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05B1 -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05B1
KR940002005B1 KR1019900020465A KR900020465A KR940002005B1 KR 940002005 B1 KR940002005 B1 KR 940002005B1 KR 1019900020465 A KR1019900020465 A KR 1019900020465A KR 900020465 A KR900020465 A KR 900020465A KR 940002005 B1 KR940002005 B1 KR 94000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sing
electronic device
sli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624A (ko
Inventor
다카이치 고바야시
가즈야 시바자키
다카시 호소이
마사미 혼다
가즈요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켈 가부시기가이샤
다카시나 고오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4481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44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984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9707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켈 가부시기가이샤, 다카시나 고오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능 확장 장치에 부착되는 소형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도는 지지판을 꺼낸 확장 장치와 이것에서 분리된 소형 전자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소형 전자 기기가 부착된 확장 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확장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커버를 떼어내서 나타낸 케이싱의 사시도.
제6도는 위치 결정 부재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지지판을 꺼낸 확정 장치를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8도는 케이싱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토퍼 기구의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스토퍼 기구의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스토퍼 기구의 단면도.
제11도는 제8도의 XI-XI선을 따라 취한 스토퍼 기구의 단면도.
제12도는 커버를 생략해서 나타낸 코넥터 유닛의 사시도.
제13도는 동커버를 생략해서 나타낸 코넥터 유닛의 정면도.
제14도는 동커버를 생략해서 나타낸 코넥터 유닛의 배면도.
제15도는 핸들을 뒷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동커버를 생략한 코넥터 유닛의 측면도.
제16도는 핸들을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동커버를 생략한 코넥터 유닛의 측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XVII-XVII선을 따라 취한 코넥터 유닛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3도의 XVIII-XVIII선을 따라 취한 코넥터 유닛의 단면도.
제19도는 코넥터 유닛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0도는 코넥터 유닛을 케이싱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1도는 케이블 보호 커버의 사시도.
제22도는 코넥터 유닛의 핸들스토퍼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제23도는 동 핸들스토퍼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24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기능 확장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4도는 상기 장치 및 부착되는 소형 전자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25도는 코넥터 유닛 부분을 나타낸 상기 장치의 단면도.
제26도는 코넥터 유닛의 평면도.
제27도는 소형 전자 기기를 상기 장치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8도는 안길이 치수가 짧은 소형 전자 기기를 상기 장치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형 컴퓨터(소형 전자 기기) 2 : 전지팩
6 : 제1코넥터 7 : 키보드(데이타 입력부)
11 : 기능 확장 장치 12 : 케이싱
14a : 계단부 16 : 회로기판
21 : 지지대부(재치부) 23, 31 : 지지판
32, 42 : 가이드판 35 : 계지부
44 : 장공 45 : 코일 스프링
49 : 해제 버튼 50 : 스토퍼
55 : 판스프링 57 : 캠
60 : 계합부 71 : 코넥터 유닛
72 : 코넥터 홀더 74 : 슬라이더
76 : 핸들 77 : 회동아암
81 : 제2코넥터 82, 83 : 판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랩톱형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등의 소형 전자 기기를 접속하여, 소형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 기기가 갖는 기능은 미리 정해져 있으며, 이 기능 이외의 기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그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사양으로 구성된 기능 확장 장치가 사용된다. 이 장치에는 상기 소형 전자 기기가 부착되며, 이들 양자간에서는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그와 같은 장치로서,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769,764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확장 장치는 소형 전자 기기의 크기와 같은 크기의 부착 요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하며, 이 요부에는 소형 전자 기기의 전체가 상기 요부의 앞쪽에서 출납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수납에 의해 확장 장치 및 소형 전자 기기의 각각이 갖고 있는 코넥터끼리가 꽂혀서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소형 전자 기기는 확장 장치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확장 장치는 그 부착 요부가 소형 전자 기기의 크기와 같기 때문에 전후의 안길이 치수가 상이한 다른 소형 전자 기기를 부착해서 사용하는데는 부적당하며, 그 적응범위가 좁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 확장 장치와 소형 전자 기기의 접속은 양단에 삽입형 코넥터가 부착된 신호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케이블의 코넥터를 직접 손으로 잡아서 확장 장치의 코넥터 또는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다른 접속구조로서, 예를들어 확장 장치에 삽입식의 코넥터 및 이 코넥터에 이어지는 삽입 가이드를 고정하고, 소형 전자 기기의 뒷부분에 설치된 코넥터를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해 직접 확장 장치의 코넥터에 접속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접속 구조의 경우, 신호 케이블의 코넥터를 손으로 쥐고 접속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또 코넥터의 단자수가 많을 경우에는 접속된 코넥터끼리를 손으로 분리할 때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접속 또는 분리 작업을 할 때, 주위에 넓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면(孔面)에 코넥터를 갖는 소형 전자 기기의 뒷부분을 확장 장치의 앞부분에 재치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작업 공간의 확보가 곤란하고 실용에 적합치 않다. 또 후자의 접속 구조는 확장 장치의 코넥터에 대한 전자 기기측의 코넥터의 상대 위치가 불변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제가 충족되지 못할 경우, 즉 코넥터의 부착 위치가 상기 접속 구조에 적합한 소형 전자 기기의 코넥터의 부착 위치와 약간이라도 다른 전자 기기의 경우, 확장 장치의 코넥터에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확장 장치의 사용 적용범위가 한정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치수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소형 전자 기기를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자 기기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능 확장 장치는 내부에 기능 확장용의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고,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한 상기 전자 기기의 앞부분이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코넥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기기의 뒷부분에 재치되는 재치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장치측 코넥터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를 그 코넥터가 상기 본체측 코넥터와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상기 앞가장자리부와 걸어 맞춤되는 계지부와 상기 계지부를 상기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전자 기기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그때의 충격을 적게하기 위하여, 케이싱에는 이 케이싱에 위치결정지지된 상기 소형 전자 기기의 뒷면에 노출된 코넥터와 대향하는 위치에 코넥터 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코넥터 유닛은 코넥터 홀더를 가지며, 이 홀더에 상기 전자 기기측의 코넥터에 접리하는 방향에 따라서 왕복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가 부착되어 있다. 또, 홀더에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자 기기측의 코넥터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접속되는 장치측의 코넥터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능 확장 장치에 부착된 소형 전자 기기가 뜻하지 않게 들어 올려졌을 경우에 코넥터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넥터 유닛은 케이싱에 설치한 부착 구멍이 구멍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부착편을 홀더의 하면부에 가지며, 이 부착면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 확장 장치에 소형 전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지 수단을 케이싱으로부터 전방으로 적당히 끌어낸 다음, 소형 전자 기기를 케이싱의 윗쪽에 부착한다. 이 부착은 소형 전자 기기의 뒷부분을 케이싱의 재치부에 올려놓은 동시에, 소형 전자 기기의 앞가장자리를 유지 수단에 걸어 맞춤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이로써, 소형 전자 기기는 그 뒷부분이 재치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유지 수단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 즉 코넥터가 벗겨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케이싱에 대해 소정 위치에 부착 유지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케이싱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그 이동량을 가감함으로써, 유지 수단의 위치를, 재치부에 뒷부분을 얹어서 설치되는 안길이 치수가 다른 각종 소형 전자 기기의 앞가장자리부에 적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소형 전자 기기를 기능 확장 장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케이싱에 부착된 소형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는 장치측의 코넥터가 삽입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이 기능 확장 장치와 소형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또, 케이싱에 대해 소형 전자 기기가 위치 결정하여 부착됨으로써, 소형 전자 기기의 코넥터와 확장 장치의 코넥터가 대향된다. 그리고 이들 양 코넥터의 접속은 코넥터 유닛의 조작부를 통해 장치측 코넥터를 부착한 슬라이더를 코넥터 홀더를 안내로 하여 소형 전자 기기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양 코넥터가 삽입 접속된다. 접속된 양 코넥터를 분리하는데는 상기 조작부를 접속시의 움직임과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면 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더가 소형 전자 기기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장치측 코넥터가 전자 기기측 코넥터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은 코넥터끼리의 착탈 작업에 있어서는 소형 전자 기기를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한 동시에 착탈에 따른 충격을 적게할 수 있다.
