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78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78Y1
KR940001678Y1 KR2019910002385U KR910002385U KR940001678Y1 KR 940001678 Y1 KR940001678 Y1 KR 940001678Y1 KR 2019910002385 U KR2019910002385 U KR 2019910002385U KR 910002385 U KR910002385 U KR 910002385U KR 940001678 Y1 KR940001678 Y1 KR 940001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yer
activated carbon
inner cylinde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727U (ko
Inventor
최길성
Original Assignee
최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성 filed Critical 최길성
Priority to KR2019910002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78Y1/ko
Publication of KR920016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나선정수관과 내통체의 유입구와의 연결부 체결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통체 2 : 외통체
3 : 나선정수관 4 : 이온교환수지층
5 : 활성탄층 6a, b, c : 맥반석층
7 : 정수유출구 8 : 은선재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경수(硬水)를 연화(軟化)시키는 이온교환수지와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등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 그리고 미네랄등을 용출시키는 맥반석을 정수제로 하되, 특히 이온 교환수지, 활성탄과 맥반석을 완전히 격리수장하여 수원지에서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원수(原水)의 정수작용을 보다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정수의 비유출시 맥반석이 수장된 내통체에 유입되어 있는 물과 활성탄이 수장된 나선정수관내에 유입존재하는 물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보다 나은 정수작용의 기대와 함께 미네랄이 풍부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수기는 그 내부에 충입되는 정수물질이 대체로 휠터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및 맥반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종래의 정수기 대부분은 위와같은 정수물질을 하나의 정수통체 내부에 구분하여 격리수장하고 있으며, 정수물질들의 구분격리수장순서는 물이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순환하는 것에 관계없이 유입된 물이 휠터→활성탄→이온교환수지→맥반석의 순서로 순환토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정수물질들을 하나의 통체내부에 함께 수장하였을 경우에는 모든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좋은 정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휠터와 활성탄에 이물질이 많이 접착되어 있게 되며, 또한 수도꼭지를 통해 정수기 내부에 유입된 물과 기 유입되어 있던 물의 온도는 약간의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때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정수기의 정수유출구로 정수기의 유출을 폐쇄하였을 때에는 상기한 약간의 온도차이로 인해 정수기내부에 유입되어 정체된 물은 온도차이로 인한 대류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대류작용에 의해 휠터와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과 미생물(주로 대장균)이 탈락하여 정수유출구로 유출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정수기자체를 내,외통체로서 2중 구성하고, 내통체에는 물에 영양분을 용출시키는 맥반석만을 수장시키되, 물의 순환순서에 따라 하부에는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을 중간부에는 조금 큰 입자상의 맥반석을 그리고 상부에는 큰입자상의 맥반석을 분리 수장하며, 원수를 연화시키는 이온교환수지와 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 물질은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에 나선상으로 구성된 나선정수관에 충입시키는 구성으로 원수가 나선정수관을 거쳐 내통체의 하부측으로 유입되게 하므로서 나선 정수관을 통과하는 원수는 그속에 충입된 이온교환수지와 활성탄물질과의 접촉작용이 보다 확실하게 나타나게 함과 동시 정수기 비사용시에는 나선정수관내에 존재하는 물이 내통체의 물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대류작용으로 인해 이물질과 미생물이 탈락하게 되는 사례의 방지는 물론 정수유 출구에 살균작용을 하는 은선재를 잡입하여 그정수유출구로 유출되는 정수를 살균토록 하므로서 보다 나은 정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개구(1') (2')가 각각 형성된 내,외통체(1) (2)로 구성되고 이들 내,외통체(1) (2) 사이에 나선상으로 장설된 나선정수관(3)의 유입단(3')은 외통체(2)상부 일측에 돌설시키고, 타단의 연결단(3″)은 내통체(1) 하부일측에 연결시키며 나선정수관(3)의 내부에는 공지의 이온교환수지층(4)과 활성탄층(5)을 충입하고 내통체(1)의 내부는 상,중,하로 구분하여 하부에는 아주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층(6a)을 중간부에는 조금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b)을 상부에는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c)을 형성하고, 상부측에서 외통체(2)로 연출된 정수유출구(7)속에는 은선재(8)를 뭉친 상태로 장입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9, 9' 및 9″는 이온교환수지층(4)의 선,후단에 장입된 그물망체와 활성탄층(5)과 맥반석층(6a)사이에 장입된 그물망체, 10,10'는 하,중,상부의 맥반석층(6a)(6b) (6c)을 구분하는 그물망체, 11, 11'는 내통체(1)가 외통체 (2)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안정부재이며, 나선정수관(3)의 연결단(3″)과 내통체(1)하부의 연결은 제3도의 도시예와 같이 연결구(12)와 체결너트(13) 및 시일재(14)로 연결할 수 있으며, 15와 16은 원수공급호오스와 정수유출호오스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도시예와 같이 수도꼭지(도시없음)에 연결된 원수공급호오스(15)를 통해 나선정수관(3)의 유입단(3')으로 원수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원수는 그 유입단(3')의 선단측 그물망체(9)와 후단측 그물망체(9')사이에 장입된 이온교환수지층(4)을 통과하는 동안에 이온교환작용을 하여 연수(軟水)상태로 변화하고 이온교환수지층(4)의 다음으로 비교적 많은 량의 활성탄이 장입, 존재하는 활성탄층(5)을 통과하는 동안 연화된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등은 