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880Y1 - 안경테 선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안경테 선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880Y1
KR940000880Y1 KR2019910006136U KR910006136U KR940000880Y1 KR 940000880 Y1 KR940000880 Y1 KR 940000880Y1 KR 2019910006136 U KR2019910006136 U KR 2019910006136U KR 910006136 U KR910006136 U KR 910006136U KR 940000880 Y1 KR940000880 Y1 KR 940000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pectacle frame
frame
selecting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943U (ko
Inventor
미쯔루 사노
Original Assignee
미쯔루 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루 사노 filed Critical 미쯔루 사노
Publication of KR920009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경테 선정용 기구
제1도는 본고안에 관한 안경테 선정용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 단면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 및 제4d도는 각각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눈, 귀, 코뼈의 위치관계에 의한 안경테의 형상선정의 설명도.
제6도는 어린이, 여성, 남성의 눈, 귀, 코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얼굴의 정면도.
제7도는 눈, 귀, 코뼈의 위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얼굴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8도는 안경렌즈와 안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경테 선정용구 2 : 손잡이
3 : 게이지 10 : 제1기준선
20 : 제2기준선 11 : 제1측정선
21 : 제2측정선
본고안은 핸디타입의 안경테 선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안경이 적정하게 만들어져 있을 경우에는 시력저하의 원인이 되는 근시, 원시, 난시의 굴절이상을 렌즈 교정에 의해 보정하여 바른 시기능을 유지하기가 가능하다.
안경 제작에 있어, 렌즈결정에 의사가 관여할 경우, 처방전에는 의학적 근거에 입각한 진단에 의해 사용할 렌즈 종류(근시렌즈→오목렌즈, 원시렌즈→볼록렌즈, 난시렌즈→원주렌즈, 노안렌즈→볼록렌즈 또는 이들 렌즈의 조합), 강도(도수), 그리고 동공간 거리가 지시된다. 안경상은 이 처방전의 지시에 입각하여 렌즈의 선정(가격, 제품, 메이커 등)과 안경테 선정을 행하여 안경을 제작한다.
그러나, 안경제작자(렌즈제작자, 안경테제작자 포함)가 굴절이상자의 안경제작을 할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이 안경 제작자는 학문적으로는 깊은 연구가 부족하고, 시기능에 대한 지식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안경은 단순한 시력 보정용구로 밖에 이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안경이란 어떠한 것인가의 이해가 부족하며, 상당 수의 불량 안경이 굴절이상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적정한 안경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음 조건을 충족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1. 렌즈가 적정 도수일것 ;
2. 동공과 렌즈의 중심에 맞을것 〔안경렌즈에는 중심이 있어, 이 중심이 그 정확한 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렌즈를 안경테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렌즈 수차를 고려하면서 렌즈 중심이 동공중심에 오도록 가공하여 위화감이나 눈의 피로 등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정간(頂間) 거리가 적정할 것, 즉 각막정점과 렌즈 내면의 중심점의 거리가 12~13㎜로 유지되어 있을 것 ;
4. 안경에 장착한 렌즈의 전경각(前傾角)이 적정할 것, 즉 렌즈의 전경각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원용(遠用)안경일 경우에는 10~13도 정도로, 노안경 등의 근용(近用)안경일 경우에는 14~16도 정도로 유지되어 있을 것〔인간의 시선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상의 생활에서 항상 사용하는 것은 수평면(H) 보다 5도 하방에서 40도 정도까지의 범위에 있고, 안구를 움직임으로써 대응하며 그때의 회선점(0)은 안구의 중심보다 조금 앞으로 있고, 멀리 볼경우, 회선축과 수평면이 대략 10~13도 정도를 이루고 있다.