그런데, 기능 확장 장치에 부착된 소형 전자 기기는 장치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윗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양 코넥터가 접속된 상태인채로 소형 전자 기기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코넥터 홀더의 부착편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제거 조작에 수반하여 벗기는 힘이 작용하지만, 그 힘이 일정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부착편이 탄성 변형하여 케이싱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서 벗겨진다. 이로써 접속 상태에 있는 양 코넥터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 확장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되는 소형 전자 기기로서의 퍼스널 컴퓨터(1)를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1)는 평면형상이 장방형상을 이루고, 그 크기는 대략 A4 사이즈로서 통상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 컴퓨터(1)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8)의 뒷부분에 착탈가능한 전지팩(2)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이 전지팩(2)보다도 앞쪽에 위치하여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는 본체(8)의 추지부(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추착돌출부(4)를 가지며, 추지부(5)를 중심으로 하여 기도(起倒)가능하게 되어 있다.
컴퓨터(1)는 본체(8)의 앞부분에 설치된 키보드(7)를 구비하며,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3)를 닫았을 때 덮어서 감추어지게 되어 있다. 본체(8)의 뒷부분 외면, 예를들어 뒷면에는 코넥터(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넥터(6)는 병설된 다수의 단자(6a)를 가진 삽입형이다. 코넥터(6)는 본체(8)의 뒷면에 착탈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커버로 통상 덮어져 있고, 이 커버를 벗김으로써 필요에 따라 본체의 뒷면에 노출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컴퓨터(1)는 폭방향의 치수 A 및 안길이 치수의 치수 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능 확장 장치(11)에는 폭치수 A가 모두 같고 안길이 치수 B가 다른 복수종의 소형 전자 기기가 접속된다. 이 경우, 이들 전자 기기의 코넥터(6)는 같은 구성의 것이 채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부착 위치는 모두 같게 되어 있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가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기능 확장 장치(11)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능 확장 장치(11)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싱(12)를 구비하며, 이 케이싱은 대략 구형상의 베이스(13)와 커버(14) 및 뒷면판(15)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14)는 베이스(13)의 상면에 덮여서 설치되고, 뒷면판(15)은 베이스(13)와 커버(14)가 형성하는 뒷면 개구(도시생략)를 막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케이싱(12)내에는 모듈화된 복수의 기능 확장용의 회로기판(16)이 수평으로 수납되어 있다. 회로기판(16)으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통신용의 회로기판, 메모리용의 회로기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한 회로기판등이 있다. 회로기판(6)외에도 케이싱(12)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AC 어댑터, 배기팬 등이 수납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기판(16) 및 AC 어댑터 등의 전기부품은 다수매의 철판들을 조합하여 형성된 시일드 커버(17)로 덮여 있다. 이 시일드 커버(17)의 앞쪽 부분의 상면에는 장방형의 부착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구멍(18)은 후술하는 코넥터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19는 컴퓨터(1)의 전원 소켓(9)(제1도 참조)에 삽입 접속되는 급전 플러그를 선단에 갖는 전원 코드를 나타내며, 이 코드는 케이싱(12)의 일측면에서 인출되어 있다.
케이싱(12)의 앞쪽 부분은 컴퓨터(1)의 뒷부분이 재치되는 지지대부(21)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14)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계단부(14a)를 경계로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부(21)는 커버(14)의 앞쪽의 윗벽(21a)과 계단부(1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윗벽(21a)은 앞이 내려가게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윗벽(21a)의 양측부 상면에는 각뿔 사다리(角錐臺)형상의 볼록부(22)를 갖는 위치결정부재(20)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볼록부(22)의 밑둥치 사이의 간격 C(제2도 참조)는 컴퓨터(1)의 폭치수 A와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결정부재(20)는 지지대부(21)에 재치된 컴퓨터(1)의 뒷부분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확장 장치에 대한 컴퓨터(1)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또, 계단부(14a)는 지지대부(21)에 재치된 컴퓨터(1)의 뒷면에 당접하여, 컴퓨터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처럼 부재(20) 및 계단부(14a)는 확장 장치에 대해 컴퓨터(1)의 뒷부분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각 위치결정부재(20)는 커버(14)와 일체로 성형해도 지장이 없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별도로 성형한 것을 커버(14)에 부착하고 있다. 각 부재(20)는 부착시의 충격을 적게 하기 위해, 커버(14)를 형성한 재료보다도 연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재(20)의 윗벽(21a)으로의 부착 구조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각부재(20)는 볼록부(22)의 위치결정용의 측면(22a)의 근원부에 컴퓨터(1)가 재치되는 지지판(23)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3) 및 볼록부(22)의 하단에는 각기 클릭(24)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클릭(24)은 커버(14)의 윗벽(21a)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구멍(25)에 각기 삽입되며, 이 구멍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그것에 의해 각 위치결정부재(20)는 지지대부(21)를 구성하는 윗벽(21a)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9도중 26은 컴퓨터(1)의 뒷부분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를 릴리프시키기 위한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볼록부(22)간의 간격 C를 조정가능하도록 위치결정부재(20)를 윗벽(21a)에 부착함으로써, 폭치수 A가 다른 소형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제2도 내지 제4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싱(12)의 바닥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의 코너에는 4개의 다리(27)가 부착되어 있다. 또. 케이싱(12)의 바닥에는 이 케이싱에서 화살표 D방향에 따라서, 케이싱의 전방을 향해 꺼낼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구형상의 지지판(31)이 부착되어 있다. 즉, 케이싱(12)의 바닥면 외면 한 쌍의 평행한 가이드판(32)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판(32)은 합성수지제이며, 케이싱(12)의 전후방향 즉 화살표 D방향에 따라서 뻗어 있다. 지지판(31)은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가 증설 케이싱(12)의 바닥벽 외면과 가이드판(32)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 맞춤 상태로, 케이싱(12)에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판(31)의 후단부 양측에 위치하여 괘지 돌출부(3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홈부의 선단부에는 계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괘지 돌출부(33)는 계단부(34)에 괘합이 가능하며, 그 괘합에 의해 지지판(31)이 케이싱(12)의 전방으로 전방으로 과도하게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게끔 되어 있다.
