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070Y1 -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 Google Patents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70Y1
KR940001070Y1 KR2019880020943U KR880020943U KR940001070Y1 KR 940001070 Y1 KR940001070 Y1 KR 940001070Y1 KR 2019880020943 U KR2019880020943 U KR 2019880020943U KR 880020943 U KR880020943 U KR 880020943U KR 940001070 Y1 KR940001070 Y1 KR 94000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ulse
comparator
sig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072U (ko
Inventor
노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070Y1/ko
Publication of KR900013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동작에 따른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폭기 2,5 : 비교기
3 ;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4 : 스위치
6 : 로직부 VR1 : 가변저항
C1 : 캐패시터
본 고안은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의 기록 위치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의 1회 전당 발생하는 펄스수에 관계없이 정확한 기록 위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핼리컬 스캐닝(Helical Scanning) 방식의 회전드럼을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드럼(drum)의 펄스발생기(Pulse Generator : 이하 PG라 침함)신호를 이용하여 기록위치를 결정한다.
제1도는 상기 PG신호를 이용하여 기록위치를 발생하는 종래의 회로도로서,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드럼에서 발생하는 PG신호는 증폭기(11)를 통해 증폭된 후 비교기(12)에서 제1기준전압(Vref1)과 비교되어 디지탈 레벨의 펄스로 변환된다.
상기 비교기(12)를 통한 디지탈 펄스가 로직부(15)에 인가되면, 로직부(15)에서 채널스위치(13)를 오프시키며, 이로인해 공급전원(VDD)이 가변저항(VR11)을 통해 캐패시터(C11)에 충전된다. 따라서 비교기(14)의 반전단자측의 페이즈전압(Phase voltage)가 서서히 증가되며, 상기 페이즈 전압이 제2기준전압(Vref2)보다 크게되면 비교기(14)는 ″로우″펄스를 발생하여 로직부(15)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로직부(15)가 상기 비교기(14)로 부터 ″로우″신호를 받으면 상기 채털 스위치(13)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로직부(15)는 상기 비교기(12)가 디지탈펄스를 발생한 시점에서부터 가변저항(VR1)과 캐패시터(C11)의 시정수에 의해 상기 비교기(14)가 ″로우″펄스를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주기동안 기록위치 결정신호(TACH)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드럼에 PG 신호는 1회전당한개 또는 여러개로 생성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도와 같은 경우 드럼 1회전당 1개의 PG신호를 발생하는 시스템에서 정확하게 기록 위치결정신호(TECH)를 발생할 수 있으나, 1회전당 2개이상의 PG신호를 발생하는 시스템에서는 가변저항(BR11)과 캐패시터(C11)의 시정수로서 기록위치 결정신호(TACH) 주기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었으며, PG신호의 펄스폭에 따라 타이밍 딜레이(Timing delay) 또는 다른 PG신호(2번째 또는 n번째 PG신호)에서 또다시 가변저항(VR11), 캐패 시터(C11)등 로직부가 동작하여 기록 위치 결정신호(TACH)를 지연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서 드럼 1회전당 다수개의 PG신호가 발생할시에도 정확하게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회로르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회로도로서, 드럼 1회전당 발생하는 한개 또는 다수개의 펄스발생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와, 상기 증폭기(1)의 출력과 소정의 제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디지탈 레벨의 펄스를 발생하는 비교기(2)와, 상기 비교기(2)의 펄스수에 관계없이 최초 펄스 발생시점에서 펄스수에 비례하는 주기의 1개의 펄스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와, 소정 제1/제2스위칭신호에 의해 오프/온 스위칭되는 채널 스위치(4)와, 상기 