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394Y1 - 모타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모타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94Y1
KR930008394Y1 KR2019910018228U KR910018228U KR930008394Y1 KR 930008394 Y1 KR930008394 Y1 KR 930008394Y1 KR 2019910018228 U KR2019910018228 U KR 2019910018228U KR 910018228 U KR910018228 U KR 910018228U KR 930008394 Y1 KR930008394 Y1 KR 930008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astening
mounting structure
vib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835U (ko
Inventor
전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8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94Y1/ko
Publication of KR930009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타 취부구조
제 1 도는 종래예의 모타취부 구조를 도시한 조립정면도.
제 2 도는 종래예의 모타취부 구조를 도시한 조립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모타취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모타취부 구조를 도시한 조립정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모타취부구조를 도시한 조립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10 : 모타지지부재
10a : 체결구멍 11 : 모타
11a : 체결구멍 11b : 고정부재
12 : 소음방지부재 12a : 소음방지구멍
12b : 통과구멍 13, 14 : 제1및 제2진동방지부재
13a, 14b : 관통구멍 13b : 오목홈
13c : 슬리브안착홈 14b : 삽입돌출부
15 : 체결볼트 16 : 체결너트
17 : 슬리브부재
본 고안은 에어콘, 온풍기, 항온항습기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모타취부구조에 관한것으로, 특히 모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및 소음이 취부구조를 통해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개량된 모타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타취부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디(1)의 하부면으로 체결볼트(2) 및 체결너트(3)에 의해 체결조립되도록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양단수직부(4a)의 하부중앙에 반원부(4b)가 형성되며 또한 하부 전후단으로 부터 동일한 소정높이에 4개의 걸림턱(4c)이 각각 형성된 모타지지부재(4)와, 이 모타지지부재(4)에 형성된 4개의 걸림턱(4c)에 각각 삽입고정되도록 일단부에 고정구멍(5a)이 형성되며 또한 모타(6)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원형부(6a)의 하부면을 감싸줌과 동시에 체결볼트(7) 및 체결너트(8)에 의해 체결조립되어서 상기 모타(6)를 고정하도록 타단부에 체결구멍(5b)이 형성된 모타고정밴드(5)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타취부고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보디(1)에 형성된 고정구멍과 모타지지부재(4)에 형성된 고정구멍을 일치시켜 체결볼트(2) 및 체결니트(3)에 의해 보디(1)의 하부면으로 모타지지부재(4)를 체결조립시킨다음, 모타지지부재(4)의 수직부(4a)에 형성된 4개의 걸림턱(4c)에 모타고정밴드(5)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5a)을 삽입고정시킨 후, 모타지지부재(4)의 수직부(4a)에 형성된 반원부(4b)를 모타(6)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원형부(6a)의 상부곡면에 맞닿도록 함과동시에 상기 4개의 걸림턱(4c)중 2개부분을 1조로하는 걸림턱(4c)에 각각 고정된 모타고정밴드(5)의 하부측, 즉 체결구멍(5b)이 형성되어 절곡된 타단부가 상기 모타(6)의 양단부로 각각 돌출형성된 원형부(6a)의 하부곡면을 전후측에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멍(5b)을 통해 체결볼트(7)가 통과되어서 반대측에서 체결너트(8)로 체결조립됨에 따라 모타(6)는 모타고정밴드(5)와 모타지지부재(4)에 의해 보디(1)에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타취부구조에 있어서는, 보디(1)의 하부면으로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4)의 반원부(4c)가 모타(6)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원형부(6a)의 상부곡면과 직접 맞닿음과 동시에, 모타지지부재(4)의 걸림턱(4c)에 고정된 모타고정밴드(5)가 상기 원형부(6a)의 하부곡면을 받쳐주어서 면접촉에 의해 모타(6)를 직접 취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모타(6)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및 소음이 직접 모타지지부재(4)및 모타고정밴드(5)를 통해 보디(1)에 전달되어서 제품에 진동및 소음을 증가시켰을뿐만 아니라, 모타(6)의 구동에 의해 진동될 경우 모타지지부재(4)의 반원부(4b)및 모타고정밴드(5)의 면접촉에 의한 모타(6)의 취부구조가 쉽게 이탈되어서 균형이 흐트러질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모타(6)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모타를 보디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에 취부시킬때 제1 및 제2 진동방지부재와, 소음방지부재를 그사이에 배설시켜서 체결볼트및 체결너트로 체결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모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직접 