0.017 to 0.034 inches, respectively. Way.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젯이 지지부재로부터 약 0.5인치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the jet is spaced about 0.5 inches apart from the support member.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유체투과성이며 17~40%의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인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and comprises 17-40% open area and includes a fine mesh pattern that allows fluid to pass through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종방향에 대해 옵셋관계로 배열된 파인메쉬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6. The method of claim 45,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fine mesh screen arranged in an offse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42항 내지 제4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양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42-46, wherein both sides of the fabric are treated. 제42항 내지 제4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젯의 어레이가 약 8인치 이격배열된 다수의 평행매니폴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42-46, wherein the array of jets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arallel manifolds spaced about 8 inches apart. 제42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1500psi이며, 젯직경이 약 0.005인치이고, 젯의 중심-중심간격은 인치당 약 60개의 젯을 포함하는 것이며, 직물에 약 0.46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pressure is about 1500 psi, the jet diameter is about 0.005 inches, and the center-to-center spacing of the jets includes about 60 jets per inch and impacts the fabric with an energy of about 0.46 hp-hr / lb.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제42항 내지 제4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낮은 데니어, 짧은 길이의 섬유와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42-46,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low denier, short length fibers and loosely twisted yarns.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고 다수의 유체젯스트림에 의해 충격을 가하여 특성개량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3~16.0 및 0.5~8인치의 범위내이며 얀카운트가 0.5s~80s의 범위내인 얀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지지부재상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지지된 직물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배열된 유체젯의 인접정지 어레이를 포함하며 직물에 대해 대략 수직인 축을 가진 오리피스들로부터 방출되는 연속유체커튼에 의해 이동되는 직물의 적어도 일면에 균일하게 충격을 가하는 단계와, 직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이동속도, 젯압력, 및 오리피스의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직물에 0.1~2.0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교차점에서 얀들의 엉킴가공을 수행하고 직물의 피복성 및 품질을 개량하는 단계와, 충격 처리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of supporting a woven or knitted fabric comprising a spun yarn and / or spun filament yarn on a support member and subjecting it to impact by a plurality of fluid jet streams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denier and length of 0.3-16.0 and 0.5-, respectively. Supporting a fabric comprising yarn fibers in the range of 8 inches and having a yarn count in the range of 0.5 s to 80 s on the support member, moving the supported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iformly impac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fabric moved by the continuous fluid curtain emitted from the orifices having an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abric and arranged in a densely arranged adjacently arranged fluid jet, , 0.1-2.0 hp-hr / lb for the fabric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moving speed, jet pressure, and orifice diameter and center-to-center spacing according to the fabric type and weight.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drying the shock treated fabric to perform jam processing of the yarn and improve the quality and coverage of the fabric at the intersections. 제5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속도가 10~500fpm이고, 젯압력이 200~3000psi이며, 젯이 주상구조를 갖고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이 각각 0.005~0.010인치 및 0.017~0.03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2.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the conveyor speed is 10 to 500 fpm, the jet pressure is 200 to 3000 psi, the jet has a columnar structure and the diameter and center-center spacing are 0.005 to 0.010 inches and 0.017 to 0.034 inches, respectively. Way.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젯이 지지부재로부터 약 0.5인치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3. 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the jet is spaced about 0.5 inches apart from the support member.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유체투과성이며 17~40%의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인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2.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and comprises 17-40% open area and includes a fine mesh pattern capable of passing the fluid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종방향에 대해 옵셋관계로 배열된 파인메쉬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5. The method of claim 54,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fine mesh screen arranged in an offse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51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양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6. The method of any of claims 51-55, wherein both sides of the fabric are treated. 