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887B1 -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887B1
KR930010887B1 KR1019910002267A KR910002267A KR930010887B1 KR 930010887 B1 KR930010887 B1 KR 930010887B1 KR 1019910002267 A KR1019910002267 A KR 1019910002267A KR 910002267 A KR910002267 A KR 910002267A KR 930010887 B1 KR930010887 B1 KR 93001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ushroom
cholesterol
weigh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최장윤
이윤수
권익부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 주식회사
정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 주식회사, 정보영 filed Critical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887B1/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본발명은 팽이버섯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내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농도를 저하시켜 주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팽이버섯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비스켓, 효모식품, 음료, 캔디 및 스프 등의 기능성 음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생체내 음식물의 소화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담즙산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선구물질이며 생체막의 주요구성 성분으로 기여하는 등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화합물이다.
그러나,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높아지면 여분의 콜레스테롤이 동맥벽에 축적되어 고콜레스테롤 혈증(Hypercholesterolemia)이나 심근경색 등의 여러가지 심장계 질환의 원인이 되어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의 양면성으로 인하여 인체내 콜레스테롤 농도의 효율적인 조절은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한데, 최근 육류섭취량이 많아지면서 인체내, 특히 혈관내의 콜레스테롤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축적되어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됨에 따라 최근에는 인체내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요인의 규명과 그러한 효과를 갖는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발견 및 개발에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 바, 이 결과 콜레스테롤의 저하기능을 갖는 키틴(Chitin),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는 식품스테롤, 콜레스테롤 저하 및 기능개선에 작용하는 어패류 엑기스(다우린), 콜레스테롤 저하에 관여하는 분리 대두 단백, 식물섬유 등을 포함하는 식품(스프, 음료, 쿠키 등)이 개발, 응용되고 있다.
본발명자들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식용버섯중의 하나의 팽이버섯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해 검색한 결과 팽이버섯 건조분의 수용성 추출물에 현저한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이 있음을 발견하고 팽이버섯 건조분 및 추출물 자체를 식품에 배합하여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이 있는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발명은 음료, 효모식품, 제과류 등의 식품에 팽이버섯의 건조분말 또는 팽이버섯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시키므로써 팽이버섯이 갖는 생리활성 작용에 의해 인체내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팽이버섯을 기능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팽이버섯을 함유하는 음식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팽이버섯을 80~100℃의 온도에서 1~3시간동안 건조, 분쇄하여 된 건조분말과 상기 건조분말을 100℃의 온도에서 증류수로 추출, 농축시킨 농축엑기스 및 상기 농축엑기스를 동결건조한 동결건조분말중 어느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을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음식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팽이버섯은 건조분말의 형태나 농축엑기스 또는 상기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의 형태로 음식물에 첨가되는데, 우선, 상기 팽이버섯의 건조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팽이버섯을 열풍건조기에서 80~100℃로 1~3시간동안 건조하고, 완전히 건조된 건조분말을 분쇄기로 평균입경이 60메쉬로 되도록 곱게 마쇄한다.
만일 이때 팽이버섯을 80℃이하에서 건조하면 시료의 향이나 씹히는 촉감등의 미각이 좋지 않게 되고, 100℃ 이상에서는 탄맛이 느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가열시간을 1시간 이내로 하면 건조상태가 불량하게 되고, 3시간이 넘으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건조분말의 농축엑기스를 제조하기 위해서 제조된 팽이버섯의 건조분말에 10배량의 증류수를 넣고, 100℃의 끓는 물에서 1시간동안 가열 추출하고, 이것을 2회 반복하여 얻은 전체 추출물을 수집하여 도요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엑기스를 얻는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농축엑기스를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분말을 얻는다(동결건조 회수율 20중량%).
