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94B1 -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94B1
KR940001694B1 KR1019910002875A KR910002875A KR940001694B1 KR 940001694 B1 KR940001694 B1 KR 940001694B1 KR 1019910002875 A KR1019910002875 A KR 1019910002875A KR 910002875 A KR910002875 A KR 910002875A KR 940001694 B1 KR940001694 B1 KR 94000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ice
subscriber
cal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409A (ko
Inventor
최형운
김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94B1/ko
Publication of KR92001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키폰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키폰전화기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제1음성통화로부(30)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폰전화기의 블럭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트롤러 20 : 키 매트릭스
30 : 제1음성통화로부 40 : 데이타 송수신부
50 : 스피커폰회로 60 : LCD표시부
70 : 제2음성통화로부 S1-S7 : 제1-제7 아나로그 스위치
100 : 중앙처리장치 110 : 롬
120 : 램 130 : 일반가입자회로
140 : 스위칭회로 150 : 톤공급기
160 : 링발생기 170 : 키폰가입자회로
180 : 국선회로 190 : DTMF수신기
200 : DTMF송신기 210 : 음성응답장치
본 발명은 다수의 키폰(keyphone)가입자에게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키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에도 통화를 중단시킴없이 다른 호출가입자와의 통화를 연결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Off Hook Voice Announcement : 이하 "OHVA"라 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폰시스템은 제한된 국선을 다수의 내선가입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며 내선가입자간의 통화가 가능하고 내선가입자에게 각종 다기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교환시스템이다.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는 일반전화기를 사용하는 일반가입자와 키폰전화기를 사용하는 키폰가입자로 구분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키폰시스템의 블럭구성도로서,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토록 키폰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기본 호(cell) 및 키폰시스템의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초기 서비스 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롬(ROM)(110)과, 프로그램 및 데이타 처리영역으로서 중앙처리장치(100)의 처리데이타를 일시저장하는 램(RAM)(120)과, 내선의 일반가입자에게 음성대역의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가입자와 키폰시스템간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을 행하는 일반가입자회로(130)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타(speech data)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140)와,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40)로 출력하는 톤공급기(150)와, 일반가입자 선로에 링(ring) 신호를 공급하는 링발생기(160)와,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되어 키폰가입자에게 내선과 국선을 선택 연결하여 주며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키폰전화기와 각종 데이타를 주고 받는 키폰가입자회로(170)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루프(loop)를 형성하며 국선으로부터 인컴잉(incoming)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국선회로(180)와, 내선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MFC(Multi Frequency Code)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디지트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수신기(190)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MFC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40)로 출력하는 DTMF송신기(200)와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응답을 수행하는 음성응답장치(2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은 원칩(one chip)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일반가입자, 키폰가입자등의 내선가입자에게 국선 및 내선통화와 다기능 서비스등을 제공하는 키폰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일반가입자는 일반가입자회로(130)에 접속되며 키폰가입자는 키폰가입자회로(170)에 접속된다.
제2도는 종래의 키폰전화기의 블럭구성도로서,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100)와 데이타통신을 하며 키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콘트롤러(controller)(10)와, 전화번호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콘트롤러(10)에 키입력을 제공하는 키 매트릭스(key matrix)(20)와,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회로(170)에 접속되는 음성통화선로(101, 102)에 접속되어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및 2선/4선 변환을 하는 제1음성통화로부(30)와,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회로(170)에 접속되는 데이타통신선로(201, 202)에 접속되어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100)와 콘트롤러(10) 사이의 데이타통신을 인터페이싱하는 데이타송수신부(40)와, 제1음성통화로부(30)와 핸드셋(hand set) 접속단자(301, 302) 사이의 송수신 통화로를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단속하는 제1, 제2아나로그 스위치(S1, S2)와 제1, 제2 아나로그 스위치(S1, S2)와 핸드셋 접속단자(301, 30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증폭기(2, 4)와, 제1음성통화로부터(30)를 통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스피커폰회로(50)와, 제1음성통화로부(30)와 스피커폰회로(50)간의 송수신 통화로를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단속하는 제3, 제4 아나로그 스위치(S3, S4)와 스피커폰회로(50)의 출력단자와 스피커(SP) 사이에 접속되며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폰회로(50)의 음성신호 출력을 단속하는 제5 아나로그 스위치(S5)와 제5 아나로그 스위치(S5)를 통한 스피커폰회로(50)의 음성신호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SP)에 인가하는 증폭기(6)와 스피커폰회로(50)에 음성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MC)와,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도의 키폰전화기는 음성통화선로(101, 102)와 데이타통신선로(201, 202)를 통하여 제1도와 같은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회로(170)에 접속된다. 그리고 콘트롤러(10)는 통상적으로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사용된다.
