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680Y1 -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80Y1
KR930008680Y1 KR2019880016332U KR880016332U KR930008680Y1 KR 930008680 Y1 KR930008680 Y1 KR 930008680Y1 KR 2019880016332 U KR2019880016332 U KR 2019880016332U KR 880016332 U KR880016332 U KR 880016332U KR 930008680 Y1 KR930008680 Y1 KR 930008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kp
escalator
relay
light emitting
re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3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6699U (en
Inventor
최철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680Y1/en
Publication of KR900006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9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80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 표시장치Fault point display device of escalator

제 1 도는 일반적인 에스카레이터의 개략 구조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escalator.

제 2 도는 종래 에스카레이터의 안전구동 회로도.2 is a safety driving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escalator.

제 3a, b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장점표시장치의 회로 구성도.3a, b is a circuit diagram of a fault poi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리미티 스위치부 A, B : 릴레이1: Limit switch part A, B: Relay

1KP…nKP : 키프 릴레이 R1~R3: 저항1KP... nKP: Keep relay R 1 to R 3 : Resistance

1KP1…nKP2: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 LD1~LD2: 발광 다이오드 1 KP 1 . nKP 2 : b contact LD 1 to LD 2 of the keep relay (1KP ... nKP): Light emitting diode

LM1~LM2: 리미트 스위치LM 1 to LM 2 : Limit switch

본 고안은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안전 스위치 작동검출에 따라 고장점 위치를 표시 하도록 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ult point display device of the esca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ult point display device of the escalator adapted to display the fault poin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various safety switch operation of the escalator.

일반적으로 에스카레이터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승객의 안전을 위해 상, 하부측에 복수의 안전 스위치(UT, UB), (DT, DB)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escal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afety switches (UT, UB), (DT, DB)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s shown in FIG.

이러한 안전 스위치(UT, UB), (DT, DB)에 의한 종래의 에스카레이터의 구동 회로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하측 상승 스위치(UT)(UB)와 하강 스위치(DT)(DB)의 공통 접속점에 릴레이(A)(B)의 b접점(A1)(B1)을 통해 각각의 릴레이(A)(B)를 연결함과 동시 이 릴레이(A)(B)의 a접점(A2)(B2)을 통해 나이프 스위치 (KN)에도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A)(B)의 타측으로는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의 b접점(LM1~LM2)을 통해 부극성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riving circuit of the conventional escalator by the safety switches UT, UB and (DT, DB) is the upper and lower rising switch (UT) UB and the falling switch DT (DB). Contact each relay (A) (B) through contact b of relay (A) (B) through contact b (A 1 ) (B 1 ) of the relay (A) (B) and contact a of this relay (A) (B) The contact b of the limit switch unit 1 connected to the knife switch KN via (A 2 ) (B 2 ) and detecting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on the other side of the relay (A) (B) ( LM 1 ~ LM 2 ) is configured to apply a negative power.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은 제 1 도의 에스카레이터 구조도에서와 같이 상부측으로 상승 스위치(UT)와 하강 스위치(DT)가 위치하고, 하부측으로 상승 스위치(UB)와 하강 스위치(DB)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by this configuration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 switch UT and the down switch DT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 switch UB and the down switch DB are located on the lower side, as in the escalator structure diagram of FIG. have.

이와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 하부측 상승 스위치(UT)(UB)를 조작하면 릴레이(B)의 b접점(B1)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A)가 여자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side rising switches UT UB are operated in this way,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contact B 1 of the relay B to excite the relay A. FIG.

이와 동시에 릴레이(A)의 a접점(A2)에 의해 나이프 스위치(KN)를 거쳐 상승 지령이 홀딩되며, 이는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가 작동하지 않는 한 상승 지령은 도시 생략된 에스카레이터의 주 장치에 투입되어 에스카레이터를 업 구동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rising command is held via the knife switch KN by the contact point A 2 of the relay A, which rises as long as the limit switch unit 1 which detects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does not operate. The instruction is input to the main apparatus of the escalator (not shown) to drive the escalator up.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상, 하부의 하강 스위치(DT)(DB)를 조작하면 릴레이(A)의 b접점(A1)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B)를 여자시키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lower and upper switches DT and DB are operated,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b contact A 1 of the relay A to excite the relay B.

