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14Y1 - 이음매 - Google Patents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14Y1
KR940001414Y1 KR2019900015915U KR900015915U KR940001414Y1 KR 940001414 Y1 KR940001414 Y1 KR 940001414Y1 KR 2019900015915 U KR2019900015915 U KR 2019900015915U KR 900015915 U KR900015915 U KR 900015915U KR 940001414 Y1 KR940001414 Y1 KR 940001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ring
cyli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084U (ko
Inventor
가오루 마쓰시다
Original Assignee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8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음매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이음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 (a)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1도는(b)는 소켓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b)에 도시한 소켓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b)에 도시한 소켓의 정면도.
제4도는 소켓과 플러그와의 접속완료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소켓과 플러그와의 완전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6 : 들출링
20 : 플러그 주통체 28 : 박막
30 : 소켓 31 : 소켓 주통체
34 : 첨단 40 : 밸브체
52 : 캡 70 : 슬리브
80 : 커버 90 : 잠금고리
92 : 걸림돌기
본 고안은 흡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플렉시블 용기에, 설치되어 동 용기에 충전된 액체를 밀봉상태로 필요만큼 꺼낼 때에 편리한 이옴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에 플렉시블 용기에 코피, 쥬스 등의 음료를 충전하고, 이 용기를 골판지 등의 상자에 넣어서 이송하는 백 인 박스(bag in box)방식(이하 BIB방식이라 함.)을 채용한 자동 판매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BIB방식의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빈 용기의 회수가 필요없고, 용기가 모두 한번 쓰고 버릴수 있기 때문에 런닝코스트를 내릴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고, 더구나 용기내의 액체를 외기에 접촉시키지 않고 펌프에 의해 흡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색적이라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플렉시블 용기를 자동 판매기내에 수용하고, 용기로부터 액체를 발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음매는 특개소 62-25828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이음매는 용기에 부착되는 암연결자(female connector)와, 이 암연결자에 끼워붙이는 수연결자(male connetor)에 의해 구성되고, 수연결자를 암연결자에 삽입하면 수연결자 선단부에 형성된 첨단(尖端)에 의해 암연결자에 접합된 박막을 파괴시켜 용기를 개봉하고, 이 상태로 수연결자를 더욱 압입함으로써 수연결자의 내통에 형성한 밸브체를 열어서 용기와 수연결자내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것이고, 수연결자를 인발하면 상기 밸브체가 닫혀서, 수연결자측 배관 내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하고, 또 배관내의 잔액이 수연결자로부터 유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 기재의 이음매는 수연결자를 암연결자에 끼워붙인 후는 수연결자를 해체하기 까지 용기가 양 연결자를 통하여 배관에 상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내의 액체를 외기로부터 차단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배관측으로 부터의 액체의 역류 문제나 용기내를 무군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배관에는 가요성 튜브를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은데, 이 튜브의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착탈가능한 이음매를 사용하면 근소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만으로도 양 연결자가 분리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목적은, 대기상태에 있어서도 용기내의 액체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최소공간에서 밀폐할 수 있고, 게다가 접속은 용이하나 의도하지 않고서는 분리할수 없는 이음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관한 이음매는 밀봉용기의 입구부에 부착되는 플러그와, 부압력(負力)에 의해 열리는 밸브체를 내장하고, 상기 플러그에 끼워붙여 사용하는 L자형 유체 유로를 갖는 소켓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에는 그 주통체 외주에 돌출링을 형성하고, 한편, 상기 소켓에는 동 소켓을 플러그에 끼워 붙였을 때에 상기 플러그의 입구부를 폐쇄하는 박막을 파괴하는 첨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당해 소켓의 주통체 외면부에 슬리브를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소켓의 외주면부에는 당해 소켓의 축심방향으로 직교시켜서 설치되고, 소켓의 외주면부에 자유단부를 돌출시킨 잠금고리를 압축코일스프링을 개재시켜 구비되고, 동 잠금고리의 내주면부에는 상기 돌출링에 측면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한것이다.