또한 데이타 송수신부(40)는 데이타통신선로(201, 202)에 일측이 접속되는 트랜스포머(42)와, 트랜스포머(42)의 타측과 콘트롤러(10) 사이에 접속되는 데이타통신회로(44)로 구성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구성중 제1음성통화로부(30)의 상세회로도로서, 트랜스포머(32)와 연산증폭기(34, 36)로 구성되며, 단자(L1, L2)는 제2의 음성통화선로(101, 102)에 대응되고 단자(P1, P2)는 각각 제1, 제2아나로그 스위치(S1, S2)와 제3, 제4 아나로그 스위치(S3, S4)를 공통 접속되는 단자이다.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키폰시스템과 키폰전화기 사이의 통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의 제1-제5 아나로그 스위치(S1-S5)는 콘트롤러(10)의 제어 즉, 제1-제3제어신호(K1-K3)에 의해 제어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제2 아나로그 스위치(S1, S2)만이 제1제어신호(K1)에 의해 인에이블(enable)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폰가입자가 후크오프하면 키폰가입자회로(170)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0)가 이를 인식하게 되고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키폰가입자가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원할시에는 키 매트릭스(2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콘트롤러(10)가 인식하고 제2, 제3제어신호(K2, K3)에 의해 제3, 제4, 제5 아나로그 스위치(S3, S4, S5)를 인에이블시키는 동시에 제1제어신호(K1)에 의해 제1, 제2 아나로그 스위치(S1, S2)를 디제이블(disable)시킨다. 이에따라 제1음성통화로부(30)와 핸드셋 접속단자 사이의 통화로가 차단되고 제1음성통화로부(30)와 스피커폰회로(50)가 연결됨으로써 스피커폰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음성통화로부(30)는 핸드셋 통화시나 스피커폰 통화시에 공통적으로 이용된다. 즉, 각각의 키폰전화기에는 하나의 통화로만이 제공된다. 또한 키폰전화기의 각 기능에 따른 동작 상태는 LCD표시부(60)에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키폰시스템과 각각의 키폰전화기간에는 하나의 통화로만이 제공됨에 따라 가입자가 통화중에는 통화상대방이외의 호출가입자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통화를 연결할 수 없게 되어 긴급통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통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긴급통화를 요구한 가입자와 연결을 시킨다해도 통화중이던 상대방과의 연결은 절단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긴급통화 요구 발생시 피호출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통화상대방과의 통화를 유지하면서 별도의 예비통화로를 통해 긴급통화를 요구한 호출가입자와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OHVA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각 가입자마다 통화서비스등급을 설정하여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은 서비스등급의 가입자가 긴급통화를 요구할 때에만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OHVA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키폰시스템 본체와 각 키폰전화기의 음성통화로를 이중화하여 핸드셋 통화중에도 동시에 다른 가입자와 스피커폰으로 통화할 수 있는 OHVA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폰시스템은 전술한 제1도와 같으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OHVA 기능을 가지는 키폰전화기의 블럭구성도로서, 전술한 제2도와 같이 구성되는 키폰전화기에서 제1도의 키폰가입자회로(170)에 접속되는 음성통화선로(401, 402)와 스피커폰회로(50) 사이에 제6, 제7 아나로그 스위치(S6, S7)를 통하여 제2음성통화로부(70)를 접속한 것이며, 나머지 구성 및 참조부호는 전술한 제2도와 같다.
상기 제4도의 구성중 제2음성통화로부(70)는 제1음성통화로부(30)와 동일하게 전술한 제3도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제6, 제7아나로그 스위치(S6, S7)는 콘트롤러(10)의 제4제어신호(K4)에 의해 인에이블 또는 디제이블되어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회로(170)와 스피커폰회로(50) 사이의 제2음성통화로부(70)를 통한 통화로를 단속한다.
또한 음성통화선로(401, 402)는 종래의 음성통화선로(101, 102)와는 별도의 음성 통화선로로서, 키폰가입자회로(170)의 또다른 가입자포트(port)를 사용한 것이다.
