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29Y1 -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29Y1
KR940000429Y1 KR2019910017854U KR910017854U KR940000429Y1 KR 940000429 Y1 KR940000429 Y1 KR 940000429Y1 KR 2019910017854 U KR2019910017854 U KR 2019910017854U KR 910017854 U KR910017854 U KR 910017854U KR 940000429 Y1 KR940000429 Y1 KR 94000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adhesive
flocking
processing device
doctor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849U (ko
Inventor
이주덕
이순상
Original Assignee
이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상 filed Critical 이순상
Priority to KR2019910017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429Y1/ko
Publication of KR930008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받침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포 2 : 공급롤러
3 : 닥터나이프 4 : 접착제
5 : 식모실 6 : 예비 건조실
7 : 권취 롤러 8 : 요홈
9 : 받침판
본 고안은 요철면이 형성된 P.V.C.비닐 시이트 또는 스폰지레져등의 기포표면에 파일을 보다 정확하게 플로킹(Flocking)할수 있도록 개선한 플로킹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표면에 요철면이 형성된 P.V.C.비닐 시이트등의 기포에 접착제를 도포화되 요철면의 요입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되도록하고 플로킹 가공하므로서 단 섬유가 접착제가 도포된 요입부에만 식모되어 특이한 미감을 갖도록하는 것은 공지이다.
P.V.C.비닐 시이트등 기포의 요입부에만 단 섬유가 식모되도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 실용신안공고제91-3651호와 같이 공급롤러로 부터 식모실로 공급되는 기포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2개의 지지롤러로 지지하여 기포가 적절한 긴장력을 유지하도록하고 2개의 지지롤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닥터 나이프를 설치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장치는 기포에 가해서는 장력이 고르지 못하여 접착제가 원하지 않는곳에 도포되거나 원하는 곳에 도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양측지지롤러가 균일한 장력을 가하도록 정확히 설치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며 또 필요한 경우 장력을 재 조정하기가 용이하지 못한등의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지지롤러 대신 받침판에 의하여 장력을 적절히 유지하도록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요철면이 형성된 기포(1)가 공급롤러(2)로부터 공급되고 닥터나이프(3)를 지나면서 접착제(4)가 도포되고 식모실(5)과 예비 건조실(6)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식모 및 건조된 다음 권취롤러(7)에 권취되도록한 플로킹 가공장치에 있어서, 닥터나이프(3) 아래에 요홈(8)이 상면에 형성된 받침판(9)을 설치하여 기포(1)가 받침판(9)위에 통과 하도록하되 닥터나이프(3)의 단부(3')가 요홈(8)위에 위치토록 하여서 된것이다.
미 설명 부호 (10)은 기포의 요입부, (11), (12), (13)은 안내롤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공급롤러(2)로 부터 공급되는 기포(1)가 닥터나이프(3) 아래를 지나면서 접착제(4)가 도포되고 식모실(5)에서 식모되어 예비건조실(6)을 통과한 다음 권취롤러(7)에 권취되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받침판(9)의 위치를 적절히 높게하여 주면 받침판(9)위를 지나는 기포(1)에 적절한 장력이 고르게 주어지므로 닥터나이프(3)에 의하여 기포(1)의 요입부에만 정확하게 접착제(4)가 도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개의 지지롤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적게 들뿐아니라 장력 조정시에도 받침판(9)의 위치만 간단히 이동시키면 되므로 두개의 지지롤러를 이동시키고 조정하여야 하는 종래보다 신속 간편하며 특히 두개의 지지롤러에 의한 장력부여는 기포(1)에 장력이 고르게 부여되지 못하여 원하지 않는곳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원하는 곳에 도포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받침판(9)에 의하여 장력이 고르게 부여되므로서 접착제가 정확하게 원하는 곳에만 도포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급롤러(2)에 공급되는 기포(1)가 닥터나이프(3)를 지나면서 접착제(4)가 도포되고 식모실(5)가 예비 건조실(6)을 지나면서 식모 및 건조되고 권취롤러(7)에 권취되는 플로킹 가공장치에 있어서, 닥터나이프(3) 아래에 요홈(8)이 형성된 받침판(9)을 설치하여 기포(1)가 받침판(9)위를 통과하도록 한 플로킹(Flocking) 가공장치.
KR2019910017854U 1991-10-22 1991-10-22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KR94000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854U KR940000429Y1 (ko) 1991-10-22 1991-10-22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854U KR940000429Y1 (ko) 1991-10-22 1991-10-22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849U KR930008849U (ko) 1993-05-25
KR940000429Y1 true KR940000429Y1 (ko) 1994-01-24

Family

ID=1932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854U KR940000429Y1 (ko) 1991-10-22 1991-10-22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4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58A (ko) * 2001-05-04 2002-11-09 박학원 전면 칼라(color) 후로킹(floc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58A (ko) * 2001-05-04 2002-11-09 박학원 전면 칼라(color) 후로킹(flo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849U (ko)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3369A1 (en) Digital Printing and Finishing Method For Fabrics And The Like
JPS5919752Y2 (ja) 繊維および類似帯状物を連続的に処理する装置
DE69811920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papier
US3927814A (en) Guide for a moving belt
US4387118A (en) Minimizing voids in foam coating
ES2000414T3 (es) Lamina termoplastica, en particular lamina termoplastica de membrana,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dispositivo para llevar a cabo el procedimiento.
US3788106A (en) Apparatus for printing on textile fabric
KR940000429Y1 (ko) 플로킹(Flocking)가공장치
US4473929A (en) Magnetically cushioned cloth tentering device
US3929097A (en) Apparatus for coating a web
US3943735A (en) Continuous decatizing machine
US3783074A (en) Method of bonding using strings of adhesive
KR20000052348A (ko) 섬유실 슬래싱 시스템
US3568594A (en) Rotary printer for applying a pattern to a flocked sheet
US484579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treating liquor on an absorptive, compressible material web
KR910003651B1 (ko) 플로킹 가공방법 및 장치
US20230069706A1 (en) Inkjet Printer for Decorating Cloth
FI943854A (fi) Rullauslaite jatkuvaa rainaa varten
FI903731A0 (fi) Kantorullain-kelauslaite ainerainojen kelaamiseksi
FI944748A0 (fi) Laite materiaalirainan erityisesti paperi- tai kartonkirainan päällystämiseksi
JPS6414363A (en) Zigger
KR102068191B1 (ko) 롤원단 권출기구를 갖춘 전사기
JP3283961B2 (ja) 長尺布帛のノーテンション移送装置
JPH03210300A (ja) 刺繍用アイロン仕上げ装置
KR950009303Y1 (ko)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