제51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젯의 어레이가 약 8인치 이격배열된 다수의 평행매니폴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6.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5, wherein the array of jets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arallel manifolds spaced about 8 inches apart. 제51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1500psi이며, 젯직경이 약 0.005인치이고, 젯의 중심-중심간격은 인치당 약 60개의 젯을 포함하는 것이며, 직물에 약 0.46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pparatus of claim 51, wherein the pressure is about 1500 psi, the jet diameter is about 0.005 inches, and the center-to-center spacing of the jets includes about 60 jets per inch and impacts the fabric with an energy of about 0.46 hp-hr / lb.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제51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낮은 데니어, 짧은 길이의 섬유와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6. The method of any of claims 51-55,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low denier, short length fibers and loosely twisted yarns.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균일하게 특성개량가공하는 장치로서, 직물 지지부재와, 지지된 직물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밀하게 배열된 유체젯의 인접 정지 어레이를 포함하며 직물에 대해 대략 수직인 축을 가진 오리피스들로부터 방출되는 연속유체커튼에 의해 이동되는 직물에 균일하게 충격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직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이동속도, 젯압력, 및 오리피스의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직물에 0.1~2.0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고, 상기 유체커튼은 지지부재와 공동 작용하여 교차점에서 직물얀들을 엉킴가공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과 품질을 개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uniformly improving the quality of woven or knitted fabrics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 filament yarns, comprising: a fabric support member, means for moving the supported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ransverse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djacent stationary array of fluid jets densely arranged in a closed state and comprising means for uniformly impacting the fabric moved by continuous fluid curtains emitted from orifices with axe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abric,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moving speed, jet pressure, and diameter and center-center spacing of the orifice according to the type and weight, the fabric is impacted with energy of 0.1 to 2.0 hp-hr / lb, and the fluid curtain is And acting to entangle the fabric yarns at the intersection to improve the coverage and quality of the fabric. 제60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속도가 10~500fpm이고, 젯압력이 200~3000psi이며, 젯이 주상구조를 갖고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이 각각 0.005~0.010인치 및 0.017~0.03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1. The method of claim 60, wherein the conveyor speed is 10 to 500 fpm, the jet pressure is 200 to 3000 psi, the jet has a columnar structure and the diameter and center-center spacing are 0.005 to 0.010 inches and 0.017 to 0.034 inches, respectively. Way.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젯이 지지부재로부터 약 0.5인치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2. The apparatus of claim 61, wherein the jet is spaced about 0.5 inches from the support member.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유체투과성이며 17~40%의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인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1. The apparatus of claim 60,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and comprises 17-40% open area and includes a fine mesh pattern that allows fluid to pass through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종방향에 대해 옵셋관계로 배열된 파인메쉬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6. The apparatus of claim 63,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fine mesh screen arranged in an offse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60항 내지 제6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양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5. The apparatus of any of claims 60-64, wherein both sides of the fabric are treated. 제60항 내지 제6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젯의 어레이가 약 8인치 이격배열된 다수의 평행매니폴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5. The apparatus of any of claims 60-64, wherein the array of jets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arallel manifolds spaced about 8 inches apart. 제60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1500psi이며, 젯직경이 약 0.005인치이고, 젯의 중심-중심간격은 인치당 약 60개의 젯을 포함하는 것이며, 직물에 약 0.46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1. The method of claim 60, wherein the pressure is about 1500 psi, the jet diameter is about 0.005 inches, and the center-to-center spacing of the jets includes about 60 jets per inch and impacts the fabric with an energy of about 0.46 hp-hr / lb.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ding. 제60항 내지 제6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낮은 데니어, 짧은 길이의 섬유와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5. The apparatus of any of claims 60-64,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low denier, short length fibers and loosely twisted yarns.