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390A -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 Google Patents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390A
KR930010390A KR1019920021280A KR920021280A KR930010390A KR 930010390 A KR930010390 A KR 930010390A KR 1019920021280 A KR1019920021280 A KR 1019920021280A KR 920021280 A KR920021280 A KR 920021280A KR 930010390 A KR930010390 A KR 93001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member
axial
valve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1429B1 (ko
Inventor
비 스테펜슨 드와이트
지 라스뭇센 케네드
피 샤튼 허만
Original Assignee
프랑크 엠 사죠벡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엠 사죠벡,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랑크 엠 사죠벡
Publication of KR93001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3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 B62D5/097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geroto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38Rotary valve
    • Y10T137/86646Plug type
    • Y10T137/86662Axial and radia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유체제어기(15)가 일차밸브부재(53)와 추종밸브부재(55)를 가진다. 제어기는 스티어링 실린더(19)에 연결된 주유체구(27), (29)와 보조유체모우터(21)에 연결된 보조유체구(31), (33)를 형성하는 하우징(41)을 포함한다.
스폴 및 슬리이브가 스폴 및 슬리이브 및 보조제어밸딩(35)에 따라 유체흐름을 제어하는 주제어밸빙(35)을 스티어링 실린더에 제공하도록 하우징과 상호 작동하고 스폴과 하우징에 대해 슬리이브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보조 모우터에 해애 흐름을 제어한다.
스폴 및 슬리이브의 주 및 보조밸빙을 수행하므로서 주밸빙(35) 보조밸빙(37)보다 우수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복잡한 제어가 필요없고 두형태의 밸빙간의 인터패이스가 필요없다.

Description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개방 중심 흐름 제어장치의 유압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도에 따라 만들어진 유체제어기의 축방향 단면도, 제3도는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도를 포함하는 회전중립위치에서 도시한 제2보다 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액체제어기에 사용된 밸빙의 중첩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4)

  1. 가압유체 원(11)에서 주유체압력작동장치(19) 및 보조유체 압력작동장치(21)까지 유체흐름을 제어하도록 작동하는 제어기(15)는 가압유체원을 연결하는 유체유입구(23)와 시스템전장소에 연결하는 귀환구(25)와 주유체 압력작동장치에 연결하는 제1 및 제2주유체구(29), (27)를 포합하는 하우징수단(4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단에 위치하여 일차회전 밸브부재(53)와 이와 함께 작동하는 회전추종 밸브부재(55)를 포함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차 및 추종밸브부재는 중립회전위치(제3도)와 상기 일차 밸브부재가 추종밸브부재에 대해 상기 중립회전위치에서 회전 할 수 있게 위치한 회전작동위치(제4도)를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부재는 중립축방향위치(제5도)를 형성하고 상기 일차 밸브부재는 제1 및 제2유체통로(89R), (89L)을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부재는 유입구와 연속유체연통인 제1유체구(93)와 제1주유체구와 연속유체연통관계인 제2유체구(95L)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유체구는 밸브부재가 회전중립위치에 있을때, 제1 및 제2유체통로와의 통이 차단되고 상기 제1유체구(93)는 제1유체통로(89R)와 유체연통하여 제1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A1)를 형헝하고 제2유체구(95L)는 상기 밸브부재가 회전작동위치(제4도)에 있을때 제2유체통로(89L)과 유체연통하여 제2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A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수단 및 밸브수단은 상기 밸브부재가 회전 작동위치에 있을때, 제1가변흐름제어 오리피스와 제2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간에 유체연통을 제공하는 주유체통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작동하는 것에 있어서, (가) 보조유압작동장치(21)에 연결하는 제1 및 제2보조유체구(31), (33)를 형성하는 하우징수단(41)과, (나)제1축방향 위치(제6도)를 형성하는 추종밸브부재(55)와, (다)추종밸브부재(55)를 중립방향 위치(제5도)쪽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작동하는 수단(78)과 추종밸브부재를 제1위치(제6도) 쪽으로 위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101), (103)를 포함하는 제어기(15)와 (라)밸브부재가 제1축방향 위치에 있을때, 상기 유입구(23)에서 상기 제1보조유체구(31) 및 제2보조유체구(33)에서 귀환구(25)까지 유체연통을 제공하는 제1보조 유체통로(23c), (117), (111), (113R), (119R), (31c), (33c), (125R), (115L)을 형성하도록 상호 작동하는 하우징 수단(41) 및 밸브수단(53).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수단(53), (55)은 회전작동위치(제4도)에 있을때, 주유체통로를 통해 유체흐름 용적에 비례하게 추종운동을 상기 추종 밸브 부재(55)에 전달하는 유체작동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3. 