본발명에서는 상기한 팽이버섯 건조분말과 팽이버섯 건조분말의 농축엑기스 및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을 여러가지 식품에 선택적으로 첨가하므로써 이루어지는데, 본발명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은 비스켓, 효모식품, 음료, 캔디, 스프등의 식품으로 이중에서 비스켓은 상기 팽이버섯의 건조분말 1.0~5.0중량%를 포함하는데, 팽이버섯 건조분말 함량이 1.0%보다 작을때 그 향 및 기능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보다 클때에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효모식품은 상기 팽이버섯의 건조분말 2.5~1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0중량%와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0.5~1.5중량%를 포함하는데, 팽이버섯 건조분말의 함량이 2.5중량% 보다 작을때 그 향과 기능성이 저하되고, 15.0중량% 보다 클때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팽이버섯 건조분말과 함께 포함되는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의 함량이 0.5중량%보다 작을때 그 기능이 떨어지고, 1.5중량% 보다 클때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음료는 상기 팽이버섯의 농축엑기스 20~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0중량%를 포함하는데,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함량이 20중량% 보다 작을때 기능적인 문제가 있고, 50중량% 보다 클때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 캔디는 상기 팽이버섯의 농축엑기스 1.0~5.0중량%를 포함하는데,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함량이 1.0중량% 보다 작을때 기능적인 문제가 있으며, 5.0%보다 클때에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스프는 상기 팽이버섯의 건조분말 3.0~6.0중량%와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0.3~1.0중량%를 포함하는데, 팽이버섯 건조분말의 함량이 3.0%보다 작을때 기능성에 문제가 있고, 6.0중량% 보다 클때에는 경제적 문제가 있으며, 상기 팽이버섯 건조분말과 함께 함유되는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함량이 0.3중량%보다 작을때 기능성에 문제가 있고, 1.0중량%보다 클때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본발명에 의해 제조된 팽이버섯을 기능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식품에서는 인삼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이드에 비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저하 효과가 탁월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발명에 따른 팽이 버섯 추출물의 세포내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배지에서 성장시킨 세포군(대조군)과 팽이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서 성장시킨 세포군(시험군)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동물세포인 중국산 큰쥐의 난소(Chinese Hamaster Ovary : CHO)세포는 세포농도를 5.0 ×105cells/ml가 되게 하여 이글스 기초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10% fetal bovine serum, 24mM NaHCO3, pH 7.4 100㎍/ml 가나마이신)으로 25㎠ 배양용기에 담아 CO2배양기(5% 이산화탄소, 95% 공기)에서 단층으로 배양하였다.
액체질소(-196℃) 탱크에 보관되어 있는 중국산 큰쥐의 난소세포를 37℃의 수조에서 녹인 후 3일간 매일 배지를 교환하면서 성장시키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성장상태가 양호한 세포를 선발하여 60mm디쉬(dish)로 이전(최초 세포농도 : 5.0×105cells/ml)한후 CO2배양용기에서 37℃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일간 매일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면서 배양하였다. 3일 후 다시 현미경으로 세포의 생장상태를 확인한 다음 실험용 배지로 교환하고 24시간 성장시킨 후 세포를 회수하여 세포내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용 배지의 조성은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본발명에 함유되는 팽이버섯 추출물의 세포내 콜레스테롤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사용된 대조군과 시험군은 모두 정상배지에서 성장시킨 생장상태가 양호한 중국산 큰쥐의 난소세포이고, 상기 팽이버섯 추출물의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중국산 큰쥐의 난소세포내 콜레스테롤 농도저하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C.N.Joo.Korean J.Ginseng Sci, Vol.14, No.2, 143-146,1990)진세노사이드 첨가군을 표준시료로 이용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팽이버섯 추출물과 진세노이드(표준시료, 한국인삼연초연구소에서 정제한 인삼의 사포닌 성분)의 중국산 큰쥐의 난소세포내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표 2와 같이 고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배지에서 성장시킨 세포군(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판결되었다.(각각 58%,87%). 이것은 팽이버섯의 수용성 추출물이 세포내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시사하며,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진세노이드의 경우보다 더욱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2]
Figure kpo00002
상기와 같은 생리활성작용을 갖는 팽이버섯 건조분말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박력1급 88kg 또는 중력 1급 88kg 및 정백당 16.5kg, 식염 2.5kg, 포도당 2.7kg,팜쇼트닝 40.5kg의 원료물질을 용기에 넣어 물 64kg과 함께 배합하고, 이와같이 배합된 원료물질에 첨가물로서 암모 5.3kg, 중조 0.6kg, 중아황산나트륨 0.55kg, 쌀가루 5.0kg, 비타민 B10.003kg, 비타민 B20.003kg, 밀크향 0.16kg, 전지분유 4kg, 대용분유 1kg, 제일인산칼슘 0.1kg, 살포염 1kg 및 분무유 900 25kg과 평균입경이 60메쉬인 팽이버섯 건조분말 2.9kg(1.1중량%)을 분말상태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인체내 콜레스테롤의 저하기능을 갖는 기능성 비스켓 195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효모 303.44kg, 건조물엿 39.44kg의 원료물질에 첨가물질로서 비타민 C3.88kg, 젖산칼슘 3.88kg과 평균입경이 60메쉬인 팽이버섯 건조분말 40kg(10.0중량%)과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4.0kg(1.0중량%)을 분말상태로 첨가하여 혼합하므로써 콜레스테롤의 저하기능을 갖는 기능성 효모식품 400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홍화추출물 110mg, 감초추출물 