지지판(31)의 앞가장자리에는 이 판(31)의 폭방향 양측 부분에 위치하여 한쌍의 계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계지부(35)는 지지판(31)과 일체의 플랜지를 윗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부(35)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지지대부(21)에 재치된 컴퓨터(1)의 앞가장자리부와 걸어 맞추어, 컴퓨터(1)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계지부(35) 및 이것에 이어진 지지판(31)에는 그 앞쪽 부분을 걸쳐서 고무판(35)이 접착되어 있다.
케이싱(12)내에는 지지판(31)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구(41)가 설치되어 있고, 이하 이 장치(41)에 대해 설명한다 .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 기구(41)는 케이싱(12)의 베이스(13)상에 그 폭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금속제 가이드판(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판(42)은 베이스(13)의 앞부분 내측에 나사고정된 수평부(42a)와, 이 수평부의 전단에서 위를 향해 절곡된 수직부(42b)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42a)의 상면에는 이 가이드판(42)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접동가능한 길쭉한 슬라이드 금속기구(43)가 재 치되어 있다. 이 금속기구(43)는 U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좌단부(제8도)에는 케이싱(12)의 전후 방향에 따른 장공(44)이 형성되며, 금속기구(43)의 우단과 가이드판(42)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5)이 가설되어 있다. 이 스프링(45)은 제8도중 화살로 E방향으로 슬라이드 금속기구(43)를 부세하고 있다. 가이드판(42)의 장공(44)측의 단부에는 추축(46)을 통해 회동레버(47)가 부착되어 있다. 이 레버(47)의 일반부에 부착한 축부(48)는 장공(44)에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레버(47)의 타단부에 해제 버튼(49)의 가동축(49a)이 당접되어 있다. 해제 버튼(49)은 상기 베이스(13)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싱(12)의 바깥쪽에서 가압 조작되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버튼(49)을 밀어넣기 조작하면 가동축(49a)이 회동 레버(47)를 제8도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것때문에 슬라이드 금속기구(43)는 코일 스프링(45)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제5도중 화살표 G방향으로, 가이드판(42)상을 이동한다. 또 상기 밀어넣기 조작을 멈추면, 코일 스프링(45)의 부세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제5도에 나타냄)로 되돌려지는 것이다.
가이드판(42)의 길이방향 양단측 부분에는 각기 합성수지제의 스토퍼(50)(한쪽만 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42)의 스토퍼 부착 부분에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축(51)이 세워서 설치되며, 이것에 끼워 맞추어져서 스토퍼(5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50)는 베이스(13)의 바닥벽에 설치한 구멍(13a)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한 스토퍼돌기(52)와, 상기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캠폴로워(5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축(51)의 상단부간에 걸쳐서 스프링 받침판(5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 받침판(54)과 스토퍼(50)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판스프링(55)이 좁게 설치되고, 판스프링(55)은 스프링 받침판(54)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56은 가이드축(51)에 고정되어 스프링 받침판(54)을 위치 결정하는 고정링이다. 따라서 판스프링(55)에 의해 스토퍼(50)는 항상 하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각 스토퍼(50)에 대응해서 슬라이드 금속기구(43)에는 한 쌍(한쪽만 도시)의 캠(57)이 부착되어 있다. 캠(57)은 합성수지제이며,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진 캠면(57a)을 가지고 있다. 캠면(57a)은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왕복 이동에 수반해서 스토퍼(50)의 캠폴로워(53)에 접리하여, 스토퍼(50)를 상승시킨다. 캠면(57a)이 캠폴로워(53)에서 벗겨졌을 때의 스토퍼(50)의 하강은 판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해 실 현된다. 가이드판(42)의 일부는 수직으로 잘라 일으켜져서 계지편(58)을 형성하고 있다. 계지편(58)은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접동 방향으로 뻗는 도시하지 않은 슬릿을 가지며,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설치한 장공(59)에 삽입되어 있다. 이들 계지편(58) 및 장공(59)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드 금속기구(43)를 제8도에 도시한 로크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는 동시에, 슬라이드 금속기구(43)의 전후 및 윗쪽 방향으로의 이동도 억제하고 있다. 로크 위치에 있어서, 각 캠(57)은 그 평탄면(57b)이 캠플로워(53)와 대향해서 위치하고 있다.
각 스토퍼(50)의 스토퍼 돌기(52)의 앞면 하부는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경사면(52a)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판(31)의 폭방항 양측 부분의 각각에는 제8도 및 제9도로 대표해서 나타낸 것처럼, 스토퍼돌기(52)의 하단부가 계탈되는 다수의 괘합홈(60)과, 하나의 괘지홈(61)이 형성되어 있다. 괘합홈(60)은 지지판(31)의 슬라이드 방향 D에 소정의 피치 P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각 홈의 단면 형상은 스토퍼 돌기(52)의 하부의 단면 형상과 합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괘합홈(60)의 앞축 부분에는 경사면(60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괘지홈(61)은 괘합홈(60)의 열의 앞단에서 전방으로 떨어져서 설치되고, 그 구성은 괘합홈(60)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31)의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꺼낸 상태에서 케이싱(12)을 향해서 밀어 넣으면 양경사면(52a, 60a)의 작용에 의하여 스토퍼(50)를 판스프링(55)에 저항하여 위로 밀어놀려진다. 그 때문에 지지판(31)은 쉽게 밀어넣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지판(31)을 케이싱(12)으로부터 꺼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스토퍼 돌기(52)와 괘합홈(60)과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방해되고 있다. 그 때문에 지지판(31)의 부주의 한 인출이 방지되고 있다. 지지판(31)의 인출은 해제 버튼(49)을 누르면서 행해진다. 즉, 해제 버튼(49)이 밀어넣기 조작되면 슬라이드 금속기구(43)가 화살표 G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로 인하여 각 스토퍼(50)는 캠(57)의 경사면(57a)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스토퍼 돌기(52)는 괘합홈(60)에서 떼어진다. 이로써 지티판(31)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판(31)의 상면에는 괘합홈(60)의 각열의 근방에 지프(63, 64)가 설정되어 있다. 이들 지표(63, 64)는 확장 장치(11)에 장착되는 각종 소형 전자 기기의 안길이 치수 B에 따라 지지판(31)을 꺼낼때의 인출량의 대체적인 기준으로 사용된다.
