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34B1 -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34B1
KR930008234B1 KR1019910004257A KR910004257A KR930008234B1 KR 930008234 B1 KR930008234 B1 KR 930008234B1 KR 1019910004257 A KR1019910004257 A KR 1019910004257A KR 910004257 A KR910004257 A KR 910004257A KR 930008234 B1 KR930008234 B1 KR 930008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reaction
acid
trifluoromethyl
piperidi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705A (ko
Inventor
리 베이스돈 쉐롤
조오엘 푸울워 마이클
리아 자노스키 헬렌
Original Assignee
몬산토 캄파니
제임스 클리프튼 보올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495,074 external-priority patent/US5116991A/en
Application filed by 몬산토 캄파니, 제임스 클리프튼 보올딩 filed Critical 몬산토 캄파니
Publication of KR91001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79Acids; Esters
    • C07D213/80Acids; Ester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79Acid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6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11/7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3Thioacids; Thioesters; Thioamides; Thioi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2, 6-비스(플루오르화 메틸)-피리딘 디카복실레이트와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은 미국특허 제 4,692,184 및 4,618,679와 유럽특허 제 135,49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제초제로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 4,785,129에 기재된 메틸 4, 4, 4-트리플루오로-3-옥소부탄티오에이트 화합물(이하 테오메틸 트리플루오로아세토 아세테이트 또는 TMTFAA라 표기)은 상기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제조에 있어서의 출발물질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디티오피르-2-디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3, 5-디카보티오산, S, S-디메틸에스테르
DABCO-1, 4-디아자비시클로-[2, 2, 2]-옥탄
DBU-1, 8-디아자비시클로-[5, 4, 0]-운데크-7-엔
ETFAA-에틸 4, 4, 4,-트리플루오로-3-옥소-부타노에이트
TMTFAA-메틸 4, 4, 4-트리플루오로-3-옥소-부탄티오에이트
IVA-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 또는 3-메틸-부탄알
NMR-헥자기 공명
GLC-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원하는 생성화합물의 wt%
%수득률-100×원하는 생성물의 몰/출발물질인 IVA의 초기 몰
** 참고 : 여기서 수득률은 반응변수를 변화시키는데 따르는 효과를 나타내며, 분명히 가변될 수 없는 변수는 상수를 의미한다.
도식 I에 개략되어 있듯이, 디메틸 2-디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 3, 5-피리딘 디카보티오에이트는 치환된 디하이드록시피란을 형성하기 위해 한쯔슈형 베이스를 촉매로 하는 에틸 4, 4, 4-트리플루오로-3-옥소-부티노에이트(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또는 ETFAA)와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의 분자간 고리화(intermolecular cyclization)반응후, 가암모니아 분해 반응되고 이때 생성된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을 탈수반응시키면 1, 4 및 3, 4 디하이드로 피리딘 이성질체 혼합물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피리딘 이성체 혼합물에 DBU나 2, 6-루티딘 같은 유기염기를 사용하여 탈불화수소반응(dehydrofluorination)시키면 피리딘 디에틸에스테르가 높은 수득률(전체 80%)로 생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피리딘 디에틸에스테르의 비누화 반응으로 생성된 디에시드를 디애시드 클로라이드로의 전환반응을 통하여 전환하고 계속되는 티오에스테르화 반응으로 목적하는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제초제 디티오피르를 만들어 낸다.
공지되어 있는 용매와 시료를 사용하고 공지된 반응 조건에 따라 7단계로 진행되는 방법에 의하면 출발물질인 IVA를 기준으로 60%의 디티오피르를 생산할 수 있다.
도식 I의 방법과 유사하게,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거나 또는 같은 조건을 사용하여 출발물질로 ETFAA 대신 TMTFAA를 사용하여 7단계가 아닌 4단계로써 원하는 피리딘 디카보티오에이트를 직접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식 I의 첫번째 4단계에서 사용된 용매와 시료를 사용하여 피란 중간체를 거쳐 진행시키거나, 도식 II의 전체 반응순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출발물질 TMTFAA를 기준으로 원하는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가 낮은 수율로 얻어진다. 이러한 사실은 하기 비교실시예에서 보여질 것이다.
