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88Y1 -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88Y1
KR940000488Y1 KR2019880010269U KR880010269U KR940000488Y1 KR 940000488 Y1 KR940000488 Y1 KR 940000488Y1 KR 2019880010269 U KR2019880010269 U KR 2019880010269U KR 880010269 U KR880010269 U KR 880010269U KR 940000488 Y1 KR940000488 Y1 KR 940000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inch roller
pinch
lever
ca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431U (ko
Inventor
최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488Y1/ko
Publication of KR900001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5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with single capstan or drum simultaneously driving the record carrier at two separate points of an isolated part thereof, e.g. the capstan acting directly on the tape roll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제1도는 종래의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단면 전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8 : 캠기어
9 : 캠레바 10 : 안내핀
11 : 스프링걸림턱 12 : 스톱퍼
16 : 핀치아암 17 : 스프링걸림턱
18 : 스톱퍼 20 : 압착스프링
21 : 장홈 22 : 스톱퍼
23 : 제2캠레바 24 : 안내핀
본 고안은 VCR의 테이프 이동을 위한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착장치의 구조를 개량하여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써 캠의 동작을 정확히 핀치구동에 전달시켜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작공정을 단축시켜 생산효율 및 원가인하에 도움을 주도록 안출한 핀치로울러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로딩모타(2)에 축착된 풀리(3)와 워엄(4)의 풀리(5)를 벨트(6)로 연결하고, 상면에 캠호(7)이 형성된 캠기어(8)를 상기 워엄(4)와 치합시키고, 일단이 축핀(30)으로 굴대설치된 캠레바(9)의 안내핀(31)을 상기 캠홈(7)에 설치하여, 캡스탄휘일(13)과 일체로 돌출된 캡스탄축(14)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핀치아암(16)의 말단에 핀치 로울러(15)를 굴대설치하고, 상기 핀치아암(16)의 중간을 축핀(19)으로 굴대설치하며, 그 핀치 로울러(15)의 타단과 캠레바(9)의 타단에 홀더레바(32)를 축핀(33), (34)으로 굴대설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홀더레바(32)는 슬라이드홈(35), (36)을 형성시킨 후 "ㄱ"형 홀더(37)의 일단을 상기 축핀(33)에 굴대설치하며, 상기 홀더레바(32)와 홀더(37)를 압착스프링(20)으로 탄력있게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착장치는, 테이프를 안출하기 위해 마이콤의 지령에 의해 로딩모타(2)가 회전하면 벨트(6)를 통해 워엄(4)이 회전되어 이와 치합된 캠기어(8)의 회전으로 캠홈(7)에 설치된 캠레바(9)의 안내핀(31)이 그 캠홈(7)에 의해 안내되어 캠레바(9)가 축핀(3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레바(9)의 회전으로 축핀(33)에 굴대설치된 홀더레바(32)가 캠레바(9)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캠레바(9)는 홀더(37)와 일체로 고정설치 되어있고 홀더레바(32)는 홀더(37)와 압착스프링(20)으로 탄력있게 연결되어 있으나 캠레바(9)가 홀더(37)를 당기는 힘이 홀더(37)와 홀더레바(32)를 연결한 압착스프링(20)의 탄력보다 작기때문에 결국 압착스프링(20)이 홀더(37)와 홀더레바(32)를 일체로 결제한 상태에서 홀더레바(32)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홀더레바(32)에 굴대설치된 핀치아암(16)이 축핀(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므로써 핀치 로울러(15)가 캡스탄축(14)에 밀착하게 된다.
핀치 로울러(15)가 캡스탄축(14)에 밀착된 후 소정의 압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캠기어(8)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캠레바(9)는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축핀(33)이 홀더(37)를 계속 당겨주게되고, 이때 홀더레바(32)에 연결된 핀치아암(16)의 핀치로울러(15)는 캡스탄축(14)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더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홀더(37)는 계속 당겨지려고 하고, 홀더레바(32)는 이동할 수 없게됨에 따라 캠레바(9)가 당기는 힘이 압착스프링(20)의 탄력보다 강하게 되기 시작하면서 압착스프링(20)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 압착스프링(20)이 늘어나는 만큼의 탄력이 그래도 핀치로울러(15)에 전달하여 캡스탄축(14)에 압착력을 작용시켜 핀치 로울러(15)와 캡스탄축(14)사이에 테이프를 압착시킴과 동시에 캡스탄휘일(13)의 회전으로 테이프가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핀치 로울러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캠레바(9), 홀더레바(32), 홀더(37)등으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제작공정이 까다롭고 또한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는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캠레바와 핀치아암만으로 핀치로울러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레바, 홀더레바, 홀더로 이루어지는 구성보다 간단하고, 또한 작동이 정확하여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인해 생산원가를 인하시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부호1은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이며, 그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1)는, 로딩모타(2)에 풀리(3)을 축착한 후 워엄(4)의 풀리(5)와 벨트(6)로 연결한다.
상면에 캠홈(7)이 형성됨 캠기어(8)를 상기 워엄(4)과 치합시킨다.
부호9는 캠레바로써, 일단은 안내핀(10)을 돌출시켜 상기 캠기어(8)의 캠홈(7)에 설치하고, 타단에 스프링 걸림턱(11)과 스톱퍼(12)를 형성한다.
한편, 캡스탄휘일(13)에 캡스탄축(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캡스턴축(14)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핀치 로울러(15)를 핀치아암(16)의 일단에 굴대설치한다.
상기 핀치아암(16)의 타단에는 스프링걸림턱(17)과 스톱퍼(18)를 형성시켜 상기 캠레바(9)와 핀치아암(16)을 축핀(19)으로 굴대설치한다.