이에 따라 릴레이(B)의 a접점(B2)에 의해 나이프 스위치(KN)를 거쳐 하강 지령이 홀딩되며, 이는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가 작동하지 않는 한 하강 지령은 도시 생략된 에스카레이터의 주 장치에 투입되어 에스카레이터를 다운 구동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alling command is held via the knife switch KN by the contact point B 2 of the relay B, which falls unless the limit switch unit 1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is not operated. The command is to be put into the main device of the escalator (not shown) to drive the escalator down.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안전 회도도에 의해서는 상승 또는 하강 스위치 조작에 따라 에스카레이터는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가 작동하지 않는 한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리미트 스위치부중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면 에스카레이터를 즉시 정지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나,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는 관계로 고장점 파악 및 그에 따른 신속한 수리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afety circuit diagram, the escalator operates normally unless the limit switch unit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is operated by the rising or falling switch operation, and the escalator is activated when one of the limit switch units is activated.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it is to stop immediately, or because the operating limit switch is not displayed to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oint of failure and the prompt repair accordingl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다수개의 리미트 스위치중 고장검출된 리미트 스위치의 상태를 표시 하도록 하므로서 고장점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 보수 점검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에스카레이터의 장점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easily identify a fault point by displaying the state of a fault-detected limit switch among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that detect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vantage of an escalator so that concurrent maintenance checks can be performed quick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 하강 스위치(UT, UB), (DT, DB)와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LM1~LM2)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부(1)를 구비하여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을 표시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각 리미트 스위치(LM1~LM2)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각 리미트 스위치(LM1~LM2)의 개별동작 여부에 따라 릴레이(A)(B) 및 해당 발광 다이오드(LM1~LMn)를 스위칭 시키는 키프 릴레이(1KP~nKP) 및 이의 b접점(1KP1~nKP2)과,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동작 여부에 따라 대응하게 점멸되어 고장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M1~LMn)와,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동작 여부에 따라 대응하게 설치된 각 발광 다이오드(LM1~LMn)의 점멸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PB)와,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1KP1~nKP2)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감압하여 발광다이오드(LM1~LM2)의 구동전원을 형성하는 저항(R1~R2)을 구비하여서 달성된다.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mit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LM 1 ~ LM 2 )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the upper and lower switches (UT, UB), (DT, DB) part by in constituting to show that the advantages of Escalator, each limit switch is correspondingly installed and each limit switch (LM 1 ~ LM 2) for detecting the various abnormal conditions with a (1) (LM 1 ~ LM 2 ) According to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relay (A) (B) and the kike relay (1KP ~ nKP) for switching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iodes (LM 1 ~ LM n ) and its contact b (1KP 1 ~ nKP 2 ), and the keep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flashing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lays 1KP to nKP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fault point, and the corresponding on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relays 1KP to nKP. the LED button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blink (LM 1 ~ LM n) the switch (PB) and, wherein the key pressed relay (1KP ~ nKP) of the b-contact (1KP 1 ~ nKP 2) through the pressure power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resistance which forms a driving power to the (LM 1 ~ LM 2) ( R 1 R 2 ) is achiev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고안은 제 3 도의 (a) 및 (b)에서와 같이 상, 하측 상승 스위치(UT)(UB)와 하강 스위치(DT)(DB)의 공통 접속점에 릴레이(A)(B)의 b접점(A1)(B1)을 통해 각각의 릴레이(A)(B)를 연결함과 동시 이 릴레이(A)(B)의 a접점(A2)(B2)을 통해 나이프 스위치(KN)에도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A)(B)의 타측으로는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1KP2~nKP2)을 통해 부전원 단자와 연결하도록 구성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Connect each relay (A) (B) via contact (A 1 ) (B 1 ) and simultaneously switch K (KN) via contact a (A 2 ) (B 2 ) of this relay (A) (B) ), And the other side of the relay (A) (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supply terminal via the contact b (1KP 2 ~ nKP 2 ) of the keep relay (1KP ~ nKP).

또한 상기 b접점(1KP2~nKP2)을 개폐시키는 키프 릴레이(1KP~nKP)의 각 세트 단자(S)마다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각 리미트 스위치(LM1~LM2)를 연결하되, 키프 릴레이(1KP~nKP)의 각 리세트 단자(R)에는 공통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M1~LMn)의 점멸 상태를 체크하는 버튼 스위치(PB)를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each set terminal S of the kip relays 1KP to nKP that opens and closes the b contacts 1KP 2 to nKP 2 is connected to each limit switch LM 1 to LM 2 that detects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However, a button switch PB for checking the blink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is commonly connected to each reset terminal R of the key relays 1KP to nKP.