한편, 아주 가까이를 볼때는 14~16도 정도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안구의 움직임에 의해 안경렌즈(31)와 안구의 시선, 각막 정점(A)의 상대위치 관계는 변화한다. 보는 대상물에 의해서는 시선 즉 회선축은 안경렌즈(31)의 중심점(C)에서 벗어나고, 회선축이 안경렌즈(31)의 중심점(C)에서 멀어져, 안경렌즈(31)의 주변부로 이동하면 할수록 렌즈 수차에 의해 영상의 왜곡은 커진다. 이와같은 안구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양호한 영상을 망막에 보내기 위해서는 인간이 통상의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범위에서 영상의 왜곡이 최소로 되도록 안경렌즈(31)와 안구와의 위치관계를 유지하여 렌즈 수차의 영향을 최소로 하는 것이 긴요하다. 이 상태에 맞추어 안경렌즈(31)의 연직선(V)에 대한 전경각()을 소정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 이에 따라 안구의 움직임의 전체범위에 걸쳐 안경렌즈(31)의 내면과 각막정점(A)의 거리(ℓ)가 대략 소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5. 코받침이 정확하게 코뼈부위에 닿아 있을 것〔안경테는 두개골 중, 앞두골 아래 가장자리, 안와(眼窩;눈구멍), 광대뼈, 코뼈에 의해 결정되고, 안면 골격에 기초한 살집이 문제가 된다. 또, 백인, 동양인, 흑인은 골격이 다르고, 어른과 어린이, 남성과 여성도 다르다. 안경테를 선정함에 있어서, 귀의 위치와 코뼈의 관계도 중요하다. 안경은 이 2곳에서 주로 받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받침 부분이나 귀에 닿는 부분이 정확히 만들어져 있지 않으면 큰 안경을 낀 것과 마찬가지로 안경이 벗겨진다〕;
6. 안경테의 다리길이가 정확할 것〔안경테의 다리길이가 정확하지 않으면 안경테가 얼굴에 잘 융합되지 않으므로 소위 코안경 상태가 된다〕;
7. 안경테 전체 크기가 적당한 크기일 것
〔너무 크면 헐거워 떨어지고, 반대로 작으면 안경테를 너무 벌어져 경사각이 수직에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안경테 크기가 안경을 끼는 사람에게 적당한 크기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7가지 조건의 어느것인가 결함이 생길 경우는 정확한 기능 유지가 손상되기 때문에 안경이라고는 할 수 없게 된다.
안경은 렌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적정한 렌즈와 인간공학적 견지에서 제작된 안경테로 구성되어야 비로소 적정한 안경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렌즈는 의사의 지시에 따르는 한 적정한 것을 제공할 수 있으나 렌즈를 안경테에 장착한 상태로 정간거리가 적정한지, 안경에 장착한 렌즈의 전경각이 적정범위인지, 안경테 다리의 길이가 적정한지를 측정하기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게다가 용이한 핸디 타입의 안경테 선정용 기구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게다가 적정한 안경테의 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핸디타입의 안경테 선정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끼고 있는 안경(원용안경, 노안경 어느 경우도 포함)이 인간공학적 견지에서 적당한 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가능한 안경테 선정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고안은 손잡이와 게이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지부는 적어도 투명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와 게이지부를 T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게이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눈금을 새겨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게이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전경각도를 가지며, 또 상기 게이지부의 눈금의 기점을 지나는 기준선을 긋고, 또한 상기 기준선에 평행이고 또 소정의 선간거리를 갖는 측정선을 그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이다.
본고안의 안경테 선정용 기구에 있어서는 기준선 및 측정선의 전경각도를 10~13도 또는 14~16도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준선과 측정선과의 선간거리를 12~1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이한 전경각의 2종류의 기준선, 측정선 및 2개의 눈금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지부의 눈금이 새겨 설치된 부분의 반대측 끝부분에는 전경각을 가지고 뻗어나와 있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는 측정선을 긋는 것이 적합하다.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고안에 관한 안경테 선정용 기구(1)는 손잡이(2)와 게이지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게이지부(3)는 투명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2)와 게이지부(3)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는 사용시에 잡기 쉽도록 그 단면이 장원형으로 되어 있고, 게이지부(3)는 평판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게이지부(3)의 길이방향 상하에는 1㎜단위의 눈금이 130㎜새겨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게이지부(3)의 길이방향(제1도의 X-X방향)에 수직인 방향(제1도의 Y-Y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θ1(10~13도, 예컨대 12도)와 θ2(14~16도, 예컨대 15도)의 전경각을 가지고, 게다가 이 게이지부(3)의 눈금의 기점(영점)에 교점(P1)을 갖는 제1기준선(10)과 제2기준선(20)이 각각 그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준선(10), 제2기준선(20)의 각 기준선과의 선간거리(ℓ1, ℓ2)가 12~13㎜, 예컨대 12㎜인 상기 제1기준선(10)에 평행한 제1측정선(11)과, 상기 제2기준선(20)에 평행한 제2측정선(21)이 각각 그어져 있다. 또한, 상단의 눈금은, 상기 제2기준선(20)과의 교점(P2)을 영점으로하여 새겨 설치되어 있다. 부호 4는 상기 게이지부(3)의 일단에서 전경각을 가지고 뻗어나와 있는 연장부이다.
