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490B1 - 운동기구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용 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0490B1 KR930010490B1 KR1019860001051A KR860001051A KR930010490B1 KR 930010490 B1 KR930010490 B1 KR 930010490B1 KR 1019860001051 A KR1019860001051 A KR 1019860001051A KR 860001051 A KR860001051 A KR 860001051A KR 930010490 B1 KR930010490 B1 KR 930010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frame
- drive
- shaft
- cup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Toy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운동기구에 결합시킨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완전조립상태의 제2도 운동기구의 사시도.
제4도는 클러치 조립체의 단면도.
제5도는 캠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차륜 12 : 연동차륜
14 : 탄성벨트 18 : 모터
19 : 스트레인 게이지 20 : 기어박스
22, 40, 52 : 축 24 : 스플라인 커플링
26 : 중간축 29 : 최종축
31 : 컵 32 : 홈
34 : 대형디스크 35 : 소형디스크
36 : 핸들 38 : 기어하우징
39 : 기어하우징 셀 41 : 클러치 셀
42 : 아암 43 : 풀무
44 : 메인프레임 46 : 서브프레임
48 : 샤프트 하우징 54 : 미끄럼 바아
60 : 나사축 65 : 베이스
68 : 부싱 64,70 : 핀
72 : 장력모터 74 : 부하셀
본 발명은 가해진 힘에 의하여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게 하는 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운동기구에 저항을 발생시키려면 추(錘) 탄성선 및 풀리휘일(pulley wheel)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기구는 자체중량의 관성으로 인한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것은 추에 먼저 가속을 주어야하기 때문에 추를 올리는데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가속시키는데 힘을 필요로 한다. 특히, 그 추에 일단 가속을 주게 되면 운동장치의 단부를 향해 조금씩 상승하면서, 사용자가 가한 힘은 그 최고점에서부터 현저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운동기구에 붙어 있는 추는 비교적 좁은 운동범위에서도 상대적으로 근육에 큰 힘을 가하며, 그 기구의 나머지 부분에는 적은 힘을 가한다.
연구원들은 근육의 인장을 예측하기 위하여 근육의 기계적 묘형을 제시해 왔는데, 이 근육의 기계적 모형은 선형 점성제동기를 갖춘 선상 및 평행 탄성성분과 함께 수축성분으로 구성된 자극이나 하중에 근거를 둔 것이다. 그 점성제동기는 근육의 주파수 응답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축성분에는 자극이 즉각적으로 최고점에 상승하여 자수적으로 감소하는 지수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탄성성분은 위치에너지를 축적하는 동안 근육의 변위 또는 신장에 대한 힘을 증가시킨다. 탄성성분이 일단 현저하게 축소되면 그 탄성성분은 작용하기 시작한다. 탄성성분의 여진(勵振)은 근육발달에 중요한 도움이 된다고는 생각되지 않으며 탄성성분의 부하나 자극이 강도증가를 자극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추에 초기에 급속한 가속을 주게 되면 먼저 근육의 수축성분에 주로 부하가 미치게 된다. 그러나, 속도가 증가된 후에 가속도가 충분히 낮춰지면 수축성분에 대한 부하가 감소되고 탄성성분이 지배하게 된다. 초기의 높은 부하와 관성계의 부하특성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낙하는 전부분에 걸쳐 더욱 강조되지만 탄성성분의 지연가입 때문에 운동기구의 초기부에는 더 이상 강조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근육의 수축성분의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운동장치의 전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부하를 준다면 더욱 효과적인 부하가 생긴다. 실제로 가속에 관계없이 균일한 힘을 제공하는 한 방법은 마찰력에 근거를 둔 것과 같은 저중량을 갖는 저향발생법을 이용할 수 있다.
번(Berne)씨의 미국특허, 제3,103,357호에는 마찰조절 운동기구에 대하여 기재하였는데 그것은 외측클러치 디스크 부재 사이에 내측클러치 디스크를 끼워넣어 미끄럼 접촉을 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유압은 두 개의 디스크 사이의 마찰력을 변환시키는 중앙디스크의 압력을 변화시키는데 이용된다.
또다른 방법은 맥킬립(Mckillip)씨의 미국특허, 제4,436,303호에서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대응하는 한쌍의 유압작동 피스톤에 의해 미끄럼 접촉되어 서로 지지된 한쌍의 디스크를 이용하고 있다. 디스크가 서로 미끄러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마찰력은 피스톤에 가해진 압력을 선택하는데 따라 조절된다.
