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46Y1 - 차단기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46Y1
KR940000046Y1 KR2019910019420U KR910019420U KR940000046Y1 KR 940000046 Y1 KR940000046 Y1 KR 940000046Y1 KR 2019910019420 U KR2019910019420 U KR 2019910019420U KR 910019420 U KR910019420 U KR 910019420U KR 940000046 Y1 KR940000046 Y1 KR 940000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handle
operating
circuit breaker
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022U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중전기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전기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9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46Y1/ko
Publication of KR930012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2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기의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2도는 차단기의 핸들을 나타낸 것으로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정면도.
제3도는 차단기의 상태변화에 따른 핸들위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부 11 : 소호실
14 : 트립레버 20 : 케이스부
22 : 작동공 23 : 투시창
30 : 표시부 35, 36, 37 : 도착층
본 고안은 차단기의 현재상태를 먼거리에서도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누전이나 과전류가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차단토록 설치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다.
차단기는 외부전원과 내부전원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온'상태와, 인위적으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오프'상태, 그리고 '온'상태에서 사용중 과전류와 같은 이상현상시 자체 작동으로 인해 그 전원을 차단하는 '트립'상태를 각각 갖게 된다.
이러한 차단기의 '온, 오프'상태는 케이스의 전면부측으로 핸들이 위치된 상부와 하부에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주로 합성수지재로 되는 테이스를 성형할 때, '온,오프'표시를 일체로 음각, 또는 양각의 방법으로 표시되어, 차단기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핸들의 위치를 이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트립의 위치는 핸들이 '온, 오프'의 중간위치를 갖게 되므로, 그 표시를 나타내지 못하고, 사용자가 대략 핸들의 위치에 따라 현재 차단기의 상태를 감지토록 하므로서, 정확한 식별이 난이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트립상태의 인식이 경험에 의해 핸들의 위치로 대략 트립상태를 감지케 하므로, 부주의로 오동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외에도, 상기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온, 오프'의 표시 또한, 먼 거리에서는 관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그 표시부가 먼지나 기름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식별이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온, 오프'의 표식 국내 공개 실용신안 89-14758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개폐조작용 손잡이의 양측으로 몸체와 다른 색을 갖는 표시판을 억지 마춤의 방법으로 끼워 그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알려진 바 있었다.
따라서,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온'상태 및 '오프'상태를 색상의 식별로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는 어느 정도 갖고 있기는 하였으나, 이는 단지 '온'과 '오프'상태로 구분되는 차단기에만 적용될 수 밖에 없는 사용상에 많은 제한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핸들의 각부 위치에 해당표시를 각각 나타내도록 하고, 원거리에서도 쉽게 그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 '오프'는 물론 '트립'상태를 갖는 차단기에 있어서도 그 위치를 원거리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호실(11)내의 단자판(12)과 가동자(13)의 접점에 의해 전원을 연결하고, 이상현상 발생시 상기 가동자(13)가 분리되며 트립레버(14)를 레치(15)로부터 걸림상태를 해지토록 하는 작동부(10)와, 상기 작동부(10)의 외부면을 감싸지도록 설치되어 그 전면판(21)으로 작동공(22)이 뚫어지는 케이스부(20)와, 상기 작동공(22)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되는 핸들(31)이 하부양단에 일체로 펼쳐진 연장판(32)으로 핸들레버(33)를 끼워지게 하여, 이에 핀으로 연결된 트립레버(14)의 회동으로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20)에 뚫어진 작동공(22)을 제외한 전면판(21)에 투시창(23)을 뚫어지게 하고, 상기 핸들(3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2)에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라 위치 전환된 핸들(31)의 '온, 트립, 오프'의 해당위치에 서로다른 이색을 갖는 도착층(35), (36), (37)을 