이 연장부(4)의 게이지부(3)측의 끝 가장자리는 제1측정선(11)과 일치되어 있고, 또 연장부(4)의 면상에 제2측정선(21)이 그어져 있다.
이리하여 상기 제1기준선(10)의 측정선(11) 및 게이지부(3) 하단의 눈금을 이용하여 원용안경에 최적한 안경테 선정 및 안경테에 렌즈를 장착한 안경이 적정한 것인지의 여부를 측정하고, 상기 제2기준선(20)과 제2측정선(21) 및 게이지부 (3) 상단의 눈금을 이용하여 노안경 등의 근용안경에 최적한 안경테 선정 및 안경테에 렌즈를 장착한 안경이 적정한 것인지 아닌지의 측정을 행한다.
또한, 하단의 눈금, 제1기준선 및 제1측정선 긋기를 가령 적색으로 행하고, 한편 상단의 눈금, 제2기준선 및 제2측정선 긋기를 가령 청색으로 행하면 원용 또는 근용 안경의 안경테 선정 등이 한층 쉬워진다.
본고안의 안경테 선정용 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새로이 안경을 만들 경우에 본기구를 사용하여 적정한 안경테를 선정하고, 다시 렌즈가 안경테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측정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안경테는, 윗쪽귀뿌리와 코뼈부분의 그곳에서 지지되고, 안경을 낄 경우에 안경다리가 수평으로 되는 것이 긴요하다. 이 2곳에서 정확하게 무리없이 지지된 안경테는 안경렌즈의 각도, 안경렌즈와 눈과의 거리가 확보될 뿐 아니라 심하게 얼굴을 움직여도 벗겨져 떨어지지 않고, 땀 등으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 위치가 확보된다.
그 때문에 우선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경테 선전용 기구(1)의 손잡이(2)를 한손에 쥐고, 게이지부(3)의 상변을 얼굴 옆에 꼭대고, 안경 다리 지지부가 되는 윗쪽귀뿌리(Q)의 위치가 눈의 각막정점(A) 및 패드를 지지하는 코뼈(S) 위치와의 관계를 본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어른과 어린이, 남성과 여성은 눈에 대한 귀의 위치나 코뼈 위치가 다르다. 또, 백인과 동양인은 이들 위치관계가 다르다.
그 결과, 윗쪽귀뿌리(Q)위치가 눈이나 코뼈(S) 위치와 대략 같은 높이에 있다. 사람의 경우에는 제5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경다리(32)가 림의 약간 위에 부착되어 있는 안경테(30)를 선정한다.
또한, 윗쪽귀뿌리(Q)의 위치가 눈이나 코뼈(S)의 위치보다 위인 사람의 경우에는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32)가 림의 상단에 붙어 있는 안경테 (30)를 선정한다. 그리고, 윗쪽귀뿌리(Q)의 위치가 눈이나 코뼈(S)의 위치보다 아래이 사람의 경우에는 제5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경다리(32)가 림의 중간에 붙어 있는 안경테(30)를 선정한다.
도면중 33은 코받침 패드이다.