즉, 전술한 제2도와 같은 종래의 키폰전화기는 키폰가입자회로(170)의 다수의 가입자포트중 하나의 가입자포트에만 연결되었으나 제4도의 키폰전화기는 키폰가입자회로(170)의 다수의 가입자포트중 두개의 가입자포트에 연결한 것이다. 그러므로 키폰가입자회로(170)의 구성은 변경하지 않고, 다만 키폰가입자회로(170)의 가입자포트를 하나 더 사용한다. 이에따라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회로(170)와 키폰전화기 사이에는 기존의 음성통화선로(101, 102)와 예비통화로인 음성통화선로(401, 402)를 통한 두 개의 음성통화로가 제공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OHVA의 처리 흐름도로서, 후크오프(hook off)한 호출가입자가 있을시 호출가입자에게 발신음(dial tone)을 공급하고 호출가입자의 다이얼링(dialing)에 따른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다이얼링과정과, 다이얼링과정에서 수신한 호출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내선전화번호이고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일시 호출가입자에게 화중음(busy tone)을 공급한 후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인가를 검사하는 제10HVA 서비스검사과정과, 제10HVA 서비스검사과정에서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일시 호출가입자의 서비스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은가를 검사하는 제20HVA 서비스검사과정과, 제20HVA 서비스검사과정에서 호출가입자의 서비스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지 않을시 호출가입자에게 OHVA 서비스불가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OHVA상태표시과정과, 제2OHVA 서비스검사과정에서 호출가입자의 서비스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을시 호출가입자에게 OHVA 표시신호를 전송한후 OHVA 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OHVA 요구검사과정과, OHVA 요구검사과정에서 OHVA 키입력이 있을시 피호출가입자에게 OHVA 호출신호를 전송한 후 호출가입자와 피호출가입자를 예비통화로를 통해 통화연결하는 OHVA 연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도의 흐름도는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OHVA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을 제1도와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중앙처리장치(100)는 제5도의 (A1)단계에서 후크오프한 키폰가입자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제4도의 제1-제7 아나로그 스위치(S1-S7)의 초기 상태는 제1, 제2 아나로그 스위치(S1, S2)만이 콘트롤러(10)의 제1제어신호(K1)에 의해 인에이블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폰전화기가 후크오프하면 키폰가입자회로(170)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0)가 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A1) 단계에서 후크오프한 가입자가 있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A2)단계에서 스위칭회로(140)와 톤공급기(150)를 제어하여 후크오프한 호출가입자에게 호출가입자 키폰전화기의 제1음성통화로부(30)를 통하여 발신음을 제공한다.
다음에 핸드셋을 통하여 발신음을 들은 호출가입자가 다이얼링하는 전화번호를 (A3)단계에서 수신한다. 이때 호출가입자는 키폰전화기의 키 매트릭스(20)의 키를 눌러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 콘트롤러(10)는 키 매트릭스(20)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타를 데이타 송수신부(40)를 통하여 키폰가입자회로(170)로 전송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100)가 전화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키폰시스템에서 음성신호와 각종 톤을 제외한 시스널링(signalling)은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100)와 키폰전화기의 콘트롤러(10) 사이에서 데이타통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키폰전화기에 톤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다면 톤 발생도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데이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3)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수신한 후 (A4)단계로 진행하여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내선전화번호인가를 검사하여 국선전화번호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OHVA기능이 해당되지 않으므로 리턴(return)하여 국선통화서비스를 수행하고, 내선전화번호일 경우에는 (A5)단계에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내선의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A5)단계에서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역시 본 발명의 OHVA 기능이 해당되지 않으므로 리턴하여 피호출가입자의 제1음성통화로부(30)를 통한 통화서비스를 수행하고, 통화중이면 (A6)단계에서 톤공급기(150)를 제어하여 발신음을 끊고 화중음을 호출가입자에게 공급한다. 그리고 화중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A7) 단계로 진행하여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A7)단계에서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이 아니면 본 발명의 OHVA 기능이 해당되지 않으므로 리턴하고, 핸드셋 통화중이면 (A8) 단계에서 호출가입자의 서비스등급이 통화중인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은가를 검사한다. 서비스등급은 각 키폰가입자들의 통화 우선 순위를 정하여 사전에 설정한 것으로 롬(110)에 미리 프로그램해 놓는다.