또한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에 의해 온/오프되는 각 b접점(1KP, ~nKP2)은 각각의 저항(R1~R2)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M1~LMn)와 접속하도록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b contacts 1KP and ˜nKP 2 turned on / off by the keep relays 1KP to nKP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through respective resistors R 1 to R 2 . Configure the connection.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기존과 같이 상, 하부측 상승 스위치(UT)(UB)를 조작 하면 비동작 릴레이(B)의 b접점(B1)을 통해 릴레이(A)가 여자되어 릴레이(A)의 a접점(A2)을 통한 나이프 스위치(KN)에 의해 상승 지령이 홀딩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propos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rise switch (UT) (UB) as before, the relay (A) is excited through the contact (B 1 ) of the non-operating relay (B). As a result, the rising command is held by the knife switch KN via the contact a 2 of the relay A. FIG.

이때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각각의 키프 릴레이(1KP~nKP) 또한 비동작 상태로 있게 되어 릴레이(A)의 부전원을 연결하는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1KP2~nKP2)을 통해 릴레이(A)의 홀딩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상승 지령신호는 도시 생략된 에스카레이터의 주 장치에 투입되어 에스카레이터를 업구동시킨다.At this time, as the limit switch unit 1 which detects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remains in an open state, each of the keep relays 1KP to nKP is also in an inoperative state, so that the relay A The holding state of the relay A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rough the contact b (1KP 2 to nKP 2 ) of the keep relays 1KP to nKP connecting the sub-power, and the ris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escalator is omitted. It is put into the main unit to drive up the escalator.

이와 동시에 제 3b 도와 같이 키프 릴레이(1KP~nKP)의 각 b접점(1KP1~nKP1)을 통해서도 각각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원은 각각의 저항(R1~R4)을 통해 감압되어 각 발광 다이오드(LM1~LMn)를 점등시킨다.At the same time, power is also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b contacts 1KP 1 to nKP 1 of the kief relays 1KP to nKP as shown in FIG. 3B, and the power is decompressed through the respective resistors R 1 to R 4 .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are turned on.

따라서 에스카레이터의 승강 동작시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LM1~LMn)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는 에스카레이터의 각부 검출 요소가 이상이 없음을 표시하게 된다.Therefore, when all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are turned on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scalator, the detection elements of each part of the escalator are not displayed abnormally.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상, 하부의 하강 스위치(DT)(DB)를 조작하면 비동작 릴레이(A)의 b접점(A1)을 통해 릴레이(B)가 여자되어 릴레이(B)의 a접점(B2)을 통한 나이프 스위치(KN)에 의해 하강 지령이 홀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and lower falling switches DT are operated, the relay B is excited through the b contact A 1 of the non-operating relay A, thereby contacting the a contact (a) of the relay B. The falling command is held by the knife switch KN via B 2 ).

이때에도 상기와 같이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각각의 키프 릴레이(1KP~nKP) 또한 비동작 상태로 있게 되어 릴레이(B)의 부전원을 연결하는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1KP2~nKP2)을 통해 릴레이(B)의 홀딩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하강 지령신호는 도시 생략된 에스카레이터의 주장치에 투입되어 에스카레이터를 다운구동시킨다.At this time, as the limit switch unit 1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as described above is in an open state, each of the keep relays 1KP to nKP is also in an inoperative state. Through the b contact (1KP 2 to nKP 2 ) of the keep relays (1KP to nKP) connecting the sub-power of (B), the holding state of the relay B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falling command signal is omitted. It is put into the main device of the escalator and down-drives the escalator.

이와 동시에 제 3b 도와 같이 키프 릴레이(1KP~nKP)의 각 b접점(1KP1~nKP)1)을 통해서도 각각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원은 각각의 저항(R1~R4)을 통해 감압되어 각 발광 다이오드(LM1~LMn)를 점등시킨다.At the same time, power is also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contact b (1KP 1 to nKP) 1 of the keep relays 1KP to nKP as shown in the 3b diagram, and the power is decompressed through the respective resistors R 1 to R 4 . Each light emitting diode LM 1 to LM n is turned on.