우선 소켓을 플러그에 끼워넣으면 소켓 선단부에 형성된 첨단에 의한 상기 플러그에 설치된 박막이 파괴되어, 밀봉용기가 개봉된다.
소켓을 더욱 끼워넣으면 잠금고리 내주에 형성된 돌기가 이윽고 플러그의 돌출링을 타넘기 때문에 거기서 상기 잠금고리를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돌출링에 걸어맞춤시키면 소켓과 플러그는 완전하게 끼워맞추어진다.
다음에, 흡인펌프를 가동하면, 흡인압력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소켓내의 밸브체를 조작하여 유로를 개방한다.
흡인펌프를 정지시키면 밸브체는 원상으로 복귀하여 유로가 폐쇄된다.
소켓을 플러그로부터 분리할 때는 잠금고리를 가압함으로서 동 잠금고리에 설치한 돌기를 상기 플러그의 돌출링으로부터 벗긴다.
그 상태로 소켓을 인발하면 소켓과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알맞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이음매의 일실시예를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 (a)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동 도면 (b)는 소켓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b)에 나타낸 소켓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b)에 나타낸 소켓의 정면도, 제4도는 소켓과 플러그와의 완전접속사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소켓과 플러그와의 완전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제1도(a)에 있어서, 플러그(10)는 외통(12)과 그 내부에 끼워맞춤하는 플러그 주통체(20)와의 이중통으로 이루어지고, 외통(12)의 기초부측 개구 끝에는 칼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칼라(14)는 용기(2)의 입구부에 기밀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플러그 외통(12)의 소켓 접속측 가까이의 외주면부에는 일조의 돌출링(16)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주통체(20)는 용기측의 대략 절반이 이중통 구조이고, 외측의 원통부(22)가 자신의 외주방향에의 탄발력에 의해 플러그 외통(12)의 내면에 끼워붙여져 있고, 원통부(22)의 용기측 개구단 외주에 설치한 걸림용 단차부(23)를 플러그 외통(12)의 용기측 개구단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으로써 플러그 주통체(20)가 플러그 외통(12)으로 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22)의 외주에는 0링(24)이 장착되어, 플러그 주통체(20)와 플러그 외통(12)과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한편, 내측의 원통부(25)에는 안쪽에 소정 구경의 개구(26)가 뚫어설치되고, 그 개구(26)는 예리한 날끝 등에 의해 파괴가 비교적 용이한 박막(28)으로 폐쇄되어 있다.
또, 플러그 주통체(20)의 다른쪽 개구단에는 칼라(29)를 형성하여, 상기 외통(12)의 개구단 가장자리부(18)를 덮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 주통체(20)가 외통(12)내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규제되어 있다.
제1도(b)에 있어서, 소켓(30)의 앞부분은 플러그 주통체(20)의 내통면에 접하는 외주면(33)을 가지며, 선단부에 박막(28)을 파괴하기 위한 +자형의 첨단(34)과 유체 통과구멍(35)이 형성된 소경통부(32)를 구비한 소켓 주통체(31)와, 압축스프링 (44)에 의해 첨단(34)측으로 가압되어 소켓 주통체(31)의 유체유로(39)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킨 밸브체(40)와, 소켓 주통체(31)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플러그(10)와의 접속시에 플러그 외통(12)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는 슬리브(70)와, 이 슬리브(70) 및 동 슬리브(70)의 정면부에 착탈자유롭게 씌워붙인 커버(80)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분(74)에 소켓 주통체(31)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장치되는 잠금고리(90)에 의해 대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소켓(30)의 후부는 외주면에 직교상태로 어댑터(60)가 나사붙임되고, 소켓 주통체(31)의 후단부 외주면에 0링(51)을 개재시켜서 끼워맞춤 후부통체(50)와,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평행한 모따기 면(56)을 앞부분(53)에 가지며, 당해 앞부분(53)을 소켓 주통체(31)의 후단부 내주에 나사붙임하고, 머리부(54)에 상기 후부통체(50)를 후방에서 끼워장착하기 위한 칼라(59)와 이 후부통체(50)와의 접촉면을 시일하는 0링(57)을 갖는 캡(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 주통체(31)에는 그 외주면 앞부분에 플러그 주통체(20)에 끼워맞추었을때에 플러그 주통체(20)의 내주면을 시일하기 위한 0링(38)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 소켓 주통체(31)의 외주면(33)의 후부에 설치한 돌출링(37)은 상기 슬리브(70)를 회전이 자유롭게 걸기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돌출링(37)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소켓 주통체(31)에 대한 슬리브(70)의 부착각도(고정각도)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하고, 이 다각형 외주면과 접하는 슬리브(70)의 내주면부를 상보적으로 다각형으로 하여도 좋다.