상기 (A8)단계에서 호출가입자의 설정된 서비스등급이 통과중인 피호출가입자 보다 높지 않을시는 (A13) 단계로 진행하여 OHVA 서비스불가 표시신호를 호출가입자의 키폰전화기로 전송한 후 리턴한다. 이에따라 호출가입자 키폰전화기의 콘트롤러(10)는 데이타송수신부(40)를 통하여 OHVA서비스불가 표시신호를 수신하여 LCD표시부(60)에 표시함으로써 호출가입자에게 OHVA 서비스불가를 알린다. 이때 시각적인 표시와 동시에 소정의 톤을 공급하여 OHVA 서비스불가를 알릴 수도 있다.
상기 (A8)단계에서 호출가입자의 설정된 서비스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을시는 (A9) 단계에서 호출가입자에게 OHVA 표시신호를 전송한 후, (A10) 단계로 진행하여 OHVA 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A6) 단계에서의 화중음을 핸드셋을 통하여 듣고 상기 (A9) 단계에서의 OHVA표시를 본 호출가입자는 긴급통화를 요하지 않으면 전화를 끊게 되며, 긴급통화를 요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 매트릭수(20)상의 OHVA 키를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A10) 단계에서는 OHVA 키입력이 없을시는 리턴하고 OHVA 키입력이 있을시는 (A11)단계에서 통화중인 피호출가입자에게 OHVA 호출신호를 전송한다. 이에따라 호출가입자 키폰전화기의 LCD표시부(60)에는 "OHVA"가 표시되어 OHVA 통화갈 가능함을 알리게 되며, 피호출가입자 키폰전화기의 LCD표시부(60)에도 "OHVA"가 표시되어 OHVA호출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때 시각적인 표시와 동시에 소정의 톤을 공급하여 청각적으로 알릴수도 있다. 또한 "OHVA"를 표시하는 것은 일예를 든 것이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00)는 (A12)단계에서 피호출가입자의 제2음성통화로부(70)를 통하여 호출가입자를 통화 연결시킨다.
이때 키폰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100)는 OHVA 수행 데이타를 피호출가입자 키폰전화기의 데이타 송수신부(40)를 통하여 콘트롤러(10)에 알리게 된다. 그러면 콘트롤러(10)는 제3, 제4제어신호(K3, K4)에 의해 제5-제7 아나로그 스위치(S5-S7)를 인에이블시켜 예비통화로인 제2음성통화로부(70)와 스피커폰회로(50)를 통하여 피호출가입자가 호출가입자와 스피커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피호출가입자측이 제3, 제4 아나로그 스위치(S3, S4)는 초기의 디제이블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제1-제2, 제5-제7 아나로그 스위치(S1-S2, S5-S7)는 인에이블 상태가 되므로 피호출가입자는 핸드셋으로 현재 통화상대방과의 호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긴급통화를 요구한 호출가입자와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키폰시스템 본체와 각 키폰전화기의 음성통화로를 이중화하여 핸드셋 통중에 긴급통화 요구발생시 동시에 다른 가입자와 스피커폰으로 통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키폰시스템에서 키폰가입자간의 OHVA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일반 전화기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키폰시스템의 본체와 데이타통신을 하며 키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콘트롤러(10)와, 전화번호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상기 콘트롤러(10)에 키입력을 제공하는 키 매트릭스(20)와,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 음성통화선로(101, 102)에 접속되어 임피던스 매칭 및 2선/4선 변환을 하는 제1음성통화로부(30)와, 상기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 데이타통신선로(201, 202)에 접속되어 상기 키폰시스템과 콘트롤러(10)사이의 데이타통신을 인터페이싱하는 데이타송수신부(40)와, 상기 제1음성통화로부(30)와 핸드셋 접속단자(301, 302) 사이의 송수신 통화로를 상기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단속하는 제1, 제2 아나로그 스위치(S1, S2)와, 상기 제1음성통화로부(30)를 통한 스피커폰통화를 위한 스피커폰회로(50)와, 상기 제1음성통화로부(30)와 상기 스피커폰회로(50) 사이의 송수신 통화로를 상기 콘크롤로(10)의 제어에 의해 단속하는 제3, 제4 아나로그 스위치(S3, S4)와 상기 스피커폰회로(50)의 출력단자와 스피커(SP)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폰회로(50)의 음성신호 출력을 단속하는 제5 아나로그 스위치(S5)와, 상기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CD표시부(60)를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키폰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키폰시스템의 키폰가입자 음성통화선로(401, 402)와 상기 스피커폰회로(50) 사이에 접속되어 임피던스 매칭 및 2선/4선 변환을 하는 제2음성통화로부(70)와, 상기 제2음성통화 회로부(70)와 상기 스피커폰 회로(50) 사이의 송수신 통화로를 상기 콘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단속하는 제6, 제7 아나로그 스위치(S6, S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가 상기 키폰시스템으로부터 오프후크 음성전달 데이타 수신시 상기 제3, 제4 아나로그 스위치(S3, S4)를 디세이블시키고 상기 제1-제2, 제5-제7 아나로그 스위치(S1-S2, S5-S7)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3. 