다음에, 안경테 선전용 기구(1)의 게이지부(3)의 상변을 얼굴 옆에 꼭닿게한 상태로 게이지부(3)의 눈금에 의해 안경다리의 적당한 길이가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한다. 그리고, 얼굴 정면에서 안경테 선전용 기구(1)의 손잡이(2)가 얼굴 중앙에 위치하도록 대고, 얼굴의 폭 및 안렬(眼裂)(R1, R2;제7도 참조) 사이(ℓ4)를 게이지부(3)의 눈금으로 측정하여 안경의 브리지길이가 적당한 안경테를 측정한다(제7도참조).
그리고, 코뼈(S)의 폭(ℓ3)는 윗쪽귀뿌리(Q)의 위치가 코뼈(S)의 위치와의 높이차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안경테를 우선 선정한다.
그리고, 안경테의 림에 렌즈를 부착했을 경우에 렌즈의 내면측 중심과 각막 정점이 소정의 정간 거리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 또한 렌즈가 림에 소정의 전경각을 가지고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안경테 선정용 기구에 의해 확인한다. 이 확인의 수순은 다음과 같다.
안경테 선정용 기구(21)의 손잡이(2)를 쥐고, 제4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게이지부(3)의 길이방향이 안경다리(32)를 따라 수평이 되도록 안경테(30)를 장착한 사람의 바로 옆에서 꼭대고, 원용안경의 경우에는 제1기준선(10)이 투시되어 장착자의 안구의 각막 정점(A)에 접하도록 위치결정한다.
그러면, 제1측정선(11)을 따라 안경렌즈(31)가 ㉢1=10~13도의 전경각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 또 정간거리가 ℓ1= 12~13㎜의 거리로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측정된다.
즉, 안경렌즈(31) 전체가 측정선(11)에 평행이면 소정의 전경각을 가지고 있고, 또 안경렌즈(31)의 내측면에 중심(C)이 선(11)상에 있으면 측정한 정간 거리를 가지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4b도는 적정한 안경테를 선정한 경우의 예이다.
안경렌즈(31)의 내면측 중심(C)은 제1측정선(11)상에 있고, 각막정점과 안경렌즈 내면의 중심점과는 소정의 정간거리 ℓ1= 12㎜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 안경렌즈(31)의 전체로서 제1측정선(11)을 따라 평행이 되어 있고, 소정의 전경각 θ1=12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안경테(30)는 적정하게 선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제4c도의 경우, 안경렌즈(31)의 내면측 중심(C)은 측정선(11)상에 있기는 하나, 안경렌즈(31)의 전경각도는 소정의 값 θ1=12도 보사 작게 되어 있고, 부적정한 안경테라고 판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4d도의 경우, 이 안경렌즈(31)의 전경각도는 소정치 θ1=12도를 되어 있으나, 각막정점(A)과 안경렌즈(31)의 내면측 중심(C)과의 간격은 소정의 정간거리 ℓ1= 12㎜보다 더 큰 ℓ1m로 되어 있어, 역시 이 안경테는 부적정하다고 판정되는 것이다.
노안경 등의 근용 안경의 경우는 제2기준선, 측정선, 상단의 눈금 등을 이용하여 동일 방법으로 측정한다.
또, 거의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이미 만들어져 있는 안경이 적정하게 만들어져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본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다음의 효과를 가져온다.