소켓 주통체(31) 내부에 장착한 밸브체(40)는 선단부를 상기 첨단(34)의 방향으로 향한 원추대 형상을 이루고, 대기상태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첨단(34)측으로 가압되어 유체유로(39)를 폐쇄하고 있다.
42는 밸브체(40)의 외주면에 구심방향으로 관통시킨 유체관통구멍이고, 밸브체(40)가 열렸을 때에 +자형의 첨단(34) 사이의 유체통과구멍(35)을 통하여 흡인된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밸브체(40)에 걸린 압축코일스프링(44)의 스프링 상수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흡인펌프를 기동했을 때에 용기(2)내에 충전된 액체를 뽑아내기 위하여 필요한 개구량(이동량)을 밸브체(40)에 부여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 흡인펌프가 작동하면 밸브체(40)는 소정량 움직여서, 유체유로 (39)는 개방 상태로 되고, 흡인펌프가 정지되면 완전폐쇄상태가 되는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4)은 그다지 강한 것은 아니다.
상기 잠금고리(90)는 그 내주원부(91)의 직경이 플러그 외통(1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미끄럼이동 방향측단의 내주면에 상기 플러그 외통(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링(16)에 측면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걸림돌기 (92)를 이 돌출링(16)의 원호에 맞추에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자유단 외주에는 상기 걸림돌기(92)의 대각위치에 가압부(94)를 갖고 있다.
걸림돌기(92)의 전면(플러그와의 대향면)에는 모따기가공이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에 있어서 플러그에 장착할 때의 소켓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이에 대하여 걸림돌기(92)의 배면은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한 후, 약간의 외력에 의해 의도하지 않고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소켓 주통체(31)의 축심선에 대하여 직각인 스트레이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94)와 슬리브(70)사이에는 슬리브(70)에 형성한 원형구멍(78)에 하반부를 매몰하여 압축코일스프링(76)이 설치되어, 잠금고리(90)는 압축코일스프링 (76)의 탄발력에 의해 상시 제1도에 있어서 위쪽으로 가압되어 눌려있고, 이때 잠금고리 (90)는, 한쪽에서는 그 어깨부(96)가 커버(80)의 내주면에 맞닿고, 다른쪽에서는 걸림돌기(92)가 플러그 외통(12)의 돌출링(16)과 걸림상태에 있다.
또, 잠금고리(90)를 압축코일스프링(76)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압입하면 상기 걸림돌기(92)는 슬리브(70)내로 몰입하여 플러그 외통(12)을 걸림상태로부터 해방한다.
캡(52)의 앞부분(53)의 선단부는 압축코일스프링(44)의 스프링시이트로서, 밸브체(40)를 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첨단(34)측으로 가압하여 누르고 캡(52)의 외주에는 머리부(54)를 제외하고 유로(55)를 형성한다. 캡(52)의 머리부(54)에는 앞부분(53)을 소켓 주통체(31)의 내주면에 나사맞춤할 때에 공구 선단을 넣는 홈(58)을 형성한다.