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포 또는 편성직물을 균일하게 특성개량가공하는 장치로서, 직물 지지부재와, 지지된 직물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직물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안내되는 조밀하게 배열된 유체젯을 포함하며, 연속유체커튼을 구획하는 다수의 정지평행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직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이동속도, 젯압력, 및 오리피스의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직물에 0.1~2.0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고, 상기 유체커튼은 지지부재와 공동작용하여 교차점에서 직물얀들을 엉킴가공함으로써 직물의 피복성과 품질을 개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device for uniformly improving the quality of woven or knitted fabrics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 filament yarns, comprising: a fabric support member, a conveyor for moving the supported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parallel manifolds, which are densely arranged fluid jets which are guid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abric, and which define a continuous fluid curtain, the movement speed, jet pressure, and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orifice's diameter and center-to-center spacing, the fabric is impacted with an energy of 0.1 to 2.0 hp-hr / lb, and the fluid curtain cooperates with the support member to entangle the fabric yarns at the intersections. Apparatu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coverage and quality. 제69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속도가 10~500fpm이고, 젯압력이 200~3000psi이며, 젯이 주상구조를 갖고 직경 및 중심-중심간격이 각각 0.005~0.010인치 및 0.017~0.03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0.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the conveyor speed is 10-500 fpm, the jet pressure is 200-3000 psi, the jet has a columnar structure and the diameter and center-center spacing are 0.005-0.010 inch and 0.017-0.034 inch, respectively. Device.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젯이 지지부재로부터 약 0.5인치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The apparatus of claim 70, wherein the jet is spaced about 0.5 inches from the support member.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유체투과성이며 17~40%의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직물에 패턴화 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인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0. The apparatus of claim 69,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luid permeable and comprises 17-40% open area and includes a fine mesh pattern capable of passing the fluid without providing a patterning effect to the fabric.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종방향에 대해 옵셋관계로 배열된 파인메쉬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3. The apparatus of claim 72,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fine mesh screen arranged in an offse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69항 내지 제7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양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4. A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9 to 73 wherein both sides of the fabric are treated. 제69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1500psi이며, 젯직경이 약 0.005인치이고, 젯의 중심-중심간격은 인치당 약 60개의 젯을 포함하는 것이며, 직물에 약 0.46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9, wherein the pressure is about 1500 psi, the jet diameter is about 0.005 inches, and the center-to-center spacing of the jets includes about 60 jets per inch and impacts the fabric with an energy of about 0.46 hp-hr / lb.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ding. 제69항 내지 제7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낮은 데니어, 짧은 길이의 섬유와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4. An apparatus as claimed in any of claims 69 to 73 wherein the fabric comprises low denier, short length fibers and loosely twisted yarns. 교차점에서 교차하여 틈새형 개방영역을 구획하는 스펀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균일하게 특성개량된 직포 또는 편성직물로서, 상기 얀이 데니어 및 길이가 각각 0.3~16.0 및 0.5~8인치인 섬유를 포함하고, 0.1~2.Ohp-hr/lb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조밀하게 배열된 유체젯의 어레이에 의해 상기 틈새형 개방영역에서 균일하게 벌크가공, 엉킴가공 및 블루밍 가공된 것이며, 특성개량된 직물은 공기투과성, 내마모성, 인장강도, 모서리풀림성, 땀빠짐성, 주름회복성, 토크저항 및 직물의 중량중 적어도 2가지의 특성이 현저히 개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A uniformly characterized woven or knitted fabric comprising spun yarns and / or spun filament yarns intersecting a crevice-like open area at intersections, the yarns having denier and length of 0.3-16.0 and 0.5-8 inches, respectively. Uniformly bulked, entangled and bloomed in the interstitial open area by an array of densely arranged fluid jets containing fibers and delivering energy between 0.1 and 2.Ohp-hr / lb, improving properties The fabric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characteristics of air permeability, wear resistance, tensile strength, unevenness, sweating, wrinkle recovery, torque resistance and weight of the fabric are significantly improved. 제77항에 있어서, 느슨하게 꼬인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78. The fabric of claim 77, comprising a loosely twisted yarn.
KR1019890702415A 1988-04-21 1989-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and the hydroenhanced fabric KR9400026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35088A 1988-04-21 1988-04-21
US184,350 1988-04-21
PCT/US1989/001593 WO1989010441A1 (en) 1988-04-21 1989-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75A KR900700675A (en) 1990-08-16
KR940002697B1 true KR940002697B1 (en) 1994-03-30

Family

ID=2267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415A KR940002697B1 (en) 1988-04-21 1989-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and the hydroenhanced fabric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412099B1 (en)