마즈만(Maxman)씨의 미국특허 제3,953,025호에는 디스크의 양면이 서로 압착괸 한쌍의 브레이크 대(臺)로 되어 있는 근육단련 운동기구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각 운동기구는 초기에는 미끄럼부가 정지한 상태에서 동심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마찰력을 이용한 것이다. 정(靜)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이 운동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들은 사용자에게 최고한계 하중을 부과하며 운동기구의 둔동반경의 다른 부분에는 저부하를 부과한다. 사용자가 가한 힘이 미끄럼운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전의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동심 저항 이외에 편심저항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용 구동장치는 서브프레임과 거기에 연결된 구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장치는 회전구동용 구동체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커플링 연결수단은 구동체와 연동체가 상호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이들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구동체와 연동체 사이의 운동마찰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서브프레임에 고정된 제동장치는 의도한 방향에서 이탈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력을 얻는다. 이 모터는 운동기구 작동중 연동체에 연속적인 운동마찰을 가할 수 있도록 구동체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작동법은 우리가 편심운동기구 및 동심운동기구 양자에 모두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아울러 그 장치를 작동하는 동안 연속적인 미끄럼운동 때문에 구동체는 연동체에 단지 운동마찰만을 가해준다. 이 운동마찰은 미끄럼장치에서 미끄럼운동의 변화율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운동장치에 있어서 시동시에 극복해야 할 시동마찰이 없게 된다. 높은 관성중력을 갖는 계의 시동마찰 및 가속력으로 인한 초기의 고부하를 제거함으로써 운동장치의 전부분에 걸쳐 근육에 고부하가 작용하게 하였으며 이것은 오랫동안 수축성분을 부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동체와 연동체는 각각 서브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된 구동차륜과 연동차륜으로 되어 있으며 커플링 연결수단은 구동차륜과 연동차륜에 이음메 없는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 마찰력 조절수단은 서브프레임에 고착되어 구동차륜을 지지하는 미끄럼 바아와 여기에 연결된 회전돌출 불록으로 되어 있어서 벨트를 죄거나 풀려고 할 때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벨트장력 모타장치는 서브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며 미끄럼바아를 통해 역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차륜을 떼어놓고 구동차륜을 회전시키면 벨트에 큰 장력이 생기는데 그 장력이 증가하여 연동차륜에 마찰저항을 가해준다. 제동장치는 연동차륜에 의해 거기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여 제어신호를 보내주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운동장치가 시동이 되었는가 또는 꺼졌는가 아니면 마찰저항이 과다하지 않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구동체와 연동체는 각각 서브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된 구동차륜과 연동차륜으로 되어 있으며 커플링 연결수단은 구동차륜과 연동차륜에 이음매 없는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
마찰력 조절수단을 서브프레임에 고착되어 구동차륜을 지지하는 미끄럼 바아와 여기에 연결된 회전돌출 블록으로 되어 있어서 벨트를 죄거나 풀려고 할 때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벨트장력 모터장치는 서브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며 미끄럼 바아를 통해 역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차륜을 떼어놓고 구동차륜을 회전시키면 벨트에 큰 장력이 생기는데 그 장력이 증가하여 연동차륜에 마찰저항을 가해준다.
제동장치는 연동차륜에 의하여 거기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여 제어신호를 보내주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운동장치가 시동이 되었는가 또는 꺼졌는가 아니면 마찰저항이 지자치지 않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외부작용력에 대하여 연동차륜으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고 초기위치로부터 역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기구의 연결수단은 연동차륜에 연결된 연장축을 포함하고 기어장치는 이 축에 연결되어 하우징으로 싸여 있으며 서브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를 싸고 있는 기어케이싱과 여기에 연결된 클러치 조립체는 샤프트 하우징에 연결되고이 클러치 조립체는 샤프트 하우징에 대해 회전방향의 반대로 되어 있어서 케이싱을 손으로 죄거나 풀 수 있다. 기어장치는 축에 일치하는 것과는 달리 주축에 대해서 운동장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클러치 조립체는 운동장치와 기어케이싱을 사용자의 좌우측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은 그것을 추축으로 연결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피봇모터장치는 서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프레임에 고정되어 역회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에 대하여 운동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피봇모터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하며 나사막대를 통해 역전가능하도록 이 모터에 연결시키고 그 나사막대가 들어갈 리셉터클을 갖는 블록에 연결된다. 블록은 나사막대의 회전에 따라 돌아갈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그 블록은(프레임에 대해 서브프레임을 추축으로) 나사막대를 따라 움직이고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을 추축으로 돌아간다.