음성통화로가 이중화된 다수의 키폰전화기를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오프후크 음성전달방법에 있어서, 후크오프한 가입자가 있을시 호출가입자에게 발신음을 공급하고 호출가입자의 다이얼링에 따른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다이얼링 과정과, 상기 다이얼링 과정의 수신한 호출 전화번호가 내선전화번호이고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일시 상기 호출한 가입자에게 화중음을 공급한 후 상기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인가를 검사하는 제1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과, 상기 제1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에서 피호출가입자가 핸드셋 통화중일시 상기 호출가입자의 서비스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은가를 검사하는 제2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과, 상기 제2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에서 상기 호출가입자의 서비스 등급이 피호출가입자보다 높지 않을시 상기 호출가입자에게 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 불가표시신호를 전송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 상태표시과정과, 상기 제2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에서 상기 호출가입자의 서비스 등급이 상기 피호출가입자 보다 높을시 상기 호출가입자에게 오프후크 음성전달 표시신호를 전송한 후 오프후크 음성전달 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 요구검사과정과, 상기 오프후크 음성전달 요구검사과정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 키입력이 있을시 상기 피호출가입자에게 오프후크 음성전달 호출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피호출가입자의 예비통화로를 통해 상기 호출가입자와 피호출가입자를 통화 연결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 연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프후크 음성전달 서비스검사과정의 서비스등급이 각 키폰가입자의 통화 우선 순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후크 음성전달 연결과정이 상기 호출가입자와 상기 피호출가입자를 상기 피호출가입자의 스피커폰 통화로서 통화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후크 음성전달방법.
KR1019910002875A 1991-02-22 1991-02-22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KR94000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875A KR940001694B1 (ko) 1991-02-22 1991-02-22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875A KR940001694B1 (ko) 1991-02-22 1991-02-22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409A KR920017409A (ko) 1992-09-26
KR940001694B1 true KR940001694B1 (ko) 1994-03-05

Family

ID=1931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875A KR940001694B1 (ko) 1991-02-22 1991-02-22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409A (ko) 199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898B1 (en) Method for monitoring voicemail calls using ADSI capable CPE
US4802206A (en) Calling system for enabling speech transmission from a caller to a called busy party in a telephone system
KR940001694B1 (ko) 키폰시스템에서 오프후크 음성전달장치 및 방법
KR100238524B1 (ko)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100256376B1 (ko) 사설교환기에접속된디지털전화기에서호추적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JP2844034B2 (ja) Isdnデジタル電話装置
KR100238881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 자동재다이얼 잔여시간 표시방법
JPH01252000A (ja) ディジタル電話システム
KR0155631B1 (ko) 키폰시스템의 호 서비스방법
JP3458676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22986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일반 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메세지 대기상태 서비스 방법
KR100255371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화번호 메모 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920002959B1 (ko) 키폰 서브세트 간의 부저신호 교환방법
JPH04286259A (ja) Isdn電話機
KR100241731B1 (ko) 페이저 응답호 자동 교환장치 및 방법
KR19980076750A (ko) 교환시스템의 전화기 메모 표시방법
JPH0563774A (ja) Isdnデジタル電話装置
JPS58146168A (ja) 割込通信方式
JPS6256095A (ja) ボタン電話装置
GB2342809A (en) Method for monitoring voicemail calls using ADSI capable CPE
JPS63185146A (ja) 電話接続方式
KR20020064393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가입자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