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038B1 - 침대용 매트 - Google Patents

침대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038B1
KR930010038B1 KR1019900702583A KR907002583A KR930010038B1 KR 930010038 B1 KR930010038 B1 KR 930010038B1 KR 1019900702583 A KR1019900702583 A KR 1019900702583A KR 907002583 A KR907002583 A KR 907002583A KR 930010038 B1 KR930010038 B1 KR 93001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ed
cushion
lay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마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혼겐고죠신겐규가이
이사무 마수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혼겐고죠신겐규가이, 이사무 마수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혼겐고죠신겐규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38B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침대용 매트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를 커버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선 단면도.
제 3 도는 매트본체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각층의 파단 사시도.
제 4 도는 제 2 쿠션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를 커버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침대에 사용되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과 같은 금속부재를 내장하지 않은 침대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침대용 매트는 금속프레임에 여러개의 코일스프링을 겉에서 안쪽을 향하여 고정하고, 그 상하에 각각 시트재를 겹쳐서 그 전체를 커버포로 피복한 구조의 것이다.
구런데 이러한 매트는 금속프레임이나 여러개의 코일스프링을 내장하기 때문에 전체 중량이 무거워져서 그 취급이 불편하였다. 또 코일스프링이나 금속프레임은 녹이 슬게 되는 요인이 되며 또한 시트재나 커버포의 파손요인도 되어 매트의 수명이나 사용감에 아주 나쁜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침대용 매트는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에만 중점을 두는 관관계상, 예를들면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 등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매트 본체의 구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과 같은 금속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경질 발포재로 이루어진 심재와 쿠션재로 이루어진 표층재를 포개어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매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매트의 수명이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쿠션재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매트사용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쿠션성이 있는 매트본체의 외준전체가 시트형 커버로 씌워진 침대용 매트에 있어서, 매트본체를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질바포제로 이루어진 심재와 이 심재를 사이에 끼워 상면과 하면에 포개진 보호판재와 양 보호판에 위에 포개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표층재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한쪽의 표층재는 연질쿠션재로 이루어진 제 1 쿠션층 위에, 표면에 요철면을 갖는 반경질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 2 쿠션층을 포개어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스프링과 같은 금속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매트본체의 심재로서 경질 발포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매트전체의 무게가 가볍게 되어 취급하기에 편리하며, 또 녹이나 파손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수명이나 사용감에도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심재는 보호판재로 보호되므로 외력에 의해 심재가 파손될 염려가 없어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더욱이 보호판재는 신체가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신체는 자연스러운 체형으로 지지되어 편안한 수면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 2 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쿠션층이 신체에 적당한 쿠션성을 주며 또 제 2 쿠션층의 요철면이 점접촉 상태로 신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통기성이나 방습성이 양효하게 되어 사용감이 향상되고, 특히 돌출부에 의한 지압력이 신체에 작용하여 혈액순환을 양호하게 하여 건강증진에도 공헌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를 도시한 것으로, 쿠션성이 있는 매트본체(1)의 외주전체가 시트형 커버(2)로 씌워진 구조의 것이다.
상기 매트본체(1)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재(3)를 중심으로 그 상면과, 하면에 보호판재(4), (5)를 포개고 또한 거기에 각각 표층재(6), (7)를 포개는 동시에, 이 적층체의 외주를 측벽재(8)로 둘러싸서 구성되어 있다. 심재(3)와 각 보호판재(4), (5) 사이, 각 보호판재(4), (5)와 표층재(6), (7)사이 및 이들 적층체와 측벽재(8) 사이는 각각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일체와 되어 있다.
심재(3)는 발포 스티롤(styrol)과 같은 무게가 가벼운 경질발포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매트본체(1)의 두께에 대하여 1/2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설정된다. 이 심재(3)는 침대용 매트의 무게를 가볍게할 뿐만 아니라 침대용 매트로서의 바탕이 두꺼운 형태를 갖추어 매트 전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이 심재(3)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기구멍(9)이 형성되어 이것에 의해 매트본체(11)내에 습기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면측의 보호판재(4)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강인하고 두께가 수미리정도인 압축합판이 사용되어 인체의 하중이 심재(3)에 무리하게 작용하여 심재(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표층재(6)의 탄성변형에 대하여 신체가 내려앉는 것을 방지한다. 이 보호판재(4)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것이며 상기 압축합판 이외에 합성수지제로 된 파형판 등도 사용될 수 있다.
하면측의 보호판재(5)는 상면측의 보호판재(4)와 마찬가지로 심재(3)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합판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이 실시예의 경우, 매트의 상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강도는 작지만 무게가 가벼우며 흡습기능이 있는 종이판재(예를들어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면측의 표층재(6)는 이 실시예의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쿠션재를 3층으로 포갠 구조의 것으로서, 최하층인 제 1 쿠션층(10)과 최상층인 제 2 쿠션층(11)과 중간층인 제 3 쿠션층(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쿠션층은 연질우레탐폼과 같은 유연하며 통기성이 있는 연질쿠션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중에 대해 약간 탄성변형하여 신체에 강한 쿠션성을 부여한다.
제 2 쿠션층(11)은 반경질우레탄폼과 같은 약한 쿤성과 함께 적당한 경도와 통기성을 지닌 반경질성 쿠션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중에 대해 약간 탄성변형하여 신체를 지지한다. 이 쿠션재로서, 예를들면 폴리에테르, 고무 등을 주원료로 하는 라바탄 H(상품명, 일본국 동양고무화학공업(주) 제품) 등이 적합하며, 그 표면전체에는 요철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면(13)의 각 돌출부(14)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경화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경화부(15)는 돌출부(14)의 선단을 고무계액에 담근후 100℃ 정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고무계액을 가류화(加硫化)하여 고체화한 것이다. 이 경화부(15)의 존재에 의하여 하중에 대해 돌출부(14)가 눌려 파손되지 않으며 신체는 점접촉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신체와 쿠션재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며 또 신체에 대해 지압력을 작용시킬수가 있다.
제 3 쿠션층(12)은 우레탄칩을 가열상태로 압축하여 단단하게 한 구조의 쿠션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간정도의 쿠션성으로 신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표층재(6)의 강도를 보강한다. 하면측의 표층재(7) 및 측벽재(8)는 제 1 쿠션층(10)과 동일한 재료, 즉 연질우레탄폼과 같은 유연하며 통기성이 있는 연질쿠션재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표층재(7)는 하중에 대해 충분하게 탄성변형하여 신체에 강한 쿠션성을 주며, 또 측벽재(8)는 매트본체의 적층구조를 주위로 부터 보호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매트본체(1)의 표면측 표층재(6)에 다수의 영구자석(16)을 배치한 것이다. 이들 영구자석(16)은 신체에 자력선을 작용시켜 소정의 자기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쿠션층(11)의 요철면(13)의 오목한 부위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성]
본 발명에 의한 매트를 침대위에 배치하고 이 매트에 얇은 커버등을 씌운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 매트위에 사람이 누웠을 경우, 주로 상면측 표층재(6)의 제 1 쿠션층(10)과 하면측의 표층재(7)가 적당한 쿠션성을 주며, 제 2 쿠션층(11)이 신체를 지지한다. 이 경우에 상면측의 보호판재(4)는 표층재(6)의 탄성변형에 대해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상태로 내려앉는 일이 없도록 자연스러운 체형으로 지지하여 편안한 수명을 약속한다. 또, 심재(3)는 매트본체(1)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 제 2 쿠션층(11)에는 요철면(13)의 각 돌출부(14)에 경화부(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중에 의해 각 돌출부(14)가 눌려서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신체는 각 돌출부(14)의 경화부(15)로서 점접촉 상태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인체와 제 2 쿠션층(11)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통기성이나 방습성이 양호하게 되며, 사용감이 향상된다. 더욱이 요철면(13)의 각 돌출부(14)는 인체의 적당한 곳을 눌러서 지압작용을 하므로 혈액순환을 양호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킨다.
그리고 제 5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영구자석(16)에서 나온 자력선이 인체에 작용하여 혈액순환을 더욱 양호하게 하는 동시에 신체가 결리는 것을 해소하거나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
또 이 매트를 운반할 경우, 매트본체(1)내엔 금속부재가 사용되지 않고 심재(3)로서 경질 발포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매트전체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녹이나 파손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쿠션성이 있는 매트본체(1)의 외주전체를 시트형 커버(2)로 씌운 침대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1)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질발포재로 이루어지는 심재(3)와, 이 심재(3)를 사이에 끼워 상면과 하면에 포개진 보호판재(4)(5)와, 양보호판재(4)(5)위에 포개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표층재(6)(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3)는 그 내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기구멍(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재(6)는 그 표면에 여러개의 영구자석(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4. 쿠션성이 있는 매트본체(1)의 외주전체를 시트형 커버(2)로 씌운 침대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1)는 충분한 두께를 가진 경질 발포재로 이루어진 심재(3)와, 이 심재(3)를 사이에 끼워 상하면에 포개진 보호판재(4)(5)와, 양 보호판재(4)(5)위에 포개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표층재(6)(7)로 형성됨과 아울러, 한쪽의 표층재(6)는 연질쿠션재로 이루어진 제 1 쿠션층(10)위에, 표면에 요철면(13)을 가진 반경질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 2 쿠션층(11)을 포개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쿠션층(11)은 요철면(13)의 각 돌출부(14)에 선단부가 경화처리된 경화부(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KR1019900702583A 1988-02-08 1989-05-06 침대용 매트 KR930010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6188A 1988-02-08 1988-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038B1 true KR930010038B1 (ko) 1993-10-14