Figure kpo00001
[도식 Ⅰ]
Figure kpo00002
[도식 Ⅰ](계속)
Figure kpo00003
[도식 Ⅱ]
[비교 실시예]
TMTFAA(2당량)과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1당량)을 톨루엔내에서 피페리딘 촉매하에 반응시키니 발열반응이 관측되었다.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19F NMR로 관측하니 피란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피란 생성반응이 대략 완료되면(약 12시간 후), NH3를 포화 될 때까지 톨루엔 용액속으로 버블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19F NMR 스펙트럼으로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의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를 확인하였다.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의 톨루엔 용액을 미국특허 제 3,692,184에 기재되어 있는대로 낮은 온도에서 탈수제로서 진한 황산으로 처리하여 디하이드로피리딘 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반응혼합물을 2시간 더 교반시킨 후 얼음에 부었다. 건조시킨 후, 톨루엔 용액에서 디하이드로피리딘을 탈불화수소반응시키기 위해 환류시키면서 트리부틸아민을 첨가하여 원하는 생성물인 디티오피르를 얻었다. 이 원하는 생성물을 분석하여 확인하였으나 수득률은 매우 저조하였다.(20wt% 이하).
상기 비교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리딘 디카보티오에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참고문헌과 함께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원하는 생성물인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식 II와 동일한 반응단계로 진행되기는 하나 단계간의 용매 변화를 최소화시키고 여러 단계에서 출발물과 생성물로 간주하는 티오에스테르 화합물에 좀 더 적합한 시료를 사용한다. 더구나,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회수될 필요가 없는 시표를 사용함으로써 효율과 경제적인 면에서 장점을 지니고 있다.
TMTFAA로 부터 원하는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생성물을 제조하는 상기에 개략된 전체 반응을 중간 화합물을 분리시킬 필요없이 단일 용기내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3단계는 피페리딘의 제조, 탈수반응 및 탈불화수소반응이며 각 단계는 하기에 상술되어 있다.
[피레리딘 제조]
본 방법은 최초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니트릴 용매내에서 일어나는 한쯔슈-형 고리화 반응이다. 아세토니트릴과 부티로니트릴이 특히 적합하다. 도식 I의 1단계 및 2단계를 도식 II의 1단계와 결합시킨 본 반응에서는 2몰의 TMTFAA, 1몰의 IVA(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 및 1몰의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중간체인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이 생성된다. 본 반응단계내 암모니아(NH3)의 소스는 즉시 암모니아로 되는 무수 암모니아나 암모늄염(수산화암모늄을 포함)일 수 있으며,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면 반응과정중 물이 필요하므로 이 첨가된 물은 다음 단계인 탈수반응전에 제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적당치가 않다.
NH3가 사용된다면, TMTFAA의 암모늄 염을 형성하기 위해, 소량의 TMTFAA에 첨가될 있으며 이 염은 나머지 TMTFAA 및 IVA에 첨가될 수 있다. 이 TMTFAA의 암노늄 염은 어떠한 경우이든지 상술된대로 반응과정에서 형성된다고 믿어지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조작은 반응과정에 따른 시료를 처리함에 있어 유리한 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염은 구조식
Figure kpo00004
을 가지며 분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VA는 본 반응에서 제한시료(limiting reagent)인 반면, 선행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테이트 에스테르가 제한 시료이다. 가격면에 따른 수율면에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방법은 각 시료를 대체로 화학양론적인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과정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원하는 양의 TMTFAA 뿐 아니라 반응물의 총무게와 동등한 양으로 아세토니트릴이나 부티로니트릴을 반응용기에 넣는 것이다. 그런후, 암모니아 기체(NH3)를 20℃ 이하의 온도에서 표면밑쪽으로 첨가시킨다. 그런후 원하는 양의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를 적하하여 첨가시키고 이때의 반응혼합물의 온도는 20℃로 유지시킨다. 반응물의 온도를 25℃까지 올린 후 65℃에서 4시간 가열시킨다. 상기 일련의 반응이 완성된 후, 탈수 반응을 위한 준비로서 50℃-60℃, 10토르(1.33 킬로파스칼)의 진공조건에서 휘발물질을 제거시킨다. 상술된 첫번째 조작에서, 반응물질의 첨가순서, 온도 및 촉매가 선행 기술과 상이하다는 것을 주지하기 바란다 : 특히, TMTFAA는 30℃ 이하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선행기술에 의한 촉매로서의 피페리딘의 첨가없이 피란을 형성하는 TMTFAA 및 IVA의 반응전에 알데하이드의 존재하에서 또는 알데하이드를 첨가하기 전에 암모니아로 처리된다.