각각 도착시켜 투시창(23)을 통해 표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10)는 외부전원의 연결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차단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제1도에서는 상기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제1a도는 정상적인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소호실(11)내의 단자판(12)이 가동자(13)와 접하여 전원이 가동자(13)를 통해 인입토록 하고, 트립레버(14)는 레치(15)에 걸려진 상태에 핸들레버(33)와 핀으로 연결되는 핸들(31)을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는 상태이므로, 핸들(31)은 작동공(22)의 일측으로 경사져 '온'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제1b도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오프'시키거나, 또는 아직 설치하기 직전의 전원 단락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소호실(11)내의 단자판(12)과 가동자(13)가 분리되고, 핸들레버(33)에 연결된 핸들(31)이 작동공(22)의 타측으로 기울어진 '오프'위치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1c도는 작동부(10)가 '온'상태에서 배선의 이상으로 인해 과압이나 기타 이상현상이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가동자(13)가 분리되며, 전원을 단락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트립레버(14)가 레치(15)으로 부터 분리되어, 다시 '온'으로 조작시켜도, 트립레버(14)가 레치(15)에 걸려지지 않게 되므로 연결되지 못하고, 원인제거 후, '오프'상태로 1차 전환시킨 다음 '온'으로 인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20)는 상기 작동부(10)를 감싸지게 하는 구조부이다. 따라서 주로 합성수지재로 사출되며, 그 전면에는 상기 핸들(31)이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라 위치 전환하는 것을 안내토록 작동공(22)이 뚫어지게 된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작동부(10)의 전원연결 상태에 따라 그 상황을 표식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핸들(31)의 하부로 끼워 핸들레버(33)가 연결대(34)와 연결되는 트립레버(14) 및, 가동자(13)의 위치에 따라 위치 전환되며, 핸들(31)을 좌, 우(또는 상, 하로)로 이동토록 하여, 그 핸들(31)이 위치된 표시로 전원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작동부(10)가 전원을 연결시킨 상태는 제1a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핸들(31)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작동공(22)의 일측으로 표식된 문자로 '온'상태를 감식케 하고 제1b도와 같이 전원이 단락된 상태는 이와 반대로 치우친 핸들(31)의 위치가 작동공(22)타측으로 표식된 '오프'를 가르키게 되어 이를 감식토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종래와 같이 문자에 의한 표식이외에 각각의 상태를 서로다른 색상의 표시로 용이하게 그 상태를 감지토록 하는 데 있다. 즉, 상기 케이스부(20)의 저면판(21)에 파여진 작동공(22)의 중간위치로 투시창(23)을 뚫어지게 하고, 상기 핸들(3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된 연장판(32)의 상부면에 서로다른 색상의 도착층(35), (36), (37)을 형성하여, 핸들(31)이 작동부(10)의 각 상태에 따라 위치되는 것을 색상의 구분으로 인식토록 한다.
상기 투시창(23)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작동공(22)의 중간위치로 뚫어지는 바, 보다 넓은 시각화보를 위해 양측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어떠한 위치에서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핸들(31)의 연장판(32)에 형성되는 도착층(35), (36), (37)은 핸들(31)이 '온'상태를 유지토록 경사진 상태를 감안한 위치로 한 개의 도착층(37)을 표식하고, 또 핸들(31)이 '오프'상태로 타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감안한 투시창(23)의 위치로 다른 도착층(35)을 형성하며, 그리고 핸들(31)이 트립상태를 갖도록 위치된 것을 감안하여 상기 연장판(32)의 상부면에 또 다른 도착층(36)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착층(35), (36), (37)은 각각 서로다른 색상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일예로 '온'상태는 적색을 도착하고, '오프'상태는 녹색을, 그리고 '트립'상태는 백색의 색상으로 서로다른 표식을 갖게 하여, 문자의 표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그 색상을 이용해 전원 연결상태를 감독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도착층(35), (36), (37)은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발광도료나 측광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서도 식별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도착층(35), (36), (37)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면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연장판(32)에 미세한 홈을 파여지게 하여 도료가 채워지는 방법과, 유색스티커를 해당위치에 접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수명등을 감안하여 전기한 바와 같이 홈으로 도료가 채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한다.
