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85Y1 -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85Y1
KR940000085Y1 KR2019910009575U KR910009575U KR940000085Y1 KR 940000085 Y1 KR940000085 Y1 KR 940000085Y1 KR 2019910009575 U KR2019910009575 U KR 2019910009575U KR 910009575 U KR910009575 U KR 910009575U KR 940000085 Y1 KR940000085 Y1 KR 940000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air
case
bracket
gas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203U (ko
Inventor
이윤탁
전세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85Y1/ko
Publication of KR930001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보일러 케이스 2 : 공기배출관
3 : 에어벤트 4 : 고정구
5 : 브라켓트 6 : 절결부
7 : 개구부 8, 11 : 통공
9 : 걸림홈 10 : 커버
12 : 지지부 D : 걸림홈의 넓이
d : 개구부(7)의 넓이
본 고안은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 벤트(Air Vent)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보일러의 케이스 내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의 자유단부에 절결부를 형성시켜, 에어벤트의 나사결합용 고정구의 걸림홈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물공급관내의 공기를 빼내는 에어밴드가 케이스의 상면으로 돌출시켜 본체 케이스의 전면덮개를 분해하지 않고도 물공급관내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한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보일러에 설치된 에어벤트 고정구는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 본체 케이스내에 배관되어 있는 물공급관의 적당한 위치에 용접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그 고정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에어밴트 고정구가 물공급관의 외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조립형상에 의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함은 물론, 이때 차지하는 공간설치 면적은 다른 부품을 조립할 때 작업에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벤트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배관내에 있는 공기를 배관밖으로 유출시키기 위해서는, 그때 마다 가스보일러의 전면덮개를 본체에서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스보일러 케이스의 상면으로 에어 벤트의 상단부를 돌출시키기 위하여 에어벤트에 고정구를 설치하고, 고정구에 공기 배출관을 연결시켜 기수분리기와 연결관을 연결하고 에어벤트의 고정구 케이스내 상부에 설치하는 브라켓트에 고정시키고, 기스 분리기에서 분리된 배관내의 공기를 제거할 때 케이스의 전면 덮개를 분해할 필요없이 케이스본체 외부에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벤트를 케이스의 상면에 천공된 통공을 통해 고정구에 직접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에어벤트 및 에어벤트 고정구의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에어벤트의 고정구가 관들과 함께 일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미관상 미려하게 됨은 물론, 다른 부품 조립시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 장치는 가스보일러의 케이스(1)내에 설치된 파이프에 배관내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에어벤트(3)를 설치하는 통상의 밀폐식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가스보일러 케이스(1)상면(1')에는 통공(8)을 뚫고, 상기 통공(8)의 표면에는 에어벤트(3) 삽입용 통공(11)이 뚫린 커버(10)가 나사(13)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10)의 통공(11)은 그 주연을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지지부(12)를 형성한다. 상기 통공(11)을 통해 끼워지는 에어벤트(3) 저부의 볼트부(3')는 기수분리기에 설치되어 케이스 대 상측에 위치한 공기배출관(2)의 고정구(4)에 결합되어져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4)의 원주면에는 에어벤트의 상단부가 케이스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9)을 파내어 형성한다.
상기 가스보일러 케이스(1)의 내상측에는 상기 에어벤트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5)을 설치한다.
상기 브라켓트(5)의 일측 자유단부에는 상기 걸힘홈(9)과 상응하는 크기의 절결부(6)를 트여지게 형성하고, 타측은 케이스 벽면에 나사(16)로 고정하는 것으로, 자유단부의 절결부(6)가 상기 고정구(4)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홈(9)에 끼워져 에어벤트(3)의 설치상태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절결부(6)의 개구부(7) 입부, 넓이(d)는 상기 걸림홈(9)의 직경(D)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4)의 걸림홈(9)부가 절결부(6)로 끼워질 때 강제로 끼워지게 되며, 끼워진 후에는 고정구(4)가 브라켓트(5)으로 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4는 공기를 빼내는 에어콕크이고, 15는 밀폐용 0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결부(6)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5)를 가스보일러의 케이스(1)내면의 상측에 고정시키고, 고정구(4)가 상단에 구비된 공기배출관(2)의 하단부를 기수분리기(도시없음)에 연결하게 되면, 고정구(4)의 걸림홈(9)부가 브라켓트(5), 절결부(6)의 개구부(7)에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4)를 개구부(7)측으로 힘을 주어 삽입하면 걸림홈(9)의 직경(D)보다 작은 넓이(d)를 갖는 개구부(7)는 강제로 삽입되는 고정구(4)의 걸림홈(9)의 양측면에 의해 탄력 있게 벌어지므로 걸림홈(9)이 개구부(7)를 통과하는 동안 약간 벌어졌다가 고정구(4)의 걸림홈(9)부가 브라켓트(5)의 절결부(6)에 완전히 삽입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고정구(4)는 브라켓트(5)에 고정되는 것이고, 이로써 절결부(6)에서 고정구(4)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4)를 브라켓트(5)에 고정시키게 되면 가스보일러케이스(1) 상면(1')에 천공된 통공(80)과 공기유출관(2)의 고정구(4)가 일치되는 데, 그의 상부에는 에어벤트(3)가 끼워지는 통공(11)과 에어벤트(3)의 외주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부(12)가 구비된 커버(10)가 나사(13)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일러케이스(1)의 상면(1')에 고정된 커버(10)의 통공(11)을 통해 에어벤트(3)를 밀어 넣은 다음, 에어벤트(3)의 몸체를 잡고 돌려주게 되면, 에어벤트(3)의 볼트부(3')가 고정구(4)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O링(15)은 