모타 지지부재 및 보디를 통해서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모타의 수평을 슬리브부재에의해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어 모타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는 구조가 개량된 모타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모타취부구조는 보디에 모터를 취부할수있도록 보디와 모타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모타지지부재및 모타고정밴드로 구성된 모타취부구조에 있어서, 보디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와, 상기 모타지지부재에 취부할 수 있도록 모타의 상부에 체결구멍이 네모서리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밀착배설되어서 상기 모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수 있도록 다수개의 소음방지구멍 및 네모서리에 통과구멍이 형성된 소음방지부재와, 상기 모타지지부재와 소음방지부재와의 네모서리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서 모타의 구동에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진동방지부재와, 상기 모타의 고정부재의 하부측에 배설되어서 모타의 구동에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상부에 삽입돌출부가 형성되어서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진동방지부재와, 상기 모타지지부재의 체결구멍을 통해 제1및 제2진동방지부재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체결볼트를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조립할때 모타의 취부수평을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는 슬리브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고안의 모타취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 4 도는 본고안의 모타취부구조를 도시한 조립정면도이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있어서, (10)은 보디(1)의 하부면으로 체결조립되는 모타지지부재로써, 이 모타지지부재(10)은 철판을 타발가공에 의해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절곡된 상단 및 하단의 수평플랜지부에는 네모서리부분에 4개씩 체결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11)은 양측으로 모타축이 배설된 모타로써, 이 모타(11)의 상부에는 양측판에 의해 용접고정된 고정부재(11b)가 소정높이에 고정배설되고, 그 고정부재(11b)의 네모서리에는 상기 모타지지부재(10)의 수평플랜지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0a)과 일치되는 체결구멍(11a)이 외측으로 절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12)는 소음방지부재로써, 이 소음방지부재(12)는 상기 모타지지부재(10)의 하부측길이와 모타(11)에 형성된 고정부재(11b)의 길이와 대체로 비슷한 길이를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소음방지부재(12)는 상기 고정부재(11b)의 상부면에 밀착배설되어서 상기 모타(11)의 구종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수 있도록 대체로 중앙에 다수의 소음방지구멍(12a)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고, 네모서리에는 상기 모터지지부재(10)의 체결구멍(10a)및 모타(11)의 고정부재(11b)에 형성된 체결구멍(11a)과 대체로 일치되는 통과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음방지부재(12)는 재질이 아연도금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선택된 일종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 (13)(14)는 제1 및 제2 진동방지부재로써, 상기 제1진동방지부재(13)는 상기 모타지지부재(10)와 소음방지부재(12)와의 네모서리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서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진동방지부재(13)는 하부측으로 후술하는 제2진동방지부재(14)의 삽입돌출부(14b)가 삽입되도록 오목홈(13b)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13b)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슬리브부재(17)가 하부측에서 소정깊이 만큼 삽입되도록 슬리브안착홈(13c)이 형성되며, 이 슬리브안착홈(13c)의 중앙에는 체결볼트(15)가 통과되도록 관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진동방지재(14)는 상기 모타(11)의 고정부재(11b)의 하부측에 배설되어서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에 삽입돌출부(14b)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 진동방지부재(13)(14)는 소정높이를 갖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재질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17)은 슬리브부재로써, 이 슬리브부재(17)는 모타지지부재(10)의 체결구멍(10a)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의 관통구멍(13a)(14a)을 통과하는 체결볼트(15)를 체결너트(16)에 의해 체결조립할때 모타(11)의 취부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체결볼트(15)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슬리브부재(17)는 상기 제1 진동방지부재(13), 제2진동방지부재(14)및 소음방지부재(12)를 결합한 길이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18은 