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588A -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588A
KR930008588A KR1019910017424A KR910017424A KR930008588A KR 930008588 A KR930008588 A KR 930008588A KR 1019910017424 A KR1019910017424 A KR 1019910017424A KR 910017424 A KR910017424 A KR 910017424A KR 930008588 A KR930008588 A KR 93000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troke
value
subwindow
tr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23B1 (ko
Inventor
정찬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1001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623B1/ko
Publication of KR93000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문자인식에 관한 것으로, 종래 세선화 영상으로부터의 자획추출은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잡음등에 왜곡된 영상의 경우 엉뚱한 결과를 얻게되어 기준패턴과의 차이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문자로부터 빗침자획을 추출한뒤 잡음제거를 행하고, 추출자획을 보정하는데 이는 추출된 자획의 연결이 명확치 않을때 연결성을 보다 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3x3 윈도우내에 3개의 서브 윈도우를 정의하고, 이들에 대한 각각의 논리 파라미터를 지정한뒤 논리 파라미터로 구성된 논리식에 의해 빗침 자획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추출된 획정보를 통계적 기법으로 처리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문자 인식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글문자인식 시스템의 자획추출장치 블럭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3×4윈도우 설명도.

Claims (2)

  1. 입력문자(101)로 부터 현재조사 대상인 화소의 값을 조사하여 화소값이 1일때 상기 화소를 중심으로 소정의 윈도우부를 설정하여 상기 윈도우내의 주변화소로부터 몇개의 서브윈도를 정의하고 임의의 논리적 파라미터를 정의한후 각 서브윈도우 값에 따라 논리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의 결정된 각 파라미터로 부터 현화소를 빗침자획선의 화소로 인정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빗침자획 추출단계(102)와, 빗침자회성분으로 추출된 화소를 중심으로한 각 서브윈도우를 조사하여 주변화소 모주 배경화소시 당해 화소를 고립화소로 인정하여 빗침자획화소에서 제의하는 잡음제거단계(103)와, 현재조사대상인 화소가 0일대 주변화소값에 따라 추출된 빗침자획의 연결밀도를 높이는 자획보정단계(104)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인식의 빗침 자획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빗침자획 추출단계(102)는 화소값 1인 화소를 중심으로 3x3 윈도우를 설정한 후 상기 윈도우내의 주변화소(P1,P2,P3,P4,P5,P6,P7,P8,P8)로부터 서브윈도우1(P1+P2+P3), 서브윈도우2(P5+P6+P7), 서브윈도우3(P4+P8)의 서브윈도우를 정의하고, 상기 서브윈도우에 대한 세개의 논리적 파라미터(Par1,Par2, Par3)를 정의한 후 서브윈도우 1의 값이 0이면 par1을 참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으로, 서브윈도우 2의 값이 0보다 크면 par2를 참으로 그렇지 않으면 거짓으로, 서브윈도우 3의 값이 0보다 크면 par3을 참으로 그렇지 않으면 거짓으로하여 논리값을 결정하고 상기에서 par1이 참일때 Ppar2가 참이거나 par3이 참이면 현화소를 빗침 자획된상의 화소로 인정하며, 잡음제거단계(103)는 3개의 서브윈도우의 합이 0일시 당해 화소를 고립화소로 인정하여 빗침 자획화소에서 제외하며 자획보정단계(104)는 현재조사 대상인 화소가 0이고 화소 P3와 P7의 합이 0이고, 화소 P1과 P8의 합이 0보다 크면 화소 P4와 P5의 합이 0보다 크면 현화소의 값을 1로 대치시켜 연결밀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인식의 빗침 자획추출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17424A 1991-10-04 1991-10-04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방법 KR94000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424A KR940003623B1 (ko) 1991-10-04 1991-10-04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424A KR940003623B1 (ko) 1991-10-04 1991-10-04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88A true KR930008588A (ko) 1993-05-21
KR940003623B1 KR940003623B1 (ko) 1994-04-25

Family

ID=1932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424A KR940003623B1 (ko) 1991-10-04 1991-10-04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179B1 (en) * 1999-10-04 2004-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23B1 (ko) 199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0936B2 (ja) 表領域識別方法
CN110363102A (zh) 一种pdf文件的对象识别处理方法及装置
US11151402B2 (en) Method of character recognition in written document
US50758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able area formed in binary image of document
JPH0728940A (ja) 文書処理のためのイメージ・セグメント化およびイメージ要素分類の方法
JP2006067585A (ja) デジタル画像におけるキャプションを位置特定及び抽出する方法及び装置
AU2019203344B2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CN110879963A (zh) 一种敏感表情包检测方法、装置与电子设备
CN111931769A (zh) 结合rpa及ai的发票处理、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2101323B (zh) 标题列表的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930008588A (ko) 한글문자 인식 빗침 자획추출 방법
Cheriet et al. A formal model for document processing of business forms
JPH1125222A (ja) 文字切り出し方法及び文字切り出し装置
US20040037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notated screen capture images by automated selection of image regions
JP2548386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の用途コード認識方法
CN111125413B (zh) 文本图片的过滤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548385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の車種コード認識方法
JP3585143B2 (ja) 文字列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930000034B1 (ko) 수행길이코드를 이용한 한글문자의 자소분리방법
Tribuzy et al. Vehicle License Plate Preprocessing Techniques Using Graphical Interface
CN114972381A (zh) 图像数据的处理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930005568B1 (ko) 오 추출 라인 검출 방법
JPH02166583A (ja) 文字認識装置
KR100332753B1 (ko) 화상처리장치의이미지처리방법
JPS63269267A (ja) 文字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