제1항에 있어서, 일차 및 추종밸브부재(53), (55)는 제1 및 제2축방향실(103), (107)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 수단(41)과 상호 작동하고 상기 수단은 제1축방향실(103)의 파일롯 압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수단(101), (105)을 포함하는 제1축방향위치(제6도)에 추종밸브 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제3항에 있어서, 추종밸브부재(55)는 제2축방향 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기는 추종밸브부재를 제2축방향 위치에 위치하도록 작동하는 수단(39), (99), (101), (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5.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 수단(41) 및 밸브수단(53), (55)은 상기 밸브 부재가 제2축방향위치에 있을때, 유입구(23)에서 제2보조 유체구(33)까지 및 제1보조유체구 (31)에서 귀환구(15)까지 유체연통을 제공하는 제2보조유체통로(23c), (117), (111), (119L), (33c), (31c), (125R), (115R)을 형성하도록 상호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제2축방실(107)의 파일롯 압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수단(101)을 포함하는 제2축방향 위치까지 추종밸브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41)는 추종밸브부재(55)에 회전하도록 위치한 밸브보어(51)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보어는 유체유입구(23)와 연속유체연통인 환상유입홈(23c)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보조유체구(31), (32)와 연속유체연통 관계인 제1 및 제2환상유체홈(31c), (33c)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보조홈은 환상 유입홈(23c)주위에 반대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추종밸부부재(55)는 환상홈(23c)과 연속유체연통인 축방향으로 연장한 유입구(117)를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브재가 중립축방향위치(제5도)에 있을때 제1 및 제2환상보조홈(31c), (33c)과 유체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9. 제8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한 유입구(117)은 추종밸브부재가 제1축방향 위치(제6도)에 있을때, 유입홈(23c)에서 제1보조홈(31c)까지 유체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0. 가압유체원(11)에서 주유체압력작동장치(19)까지 유체흐름을 제어하도록 작동하는 개방중심 제어기(15)는 가압유체원을 연결하는 유체유입구(23)와 시스템전장소(13)에 연결하는 귀환구(25)와 유체 압력 작동장치에 연결하는 제1 및 제2제어유체구(29), (27)를 포함하는 하우징수단(4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단에 위치하여 일차회전 밸브부재(55)와 이와 함께 작동하는 회전 추종 밸브부재(55)를 포함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차 및 추종밸브부재는 중립회전위치(제8도)와 상기 일차 밸브부재가 추종밸브부재에 대해 상기 중립회전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위치한 회전작동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부재는 중립축방향위치(제5도)를 형성하고 상기 일차밸브부재는 제1 및 제2유체통로(89R), (89L)를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부재는 유입구와 연속 유체연통인 제1유체구(93)와 제1제어유체구(29)와 연속 유체연통관계인 제2유체구(95L)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유체구는 밸브부재가 중립회전위치에 있을때, 제1 및 제2유체통로와 유체연통을 차단하고 제1유체구(93)는 제1유체통로(89R)와 유체연통해 제1회전 가변 흐름 제어오리피스(A1)를 형성하고 제2유체구(95L)는 제2유체통로(89L)과 유체연통하여 배브부재가 회전 작동위치에 있을때 제2회전가변 흐름 제어오리피스(A4)를 형성하고 하우징수단 및 밸브수단은 제1회전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와 제2회전 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간에 유체통로를 제공하는 주유체통로를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개방 중심 제어기에 있어서, (가)추종 밸브부재(55)는 제1축방향 작동위치를 형성하고(나)제어기(15)는 추종밸브부재(55)를 중립축방향 위치(제8도)에 바이어스 하도록 작동하고 수단(101), (107)은 추종밸브 부재를 제1축방향 작동위치쪽으로 위치하도록 작동하고, (다)상기 일차 밸브부재(53)는 축방향 유체통로(111)를 형성하고 상기 추종밸브부재는 추종밸브부재가 제1축방향 작동위치에 있을때 유입구(23)와 연속유체 연통관계인 제1축방향 유체구(117)와 제1제어유체구(29)와 유체연통관계인 제2축방향 유체구(119L)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축방향 유체구는 추종밸브부재가 축방향 작동위치 및 중립회전위치에 있을때 축방향 유체통로와 유체연통하고 (라)일차 및 추종밸브부재(53), (55)는 추종밸브부재가 중립축방향 위치에 있는 상기 밸브부재가 중립회전위치에 있을때 축방향 유체통로(111)와 귀환구(25)간의 유체연통을 제공하는 중립배출통로수단(123R)(115R)을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방 중심제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회전작동위치에 있을때, 유체작동수단(45)은 주유체통로를 통해 유채흐름의 용적에 비례하게 추종밸브부재(35)에 추종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중심제어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일차 및 추종 밸브부재(53), (55)는 제1 및 제2축방향실(103), (107)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수단(41)과 상호 작동하고 상기 수단은 제2축방향실(107)이 파일롯 압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수단(101), (109)를 포함하는 제1축방향 작동위치쪽으로 추종밸브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중심제어기.