클러치 조립체는 내면이 절두원추형이고 벽이 둥글게 되어 있는 컵을 포함하며 크 컵은 축에 중심선이 일치하고 그곳에 고정되어 있다. 절두원추형 내면을 가진 것과 짝을 이루며 같은 모양의 외면을 갖는 콘(cone)은 기어케이싱에 연결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외면에 구형(矩形)의 횡단면을 가진 주위흠이 있다.
캠은 컵벽에 나있는 구멍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대형 회전용 디스크와 이것과 짝을 이뤄 이것의 중심부에 옵셋트 고정된 소형디스크로 구성되며 소형디스크는 콤흠에 회전삽입토록 되어 있다.
핸들은 컵벽에 나있는 둥근구멍 주위에서 회전용 디스크와 연결되며 소형디스크는 콘홈이 콘을 컵과의 접촉에서 분리시키는데 관계한다. 이 방법에서 콘과 컵사이의 마찰접촉은 샤프트 하우징에 대해 기어케이싱을 회전시켜 떼어놓을 수 있게 하였다.
구동풀는 미끄럼면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연동풀리가 벨트의 고마찰계수를 가진 미끄럼없는 면을 가지는데 반해, 벨트의 저마찰 계수를 가진다.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을 추축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과 샤프트하우징 사이에 피봇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비록 프레임에 대해 어느 편리한 위치에 서브프레임을 추축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할지라도, 추축의 연결을 정함과 동시에 프레임에 관련된 서브프레임을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높이를 적당히 조절하기 위하여 운동부재로부터 서브프레임을 멀리 떨어지게 고착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추축연결의 양쪽에 있는 부하들간에는 적합하게 군형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동차륜(12)은 모터(18)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박스(20)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어박스는 30 : 1의 기어 감속비를 만들어 준다. 구동차륜(10)은 탄성벨트(14)에 의해 연동차륜(12)에 연결되며, 연동차륜(12)은 미끄럼없는 벨트접촉면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이와 상대하는 구동차륜의 벨트접촉면은 벨트(14)에 저마찰계수를 갖는 미끄러운 표면이다.
연동차륜(12)의 축(22)은 스플라인 커플링(24)에 의하여 중간축(26)에 연결되며 제2스플라인 커플링(28)은 축(26)을 콘(30)의 중앙에서 기어하우징(38)으로 통과하는 최종축(29)에 연결된다.
기어하우징(38) 내부에서, 축(29)은 회전운동을 표준기어 배열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하여 축(29)에 연결된 횡축(40)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해 준다. 축(40)은 기어하우징(38)의 양쪽으로 뻗어있으며, 아암(42)(부분 도시되어 있음)은 축(4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어 있다. 기어박스(20)는 미끄럼 바아(54) 위에 차례로 미끄러지도록 장치된 돌출블록(50)에 지지되어 있다. 미끄럼 바아(54)는 서브프레임 부재(46)에 고착되어 있는데 제2도에서 좀더 명확히 보여진다.
블록(50)의 저면에 형성된 채널섹션에 고착된 블록(58)은 장력모터(72)에 연결된 나사축(52)과 꼭맞는 나사리셉터클을 가지고 있으며 장력모터(72)는 서브프레임 부재(46)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부재(46)의 다른 한쪽 끝에는 중간측(26)은 둘러싸는 샤프트 하우징(48)에 단단히 연결된 수직 서브프레임부재(71)가 고작되어 있다. 제2도에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 하우징(48)은 기어하우징(38)에 늦출 수 있게 연결된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컵(31)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연동차륜(12)은 수직 서브프레임 부재(71)에 부착된 베어링에 대해서 회전하고 구동축(22)에 연결되어 있다(뒤쪽의 베어링과 수직 서브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되는 그림은 나타나지 않았음). 샤프트 하우징(48)은 메인프레임(44)에 고착된 부싱(68)의 내부에 저어널 결합된 핀(70)에 의하여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보인 블록(57)은 서브프레임 부재(46)에 고작되어 있고, 블록(57)과 맞는 나사축(60)을 수용하기 위해 나시리셉터클을 갖는 블록(56)에 추축핀(6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나사축(60)은 차례로 모터프레임(61)안에 설치된 모터(62)에 연결되어 있는데 그 모터프레임(61)은 메인프레임(44)에 대하여 고정된 베이스(65)에 핀(64)에 의하여 피봇연결되어 있다.