상기 제2진동방지부재(14)의 하부측에 밀착배설되는 와셔이고, 19는 체결볼트이며, 20은 체결너트이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타취부구조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보디(1)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모타지지부재(10)의 상부측 수평플랜지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0a)을 일치시켜 체결볼트(19)및 체결너트(20)에 의해 보디(1)의 하부면으로 모타지지부재(10)를 체결조립시키고, 또 모타(11)의 고정부재(11b)의 상부면으로 소음방지부재(12)를 얹혀놓은후, 상기 모타지지부재(10)와 소음방지부재(12)와의 네모서리 사이에 제1 진동방지부재(13)를 각각 위치시켜서 모타지지부재(10)의 하부측 수평플랜지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0a)과 제1진동방지부재(13)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3a)을 일치시킴과 동시에 소음방지부재(12)에 형성된 통과구멍(12b)과 고정부재(11b)에 형성된 체결구멍(11a)을 수직선상으로 전부 일치시킨 다음, 관통구멍(14a)에 슬리브부재(17)를 끼운 제2 진동방지부재(14)를 상기 고정부재(11b)의 하부측으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2진동방지부재(14)에 돌출형성된 삽입독출부(14b)을 고정부재(11b)에 형성된 체결구멍(11a)을 통해서 소음방지부재(12)에 형성된 통과구멍(12b)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제1진동방지부재(14)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홈(13b)에 삽입되게 함과동시에 슬리브부재(17)을 상기 오목홈(13b)의 중앙에 형성된 슬리브안착홈(13c)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모타지지부재(10)의 체결구멍(10a)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체결볼트(15)를 삽입시켜서 제1및 제2진동 방지부재(13)(14)내에 삽입된 슬리브부재(17)의 내경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제2 진동방지부재(14)의 하부로 노출시킨 체결볼트(15)의 하부쪽으로 와셔(18)및 체결너트(16)를 끼워서 제2진동방지 부재(14)의 하부면으로 밀착시켜 체결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보디(1)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10)와 모타(11)와의 취부를 위해서 그사이에 배설되는 제1 및 제2 진동방지부재(13)(14)및 소음방지부재(12)는 상기 체결볼트(15)와 체결너트(16)에 의해 체결조립될때 모타(11)가 모타지지부재(10)를 중심으로 수평을 유지할수 있도록 체결너트(16)의 체결범위는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내에 삽입된 슬리브부재(17)와 상호맞닿는 부위까지만 적절히 체결되게한다.
그러므로 모타(11)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을뿐만아니라, 제1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의 진동흡수능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킬수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모타취부구조의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전원을 인가시키면 모타(11)는 구동하게되고, 이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진동및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진동은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에 의해 흡수되어서 보디(1)를 통해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고, 소음은 제1진동부재(13)와 제2 진동방지부재(14)와의 사이에 배설됨과 동시에 모타(11)의 고정부재(11b)의 상부면에 밀착배설되어 있는 소음방지부재(12)에 다수개가 형성된 소음방지구멍(12a)에 의해 흡수되어서 보디(1)를 통해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따라서, 모타(11)를 보디(1)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10)에 취부시킬때 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고무제로 형성된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와, 소음을 흡수할수 있도록 금속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어서 다수의 소음방지구멍(12a)이 형성된 소음방지부재(12)를 그사이에 배설시켜서 체결볼트(15)및 체결너트(16)로 체결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및 소음이 직접 모타지지부재(10)및 보디(1)를 통해서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할수 있을뿐만아니라, 모타(11)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모타(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의 모타취부구조에 의하면, 모타를 보디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에 취부시킬때 제1및 제2진동방지부재와 소음방지부재를 그 사이에 배설시켜서 체결볼트및 체결너트로 체결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모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직접 모타지지부재 및 보디를 통해서 제품에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모타의 수평을 슬리브부재에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모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7)