채널스위치(4)가 오프 스위칭시 자체 시정수에 의해 소정 기록위치 결정신호의 주기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주기 결정수단의 출력이 소정 제2기준전압보다 클시 소정 비교펄스를 발생하는 비교기(5)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의 펄스 발생시점에서 상기 기록위치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교기(5)에서 비교 펄스 발생시 제2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종료하는 로직부(6)로 구성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각부 동작에 따른 파형도로서, 3A)는 PG신호이며, 3B)는 비교기(2)의 출력이고, 3C)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의 출력이며, 3D)는 로직부(6)의 제어에 의한 채널스위치(4)의 동작 파형이고, 3E)는 채널스위치(4)의 스위칭에 따른 페이즈 전압이며, 3F)는 비교기(5)의 출력이고, 3G)는 로직부(6)에서 발생하는 기록 위치결정신호(TECH)의 주기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2,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드럼의 회전에 있어 PG신호의 생서위치와 실제 테이프의 기록 위치는 일정한 위상차를 갖도록 설계 된다. 그러나 상기 위상차는 기구설계와 회로정수의 오차에 따라서 가변되므로 각 세트간의 호환성 확립을 위하여 정확한 기록 위치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조정위치의 기준은 기록위치 결정신호(TACH)의 폴링포지션(Fulling position)으로 결정하는데, 본 고안은 드럼 1회전당 발생하는 PG 펄스수에 관계없이 첫번째 PG펄스발생 시점에서 부터 소정 주기동안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드럼 1회전당 발생하는 PG 펄스수에 관계없이 첫번째 PG펄스발생 시점에서 부터 소정 주기동안 기록 우치 결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드럼에서 생성된 PG신호는 증폭기(1)를 통해 증폭된 후 비교기(2)에서 제1기준전압(Vref1)과 비교되어 디지탈 레벨의 펄스로 변환된다.
상기 비교기(2)의 출력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로 인가되어 저항(32)가 캐패시터(33)의 시정수에 따른 소정 주기의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드럼1회전당 발생하는 PG 신호가 그 상태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로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는 발생 PG 펄스수에 관계없이 최초 발생한 PG 펄스에서 제1천이(Low to high transition)되며, 마지막 PG펄스 발생후 소정지연[저항(32) 및 캐패시터(33)의 시정수]되어 제2천이(High to low transition)된다. 이때 상기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3)의 저항(32) 및 캐패시터(33)에 의한 시정수는 PG펄스의 라이징시점에서 다음 라이징 시점까지의 시간보다 길도록 해야한다. 즉 (3A)와 같이 드럼 1회전당 2개의 PG신호가 발생한다면, 비교기(2)는 상기 증폭된(3A)와 같은 PG신호와 제1기준전압(Vref1)을 비교하여 (3B)와 같은 디지탈 레벨의 PG 펄스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2)를 통한(3B)와 같은 PG펄스를 수신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는 첫번째 PG펄스 발생시점에 제1천이되고, 두번째 PG 펄스 발생후 소정 지연되어 제2천이하는 1개의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터(3)에서 펄스 발생시, 로직부(6) 제1천이시점에서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3D)와 같이 채널 스위치(4)를 ″오프″ 시키며, (3G)와 같이 기록 위치 결정신호(TACH)를 발생한다.
상기 채널스위치(4)가 ″오프″되면 공급전원(VDD)이 가변저항(VR1)를 통해 캐패시터(C1)에 충전되며, 이로 인하여 비교기(5)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페이즈 전압(Phase voltage)는 (3E)와 같이 서서히 증가된다. 이때 상기 비교기(5)의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페이즈 전압이 비교기(5)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제2기준전압(Vref2)보다 커지게 되면, 비교기(5)는 (3F)와 같이 ″로우″신호로 천이시켜 기록 매체의 기록 위치결정신호를 종료하는 동시에 제2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채널스위치(4)를 ″온″시킨다. 상기 채널스위치(4)가 ″온″시키면 공급전원(VDD)이 접지로 바이패스로 되어 (3E)와 같이 페이즈 전압이 ″로우″레벨이 되어 (3F)와 같이 비교기(5)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된다.