부하 셀 제동장치(74)는 수직서브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되어 있고, 차륜(12)의 평면에 고착된 돌출부재(76)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부재(76)가 부하 셀(74)과 접촉하면, 차륜(12)에 의하여 생기는 토오크에 비례하는 외부 조정신호를 주게된다. 이 조정신호는 운동이 시작되었는지 끝났는지 또는 토오크가 과다한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스트레인 게이지(19)는 아암(42)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축(26)에 부착되어 있다. 메인프레임(44)에는 사용자를 적응시키는 위해 덧대는 상부면(78)이 있다. 클러치 조립체는 컵(31)(제1도에 부분도시), 원추형 홈(32)이 나있는 콘(30) 및 핸들(36)에 연결된 캠(3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4도에 좀 더 상세히 보여진다.
제3도는 각각 기어하우징 셀(39)과 이것을 둘러싸는 클러치 셀(41), 그리고 클러치 조립체(30)(31)(34)를 갖는 완성된 운동기구를 보여준다. 풀무(43)는 클러치 셀(41)과 메인프레임 셀(45) 사이를 연결해 준다.
제4도와 제5도에서 보이는 클러치 하우징은 기어하우징(38)에 연결된 절두형 원추외면을 갖는 콘(30)으로 구성되며 그 콘의 단부는 구형단면의 원주홈(32)를 가지고 있다. 콘의 중앙은 축(29)이 통과하도록 원통형 내경(49)을 갖고 있어서 축(29)은 그 내경(49)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하게 된다. 원추의 표면과 맞도록 내부에 절두원추면을 갖는 컵(31)은 이 컵을 통해서 대형디스크(34)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둥근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5도에서 보이는 대형디스크(34)의 단부에는 소형디스크(35)가 옵셋고정되어 있는데 이 소형디스크(35)의 중심부는 대형디스크(34)로부터 돌출되어 있어서 홈(32)안으로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다. 핸들부재(36)는 대형디스크에 고착되어 있는데 스크류(77)에 의해 컵(31)쪽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정반대로 구멍(47) 쪽에도 역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멍(47)내의 대형디스크(34)의 회전은 소형디스크(35)를 컵(31)의 세로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컵(31)은 이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콘(30)을 움직이게 한다.
작동중에는, 사용자는 아암(42)이 원하는 높이로 움직일 때까지 피봇모터(62)를 동작시켜 추축핀(70)에 대해 구동장치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사용자가 자기몸의 한쪽을 아암(42)의 반대쪽으로 운동시키고자 할 때, 핸들(36)은 결국 그것에 의해 컵(31)의 구멍(47) 내에서 대형디스크(3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앞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일단, 소형디스크(35)가 콘을 움직여 컵(31)의 절두원추면(37)과 접촉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는 기어하우징(38)을 180° 회전시켜 아암(42)을 축(29)의 원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기어하우징(38)은 보다 낮은 핸들(36)에 의해 잠기게 되고 나중에 작동하려 할 때는 풀리게 된다. 메인 구동모터(18)는 온(ON)되어 구동차륜(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연동차륜(12)은 구동차륜(10)과 벨트(14)에 응답하여 사이브 블록(76)이 부하셀(74)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부하셀(74)은 구동차륜(10)과 벨트(14)간의 마찰에 의하여 연동차륜(12)에 전달되는 토오크의 량을 외부레코더(도시되지 않았음)에 기록한다. 다음에 장력모터(72)는 블록(58)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사축(52)를 따라 움직이도록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고정블록(50)과 기어박스(20)에 단단히 고착된 블록(58)의 움직임은 구동차륜(10)을 연동차륜(12)에 대하여 움직이게 하고, 또한 부하셀(74)에 의하여 기록된 토오크가 원하는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벨트(14)의 장력을 조절해 준다. 그리고 나서 장력모터(72)는 오프(OFF)되고 그 운동장치는 사용위치에 서게된다.
사용중인 아암(42)이 특별한 운동의 전구간동안 동심적인 힘과 편심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은 곧 이해될 것이며, 운동마찰은 아암(42)이 움직이는 속도록 심하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가해지는 힘은 운동하는 동안 거의 일정하게 된다.