에어벤트(3)와 고정구(4)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고, 커버(10)의 지지부(12)는 에어벤트(3)가 결합될 때, 그의 외주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시켜줌과 동시에, 에어벤트(3)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이후, 가스보일러의 연소중 각각의 물공급관을 흐르고 있는 물에 포함된 공기는 기수분리기를 통해 분리되어, 에어벤트(3)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일러 케이스(1)의 전면덮개를 분해할 필요없이 케이스(1)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에어벤트(3)의 에어콕크(14)만을 개방하게 되면, 공기유출관(2)과 결합된 에어벤트(3)의 에어콕크(14)를 통해 물에서 분리된 공기가 밖으로 유출되므로, 물공급관내의 공기를 편하고 손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벤트(3)를 공기배출관(2)으로 부터 분리시키고자 할때도 보일러케이스의 전면덮개를 분해할 필요없이 커버(10)의 통공(12)을 통해 가스보일러 케이스(1)의 상면으로 돌출된 에어벤트(3) 몸체를 잡고 돌려주기만 하면, 공기유출관(2)에 고정된 고정구(4)로 부터 에어벤트(3)의 나사부(3')가 손쉽게 풀리게 되므로, 분해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 브라켓트(5)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벤트 고정구(4)를 분해 하고자 할 때는 상기와 같이 에어벤트(3)를 분해시킨 상태에서 전면덮개를 분해시킨 다음, 고정구(4)의 몸체를 잡고 앞쪽으로 비교적 세게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에서와 같이 절결부(6)의 개구부(7)가 고정구(4)의 걸림홈(9)에 의해 약간 벌어지게 되므로, 브라켓트(5)으로 부터 고정구(4)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고정구(4)가 브라켓트(5)의 절결부(6)로 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걸림홈(9)의 직경(D)만큼 벌어졌던 개구부(7)의 넓이는 원상태의 직경(d)으로 환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물공급관내에서 분리된 공기를 빼내는 에어벤트가 가스보일러의 케이스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공기를 빼낼 때 가스보일러의 전면덮개를 분해시킬 필요없이 케이스 상면으로 돌출된 에어벤트의 에어콕크만 열어주면 물공급관내의 공기는 대기중으로 유출되므로, 공기를 손쉽게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벤트의 분해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케이스에 고정된 브라켓트의 단부에 고정구의 걸림홈, 직경(D)보다 약간 작은 넓이(d)를 갖는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된 절결부를 형성시켜, 브라켓트의 절결부에 고정구의 걸림홈이 억지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고정구의 분해조립이 매우 간편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구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다른 부품조립시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가스보일러의 배관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분리하여 공기 배출관(2)의 안내로 그 단부에 설치되는 에어벤트(3)로 에어를 베출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에어밴트(3)는 케이스(1)의 상면(1')에 뚫어진 통공(8)을 통해 그 상부로 돌출되게 관통하여 세워지게 위치하여 상기 공기 배출관(2)의 고정구(4)와 나사 결합시키고, 이 고정구(4)에는 하단에 파여진 걸림홈(9)과 상응하는 크기의 절결부(6)가 파여지며, 나사(16)로 케이스(1)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트(5)로 끼워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상면(1')에 노출되는 에어벤트(3)에 그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의 통공(11)이 뚫어진 커버(1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가스 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5)는 절결부(6)와 연통되게 트여지며 걸림홈(9)의 직경(D)보다 작은 입구(d)를 갖는 개구부(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KR2019910009575U 1991-06-26 1991-06-26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KR940000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575U KR940000085Y1 (ko) 1991-06-26 1991-06-26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575U KR940000085Y1 (ko) 1991-06-26 1991-06-26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03U KR930001203U (ko) 1993-01-21
KR940000085Y1 true KR940000085Y1 (ko) 1994-01-10

Family

ID=1931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575U KR940000085Y1 (ko) 1991-06-26 1991-06-26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03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26411A (ru) Беззаборная кнопка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клапана
KR20000068205A (ko) 하우징 필터
KR102432375B1 (ko) 캡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940000085Y1 (ko) 밀폐식 가스보일러의 에어벤트 고정장치
KR200304821Y1 (ko)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SE9400835L (sv) Ventilinsats
RU200211029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DK0726368T3 (da) Udløbsventil til en cisterne
CN210601806U (zh) 拼装式吸油烟机
KR0115740Y1 (ko) 차량 연료탱크의 수분 배출밸브
RU2002133672A (ru) Центробежная форсунка
JPS629478Y2 (ko)
CA2369490A1 (en) Vent termination receptacle with damper
FR2671124A1 (fr) Chapeau de cheminee demontable.
JPH023061Y2 (ko)
JPH05187720A (ja) 排気端末装置
KR200271248Y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립구조
JP2869697B2 (ja) 真空弁マス内仕切弁
JPS6170296A (ja) 気水分離器を備えたドレントラツプ
KR960003868Y1 (ko)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JPS603965Y2 (ja) エアクリ−ナ
KR200310749Y1 (ko) 공기정화기의 필터설치구조
KR100592125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봉투 고정장치의 체결 구조물
SU643712A1 (ru) Вантуз
KR200238722Y1 (ko) L.p.g 가스통에 착탈되는 압력조정기의 가스유출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