그후, 상기 캠레바(9)의 스프링걸림턱(11)과 핀치아암(16)의 스프링걸림턱(17)을 압착스프링(20)으로 탄력있게 연결하여 각각의 스톱퍼(12)와 (18)를 접촉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핀치아암(16)을 "ㄱ"자형으로 형성하고, 일단에 장홈(21)을 형성하여 스프링 걸림턱(17)과 스톱퍼(22)가 형성된 제2캠레바(23)의 안내핀(24)을 설치한다.
그후, 제2캠레바(23)의 일단을 상기 캠레바(9)에 축핀(25)으로 굴대설치한 후 캠레바(9)의 스프링걸림턱(11)과 제2캠레바(23)의 스프링걸림턱(17)를 압착스프링(20)으로 탄력있게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로딩모타(2)의 회전에 의해 벨트(6)로 워엄(4)을 회전시키므로써 캠기어(8)가 회전하게 된다.
캠기어(8)의 회전으로 캠홈(7)에 설치된 캠레바(9)의 안내핀(10)이 캠홈(7)의 안내를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캠레바(9)에 탄력있게 연결된 압착스프링(20)에 의해 핀치아암(16)이 축핀(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핀치아암(16)의 핀치 로울러(15)가 캡스탄축(14)에 밀착하게 되며, 캡스탄축(14)에 소정의 압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캠기어 (8)가 계속 회전하게되면 핀치 로울러(15)는 캡스탄축(14)에 밀착된 상태에서 더이상 이동할 수 없으므로 결국 캠레바(9)만 축핀(19)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캠레바(9)와 핀치아암(16)을 압착스프링(20)으로 탄력있게 연결되어 있으나 캠레바(9)가 회동하게 되므로써 압착스프링(20)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압착스프링(20)이 늘어난만큼 그 탄력이 캡스탄축(14)과 핀치로울러(15)사이에 압착력으로 작용된다.
그러므로, 캡스탄축(14)과 핀치 로울러(15)사이에 압착된 테이프는 캡스탄휘일(13)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은, 상술한 작동과 동일하므로 부분적인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캠기어(8)가 이동하게 되면 제2캠레바(23)는 축핀(25)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핀치아암(16)은 축핀(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핀치 로울러(15)가 캡스탄축(14)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부품의 수를 줄여 압착장치의 작동을 정확히 핀치구동에 전달시켜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작공정을 단축시켜 생산효율 및 원가인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캠기어(8)에 의해 작동되는 캠레바(9)와 핀치 로울러(15)를 굴대설치시킨 핀치아암(16)을 굴대설치한 후 압착스프링(20)의 탄력에 의해 캡스탄축(14)에 압착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레바(9)의 일단에 안내핀(10)을 형성하여 캠기어(8)의 캠홈(7)에 설치하며, 타단에 스프링걸림턱(11)과 스톱퍼(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핀치아암(16)의 일단에 스프링걸림턱(17)과 스톱퍼(18)를 형성하여 상기 캠레바(9)의 스프링 걸림턱(11)과 핀치아암(16)의 스프링 걸림턱(16)을 압착스프링(20)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아암(16)을 "ㄱ"자형으로 형성한 후 일단에 장홈(21)을 형성하고, 스프링걸림턱(17)과 스톱퍼(22)가 형성된 제2캠레바(23)를 캠레바(8)의 축핀(25)에 굴대설치한 후 일단에 형성된 안내핀(24)을 상기 핀치아암(16)의 장홈(21)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KR2019880010269U 1988-06-29 1988-06-29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KR940000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269U KR940000488Y1 (ko) 1988-06-29 1988-06-29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269U KR940000488Y1 (ko) 1988-06-29 1988-06-29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431U KR900001431U (ko) 1990-01-18
KR940000488Y1 true KR940000488Y1 (ko) 1994-01-26

Family

ID=1927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269U KR940000488Y1 (ko) 1988-06-29 1988-06-29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4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431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488Y1 (ko) 핀치 로울러 압착장치
US3098596A (en) Measuring and feeding apparatus
US5182691A (en) Magnetic head cleaning system for rotary head devices
JPS5841930B2 (ja) 無端金属ベルトの製造方法並びに装置
KR870002525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KR890002043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용 핀치로울러 구동 및 압착장치
KR910002327Y1 (ko) 디에이티의 핀치롤라구동 및 압착장치
KR90000507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가이드 포스트 압착장치
KR940004320Y1 (ko) 브이씨알의 미들폴 및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KR890002526Y1 (ko) Vtr의 핀치롤러와 아이들러 구동장치
KR940001432Y1 (ko) Vcr의 슬랜트 포스트 베이스 압착 장치
CN217915335U (zh) 一种可变轨机械臂
KR910000965Y1 (ko) 브이씨알의 경사포스트 조립체 압착장치
KR940004842Y1 (ko) 브이씨알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KR970007160Y1 (ko) 브이씨알의 핀치롤러 압착장치
KR0120091Y1 (ko) 캠코더의 핀치 로울러 구동 및 압착 장치
JPS6350785B2 (ko)
KR940004318Y1 (ko) 로딩 링을 이용한 브이 씨 알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KR890000777Y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의 가이드암 및 핀치로울러암 구동장치
KR88000435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
CN209035341U (zh) 一种电缆折弯装置
JPH0213799Y2 (ko)
JPH0211690Y2 (ko)
KR890000155Y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용한 로우딩기어 및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KR850001386Y1 (ko) 핀치레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