그리고,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착층(35), (36), (37)에 의한 각각의 상태를 표식하는 이외에는 종래와 같이 케이스부(20)의 전면판(21)으로 '온, 오프'표시를 문자로 겸하여 나타내도록 하므로서, 감시자가 보기에 편한 표식을 관찰하여 현재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토록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차단기의 현재상태를 색상구분에 의해 원거리는 물론, 어두운 장소에서도 쉽게 확인토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사용으로 인해 표식부가 훼손되어 식별치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소호실(11)내의 단자판(12)과 가동자(13)의 접점에 의해 전원을 연결하고, 이상현상 발생시 상기 가동자(13)가 분리되며 트립레버(14)를 레치(15)로 부터 걸림상태를 해지토록 하는 작동부(10)와, 상기 작동부(10)의 외부면을 감싸지도록 설치되어 그 전면판(21)으로 작동공(22)이 뚫어지는 케이스부(20)와, 상기 작동공(22)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되는 핸들(31)이 하부양단에 일체로 펼쳐진 연장판(32)으로 핸들러버(33)를 끼워지게 하여, 이에 핀으로 연결된 트립레버(14)의 회동으로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는 케이스부(20)에 뚫어진 작동공(22)의 양측으로 전면판(21)에 투시창(23)을 뚫어지게 하고, 상기 핸들(3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2)에 작동부(10)의 상태에 따라 위치전환 된 핸들(31)의 '온, 트립, 오프'의 해당 위치에 서로다른 이색을 갖는 도착층(35), (36), (37)을 각각 도착시켜 투시창(23)을 통해 표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층(35), (36), (37)은 발광도료로 형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표시장치.
KR2019910019420U 1991-11-14 1991-11-14 차단기의 표시장치 KR940000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420U KR940000046Y1 (ko) 1991-11-14 1991-11-14 차단기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420U KR940000046Y1 (ko) 1991-11-14 1991-11-14 차단기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022U KR930012022U (ko) 1993-06-25
KR940000046Y1 true KR940000046Y1 (ko) 1994-01-05

Family

ID=1932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420U KR940000046Y1 (ko) 1991-11-14 1991-11-14 차단기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022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343A (en) Valve actuator
DE102007014264B4 (de) Leucht-Schaltstellungsanzeige
BR0211812A (pt) detecção e controle de pragas
KR102050403B1 (ko) 배전용 개폐기 동작표시기
CN109844884A (zh) 具有照明结构和指示的开关
US11881366B2 (en) Switch with illumination surface illuminated with different states of illumination
KR940000046Y1 (ko) 차단기의 표시장치
US4342979A (en) Lighted circuit breaker
CN100418280C (zh) 电路断路器
DE19737908A1 (de) Elektrischer Tastschalter mit Schriftfeld
US6342995B1 (en) Lighted escutcheon plate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20210209903A1 (en) Safety disconnect mechanism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70025Y1 (ko)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CN207301274U (zh) 一种门磁开关回路检测电路及门磁开关系统
DE102017118825A1 (de) Senso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Sensors
EP0777327A1 (de) Drucktastenschalter für Haushaltsgeräte
JP2002216609A (ja) 配線用遮断器
DE202007002642U1 (de) Elektrische Zustandsanzeige bei maritimen Schaltapparaten
KR200401129Y1 (ko) 식별력이 향상된 조작 핸들을 구비한 차단기
CN220098202U (zh) 一种联动式按钮电梯旁路电路
KR920001565Y1 (ko) 발광표시램프가 부가된 배선용 차단기
US11448495B2 (en) Wire gauge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wire gauge
CN219123921U (zh) 数字开关装置及低压配电保护系统
KR20020073587A (ko) 전자장치
CN207909738U (zh) 一种车用玻璃升降器开关总成及其开关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