한편 확장 장치(11)의 불사용시, 지지판(31)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싱(12)의 바닥면의 하방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까지 케이싱(12)측으로 최후까지 밀어넣어진다. 지지판(31)이 수납 위치에 밀어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각 스토퍼(50)의 돌기(52)는 대응하는 괘지홈(61)에 괘합되어 지지판을 로크한다. 이로써 격납된 지지판(31)이 부주의하게 앞쪽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 스(13)의 바닥면 후단부에는 2개의 판스프링(62)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62)은 지지판(31)이 수납 위치까지 밀려들어간 때에, 지지판(31)의 후단 가장자리로 밀려서 휘어지고, 지지판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부세력을 발생한다. 그때문에 지지판(31)의 인출시에 해제 버튼(49)이 눌려지면 판스프링(62)은 지지판을 전방으로 압압하여 지지판을 꺼낼 때의 힘을 가볍게 하도록 작용한다.
케이싱(12)에는 지지대부(21)에 재치된 컴퓨터(1)의 코넥터(6)와 대향하는 위치에 코넥터 유닛(71)이 부착되어 있다. 이하 이 유닛(71)에 대하여 제12도 내지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넥터 유닛(71)은 판금제의 코넥터 홀더(72)를 갖추고, 이 홀더는 수평으로 뻗는 직사각형의 바닥판(72b)과,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대향하게 세워 설치되는 좌우의 측판(72a)을 가지고 있다. 각 측판(72a)에는, 그 앞단에 개구하는 슬릿상의 가이드홈(73)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72)내에는 판금제의 슬라이더(73)가 전후방향에 따라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슬아이더(74)는 홀더(72)의 바닥판(72b)과 평행으로 위치한 평판으로 구성되고, 그 양단부는 바닥판(72b)을 향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74)는 그 양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한 내단조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내단조각이 홀더(72)의 가이드 홈(7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이들 가이드홈(73)을 안내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홀더에 지지되어 있다.
코넥터 홀더(72)의 측판(72a)에는 조작부로서의 핸들(76)의 좌우아암(77)의 하단이 각기 추축(78)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아암(77)의 중간부에는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장공(79)이 형성되고, 이 장공(79)에는 내단 조각의 선단에서 일체로 돌설한 돌편(80)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76)을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슬아이더(74)가 홀더(7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핸들(76)의 지점인 추출(78)에서 장공(79)의 중심(작용점)까지의 치수 X에 대하여 추축(79)에서 핸들(76)의 선단(역점)까지의 치수 Y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치수 X, Y의 관계로 인하여, 핸들(76)을 비교적 가벼운 회동조작력으로 슬라이더(74)에 큰 이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74)에는 다수의 단자(81a)를 가진 삽입형의 코넥터(81)가 지지되어 있다. 이 확장 장치 측의 코넥터(81)의 컴퓨터(1)측의 코넥터(6)에 삽입 접속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코넥터(6)에의 삽입의 확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코넥터(81)는 슬라이더(74)에 대하여 부동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부착 상태로 하기 위하여 슬라이더(74)의 하면 및 코넥터 홀더(72)의 바닥판(72b)상에 각가 판스프링(82, 83)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 판스프링(82, 83)의 선단에서 코넥터(81)를 상하에서 탄성적으로 끼워 두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74)의 양단부의 앞축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스프링 받침부(84)와, 코넥터(81)와 양단부 후측부분에서 뻗어나온 스프링 받침부(85)와의 사이에는 각각 인장 스프링(86)이 가설되어 있다.
부동 상태로 부착된 코넥터(81)의 슬라이더(74)에 대한 위치 결정을 위하여,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74)의 상면벽에는 한쌍의 각공(角孔)(87)이 뚫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각공(87)에 삽통된 한쌍의 핀(88)이 코넥터(8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각공(87)의 앞측구멍언저리는 V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각부에 핀(88)이 걸어 맞춰지고 있다. 핀(88)은 인장 스프링(86)의 부세력에 의하여 구멍(87)의 각부에 밀어붙여져 있다. 또 각공(87)의 앞측 구멍 언저리와 핀(88)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슬라이더(74)의 후방으로의 이동력을 코넥터(81)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넥터(81)를 밀어내서 상기 코넥터(6)와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74)의 후부중앙에는 하향의 플랜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89)는 코넥터(81)의 후면중앙부에 당접해 있고, 슬라이더(74)의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코넥터(81)에 전달하여 코넥터(6)로의 삽입시, 코넥터(81)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평행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같은 플랜지(89)를 생략한 경우에는 각공(87)의 상기 V형의 앞축 구멍 언 저리와 대향하는 뒤측 구멍 언저리가 핀(88)에 당접함으로써, 슬라이더(74)의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코넥터(81)로 전달할 수 있다.
코넥터(81)의 전면부 양측에는 가이드핀(90)이 각각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들 핀(90)은 선단이 끝이 가는 모양이고, 그 선단부는 코넥터(6, 81)끼리의 접속에 앞서서, 코넥터(6)의 부착 금속기구로 형성된 구멍(91)(제1도 참조)에 삽입된다. 구멍(91)은 부착 금속기구의 단면에 개구되어 있고, 이것에 가이드핀(90)이 삽입됨으로써 부동상태의 코넥터(81)가 움직여서 코넥터(6)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각 가이드핀(90)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넥터(81)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92)에 의하여 앞쪽을 향해서 부세되어 있고, 코넥터(6, 81)끼리의 접속시에는 접속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밀어넣어진다.
코넥터 홀더(72)의 바닥판(72b)의 하면에는 판금제의 베이스판(93)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판(93)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부착 클릭(9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부착 클럭(94)은 판스프링을 만곡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베이스판(93)의 앞측과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부의 하면에 각각 돌출설치 되어 있다. 각 부착클릭(94)은 제1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끝이 가는 모양의 삽입부(94a)와 계합 오목부(94b)가 줄지어 형성 되어 있다.