후부통체(50)의 외주면에는 유로(61)를 갖는 어댑터(60)가 0링(62)을 통하여 나사 맞춤되고, 상기 유로(55)는 오댑터(60)에 접속된 튜브(6)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는 흡인펌프에 연통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켓(30)을 플러그(10)에 접속하는데는 플러그 주통체(20)에 대하여 소켓 주통체(31)를 선단부에서 끼워넣고, 소켓 주통체(31)의 첨단(34)과 소경통부(32)가 플러그 주통체(20)의 개구(26)내로 진입하여 이 첨단(34)에 의해 동 개구(26)를 밀봉한 박막(28)이 파괴된다.
이 때, 슬리브(70)는 플러그 외통(12)의 외주를 덮고 잠금고리(90)에 형성한 걸림돌기(92)와 플러그측의 돌출링(16)이 맞닿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링(16)의 전면에는 모따기가공이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의 끼워붙이기에 따라 돌출링(16)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 (92)를 가압하고, 가압코일스프링(76)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잠금고리(90)는 걸림돌기(92)를 슬리브(70)내에 몰입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소켓 주통체(31)의 삽입을 더욱 계속해가면 상기 걸림돌기(92)는 이윽고 돌출링(16)을 넘어 잠금고리(90)는 압축코일스프링(76)에 의해 가압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고, 걸림돌기(92)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링(16)의 배면에 걸어맞춤한다.
이와 같이하여 소켓과 플러그가 접속되면 소켓 주통체(31)에 설치한 선단단차부(36)가 플러그 주통체(20)의 내통부(25)의 저면(27)에 맞닿아 소켓 주통체(31)와 플러그 주통체(20)는 둘레면이 시일링(38)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접속후, 혹은 접속할 때 튜브(6)의 길이의 장단 등에 의해 어댑터(60)나 슬리브(70)의 가압부(94)의 방향의 적당하지 않을 때는 슬리브(70)와 후부통체 (50)의 쌍방 또는 일방을 소켓 주통체(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것들의 방향을 조정한다.
밀봉용기(2)로부터 유체를 꺼낼 때는 흡인펌프를 기동시켜, 흡인압을 튜브 (6)를 통하여 유로(55)에 부여하면 흡인압이 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을 이겨 밸브체(40)가 캡(52)측으로 흡인되고, 밸브체(40)가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용기 (2)내의 액체는 소켓 주통체(31)의 첨단(34)에 형성된 유체통과구멍(35), 유체유로 (39), 밸브체(40)의 통과구멍(42), 유로(55, 61) 및 튜브(6)를 거쳐 흘러나온다.
소정량의 액체를 꺼낸 후, 흡인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면 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이 즉각 밸브체(40)에 작용하여 밸브체(40)는 유체유로(39)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용기(2)내의 액체는 밸브체(40)에 의해 외기와 완전히 차단된다.
소켓(30)을 플러그(10)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가압부(94)를 압축코일스프링 (76)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가압하여, 동 잠금고리(90)의 걸림돌기(92)를 플러그 외통(12)의 돌출링(16)으로부터 벗겨 소켓(30)을 플러그(10)로 부터 인발하면 된다.
본 고안의 이음매는 소켓의 유로내에서 흡인압력이 작용했을 때에만 열리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또, 잠금기구를 설치한 슬리브를 소켓 주통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소켓 주통체 후부에 직교시켜 설치한 튜브접속용 어댑터를 이 주통체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음료의 자동판매기와 같은 좁은 장소에서의 배관에 매우 적합하며, 배관용 튜브가 길거나 짧은 경우, 혹은 튜브가 딱딱해져 있을 경우에도 접속이 용이하다. 게다가 액체를 꺼내지 않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용기내부를 외기로 부터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배관측으로부터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내에의 잡균침입을 방지하여 용기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이음매는 접속이 용이하고, 사용중 접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BIB방식의 자동판매기 내부의 배관에 사용하는 이음매로서 매우 유효한다.