  1. 보디에 모타를 취부할수 있도록 보디와 모타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모타지지부재및 모타고정밴드로 구성된 모타취부구조에 있어서, 보디(1)에 체결조립된 모타지지부재(10)와, 상기 모타지지부재(10)에 취부할수 있도록 모타(11)의 상부에 체결구멍(11a)이 네모서리에 형성된 고정부재(11b)와, 상기 고정부재(11b)의 상부면에 밀착배설되어서 상기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수 있도록 다수개의 소음방지구멍(12a) 및 네모서리에 통과구멍(12b)이 형성된 소음방지부재(12)와, 상기 모타지지부재(10)와 소음방지부재(12)와의 네모서리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서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13a)이 형성된 제1진동방지부재(13)와, 상기 모타(11)의 고정부재(11b)의 하부측에 배설되어서 모타(1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상부에 삽입돌출부(14b)가 형성되어서 중앙에 관통구멍(14a)이 형성된 제2 진동방지부재(14)와, 상기 모타지지부재(10)의 체결구멍(10a)을 통해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의 관통구멍(13a)(14a)을 통과하는 체결볼트(15)를 체결너트(16)에 의해 체결조립할때 모타(11)의 취부수평을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체결볼트(15)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는 슬리브부재(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방지부재(13)는 하부측으로 제2진동방지부재(14)의 삽입돌출부(14b)가 삽입되도록 오목홈(13b)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13b)의 중앙에는 상기 슬리브부재(17)가 하부측에서 소정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슬리브안착홈(13c)이 형성되며, 이 슬리브안착홈(13c)의 중앙에는 체결볼트(15)가 통과되도록 관통구멍(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는 소정높이를 갖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모타취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진동방지부재(13)(14)는 재질이 고무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17)는 상기 제1진동방지부재(13), 제2진동방지부재(14)및 소음방지부재(12)를 결합한 길이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재(12)는 재질이 아연도금된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재(12)는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취부구조.
KR2019910018228U 1991-10-30 1991-10-30 모타 취부구조 KR930008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228U KR930008394Y1 (ko) 1991-10-30 1991-10-30 모타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228U KR930008394Y1 (ko) 1991-10-30 1991-10-30 모타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35U KR930009835U (ko) 1993-05-26
KR930008394Y1 true KR930008394Y1 (ko) 1993-12-22

Family

ID=1932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228U KR930008394Y1 (ko) 1991-10-30 1991-10-30 모타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52B1 (ko) * 2003-05-23 2010-04-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기용 진동방지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52B1 (ko) * 2003-05-23 2010-04-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기용 진동방지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35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713A1 (en) Powertrain Mounting System
CA1314234C (en) Engine mount apparatus
US5464323A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fan blade
WO2006038970A1 (en) Compressor mounting system
KR20010054499A (ko) 라디에이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장치
KR930008394Y1 (ko) 모타 취부구조
US4494723A (en) Device for mounting an engine on a vehicle body
JPH05126207A (ja) 振動体の防振構造
US7513754B2 (en) Sheet metal support for a furnace blower
JPH05202766A (ja) エンジンカバー
US5868215A (en) Vibration isolating support structure for an axle case
JPS6143143Y2 (ko)
JPS5811355Y2 (ja) 振動体の取付装置
KR0115383Y1 (ko) 모타의 방진 취부구조
JPH0216914Y2 (ko)
KR0151650B1 (ko) 트랜스 미션 마운팅 장치
JPH022110Y2 (ko)
JPS6127409Y2 (ko)
JPH0448845Y2 (ko)
JPH0447145Y2 (ko)
JPS6215588Y2 (ko)
KR100569340B1 (ko) 자동차 스티어링컬럼의 노이즈커버 장착구조
KR900002456Y1 (ko) 압축기의 방진장치
JPH0263926A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JPH03273926A (ja) 車両の空調コンプレッサ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