150mg(글리실리진으로 15mg)의 원료물질에 리보플라빈 5mg, 피리독신 10mg, 니코틴아미드 25mg과 팽이버섯 농축엑기스 200mg(40.0중량%)을 넣고 혼합하여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기능성 음료 100m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설탕 19.231kg, 콘실럽 12.542kg의 원료물질에 첨가물로서 비타민 E 0.003kg, 알코올 0.027kg, 카라멜칼라 0.002kg 및 엘-멘톨 0.054kg 과 팽이버섯 농축엑기스 0.322kg(1.0중량%)를 넣고, 혼합하여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기능성 캔디 32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소맥분 53.2kg, 정제포도당 25kg의 원료물질에 양파 8kg과 고지방분말 8.1kg을 첨가함과 동시에 팽이버섯 건조분말 5.0kg과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0.7kg을 첨가하여 콜레스테롤의 저하기능을 갖는 기능성 스프 10kg을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본발명에서는 동물세포를 이용한 검색방법에 의해 콜레스테롤 농도저하 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팽이버섯 건조분말의 열수추출물을 배합한 각종 기능성 식품퓨(비스켓, 효모식품, 건강음료, 캔디, 스프등)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므로써 팽이버섯 특유의 맛과 독특한 향을 즐김과 동시에 최근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콜레스테롤 과잉으로 인한 여러 순환계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Claims (6)

  1. 팽이버섯을 함유하는 음식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팽이버섯을 80~100℃의 온도에서 1~3시간동안 건조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건조분말을 100℃의 온도에서 증류수로 추출, 농축시킨 농축엑기스를 제조한 다음, 상기 농축엑기스를 동결건조한 동결건조분말중 어느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을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음식물에 첨가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로서는 비스켓을 제조하되 비스켓 전체조성에 대하여 상기 팽이버섯 건조분말 1.0~5.0중량%를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첨가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로서는 효모식품을 제조하되 효모식품 전체조성에 대하여 상기 팽이버섯 건조 분말 2.5~15중량%와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0.5~1.0중량%를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첨가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로서는 음료을 제조하되 음료 전체조성에 대하여 상기 팽이버섯의 농축엑기스 20~50중량%를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첨가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로서는 캔디를 제조하되 캔디 전체조성에 대하여 상기 팽이버섯의 농축엑기스 1.0~5.0중량%를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첨가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로서는 스프를 제조하되 스프 전체조성에 대하여 상기 팽이버섯의 건조분말 3.0~6.0중량%와 팽이버섯 농축엑기스의 동결건조분말 0.3~1.0중량%를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성분으로 첨가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KR1019910002267A 1991-02-11 1991-02-11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KR93001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267A KR930010887B1 (ko) 1991-02-11 1991-02-11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267A KR930010887B1 (ko) 1991-02-11 1991-02-11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887B1 true KR930010887B1 (ko) 1993-11-17

Family

ID=1931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67A KR930010887B1 (ko) 1991-02-11 1991-02-11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223A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후드원 팽이버섯 조미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팽이버섯 조미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223A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후드원 팽이버섯 조미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팽이버섯 조미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3003B2 (ja) 酵母栄養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92908B (zh) 一种具有补血、养颜、美容功能的双胶花粉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283816B (zh) 一种即食海带食品及其加工方法
CN105146614A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KR20040031672A (ko) 꿀분말제 제조방법 및 꿀분말식품
CN104982928A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US3780183A (en) Plant protein product and process
EP1656943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30010887B1 (ko)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CN106616152A (zh) 一种银耳发酵固体饮料的制作方法
KR930003886B1 (ko)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을 갖는 음식물의 제조방법
US5164183A (en) Growth promoter for bifidobacterium speci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3251100B (zh) 蝇蛆肽饮料及其生产工艺
KR101317935B1 (ko) 복합 채소 발효 물김치 제조용 유산균 발효 촉진 배지와 그를 이용한 발효 효소 물김치 제조방법
KR102350979B1 (ko) 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버섯 균사체 배양액 및 그 제조방법
JP7271158B2 (ja) Trpa1活性化組成物
CN113068842A (zh) 一种梨膳食纤维的制备方法
JPH01281066A (ja) 安定な緑葉植物青汁粉末及びその製造法
JPH0919270A (ja) ヤマブシタケ菌糸体含有飲食品の製造方法
JP2001120222A (ja) 過酸化脂質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CN111631378A (zh) 养生型半固态复合调味料及其制作方法
CN108850380A (zh) 一种枸杞咖啡的配方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