  13.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수단(41)은 추종밸브부재(55)에 회전할 수 있게 위치한 밸브보어(51)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보어는 유입구(23)와 연속 유체연통관계인 환상유입홈과 제1 및 제2제어 유체구(29), (27)와 연속유체연통관계인 제1 및 제2환상홈(29L), (27c)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환상홈은 환상유입홈(23c) 주위에 반대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중심 제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추종밸브부재(55)는 환상 유입홈(26c)과 연속 유체 연통인 축방향으로 연장한 유입구(117)를 형성하고 중립축방향 위치(제8도)에 위치할때 제1 및 제2환상홈(29c), (27c)과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중심 제어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1280A 1991-11-13 1992-11-13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KR0171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2,514 1991-11-13
US07/792,514 US5129424A (en) 1990-04-23 1991-11-13 Fluid controller with integral auxiliary val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90A true KR930010390A (ko) 1993-06-22
KR0171429B1 KR0171429B1 (ko) 1999-03-30

Family

ID=2515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280A KR0171429B1 (ko) 1991-11-13 1992-11-13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9424A (ko)
EP (1) EP0545113B1 (ko)
JP (1) JP3151549B2 (ko)
KR (1) KR0171429B1 (ko)
DE (1) DE69217460T2 (ko)
DK (1) DK054511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2200C2 (de) * 1995-11-13 2000-04-27 Daimler Chrysler Ag Servoventil
US6237857B1 (en) 1999-08-11 2001-05-29 Caterpillar Inc. Three-way actuation control of a hydraul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US7036625B2 (en) * 2002-11-08 2006-05-02 Nmhg Oregon, Inc. Integrated hydraulic control system
US7036309B1 (en) 2004-01-15 2006-05-02 Sauer-Danfoss Inc. Method of creating feedback control in a closed hydrostatic circuit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e
KR101382844B1 (ko) * 2008-04-23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US9803637B2 (en) 2011-07-14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control
WO2021007424A1 (en) 2019-07-10 2021-01-14 Fema Corporation Of Michigan Steering system with switchable load reaction valve
US11473693B2 (en) 2020-06-26 2022-10-18 Fema Corporation Of Michigan Proportional hydraulic two-stag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5210A (en) * 1966-10-26 1969-07-15 Eaton Yale & Towne Adjustable,metered,directional flow control arrangement
US3481147A (en) * 1967-12-15 1969-12-02 Trw Inc Hydraulic power system
US4262580A (en) * 1972-12-15 1981-04-21 Trw Inc. Power steering system with auxiliary power capability
US3996838A (en) * 1975-06-04 1976-12-14 Trw Inc. Diverter valve for power steering with power beyond
US3996742A (en) * 1976-03-04 1976-12-14 Trw Inc.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US4043419A (en) * 1976-06-04 1977-08-23 Eaton Corporation Load sensing power steering system
US5065793A (en) * 1990-04-23 1991-11-19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with load sensing priority flow control capability
US5016672A (en) * 1990-04-23 1991-05-21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ntroller with integral paralle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1549B2 (ja) 2001-04-03
DE69217460D1 (de) 1997-03-27
KR0171429B1 (ko) 1999-03-30
EP0545113A2 (en) 1993-06-09
US5129424A (en) 1992-07-14
EP0545113B1 (en) 1997-02-12
JPH05238400A (ja) 1993-09-17
EP0545113A3 (en) 1993-06-30
DK0545113T3 (da) 1997-03-10
DE69217460T2 (de)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7692B1 (en) Proportional pilot-operated directional valve
JPH0428922B2 (ko)
US6585004B1 (en) Multi-stage flow control
KR930010390A (ko) 일체보조 밸빙을 구비한 유체제어기
KR920018550A (ko) 하중 감지 우선 흐름 제어능력을 가진 유체제어기
JPS6335877B2 (ko)
US4649957A (en) Fluid assisted spring return for pilot operated, spool valve
SE8002302L (sv) Ventilanleggning for reglering av funktionen hos en hydraulmotor, serskilt en hydraulcylinder
US3538953A (en) Roller seal valve
EP0084213B1 (en) Pilot control valve for load sensing hydraulic system
CA1089330A (en) Rotary to linear servo mechanisms
US6994116B2 (en) Distributing valve for the load-independent control of a hydraulic consumer in terms of direction and speed
JP2008014492A (ja) カートリッジ弁組立体
US3358711A (en) Valve
US4570672A (en) Hydraulic control valve with independently operable bypass valve
GB1580472A (en) Servo-valves
US20030221730A1 (en) Multi-stage multi-piston valve
US4838308A (en) Multipurpose control valve
JPH0425603A (ja) スタック型油圧制御弁装置
JPS6174904A (ja) 液圧装置
GB2156951A (en) Directional control spool valve
JPH10325476A (ja) 切換弁
US4644971A (en) High pressure pilot operated valve
JPH0612121B2 (ja) 方向切換弁
JP2942570B2 (ja) カウンターバランス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