코넥터 유닛(71)은 부착 클릭(94)을 확장 장치(11)의 케이싱(12)에 설치된 부착 구멍(15)(제5도 참조)에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싱에 장착된다. 이 경우 우선 부착 클릭(94)은 부착구멍(18)에 위치가 합치되고, 이 부착구멍 내로 밀려들어간다. 그것에 의하여 각 부착 클릭(94)은 탄성 변형하면서 그 삽입부(94a)가 부착구멍(18)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계합 오목부(94b)가 부착공(18)의 구멍 언저리(18a)에 탄성적으로 밀어붙여진다. 이로써 코넥터 유닛(71)이 케이싱(12)에 부착된다. 물론 이부착 상태로는 부착 클릭(94)을 통하여 베이스판(93)과 케이싱(12)의 시일드(1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코넥터 유닛이 전자 시일드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클릭(94)은 기술한 바와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소정치 이상의 인발력이 코넥터 유닛(71)에 잘못가해진 때에는 코넥터 유닛(71)은 부착구멍(18)으로부터 벗어나 유닛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넥커(81)에는 신호케이블(9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신호 케이블(95)은 코넥터(81)에서 홀더(72)의 바닥판(72) 및 베이스판(93)에 형성된 투공(110) 및 시일드 케이스(17)의 부착구멍(18a)를 지나서 케이싱(12)내로 인입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95)의 타단은 코넥터(112)를 통하여 케이싱(12)내의 회로기판(16)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95)은 코넥터 유닛(71)의 떼어냄에 수난하여 일부가 부착구멍(18)에서 인출되어 상기 타단부애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 베이스판(93)의 하면에는, 케이블 보호커버(114)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114)는 제20도 및 21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염화비닐등의 시일드 모양의 절연 탄성체로 형성되어 반원통 형상은 이루고 있다. 커버(114)의 양측가장자리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각 플랜지(11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커버(114)에는 삽통구멍(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14)는 그 플랜지(115)를 베이스판(93)의 하면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베이스판에 부착되고, 복수의 부착 클릭(94)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투공(110)을 통과한 신호 케이블(95)은 커버(114) 내부와 삽통 구멍(116)을 통하여 뻗고 있다. 따라서 각 부착 클릭(94)과 케이블(95)은 커버(114)에 의하여 격리되어 있고, 코넥터 유닛(71)을 케이싱(12)의 부착구멍(18)에 부착할 때에 케이블이 부착클릭과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끼어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제22도와 제23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코넥터 유닛(71)의 주요부는 합성수지제커버(96)로 덮여지는 동시에 핸들(76)도 도시를 생략한 합성수지제의 핸들 커버로 덮여져 있다. 커버(96)에는 핸들(76)의 아담(77)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한 도피홈(96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96)의 상면벽에는 가이드홈(9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98)에는 로크 손잡이(99)기 좌우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크 손잡이(99)에는 커버(96)의 내측에 위치된 스토퍼판(100)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판(100)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100a)는 홀더(72)의 가이드홈(73)에 삽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하여 일단부(100a)는 핸들(76)의 아암(77)의 이동로내에 돌출하여 핸들(76)의 회동 조작을 방핼할 수 있게되어 있다.
즉 코넥터(81)가 홀더(7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핸들(76)이 회동조작된 후(제18도 참조)에 로크 손잡이(99)를 통하여 스토퍼판(100)이 제22도 및 제23도중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스토퍼란(100)의 일단부(100A)가 가이드홈(73)을 삽통하여 핸들(76)의 아암부(77)의 후측에 위치하고, 핸들(76)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방지된다. 커버(96)의 상면벽 내면에는 돌부(1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부(101)를 타고 넘는 만곡 단부(100b)가 스토퍼판(10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만곡 단부(100b)는 일단부(100a)가 가이드홈(73)에 삽통되는 도이에 돌부(101)를 타고 넘는 것으로서 그것에 의하여 스토퍼판(100)의 움직임에 절도를 주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 확장 장치(11)에 컴퓨터(1)를 접속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지판(31)를 케이싱(12)의 전방으로 끌어낸다. 이 인출 조작은 해제 버튼(49)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 행한다. 즉, 해제 버튼(49)을 밀어 넣으면, 회동 레버(47)가 제8도중 화살표 F 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긴 구멍(44)에 삽입되어 있는 축부(48)가 슬라이드 금속기구(43)를 제8도중 화살표 G 방향으로 끌어 당겨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캠(57)의 캠면(57a)이 캠플로워(53)를 통하여 스토퍼(50)을 들어올리고, 이 스토퍼(50)의 스토퍼 돌기(52)가 괘지홈(61)에서 벗어난다. 그 때문에 판스프링(62)의 부세력에 의하여 지지판(31)이 전방으로 밀려나온다. 그후 사용자는 가이드판(32)들을 안내로 하여 전방으로 끌어낸다.
지지판(31)의 인출량은 접속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안길이 치수 B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고, 이 선택은 지표(63, 64)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된다. 지지판(31)의 인출후의 해제 버튼(49)의 압압이 해제된다. 그것에 의하여 스토퍼 기구(41)의 슬라이드 금속기구(43)는 코일스프링(45)의 부세력에 의하여 제8도에 도시된 로크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때문에, 스토퍼(50)는 판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하여 밀려내려가고, 스토퍼 돌기(52)는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괘합홈(60)에 괘합하여 그 이상의 지지판(31)의 인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지판(31)은 소망하는 인출 위치로 유지된다.
다음에 준비한 컴퓨터(1)의 후부가 케이싱(12)의 지지대부(21)상에 올려 놓여지는 동시에 케이싱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컴퓨터(1)의 앞부는 지지판(31)의 앞부에 올려 놓인다. 이 경우 컴퓨터(1)의 후부 양측면은 지지대부(21)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위치결정부재(20)의 돌출부(22)의 측면(22a)의 근원부에 각각 걸어 맞춰진다. 그것에 의하여 컴퓨터(1)는 케이싱(12)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또 컴퓨터(1)의 후면은 지지대부(21)의 계단부(14a)에 당접되고, 이 계단부(34)에 의하여 컴퓨터의 후방으로의 움직임도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판(31)의 계지부(35)가 컴퓨터(1)의 앞가장자리에 걸리고 있지 않을 경우, 지지판(31)은 계지부(35)가 컴퓨터(1)의 앞가장자리에 걸릴때까지, 케이싱(12)을 향해서 밀려들어가고 스토퍼 기구(41)에 의하여 그 밀려들어간 위치에 로크된다. 따라서 한쌍의 계지부(35)에 의하여 컴퓨터(1)의 전 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는 케이싱(1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또한 컴퓨터(1)의 후부가 올려 놓이고 있는 지지대부(21)의 윗벽(21a)은 지지판(31)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아래쪽을 향해서 걸려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하여 케이싱(12)에 장착된 컴퓨터(1)는 제4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
지지판(31)은 그 인출량을 계합홈(60)의 피치 P(제9도 참조)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치수 A가 같고 안길이 치수 B가 상이한 다른 종류의 소형 전자기기(1)도 이상의 순서와 같은 순서에 의하여 확장장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이 확장장치(11)는 많은 종류의 소형 전자기기(1)를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서 범용성이 있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여 확장장치(1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 컴퓨터(1)의 코넥터(6)는 장치측의 코넥터, 즉 코넥터 유닛(71)의 코넥터(81)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코넥터(81)가 코넥터(6)에 접속된다. 이 접속 조작은 유닛(71)의 핸들(76)을 앞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접속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2도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71)의 핸들(76)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고, 코넥터(81)는 그 선단부가 케이싱(12)의 계단부(14a)와 거의 동일하게 되는 후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3도와 제1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핸들(76)이 전방으로 회동되면, 슬라이더(74)가 코넥터 홀더(72)의 가이드홈(73)에 따라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에 수반하여 코넥터(81)도 전방으로 밀려나와 지지대부(21)내로 돌출하는 전진 위치에 도달한다.