따라서 에스카레이터의 하강 동작시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LM1~LMn)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는 에스카레이터의 각부 검출 요소가 이상이 없음을 표시하게 된다.Therefore, when all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are turned on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escalator, the detection elements of each part of the escalator are not displayed abnormally.

한편, 상기와 같이 에스카레이터가 정상적으로 승, 하강 운행도중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중 예컨데 제 3a 도의 리미트 스위치(LM1)를 제외한 다른 리미트 스위치(LM2~LMn)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이와 대응하는 각 키프 릴레이(2KP~nKP) 또한 비동작하여 이의 각 b접점(2KP1~nKP1)을 통한 발광 다이오드(LM2~LMn)는 점등된 상태이면 해당 부위에는 이상이 없음을 나타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limit switch except the 3a-degree limit switch (LM 1), for example of Escalator normally W, fall limit switch unit (1)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of the Escalator dur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LM 2 ~ LMn ) Is kept ope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rresponding keep relays 2KP to nKP are also deactivat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2 to LM n through the respective b contacts 2KP 1 to nKP 1 are If it is turned on,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corresponding part.

그러나 상기한 예에서와 같이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 리미트 스위치(LM1)가 동작되면 이 스위치(LM1)의 접점은 폐방되어 이와 대응하게 연결된 키프 릴레이(1KP)를 여자시킨다.However, when the limit switch LM 1 that detects an abnormal state is operated as in the above example, the contact of the switch LM 1 is closed to excite the corresponding kip relay 1KP.

이에 따라 에스카레이터를 승, 하강시키는 릴레이(A)(B)의 부전원단의 b접점(1KP2)이 개방(오프)되면서 릴레이(A)(B)를 오프시켜 에스카레이터의 승, 하강 운행을 정지시킨다.Accordingly, the contact point (1KP 2 )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relay (A) (B), which raises and lowers the escalator, is opened (off), and the relay (A) (B) is turned off to move the escalator up and down. Stop it.

이와 동시에 제 3b 도의 키프 릴레이(1KP)의 b접점(1KP1)도 개방(오프)되어 해당 발광 다이오드(LD1)의 전원 라인을 차단하게 되므로 이와 대응하게 연결되는 발과 다이오드(LD1)를 소등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b contact 1KP 1 of the kip relay 1KP of FIG. 3B is also opened (off) to cut off the power line of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iode LD 1 , so that the corresponding foot and diode LD 1 are connected. Turn off

이에 따라 관리자는 소등된 발광 다이오드(LD1)의 확인으로 해당 고장점을 쉽게 인식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manager can easil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failure point by checking the light-emitting diode LD 1 .

이때 소등된 발광 다이오드(LD1)가 고장으로 점멸동작을 행하지 못할 경우가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는 비정상 상태 검출 부위를 점검하기전 먼저 발광 다이오드(LD1)의 점멸 상태를 체크하게 되는데, 그 방법은 제 3a 도에서와 같이 버튼 스위치(PB)를 누르고 떼는 조작으로 전원 라인을 폐, 개방시켜 키프 릴레이(1KP)의 리세트 단자(R)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 유, 무로서 키프 릴레이(1KP)가 동작 또는 비동작되어 이 릴레이(1KP)의 b접점(1KP1)의 개, 폐에 따라 해당 발광 다이오드(LD1)의 점멸 동작 상태를 점검 확인 한후 관련부의 비정상 상태를 점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light-emitting diode LD 1 may not be able to perform a flashing operation due to a malfunction. Therefore, the flashing state of the light-emitting diode LD 1 is first checked before checking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site. As shown in Fig. 3a, the key relay 1KP operates with or without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reset terminal R of the key relay 1KP by closing and opening the power line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button switch PB. Alternatively, the non-operation is performed to check the blinking operation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D 1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int 1KP 1 of the relay 1KP, and then check the abnormal state of the relevant part.