JP (1) JP3212595B2 (en)
KR (1) KR940002697B1 (en)
CN (1) CN1031079C (en)
AT (1) ATE142290T1 (en)
AU (1) AU3544189A (en)
CA (1) CA1313453C (en)
DE (1) DE68927102T2 (en)
ES (1) ES2010941A6 (en)
RU (1) RU2043434C1 (en)
WO (1) WO19890104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733A (en) * 1984-09-28 1993-08-17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ing fabrics and products
US5080952A (en) * 1984-09-28 1992-01-14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Hydraulic napping process and product
US5136761A (en) * 1987-04-23 1992-08-1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US5066535A (en) * 1987-05-01 1991-11-19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abric patterning process and product
US5142752A (en) * 1990-03-16 1992-09-0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textured nonwoven fabric
JP3640214B2 (en) * 1992-07-27 2005-04-2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Laminated double textured treatment pad
GB2313851B (en) * 1996-02-06 1998-12-02 Courtaulds Eng Ltd Nonwoven fabric manufacture
GB9602313D0 (en) * 1996-02-06 1996-04-03 Courtaulds Eng Ltd Nonwoven fabric manufacture
CA2341714C (en) * 1999-06-25 2008-12-23 Milliken & Company Napped fabric and process
JP2002235263A (en) * 2001-02-08 2002-08-23 Unitica Fibers Ltd Knitted fabric having excellent windproof property and soft fee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05007757A1 (en) * 2005-02-18 2006-08-31 Fleissner Gmbh Device for patterning and solidifying a web with exchangeable pattern shell
JP5520091B2 (en) * 2010-03-10 2014-06-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Laminate processing equipment
CN102701133B (en) * 2012-06-27 2014-10-29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Automatic cotton quilt production line
DE102016119480A1 (en) * 2016-10-12 2018-04-12 TRüTZSCHLER GMBH & CO. KG Nozzle bar for processing fibers with water jets
RU2682810C1 (en) * 2017-12-08 2019-03-21 Ларис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Соболева Felted mesh with fabric connection unit, the unit structural elements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CN113358855B (en) * 2021-08-11 2021-10-22 南通永盛汇维仕纤维新材料有限公司 Low-melting-point polyester filament cohesiveness de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39652A (en) * 1966-08-02 J. Evans Franklin Jet stitching of batt
US3873255A (en) * 1971-01-27 1975-03-25 Johnson & Johnson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US3747161A (en) * 1971-08-20 1973-07-24 Johnson & Johnson Method for producing a rearranged fabric having improved cross-strength
JPS5411433A (en) * 1977-06-28 1979-01-27 Hitachi Maxell Alkaline cell
JPS5735051A (en) * 1980-08-06 1982-02-25 Mitsubishi Rayon Co Three dimensional nonwoven structure reinforced by base cloth and method
AU1570083A (en) * 1982-06-11 1983-12-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JPH0673445B2 (en) * 1984-08-31 1994-09-21 麒麟麦酒株式会社 Liquor manufacturing method
IL76495A (en) * 1984-09-28 1990-09-17 Milliken R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uring fabrics
JPS61252339A (en) * 1985-04-30 1986-11-10 東レ株式会社 Knitted fabric and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7102T2 (en) 1997-02-13
KR900700675A (en) 1990-08-16
EP0412099A1 (en) 1991-02-13
ES2010941A6 (en) 1989-12-01
EP0412099B1 (en) 1996-09-04
EP0412099A4 (en) 1991-04-10
AU3544189A (en) 1989-11-24
CN1031079C (en) 1996-02-21
ATE142290T1 (en) 1996-09-15
CA1313453C (en) 1993-02-09
RU2043434C1 (en) 1995-09-10
WO1989010441A1 (en) 1989-11-02
DE68927102D1 (en) 1996-10-10
CN1040070A (en) 1990-02-28
JP3212595B2 (en) 2001-09-25
JPH03504990A (en) 199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362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KR9700076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KR940002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and the hydroenhanced fabric
US58061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finishing of continuous filament fabrics
US3498874A (en) Apertured tanglelaced nonwoven textile fabric
US3494821A (en) Patterned nonwoven fabric of hydraulically entangled textile fibers and reinforcing fibers
US4069563A (en) Process for making nonwoven fabric
US3485708A (en) Patterned nonwoven fabric of multifilament yarns and jet stream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253429B1 (en) Multi-vane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s
CA2033594C (en) Apparatus for producing textured nonwoven fabric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5115544A (en) Non-wovens manufacturing process
US5983469A (en) Uniformity and product improvement in lyocell fabrics with hydraulic fluid treatment
US6546605B1 (en) Napped fabric and process
US5657520A (en) Method for tentering hydroenhanced fabric
US3434188A (en) Process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s
CA2131879A1 (en) Tricot nonwoven fabric
US20040110456A1 (en) Nonwoven fabric for buffing applications
US20050125908A1 (e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by hydroentangling
US6671936B1 (en) Method of fabricating fibrous laminate structures with variable color
US3537945A (en) Nonwovens from bulk-yarn warps
MXPA970096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finishing of telasfil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