활성탄층(5)에 흡착제거되는데 이온교환수지층(4)과 활성탄층(5)이 장입된 나선정수관(3)자체는 나선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나선정수관(3)내를 흐르는 원수는 나선상으로 돌면서 흐르게 도어 이온교환수지층(4)과 활성탄층(5)과의 접촉작용이 원활해져 연화작용은 물론 이물질의 흡착, 제거작용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나선정수관(3)을 거쳐 그 하단측의 연결단(3″)이 연결된 내통체 (1)의 하부측으로 유입되어지는 1차 정화된 원수는 내통체(1)하부측에 장입된 아주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층(6a)을 거쳐 중간부와 상부측의 맥반석층(6b) (6c)를 차례로 거치면서 상측의 정수유출구(7)로 유출되는데 내통체(1)에 장입되는 맥반석층을 하부, 중간부 및 상부로 구분하고 또 그 맥반석층을 이루는 맥반석자체의 크기(입도)를 하부측은 아주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층(6a)을 중간부측은 하부측것보다 조금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b)을 그리고 상부측은 중간부측것보다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c)으로 한 구성은 나선정수관(3)을 거쳐 내통체(1) 하부측으로 유압된 1차 정화된 원수가 하부측에서 가장 오래 머물고 있기 때문에 하부의 맥반석층(6a)과의 접촉이 보다 원활하고도 충분하게 작용되게 함과 동시에 아주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층(6a)자체도 여과작용의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정수물질 즉, 이온교환수지, 활성탄 및 맥반석물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또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같이 나선정수관(3)을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된 원수를 미네랄등이 풍부한 정수로 변화시키는 내통체(1)에서 정수유출구(7)로 유출되는 정수는 코일상으로 되어 불규칙적으로 뭉쳐있는 은산재(8)를 통과하는 동안에 은선재자체의 살균작용에 의해 살균되면서 유출되므로 본 고안의 정수기자체의 사용수명은 종래것보다 현저하게 길며, 또 위생적인 정수를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정수기의 비사용시에는 나선정수관(3)내에 유입존재하는 물과 내통체 (1)내에 유입존재하는 물은 서로 대류작용이 일어날 수 없는 상태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대류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서 사용자는 깨끗하고 위생적인 정수를 안심하고 식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정수기자체를 내,외통체로 구성하고, 내통체 내부에는 상,중,하부로 구분하여 하부에는 아주 작은 입도를 갖는 맥반석층을 그리고 중간부 및 상부에는 점차로 커진 입도를 갖는 맥반석층을 구성하는 수단으로 맥반석이 지니고 있는 성분의 용출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경수를 연화시키는 이온교환수지층과 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층은 내,외통체의 사이에 나선상으로 구성되는 나선정수관에 장입, 구성하는 방법으로 나선정수관을 흐르는 원수가 이온교환수지 및 활성탄과의 접촉 작용이 보다 잘 진행되도록함과 아울러 정수비유출시 나선정수관에 존재하는 물과 내통체내부에 존재하는 물과의 대류 및 혼화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내통체 상단의 정수유출구에는 살균작용을 하는 은선재를 장설하였으므로 보다 위생적이며 영양가 높은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복개구(1') (2')가 각각 형성된 내,외통체(1) (2)로 구성하고 이들 내외통체(1) (2)사이에 나선상으로 장설된 나선정수관(3)의 유입단(3')은 외통체(2) 상부일측에 돌설시키고 타단의 연결단(3″)은 내통체(1) 하부일측에 연결시키며, 나선정수관(3)의 내부에는 공지의 이온교환수지층(4)과 활성탄층(5)을 층입하고 내통체(1)의 내부는 상,중,하로 구분하여 하부에는 아주 작은 입자상의 맥반석층(6a)을 중간부에는 조금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b)을 상부에는 큰 입자상의 맥반석층(6c)을 형성하고 상부측에서 외통체(2)로 연출된 정수유출구(7)속에는 은선재(8)를 뭉친 상태로 장입하여서 된 정수기.
KR2019910002385U 1991-02-20 1991-02-20 정수기 KR940001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385U KR940001678Y1 (ko) 1991-02-20 1991-02-2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385U KR940001678Y1 (ko) 1991-02-20 1991-02-2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727U KR920016727U (ko) 1992-09-16
KR940001678Y1 true KR940001678Y1 (ko) 1994-03-23

Family

ID=1931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385U KR940001678Y1 (ko) 1991-02-20 1991-02-2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727U (ko)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8123A (en) Regenerative counter top water conditioner
US6475386B1 (en) Filter for purifying domestic drinking water
US5385667A (en)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shower water
US6599428B1 (en) Filter system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ter and method thereof
US3250397A (en) Water conditioning filter unit
KR20120025674A (ko) 슝기트를 이용한 정수기
CN101704592B (zh) 高能量活化滤水器
KR940001678Y1 (ko) 정수기
US20110203978A1 (en) Water softener with closed-pressure aeration
JP5698630B2 (ja) セントラル浄水装置
US20050263459A1 (en) Flow-through fluidized filter for water treatment
JP3132821U (ja) ミネラル水生成浄水器
KR100416136B1 (ko) 역세형정수기
KR200360764Y1 (ko) 가정용 정수기용 연옥 필터
CN210103629U (zh) 一种多功能净水器
CN211273834U (zh) 一种龙头净水器
JP4182066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19980040299A (ko)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카트리지.
JP3717499B2 (ja) 浄水器
JPH07204665A (ja) 浄水機能を有するミネラルウォータ製造装置
CN209245452U (zh) 一种过滤水龙头
CN2931452Y (zh) 新型净水软水机
JPH08117764A (ja) 浄水器
KR970003570Y1 (ko) 정수기
KR950008300Y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