안경을 제작할 경우에 측정하는 것이 필요한 각막 정점과 렌즈중심점의 적정한 거리(적정한 정간거리) 및 안경에 장착한 렌즈의 적정한 전경각의 측정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안경제작자 뿐 아니라 의료기관에 있어서도 최적한 안경테의 선정, 굴절 이상자를 위한 적정한 안경(원용안경, 근용안경의 어느 경우도 포함)의 제작, 만들어진 안경이 적정한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안경테의 코받침이 정확하게 코뼈에 닿아 있는지, 안경테의 다리길이가 적당한지의 판정을 행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또, 원용 및 근용 안경을 위한 기준선, 측정선 등을 동시에 설치하면 하나의 기구로 원용 및 근용안경의 안경테 선정 혹은 전부 판정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손잡이(2)와 게이지부(3)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지부는 적어도 투명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와 게이지부를 T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게이지부의 길이방향(X-X)으로 눈금을 새겨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게이지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Y-Y)에 대하여 소정의 전경 각도(θ)를 가지고 상기 게이지부의 눈금의 기점(영점)을 지나는 기준선을 긋고, 또한 상기 기준선에 평행이고 또 소정의 선간 거리(ℓ)를 갖는 측정선을 그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경각도(θ)가 10~1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경각도(θ)가 14~1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선간거리(ℓ)가 12~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이 각각 상이한 소정의 전경각도(θ1, θ2)를 갖는 제1기준선(10) 및 제2기준선(20)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선이 상기 제1 및 제2 기준선에 대하여 각각 평행이고 소정의 선간거리(ℓ1, ℓ2)를 갖는 제1측정선(11) 및 제2측정선(2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3)의 상부 및 하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눈금을 새겨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선(10)의 전경각도(θ1)가 10~13도이고, 상기 제2기준선(20)의 전경각도(θ2)가 14~1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3)의 눈금을 새겨 설치한 부분의 반대측 끝부분에는 전경각(θ1)을 가지고 뻗어나와 있는 연장부(4)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측정선(21)이 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3)의 눈금을 새겨 설치한 부분의 반대측 끝부분에는 전경각(θ1)을 가지고 뻗어나와 있는 연장부(4)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측정선(21)이 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3)의 눈금을 새겨 설치한 부부의 반대측 끝부분에는 전경각(θ1)을 가지고 뻗어나와 있는 연장부(4)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측정선(21)이 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선정용 기구.
KR2019910006136U 1990-11-30 1991-05-01 안경테 선정용 기구 KR9400008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126758U JPH075460Y2 (ja) 1990-11-30 1990-11-30 眼鏡フレーム選定用器具
JPU2-126758 199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943U KR920009943U (ko) 1992-06-17
KR940000880Y1 true KR940000880Y1 (ko) 1994-02-21

Family

ID=1494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136U KR940000880Y1 (ko) 1990-11-30 1991-05-01 안경테 선정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5460Y2 (ko)
KR (1) KR9400008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6524B2 (ja) * 2010-06-17 2015-08-19 正啓 浅山 眼鏡用測定具、眼鏡用測定具セット及び眼鏡用測定具による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943U (ko) 1992-06-17
JPH0485323U (ko) 1992-07-24
JPH075460Y2 (ja) 1995-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oks System for ophthalmic dispensing-e-book
US7996997B2 (en) Spectacle measuring tool
EP0346032B1 (en) Contact len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otation using such contact lens
US6607271B2 (en) Method for mounting ophthalmic lenses
US6132045A (en) Eyeglass frame fitting apparatus, kit and method
JP2016136290A (ja) 余剰内部光学材料を有するワンピースレンズ
US5677751A (en) Decals for multifocals
US95292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customized adjustment parameter of a lens carried by a spectacles frame facing the eye of a wearer
JP3240242B2 (ja) アイポイント測定具
KR940000880Y1 (ko) 안경테 선정용 기구
US20190179174A1 (en) Eyewear Measur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4561739A (en) Trial spectacles
US4131338A (en) Measurement of interpupillary distance
Tang et al. Facial measurements for frame design
JP3650300B2 (ja) 瞳孔位置測定具
CN109073915A (zh) 用于确定镜片放置和对齐的镜片边缘特征
CN212433531U (zh) 一种眼镜架两镜片框面形角度测量装置
KR102127663B1 (ko) 안경 설계점 측정 장치
JP2507645Y2 (ja) 眼鏡レンズのレイアウト補助具
JP2503770Y2 (ja) 眼鏡レンズの枠入れ補助具
CN215348889U (zh) 在模拟镜片上设置有瞳距检测图的镜架
KR20240048427A (ko) 안경테 각도측정자
JP2014071420A (ja) 眼鏡フレームのダミーレンズ及び眼鏡フレーム
JP2507644Y2 (ja) 眼鏡レンズの枠入れ補助具
US20230333414A1 (en) Eyewear Measuring and Adjustment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