상기 이동에 의하여 코넥터(81)가 코넥터(6)에 접하기 조금전에 가이드핀(90)의 선단부가 코넥터(6)의 삽통구멍(91)에 삽입된다. 그러면 이들 핀(90)과 구멍(91)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유도 작용에 의하여 코넥터(81)에 대한 코넥터(6)의 위치에 다소 불균형이 있어도 코넥터(6)에 대하여 코넥터(81)가 정확하게 위치 맞춤된다. 이와 같은 유도 작용에 의거한 코넥터(81)의 이동은, 코넥터(81)를 부동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판 스프링(82, 83) 및 코일스프링(86)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허용된다.
코넥터(6, 81)끼리가 서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4)가 더욱 전진하면 코넥터(81)의 선단부가 코넥터(6)에 끼워 맞춰진다. 그러면 끼워 맞출때의 저항에 의하여 슬라이더(74)만이 약간 전진하고, 슬라이더의 각공(87)의 뒤가장자리가 핀(88)에 당접한다. 그 때문에 이 시점에서 재차 슬라이더(74)의 이동력이 코넥터(81)에 전달된다. 따라서 코덱터(81)는 전방으로 밀려나서 코넥터(6)에 원활하게 삽입 접속된다. 그 결과 컴퓨터(1)와 확장장치(11)와의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경우 가이드핀(90)은 스프링(9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코넥터(6, 81)의 접속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코넥터(6, 81)의 접속후에는, 유닛(71)의 로크 손잡이(99)가 제22도 및 제23도중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토퍼판(100)의 일단부(100a)가 가이드홈(73)에 삽통된다. 그것에 의하여 핸들(76)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방지되고, 코넥터(6, 81)의 부주의한 분리가 방지된다. 또 확장장치(11)에서 이에 접속된 컴퓨터(1)를 떼어내기 위하여는 이상 설명한 부착 순서와 반대인 순서에 따라 행하면 된다. 이 경우 핸들(76)이 후방으로 회동되어서 슬라이더(74)가 후퇴하는데 수반하여 각공(87)의 V자 모양의 구멍가장자리가 코넥터(6)의 핀(88)에 당접한 시점에서 이들 핀과 구멍가장자리와의 걸어 맞춤을 통하여 떼어 놓는 힘이 코넥터(81)에 전달된다.
양 코넥터(6, 81)의 접속 작업 및 분리 작업에 있어서도 이상과 같이 확장장치 측 코넥터(81)를 움직일 뿐, 컴퓨터(1) 전체를 움직일 필요가 없다. 그런데 코넥터(6, 81)는 다수의 단자(6a, 81a)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접속에 있어서도, 또 분리에 있어서도 큰 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접속 및 분리시에, 컴퓨터(1) 전체의 중량이 코넥터에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착탈에 수반하는 코넥터의 충격이 적다. 이 때문에 컴퓨터(1) 및 확장장치(11) 내부의 회로 부품등에 악영향을 주는 일도 적고,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확장장치(11)에 부착된 컴퓨터(1)는 장치(11)로부터 상방으로 떼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양 코넥터(6, 81)가 접속된 상태인채 컴퓨터(1)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코넥터 유닛(71)의 부착부에 큰 부하가 작용한다.
그러나 이 유닛(71)은 베이스판(93)의 하면부에 돌설된 다수의 부착편(94)을 케이싱(12)의 부착구멍(18)의 구멍 언저리(18a)에 탄성적으로 계합시킴으로써 케이싱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컴퓨터(1)의 들어올림 조작에 수반하여 떼어내는 힘이 유닛(71)에 작용한 경우에는 그 힘이 일정치 이상으로된 시점에서 부착편(94)이 크게 탄성 변형하여 상기 부착구멍(18)의 구멍언저리(18a)에서 벗어난다. 그것에 의하여 접속 상태에 있는 양 코넥터(6, 81)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일이 없어지고 이들 코넥터(6, 81)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코넥터 유닛(71)은 베이스판(93)의 하면에 부착된 케이블 보호 커버(114)를 구비하고, 코넥터(81)에서 돌출된 신호 케이블(95)은 커버(114) 내부 및 커버에 형성된 삽통구멍(116)을 통하여 케이싱(12)내로 인입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114)에 의하여 유닛(71)을 케이싱(12)의 부착구멍(18)에 부착할때, 부착클릭(94)과 구멍(18)의 단면 가장자리(18a)와의 사이에 케이블(95)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케이블(95)의 단선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능 확장장치(11)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추고 있다.
즉, 확장장치(11)에 의하면 케이싱(12)에 소형 전자기기(1)의 후부가 얹어지는 지지대부(21)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부에 소형 전자기기의 폭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한쌍의 위치결정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12)의 바닥부에 소형 전자기기(1)의 안길이 치수에 따라 인출량을 가변할 수 있는 지지판(31)이 인출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지지판의 앞부분에 소형 전자기기의 앞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향의 계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35)의 위치는 지지판(31)의 인출량을 가감함으로써 안길이의 치수가 상이한 각종의 소형 전자기기(1)의 앞가장자리에 적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소형 전자기기(1)의 앞쪽으로의 이동, 즉 코넥터(6)가 장치측의 코넥터(81)에서 벗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가 있고, 코넥터의 불시의 벗인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앞뒤의 안길이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소형 전자기기를 그 폭방향 및 안길이 방향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하는 상태로 확장장치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여러가지의 소형 전자기기를 장치할 수 있는 적응범위가 넓은 기능 확장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확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판(31)을 케이싱(12)의 바닥부에 격납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 간편화할 수 있다.
케이싱(12)에 장치되는 코넥터 유닛(71)은 코넥터 홀더(72)와, 조작부를 통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홀더에 부착되는 슬라이더(74)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더에 확장장치 측 코넥터(81)가 부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확장장치(11)에 장치되는 소형 전자기기에 대하여 조작부를 통하여 코넥터(81)를 왕복이동시키므로써 상대측의 코넥터, 즉 기기측 코넥터(6)에 착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전자기기 전체를 움직일 필요가 없고, 또 코넥터(81) 자신을 손으로 잡아서 조작할 필요도 없고, 코넥터(6, 81)끼리를 쉽게 접속 또는 분리 할 수 있다. 또 착탈 작업을 하기 위한 큰 작업공간도 필요하지 않다. 또 착탈시에 수반되는 코넥터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코넥터(81)는 판스프링(82, 83)에 의다여 부동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서 코넥터(81)는 접속되는 코넥터(6)에 당접하는 시점에서 자유로이 어느 방향으로나 변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동에 의하여 상대측의 코넥터(6)가 코넥터(81)에 대하여 다소 상하 또는 좌우로 어긋나서 배치되는 경우에도, 또는 코넥터(6)의 각도가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코넥터(81)를 코넥터(6)에 대하여 원활히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따라 서 양 코넥터(6, 81)를 확실하게 삽입 접속할수가 있고, 그 결과로 확장장치를 여러가지의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시킬 수 있다.
