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598Y1 -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598Y1
KR930008598Y1 KR2019910016669U KR910016669U KR930008598Y1 KR 930008598 Y1 KR930008598 Y1 KR 930008598Y1 KR 2019910016669 U KR2019910016669 U KR 2019910016669U KR 910016669 U KR910016669 U KR 910016669U KR 930008598 Y1 KR930008598 Y1 KR 930008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ld
staples
spin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343U (ko
Inventor
박래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신선재
박래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신선재, 박래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신선재
Priority to KR2019910016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598Y1/ko
Publication of KR930008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 B21F45/24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of staples; of belt-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전체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평상시의 상태.
제 5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불량발생시의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금형 40 : 상금형
41 : 하금형 42 : 가이드판
43 : 인입구 44 : 측판
45 : 횡봉 46 : 감지봉
47 : 배면판 48 : 편심축
49 : 원판 50 : 스프링
52 : 스위치 53 : 돌편
본 고안은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자세히 말하면 절단 및 절곡작업을 하는 금형상에서 오동작, 또는 이물질이 난입할 경우 계속적인 장이의 구동으로 야기되는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재료의 공급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감지장치인 것이다.
근래에 스테플러 침을 연속자동으로 성형, 생산하되 종래와 같이 한가닥으로 공급되는 재료(철사)를 절단, 절곡한 당, 음에 접착시켜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재료(철사)를 절단, 절곡한 다음에 접착시켜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재료(철사)를 동시다발적으로 공급하면서 미리 횡으로 나열하여 접착한 다음 재료를 절단, 절곡하여 완성시키는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발명특허출원 제 91-16967 호)가 개발되었다.
즉, 제 1 도에서 보듯이 수십가닥의 재료가 동시에 인입되도록 하되 이를 교정(矯正)하기위한 교정수단(1) 그 다음으로 재료를 횡으로 나열하여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3)을 거친 다음에 이를 성형수단(금형)에 공급하여 스테플러 침을 성형, 제작하게 되는바, 본 고안은 상기 성형수단의 금형에서 오동작 발생시 또는 이물질등이 난입하여 불량이 발생할때 계속적인 불량발생을 방지 하기 위해 이를 감지 하기 위한 것이고, 이와 같이 감지된 시점에서 성형장치의 전체 작동을 중단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가 적용된 새로운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으로서, 도면의 우측으로 부터 인입되는 재료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수단(1)이 있고, 교정된 재료를 끌어 당겨서 진행시키기 위한 진행수단(2)이 있으며, 재료를 횡으로 나열하여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3)이 있고, 그 다음으로 성형수단, 즉 금형(4)이 위치하게 되는 바, 재료(5)는 하금형(41)상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판(42) 중앙바닥의 인입구(43)내로 연속하여 공급되며, 상금형(40)의 1회 하강,상승시마다 1열의 스테플러 침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장치는 금형(4)의 직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제 2 도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2)의 인입구(43)내로 공급되는 재료(5)는 그 아래쪽으로 측판(44)에 입설한 횡봉(45)을 두어 횡봉(45)에 받쳐지게 하고, 또 재료(5)의 위로는 감지봉(46)을 위치시키면서 감지봉(46)의 일측은 배면판(47)상에서 편심축(48)으로 고정된 원판(49)의 측편에 고착시켜서 감지봉(46)이 움직이게 되면 편심축(48)을 중심으로 원판(49)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원판(49)의 밑에는 스프링(50)과 그 스프링(50)에 감합된 스위치(52)를 구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스위치(52)는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배선한다.
한편, 상기의 편심축(48)이 입설된 배면판(47)의 일측에는 감지봉(46)의 하사점을 조절 하기위한 돌편(53)과 나사(54)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전에 참고로 하금형(41)상의 가이드판(42) 중앙 바닥에 있는 인입구(43)를 설명한다.
이는 횡으로 나열되어 접착된 철편형의 재료(5)의 폭과 통일한 폭을 가지고, 또 그 재료(5)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 것이다.
따라서 재료(5)의 인입각도가 조금만틀려도 들어가지 않으며, 더우기 이물질이 따라 들어 갔을 경우에는 재료(5)의 인입이 정확히 이루어지기 힘들다.