서브프레임 부재(46), (71), 차륜(10), (12), 기어박스(20), 그리고 고정블록(50) 등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조립체가 원하는 거의 모든 형태의 운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프라켓(sprocket)은 축(22)에 고정될 수 있고, 스프라켓과 다른 형태의 운동기구 사이에 상호 연결된 체인에도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과 범위의 취지에 맞는 다른 변경 개조 및 변화등은 이 분야에서 숙달된 사람들에게는 명백하게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 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에 연결된 구동체, 상기 서브프레임에 연결된 연동체, 상기 회전용 구동체에 연결된 모터장치, 다른 구동장치와 관련되어 미끄러지는 상기 구동 및 연동체를 연결하는 커플링, 상기 구동 및 연동체 사이의 마찰력 조절수단, 시동위치를 벗어나서 작동하는 구동체를 제동하기 위해 상기 서브프레임에 설치된 제동장치로 구성되고, 운동하는 동안 상기 모터장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체에 연속적으로 회전력이 가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와 연동체는 구동차륜과 연동차륜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연결수단은 상기 구동 및 연동차륜에 연결된 무한벨트로 이어져서 구동차륜이 회전하는 동안 그에 대해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조절수단은 서브프레임에 고착된 미끄럼 바아를 포함하며 이것은 고정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차륜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한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벨트를 늘리기도 하고 죄기도 하며, 그 미끄럼 바아를 상기 블록의 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의 연동차륜에 의하여 적용된 힘에 정비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운동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이 운동부재 연결수단이 상기 연동차륜과 상기 운동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한 외력에 대해 작동위치로부터 반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재 커플링 연결수단은 상기 연동차륜에 연결된 연장축을 포함하여, 기어장치를 상기 축에 상기 운동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 하우징은 샤프트와 상기 서브프레임을 싸고 있으며 기어케이싱은 상기 기어를 싸고 있으며, 클러치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 하우징과 상기 기어케이싱을 연결하여 상기 축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케이싱의 탈착을 수동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자체내에 서브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피봇모터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서브프레임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운동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 피봇모터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모터를 포함하고, 나사막대가 상기 모터장치에 연결되어 역회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상기 나사막대와 구멍이 일치한 나사용기를 가진 블록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막대를 회전시키면 이 막대를 따라 블록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내면벽이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그 벽에 둥근구멍이 나있는 컵을 포함하고, 그 컵을 축방향에 일치하여 상기 축에 부착되며, 이 컵에 짝을 이룬 절두원추외면을 가진 콘은 외면에 구형 횡단면 원주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어케이싱에 부착되며, 대형 원통디스크를 가진 캠은 컵의 벽면에 구멍이 나있는 상기의 컵과 짝을 이뤄 그 구멍에 삽입하여 미끄러지게 되어 있고 그 대형 디스크에 옵셋트 결합된 소형디스크는 상기 콘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소형디스크가 상기 콘을 컵과의 접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하며 상기 축을 둘러싼 기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풀림위치쪽으로 상기 콘이 컵의 내면에 인접한 잠김위치로부터 대형디스크에 피봇결합된 핸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벨트는 저마찰 계수를 가진 구동차륜의 표면에 접하고, 그 벨트와 상기 연동차륜의 벨트접촉면은 고마찰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샤프트 하우징에 피봇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701,929 | 1985-02-15 | ||
US06/701,929 US4637607A (en) | 1985-02-15 | 1985-02-15 | Drive unit for exercising apparatus |
US701929 | 1991-05-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6272A KR860006272A (ko) | 1986-09-09 |
KR930010490B1 true KR930010490B1 (ko) | 1993-10-25 |
Family
ID=2481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1051A KR930010490B1 (ko) | 1985-02-15 | 1986-02-15 | 운동기구용 구동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637607A (ko) |
EP (1) | EP0192414A3 (ko) |
JP (1) | JPH0722608B2 (ko) |
KR (1) | KR930010490B1 (ko) |
CA (1) | CA126215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2525A (en) * | 1979-02-16 | 1988-02-02 | Brentham Jerry D | Physical fitness diagnostic testing apparatus |
DE8530853U1 (de) * | 1985-10-31 | 1985-12-19 | Wolf, Hans-Gerd, 5060 Bergisch Gladbach | Krafttrainingsvorrichtung |
US4869497A (en) * | 1987-01-20 | 1989-09-26 | Universal Gym Equipment, Inc. | Computer controlled exercise machine |
US4799670A (en) * | 1987-06-12 | 1989-01-24 | Neil Williamson | Exercise apparatus |