코넥터 유닛(71)은 코넥터 홀더의 하면부에 돌설된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부착 클릭(94)을 가지고, 이들의 부착 클릭을 케이싱(12)의 부착구멍(18)의 구멍가장자리에 벗길수 있도록 결합하여 케이싱에 장치하고 있다. 그로인해 양 코넥터(6, 81)가 접속된 상태로 소형 전자기기(1)가 들어올려졌을 때 부착 클릭(94)에 작용하는 벗기는 힘이 일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부착 갈고리가 탄성변형하여 케이싱(12)의 부착 구멍에서 벗어져서 유닛(71)은 케이싱(12)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벗어진다. 따라서 접속 상태에 있는 양 코넥터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코넥터(6)에 대한 코넥터(81)의 접속 및 분리시에 코넥터(81)를 왕복이동시키는 조작부는 회동식의 핸들(76)을 사용하지 않고, 코넥터(81)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핸들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코덱터(81)와 같이 핸들을 왕복 이동시키므로서 코넥터(6, 81)끼리의 접속 및 분리가 실시된다. 또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확장장치(11)에 장착된 소형 전자기기(1)가 앞으로 경사지도록 지지대부(21)의 윗벽(21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판(31)의 계지부(35)의 근방에 형성하는 동시에 이 대좌부를 상벽(21a)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소형 전자기기(1)를 대체적으로 수평 상태로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지지판(31)을 케이싱(12)에 고정하여 계지부(35)만을 지지판에 대하여 케이싱의 앞뒤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 지지판과 케이싱을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제24도 내지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기능 확장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4도의 도시와 같이 확장장치는 케이싱(12)의 앞부분에 형성된 지지대부(21)가 있다. 지지대부(21)의 윗벽(21a)에는 소형 전자기기로서의 퍼스널 컴퓨터(1)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23)가 부착되어 있다. 또 확장장치는 케이싱(12)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지지판(31)을 구비하고, 이 지지판의 선단에는 지지대부(21) 및 지지판 상에 재치되는 컴퓨터(1)의 앞가장자리에 결합하는 한쌍의 계지부(35) 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31)은 케이싱(12)에 이동이 안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판(31)은 케이싱(12)과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제24도 및 제25도의 도시와 같이 케이싱(12)은 시일드 커버(17)에 의하여 커버(14)의 계단부(14a)에 개구하는 격납부(118)를 가지고 있다. 이 격납부(118)내에 코넥터 유닛(71)이 수납되어 있다. 유닛(71)은 거의 각이 같은 형상의 슬라이더(74)와 슬라이더내에 고정된 선단부가 슬라이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코넥터(81)를 가지고 있다. 또 격납부(118)의 상면 및 저면을 규정하고 있는 케이스(17)의 부분에는 각각 2개 씩의 판스프링(120a, 120b)이 고정되어 있다. 각 판스프링은 U 자형으로 굴곡되는 동시에 계단부(14a)와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74)는 판스프링(120a, 120b)에 의하여 상하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격납부(118)내에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74)는 판스프링(120a, 120b)간을 케이싱(12)의 앞뒤 방향을 따라서 거리 L1(약 20㎜- 30㎜)만, 및 케이싱의 폭방향을 따라서 거리 L2(약 5㎜-10㎜)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74)는 판스프링(120a, 120b)의 탄성 변형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거리 L3(약 5㎜-10㎜)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74)의 후단부의 상하면에는 판스프링(120a, 120b)과 대체로 평행으로 신장되는 스토퍼(122)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스토퍼(122)는 후방의 판스프링(120a, 120b)에 당접하여 슬라이더(74) 및 코넥터(81)가 격납부(118)에서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슬라이더(74)의 후면과 시일드 커버(17)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24)이 가설되고, 슬라이더를 앞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능 확장장치에 컴퓨터(1)를 부착하는 것은 이하의 순으로 실시된다.
우선 장치의 지지대부(21)위 및 지지판(31)위에 컴퓨터(1)가 놓여진다. 이때 컴퓨터(1)의 후부의 양측면이 각각 위치 결정 부재(23)의 볼록부(22)에 당접함으로써 케이싱(12)에 대한 컴퓨터의 폭방향으로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또 컴퓨터(1)의 안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은 지지판(31)의 계지부(35)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된다. 즉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는 그 앞가장자리가 계지부(35)에 당접한 상태로 확장장치 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싱(12)에 대한 컴퓨터(1)의 폭방향 및 안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 상태로 컴퓨터(1)의 코넥터(6)와 정확히 대향하도록 슬라이더(74)와 함께 코넥터(81)가 케이싱(12)의 폭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후 코넥터(81)는 슬라이더(74)와 함께 앞쪽으로 인출되어 컴퓨터(1)의 코넥터(6)에 삽입 접속된다.