그러므로 재료(5)의 인입각도가 틀려졌거나 이물질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인입될때에는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횡봉(45)에 얹혀 지나가던 철편형 재료(5)가 진행수단(2)이 공급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아래쪽으로는 횡봉(45)이 있기 때문에 윗쪽으로 휘어지게 되며, 그로 인하여 감지봉(46)이 따라서 들어 올려진다.
이때 아랫쪽으로는 횡봉(45)이 받치고 있고, 좌우측으로는 횡렬로 진행되는 재료들이 겹치게 되어 굽힘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필히 굽힘강도가 약해지는 윗쪽으로 휘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지봉(46)이 들어올려지면 원판(49)이 회전하게 되는데, 원판(49)이 편심축(48)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판(49)의 하단부가 스프링(50)의 힘을 이기고 스위치(52)를 누르면서 OFF시켜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 전체 즉, 교정수단(1)으로 부터 진행수다(2), 접착수단(4), 그리고 본 고안장치 이후의 금형(4)의 작동까지 모두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재료(5)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감지봉(46)의 감지위치는 돌편(53)상의 나사(54)로서 미리 조절하여 둘수 있다. 즉 돌편(53)에 체결된 나사(54)의 체결정도에 따르는 나사(54)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나사(54)의 상단에 놓여진 감지봉(46)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나사(54)의 상단에 놓여진 감지봉(4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속으로 가동되는 과정에서 불량의 원인이 발생했을때 인위적으로 전체의 장치 모두를 일일이 정지 시키자면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써 그 만큼 불량품이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 불량요인 발생 즉시 전체의 장치를 일시에 가동중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재료(5)를 하금형(41)상의 가이드판(42) 중앙바닥의 인입구(43)로 공급받아 절단, 절곡 하는 금형(4)에 있어서, 인입구(43)의 전방하측에 재료(5)를 받쳐주기 위한 횡봉(45)을 형성하고, 횡봉(45)의 윗쪽으로 감지봉(46)을 수평으로 위치시키면서 감지봉(46)의 일측을 편심축(48)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원판(49)의 외주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판(49)의 하방에는 스프링(50)과 스프링(50)에 감합된 스위치(52)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봉(46)은 돌편(53)에 체결된 나사(54)에 받쳐져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장치.
KR2019910016669U 1991-10-09 1991-10-09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KR930008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669U KR930008598Y1 (ko) 1991-10-09 1991-10-09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669U KR930008598Y1 (ko) 1991-10-09 1991-10-09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43U KR930008343U (ko) 1993-05-24
KR930008598Y1 true KR930008598Y1 (ko) 1993-12-23

Family

ID=1932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669U KR930008598Y1 (ko) 1991-10-09 1991-10-09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43U (ko)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4161B1 (en) Wrapping machine
JPS5924933B2 (ja) ガムスラブ送り装置
JP3623896B2 (ja) 板材の溝加工機
JP3386281B2 (ja) 食品スライス機
CN102021765A (zh) 纽扣孔锁边缝纫机的切布装置
US6560947B2 (en) Strap detector assembly
KR930008598Y1 (ko) 스테플러 침 성형장치의 불량발생 감지 장치
TWI626347B (zh) Belt delivery device and belt seaming device
JPH0450158B2 (ko)
US3063212A (en) Taping machine
US5678501A (en) Linking machine with a conveyor to transport socks to sewing heads
KR100590373B1 (ko) 전자부품 조립용 리벳팅머신의 히트씽크 공급장치.
US5458074A (en) Sewing device
JPH0970713A (ja) H形鋼用切断機
KR100574388B1 (ko)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
KR200299443Y1 (ko) 밍크담요 제직기의 원사공급용 장력 자동조절장치
US81044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large stitched products
US2691777A (en) Bag stapler
JP2747998B2 (ja) フックテープ及びアイテープ用のオートカッター
JPH0382498A (ja) カフス縫製装置における頭部間隔自動制御装置
KR200363487Y1 (ko) 상품권의 자동배출제어장치의 상품권 수용부의 폭 조절구조
JPH0664622A (ja) 小物部品計数装置付き包装機
KR950004997B1 (ko) 어상자 자동 제작기
JPH043771Y2 (ko)
JP6520399B2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