Claims (1)

  1. 밀봉용기(2)의 입구부에 부착되는 플러그(10)와, 부압력에 의해 열리는 밸브체(40)를 내장하고 상기 플러그(10)에 끼워붙여져서 사용되는 L자형 유체유로를 갖는 소켓(3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10)에는 그 주통체(20)의 외주에 돌출링(16)을 형성하고, 한편 상기 소켓(30)에는 동 소켓(30)을 플러그(10)에 끼워 붙였을 때에 상기 플러그(10)의 입구부를 폐쇄하는 박막(28)을 파괴하는 첨단부(34)를 구비함과 동시에 당해 소켓(30)의 주통체(31)의 외면부에 슬리브(70)를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소켓(30)의 외주면부에는 당해 소켓(30)의 축심방향으로 직교시켜서 설치되고, 소켓(30)의 외주면부에 자유단부를 돌출시킨 잠금고리(90)를 압축코일스프링(76)을 개재시켜서 구비하고, 동 잠금고리(90)의 내주면부에는 상기 돌출링(16)에 측면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돌기(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
KR2019900015915U 1990-01-10 1990-10-19 이음매 KR9400014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40 1990-01-10
JP1990001440U JPH0637263Y2 (ja) 1990-01-10 1990-01-10 継 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084U KR920008084U (ko) 1992-05-19
KR940001414Y1 true KR940001414Y1 (ko) 1994-03-16

Family

ID=1150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915U KR940001414Y1 (ko) 1990-01-10 1990-10-19 이음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37263Y2 (ko)
KR (1) KR9400014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381A (ja) * 1999-07-27 2001-02-13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KR100882583B1 (ko) * 2007-05-11 2009-02-12 주식회사 비앤아이 매몰식 앵커
JP5380584B1 (ja) * 2012-06-28 2014-01-08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の袋に液体を封入した液体袋から液体を取り出すための配管器具
JP5538482B2 (ja) * 2012-06-28 2014-07-02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の袋に飲料水を封入した水袋を用いる給水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93687U (ko) 1991-09-25
JPH0637263Y2 (ja) 1994-09-28
KR920008084U (ko)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235A (en) Valve and valved container for use with a syringe fitting
US6036171A (en) Swabbable valve assembly
US6585229B2 (en) Medical nozzle securing apparatus
US6651956B2 (en) Slit-type swabable valve
JP4717996B2 (ja)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EP0941437B1 (en) Non-leaking, non-venting liquid filled canister quick disconnect system
US5205440A (en) Dispensing valve/coupling assembly
US7241285B1 (en) Medical site connection
US664436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flow with rotary motion fo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US5520666A (en) Valved intravenous fluid line connector
US20170252021A1 (en) Cannula provided with a sealing element for use in a medical procedure
JP3299495B2 (ja) 誤接続防止コネクタ−
US11235136B2 (en) Swabable valve with curvilinear valve stem
EP3362134B1 (en) Swabable valve with curvilinear valve stem
JPH1015080A (ja) 医療用接続装置
KR20160113140A (ko) 의료용 라인을 위한 밸브구조의 커넥터
US6962321B1 (en) Fluid coupling with rotary actuation
AU696907B2 (en) Valve for bag-in-box
KR20020036950A (ko) 바늘없이 류에르로 활성화된 의료용 커넥터
KR940001414Y1 (ko) 이음매
KR960005128Y1 (ko) 관이음구
US5351860A (en) Coupling for breaking a seal film of a dispensing opening for a fluid-filled container
US11642282B2 (en) Male-female adapter for a hermetically closable connector which can be bored by a male fitting and automatically sealingly reclosed, particularly for devices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liquid solutions for pharmacological and/or nutritional use, and a male fitting connector provided with a male-female adapter
EP0555927A1 (en) Connecting element and pocket provided with such an element
KR940001413Y1 (ko) 이음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