안길이 치수 B가 상이한, 예를 들면 치수 B가 짧은 퍼스널 컴퓨터(1)를 확장장치에 부착했을 경우에는 컴퓨터(1)의 후면과 코넥터 유닛(71)과의 간격이 증대한다. 그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28도의 도시와 같이 코넥터(81)의 인출량을 증대함으로써 코넥터(81)를 용이하게 컴퓨터(1)의 코넥터(6)에 접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확장장치에 설치된 코넥더 유닛(71)의 코넥터(81)는 상하 좌 우 및 앞뒤의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다. 그것에 의하여 확장장치에 안길이 치수가 다른 여러가지의 소형 전자기기를 장치했을 경우에는 코넥터(81)를 앞뒤로 이동시키므로써 이 코넥터와 전자기기의 코넥터를 쉽게 접속할 수 있다. 동일하게 코넥터의 부착 위치가 다소 다른 여러가지의 소형 전자기기를 부착할 경우에는 코넥터(81)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므로써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의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기능 확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 요건에 병기한 도면 참조 번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

Claims (36)

  1. 코넥터(6)가 설치된 후면과, 이 후면에 대향하는 앞가장자리부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소형 전자 기기(1)와 조립되어, 소형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기능 확장 장치(11)에 있어서, 내부에 기능 확장용의 회로기판(16)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기기의 앞부분이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코넥터(6)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기기(1)의 후부가 재치되는 재치부(21)를 가진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장치측 코넥터(71)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를 그 코넥터가 상기 장치측 코넥터와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상기 앞가장자리부와 계합하고,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의 전자 기기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부(35)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1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상기 전자 기기의 후부를 케이싱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재치부에 설치되고,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양측면과 각각 계합하여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전자 기기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후면에 당접하는 계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이 케이싱에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지지판(31)을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35)는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케이싱의 하방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인출된 소정의 인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상기 수납 위치 및 소정의 인출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수단(60, 50, 55, 5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지지판 위에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계합부(60)와, 상기 케이싱에 상기 계합부와 대향해서 설치된 각 계합부와의 계합이 가능한 스토퍼(50)와, 상기 스토퍼를 지지판을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부재(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계합부로 부터 이간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위치와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간하는 로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부세하는 제2의 부세 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지지판 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으로 부터의 지지판의 인출량을 나타내는 최소한 1개의 지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지지판에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는 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코넥터 홀더(72)와, 상기 코넥터 홀더에 상기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측 코넥터(71)를 지지하는 슬라이더(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상기 케이싱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젝터 홀더는 상기 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부착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코넥터 홀더는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 자리부에 계합하는 복수의 부착편을 구비하고, 각 부착편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코넥터로부터 상기 코넥터 홀더 및 부착공을 지나서 상기 케이싱 내로 연장되는 신호 케이블과, 상기 코넥터 홀더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편과 부착공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신호 케이블이 끼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커버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코넥터 홀더에 고정된 한쌍의 단부를 가지고 있고, 대체적인 반통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투공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 케이블은 상기 한쌍의 단부 사이 및 투공을 지나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19. 코넥터(6)가 설치된 후면과, 이 후면에 대향하는 앞가장자리부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소형 전자 기기(1)와 조립되어, 소형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기능 확장 장치(11)에 있어서, 내부에 기능 확장용의 회로기판(16)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전자 기기가 재치되는 재치부(21)를 가진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장치측 코넥터(71)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를 그 코넥터가 상기 장치측 코넥터와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전자 기기의 상기 앞가장자리부와 계합하고, 전자 기기의 코넥터가 장치측 코넥터로 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부(35)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1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0. 코넥터(6)가 설치된 후면과, 이 후면에 대향하는 앞가장자리부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소형 전자 기기(1)와 조립되어, 소형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기능 확장 장치(11)에 있어서, 내부에 기능 확장용의 회로 기판(16)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전자 기기가 재치되는 재치부(21)를 가진 케이싱(12)과;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후면과 대향하여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코넥터 유닛(71)을 포함하고, 상기 코넥터 유닛은 상기 회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코넥터(6)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코넥터(81)와,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재치된 전자 기기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72, 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유닛은 상기 장치측 코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서로 대향하여 상기 수납부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측 코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의 지지부재 간에 상기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코넥터에 접근 및 이간되는 방향 및 상기 재치된 전자 기기의 후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접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지지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장치측 코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의 지지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지지배주는 상기 재치되는 전자 기기의 후면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24. 코넥터(6)를 가지는 전자 기기(1)가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조립되는 코넥터 유닛(7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부착이 가능한 코넥터 홀더(72)와; 상기 코넥터 홀더에 소정의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더(74)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에 따라서 후퇴 위치와 상기 전자 기기의 코넥터(6)에 접속이 가능한 전진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코넥터 본체(81)와; 상기 스라이더에 접속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본체를 상기 소정의 방향과 대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홀더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벽과, 각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측벽 사이를 뻗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계합하는 한쌍의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본체는 상기 슬라이더의 코넥터 홀더의 바닥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코넥터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간에 설치되는 제1의 탄성 부재와, 상기 바닥벽과 코넥터 본체와의 대타로 설치되는 제2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넥터 본체는 제1 및 제2의 탄성 부재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투공을 구비하고, 상기 코넥터 본체는 상기 제1의 탄성 부재를 관통해서 상기 투공에 삽통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코넥터 본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투공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코넥터 본체의 계합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로 향해서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각각 코넥터 홀더의 측판에 회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는 동시에 슬라이더의 단부와 계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한쌍의 회동 아암(77)과, 상기 회동 아암을 서로 연결하는 핸들(7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본체를 상기 전진 위치에 로크하는 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코넥터 본체가 전진 위치에 이동되었을 때 한쪽의 상기 아암과 계합하여 아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 홀더를 상기 외부 장치의 피부착부에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하는 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코넥터 홀더로 부터 돌출되고 상기 피부착부에 계합이 가능한 복수의 부착편을 구비하고, 각 부착편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유닛.
  36. 데이타 입력부(7)와, 앞가장자리부와, 후부저면 및 제1코넥터(6)를 갖는 배면을 포함하는 휴대형 컴퓨터(1)를 접속하는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컴퓨터(1)의 상기 앞가장자리부가 상기 확장 장치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후부 저면을 재치하는 재치부(21)와; 상기 휴대형 컴퓨터(1)가 상기 재치부(21)에 재치될때 상기 배면과 대면하는 상부 전면과; 상기 상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코넥터(6)와 접속되는 제2코넥터(81)와; 상기 제1코넥터(6)와 상기 제2코넥터(81)를 접속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코넥터(6)와 상기 제2코넥터(81)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운 레버(7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장치.
KR1019900020465A 1989-12-15 1990-12-13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KR940002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4810 1989-12-15
JP1989144810U JP2514443Y2 (ja) 1989-12-15 1989-12-15 機能拡張ユニット
JP2-31207 1990-02-12
JP3120790 1990-02-12
JP2098441A JPH03297077A (ja) 1990-04-13 1990-04-13 コネクタ装置
JP2-98441 199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624A KR910013624A (ko) 1991-08-08
KR940002005B1 true KR940002005B1 (ko) 1994-03-12

Family

ID=2728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465A KR940002005B1 (ko) 1989-12-15 1990-12-13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0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624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2803B1 (en) Function expanding apparatus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
US5030128A (en) Docking module
US4986763A (en) Contact strip-to-flex bushing connector
US4978949A (en) Locking mechanism and support legs for removable display assembly
US5175671A (en) Expand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5292267A (en) Connector unit with movable connector
US619193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witch operated by rotatable display-unit
US5034858A (en)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EP0592090B1 (en) Security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
US5153817A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including an expansion device removably connected to a removable battery pack
US6373706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slots different in width
US5513069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storing portion into which a detachable unit with a slidably attached unit holder is slidably connected
US5838541A (en) Computer expansion system including expansion base and monitor support structure
EP0254889A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6490155B2 (en) Detachable coupling for handheld computer and peripheral attachment scheme
US6188572B1 (en) Movable docking st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019465A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battery pack
CA2011427A1 (en) Three-position closure panel
KR930003405B1 (ko) 코드레스 컴퓨터 어셈블리
KR20150081189A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JP2909200B2 (ja)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US7721970B2 (en) Mounting apparatus for card reader
US5841632A (en) Electronic processing system
KR940002005B1 (ko) 소형 전자 기기용의 기능 확장 장치 및 코넥터 유닛
CN115275695A (zh) 免扎线网络模块、压线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