상기의 과정을 종합하면 드럼의 1회전당 발생하는 PG펄스수에 관계없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는 1개의 펄스를 발생하여 로직부(6)로 인가하고, 로직부(6)는 기록위치 결정신호(TACH)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에 의해 최초 PG펄스 발생시점에서 채널스위치(4)를 ″오프″시킨다. 이후 가변저항(VR1)과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의해 페이즈 전압이 서서히 증가되며, 상기 페이즈 전압이 제2기준전압(Vref2) 보다 커지는 순간 로직부(6)는 기록 위치결정신호(TACH)를 종료하는 동시에 채널스위치(4)를 ″온″시켜 펭즈 전압을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기록위치 결정신호(TACH)의 주기는 최초 PG 펄스 발생시점에서 부터 가변저항(VR1)과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드럼의 1회전당 발생하는 PG 펄스수에 관계없이 정확한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신호로 부터 저항과 캐패시터의 시정수 주기동안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서, 정확한 기록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세트간의 PG신호 발생수에 관계없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이다.

Claims (2)

  1.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의 기록 위치 결정회로에 있어서, 드럼 1회전당 발생하는 한개 또는 다수개의 펄스발생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와, 상기 증폭기(1)의 출력과 소정의 제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디지탈 레벨의 펄스를 발생하는 비교기(2)와, 상기 비교기(2)의 펄스수에 관계없이 최초 펄스 발생시점에서 펄스수에 비례하는 주기의 1개의 펄스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와, 소정 제1/제2스위칭신호에 의해 오프/온 스위칭되는 채널 스위치(4)와, 상기 채널스위치(4)가 오프 스위칭시 자체 시정수에 의해 소정 기록위치 결정신호의 주기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주기 결정수단의 출력이 소정 제2기준전압보다 클시 소정 비교펄스를 발생하는 비교기(5)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의 펄스 발생시점에서 상기 기록위치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교기(5)에서 비교 펄스 발생시 제2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기록 위치 결정신호를 종료하는 로직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가 상기 비교기(2)의 1펄스주기보다 더 큰 지연시간을 갖도록 내부 시정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KR2019880020943U 1988-12-17 1988-12-17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KR940001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943U KR940001070Y1 (ko) 1988-12-17 1988-12-17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943U KR940001070Y1 (ko) 1988-12-17 1988-12-17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072U KR900013072U (ko) 1990-07-04
KR940001070Y1 true KR940001070Y1 (ko) 1994-02-25

Family

ID=1928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943U KR940001070Y1 (ko) 1988-12-17 1988-12-17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0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072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6394B2 (ja) モ−タの制御装置
US4109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table, high gain servo system
JPH0664790B2 (ja) 磁気再生装置の自動トラッキング装置
US4516060A (en) Digital motor speed control
KR940001070Y1 (ko) 드럼을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서 펄스수에 무관한 기록위치 결정회로
US3358080A (en) Control system for wideb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s
US4149117A (en) Circuit and method for servo speed control
US3943565A (en) Track scan initiation and cutout arrangement for a helical scan video recorder
JPH022216B2 (ko)
US3295032A (en) Plural motor tension and speed control for a magnetic tape drive
KR920009099B1 (ko) 타코 펄스발생회로
JPH0553026B2 (ko)
JP2788371B2 (ja) 位相補正回路
JP2624888B2 (ja) 回転ヘッド磁気記録再生装置のtach生成回路
KR940005103B1 (ko)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회로
JPS624791B2 (ko)
KR910020659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용 자동트래킹 시스템
SU159791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иска требуемого участка записи на магнитном носителе
SU1723584A1 (ru) Способ поиска информации на оптическом диске
JPH0752537B2 (ja) 自動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3736907B2 (ja) 記録ペン駆動装置
KR930004046Y1 (ko) Viss/vass용 동작신호 발생회로
JP261605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1662B2 (ko)
JPS63481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