Family

ID=2254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583A KR930010038B1 (ko) 1988-02-08 1989-05-06 침대용 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30010038B1 (ko)
ZA (1) ZA898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81A (ko) * 2019-01-28 2020-08-05 안정호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81A (ko) * 2019-01-28 2020-08-05 안정호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9896B (en)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232B1 (ko) 쿠션매트
WO1990013245A1 (en) Bed mat
US6159574A (en) Laminated visco-elastic support
US5274846A (en) Cushion having multilayer closed cell structure
US8034445B2 (en) Laminated visco-elastic support
US4356642A (en) Support device
EP1683448B1 (en) Infant mattress
KR930010038B1 (ko) 침대용 매트
KR102378668B1 (ko)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JPH0555121B1 (ko)
JPH0572255U (ja) 金属部材を内蔵しないベッド用マット
KR200372197Y1 (ko) 침구용 매트리스의 쿠션구조
JPH0340195Y2 (ko)
JPH06245850A (ja) マットレス
US20070128429A1 (en) Safety Mat
US20220347517A1 (en) Lightweight portable panel for physical therapy or exercise
PT93775A (pt) Colchao de cama
JP4865962B2 (ja) マットレス装置
JP3052644U (ja) マットレス
JP6158854B2 (ja) クッション部材、及び、クッション体
WO2017106435A1 (en) Under mattress support
JP2002315656A (ja) マットレス部材
KR20170069620A (ko) 상이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JPH0546703Y2 (ko)
JPS611068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