US4784121A (en) * | 1988-01-26 | 1988-11-15 | Brooks Lester N | Knee exercising device |
US4957281A (en) * | 1989-01-30 | 1990-09-18 | Wright State University | Rotator cuff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
US5070863A (en) * | 1990-03-08 | 1991-12-10 | Baltimore Therapeutic Equipment Co. | Back exercise apparatus |
US5054774A (en) * | 1990-06-12 | 1991-10-08 | Chattecx | Computer-controlled muscle exercising machine having simplified data access |
WO1993005711A1 (en) * | 1991-09-16 | 1993-04-01 | Alaska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 Exercise platform for physiological testing |
US5300090A (en) * | 1992-09-03 | 1994-04-05 | Challenge Machinery (Proprietary) Ltd. | Exercise machine |
EP0707467B1 (en) * | 1993-07-09 | 2005-06-01 | Kinetecs, Inc. | Exercise apparatus and technique |
US5954621A (en) * | 1993-07-09 | 1999-09-21 | Kinetecs, Inc. | Exercise apparatus and technique |
US5984844A (en) * | 1998-10-21 | 1999-11-16 | Royer; Marc A. | Portable exercise device |
WO2003057321A1 (en) * | 2002-01-11 | 2003-07-17 | Ho-Sang Son | Device for promoting decomposition of body fat and enhancing muscular strength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03357A (en) * | 1961-11-28 | 1963-09-10 | William E Berne | Resistance exercising apparatus |
US3212776A (en) * | 1964-01-22 | 1965-10-19 | Blair K Bassler | Exercising device |
GB1051818A (ko) * | 1965-09-14 | 1900-01-01 | ||
US3874659A (en) * | 1973-04-30 | 1975-04-01 | Benjamin M Aharoni | Exercising machine |
US3966201A (en) * | 1974-03-21 | 1976-06-29 | Mester Joseph H | Exercising machine |
US3939723A (en) * | 1974-10-16 | 1976-02-24 | F. L. Smithe Machine Company, Inc. | Drive for rotatable cutter mechanisms |
US4082267A (en) * | 1976-05-12 | 1978-04-04 | Flavell Evan R | Bilateral isokinetic exerciser |
-
1985
- 1985-02-15 US US06/701,929 patent/US463760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
- 1986-02-04 CA CA000501101A patent/CA1262155A/en not_active Expired
- 1986-02-12 EP EP86300968A patent/EP0192414A3/en not_active Withdrawn
- 1986-02-14 JP JP61029128A patent/JPH072260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02-15 KR KR1019860001051A patent/KR9300104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1203982A (ja) | 1986-09-09 |
EP0192414A2 (en) | 1986-08-27 |
EP0192414A3 (en) | 1988-03-02 |
KR860006272A (ko) | 1986-09-09 |
US4637607A (en) | 1987-01-20 |
JPH0722608B2 (ja) | 1995-03-15 |
CA1262155A (en) | 1989-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10490B1 (ko) | 운동기구용 구동장치 | |
US4824104A (en) | Isokinetic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ing frictional braking | |
US5151071A (en) | Isoinertial lifting device | |
US3103357A (en) | Resistance exercising apparatus | |
US4291872A (en) | Ergometric exerciser with fluid-actuated indicator | |
JP2007531853A (ja) | 無段変速装置 | |
CA2121857A1 (en) | Bi-modal step exercise apparatus having user-selectable step mode | |
WO2000005455A1 (en) | Rotatable eccentric device | |
JPH0221240A (ja) | 靴底・床材滑り試験機 | |
US5071116A (en) | Pedal operated exercising device | |
JP2562864B2 (ja) | 変速比の大きな無段変速装置 | |
SU1735734A1 (ru) |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 торсионных валов на усталость и стенд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 |
SU1027454A1 (ru) | Клиноременна передача | |
US4919238A (en) | Variable centrifugal brake | |
GB2259864A (en) | Exercising device | |
CN219854192U (zh) | 一种用于凸轮轴齿轮端部的支撑结构 | |
SU1437724A1 (ru) | Стенд дл испытани велосипедов | |
RU2210655C2 (ru) | Рельсосверлильный переносной станок для полевых условий | |
JPH0364421B2 (ko) | ||
SU732697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вращающего момента | |
SU1422093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образцов материалов кручением | |
SU1542554A1 (ru) | Тренажер | |
PL122095B1 (en) | Ergometer loading mechanism | |
SU1675740A1 (ru) | Установка дл испытани материалов на трение | |
SU98939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материалов на трени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91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