여기서 예로서 에스카레이터의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중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LM1)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리미트 스위치(LM2~LMn)가 각각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한 리미트 스위치(LM1)의 비정상 검출 동작과 같이 동일하게 동작된다.As an example, only one limit switch LM 1 of the limit switch unit 1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escalat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remaining limit switches LM 2 to LMn respectively detect abnormal conditions. In this case,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normal detection operation of the limit switch LM 1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에스카레이터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이들 스위치의 비정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에스카레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한 상태에서 승객 안전에 관한 비정상 상태 검출의 고장 위치점을 개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므로서 고장점 파악에 신속성을 기할 수 있고, 아울러 보수 점검이 용이한 성과를 제공한다.As explained above, the escalator is equipped with a limit switch that detects an abnormal state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nd the abnormality related to the passenger safety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whether the abnormal state of these switches is detected. By individually displaying the fault location point of the status detec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the fault point and provide the result of easy maintenance.

Claims (1)

상, 하강 스위치(UT, UB), (DT, DB)와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LM1~LMn)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부(1)를 구비하여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을 표시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각종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각 리미트 스위치(LM1~LMn)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각 리미트 스위치(LM1~LMn)의 개별동작 여부에 따라 릴레이(A)(B) 및 해당 발광 다이오드(LM1~LMn)를 스위칭 시키는 키프 릴레이(1KP~nKP) 및 이의 b접점(1KP1~nKP2)과,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동작 여부에 따라 대응하게 점멸되어 고장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M1~LMn)와,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동작 여부에 따라 대응하게 설치된 각 발광 다이오드(LM1~LMn)의 점멸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PB)와, 상기 키프 릴레이(1KP~nKP)의 b접점(1KP1~nKP2)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감압하여 발광 다이오드(LM1~LMn)의 구동전원을 형성하는 저항(R1~Rn)을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카레이터의 고장점 표시 장치.A limit switch unit 1 having up and down switches UT, UB, DT, DB, and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LM 1 to LM n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is provided to solve the fault point of the escalator. In the display unit, the relay switches A and B are installed correspondingly to the respective limit switches LM 1 to LM n for detecting the various abnormal states, depending on whether the limit switches LM 1 to LM n are individually operated. ) And the kip relays 1KP to nKP for switching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 and the b contact points 1KP 1 to nKP 2 and the kip relays 1KP to nKP. Flashing operation states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fault point and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M 1 to LM n corresponding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relays 1KP to nKP. and the button switch (PB) for checking, the relay Keefe (1KP ~ nKP) b contacts (1KP 1 ~ nKP 2) the barrel The power to be applied to pressure sensitive light emitting diode (LM 1 ~ LM n) and the advantages of the display device Escalator according to claim adapted to hayeoseo having a resistance (R 1 ~ R n) forming the drive power supply of.
KR2019880016332U 1988-09-30 1988-09-30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KR9300086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332U KR930008680Y1 (en) 1988-09-30 1988-09-30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332U KR930008680Y1 (en) 1988-09-30 1988-09-30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699U KR900006699U (en) 1990-04-03
KR930008680Y1 true KR930008680Y1 (en) 1993-12-28

Family

ID=1927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332U KR930008680Y1 (en) 1988-09-30 1988-09-30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68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699U (en)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467A (en) Photoelectric switch and relay system with disabling fail-safe monitoring circuitry
US10366845B2 (en) Monitored adaptable emergency off-switch
JP5089611B2 (en) Safety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safely opening and closing a switch
CA2887883A1 (en) Electronic wire bridge with safety circuit
KR930008680Y1 (en) Escalator default display device
US4091438A (en) Press control system
US4496941A (en) Switch protection device
JP3750373B2 (en) Power ON / OFF device
JPH07285774A (en) Trouble display device for escalator
KR0179886B1 (en) Failure detection equipment of an elevator
US20030218436A1 (en) Lamp monitor and lamp
JPS6356600B2 (en)
KR100431571B1 (en) Emergency situation sensing system of escalator
JP2567989B2 (en) Passenger conveyor control device
KR0115906Y1 (en) Prevention circuit of wrong action for the washing motor in a washing machine
JP4765449B2 (en) Elevator push button automatic diagnosis device and elevator push button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910004977Y1 (en) Safety device for a parking garage
JP2781484B2 (en) Monitoring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JPH0632590A (en)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motor-driven winding machine
KR920003544Y1 (en) Devices detecting button state for elevator
KR920007688Y1 (en) Abnormal current detecting circuit for escalator
KR960008455Y1 (en) Elevator monitor operation guide device
KR100275075B1 (en) Method for displaying error of sensor of factory automation
JPH06329364A (en) Elevator troubled condition display device
KR920004485Y1 (en) Devices displaying out of order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