전체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본 반응내의 반응변수의 효과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모든 경우마다 사용된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이며 암모니아는 20℃이하에서 첨가되었다.
[표]
Figure kpo00005
[탈수반응]
본 발명의 둘째번 공정은 도식 II의 2단계와 상응하며 본 방법의 첫번째 단계중 생성된 디하이드록시피레리딘의 탈수반응을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 디하이드로피리딘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피페리딘으로 부터 2몰의 H2O을 제거한다. 실제로 이 과정은 1단계의 조 디하이드록시페리딘 잔기를 순수한 상태이거나 용액형태이거나에 관계없이, 탈수제로 처리되어 실시된다. 무수물 또는 농축 수성 HCl을 사용하여 순수한 피페리딘 생성물(즉, 용매가 없는)상에서 탈수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과정에서 특히 바람직한 점은, 첫번째 단계의 조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 잔기가 첫번째 단계에서 사용된 IVA 1몰당 HCI 약 5-15몰의 비로 32% 수성 HCl과 혼합되어 1-2시간 동안 80℃로 가열된다는 점이다. 혼합물을 40℃까지 냉각시키고 최초의 아세토니트릴 양과 동일한 양의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톨루엔/HCl 혼합물을 30분간 교반시킨 후 교반을 멈추고 두 상을 분리시켰다. 아래쪽의 수성 산층을 제거하였다. 충분한 양의 수성 염기를 톨루엔 용액에 첨가하여 pH 8-10의 안정한 용액을 얻었다. 첫번째 단계에서 사용된 HCl 대 IVA의 몰비, 탈수반응 온도, HCl농도, 탈수반응시간동안에 따른 생성물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이 하기 표의 부가적인 실시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표의 모든 실시는 이 단계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하였다.
Figure kpo00006
* Anhy : 무수물
용매가 사용되는 이 탈수반응에서 바람직한 용매와 탈수제의 조합은 아세트산과 PCl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탈수반응에 있어, 순수한 출발물을 처리하기 위해 HCl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매로서 아세트산과 함께 PCl3가 사용될때, 신규한 화합물이 다량 얻어진다는 것이 뜻밖에 발견되었다. 이 새로운 화합물은 3, 5-피리딘디카보티오산, 2-클로로-1, 2, 3, 4-테트라하이드로-4-(2-메틸프로필)-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S, S,-디메틸에스테르(Mp 154-155℃)이다.
탈수제로 HCl을 사용한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 티오에스테르의 상술된 탈수반응은 도식 I에서와 같은 상응하는 옥시에스테르의 탈수반응에도 적용된다. 옥시에스테르에 탈수제로 HCl을 사용하면 선행 기술에 의한 옥시에스테르의 황산 탈수방법에 비교했을 때, 조작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탈불화수소반응(Dehydrofluorin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적인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생성물을 얻기 위해 전단계에서 제조된 디하이드록시피페리딘을 탈불화수소반응시키는, 도식 II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유기염기로 DBU나 2, 6-루티딘을 사용하는 선행 기술의 탈불화수소반응과 대조적으로 DABCO로 처리하여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 DABCO는 화학양론적이나 촉매량 정도로 사용한다. DABCO는 2개의 작용기를 가진 염기이므로, 화학양론적으로 DABCO를 계산하면 출발물 IVA의 1몰당 최소한 0.5몰의 CABCO가 사용된다. 대략 1몰의 CABC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촉매량적으로 DABCO를 계산하며, 탈불화수소반응을 대체로 완성시키는데, 적당한 염기 첨가량과 함께 디하이드로피리딘의 이론적인 몰당(즉, 본래 IVA의 1몰당) 0.01-0.50몰, 바람직하게는 약 0.05-약 0.20몰의 DABCO가 사용된다. DABCO가 촉매로 사용된 과정에서 사용되는 부가적인 염기는 K2CO3, Na2CO3, 트리에틸아민 및 트리부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그러므로 DABCO를 촉매량으로 사용하면 반응과정중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어떠한 탈불화수소반응이 사용되든지, 반응과정중 생성되기도 하는 염(예를들어, 어느 것이 사용되느냐에 따라 DABCO의 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 염과/또는 부가적인 염기의 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염)에 대한 용매로 작용하기 위해 약간의 물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량이나 또는 화학양론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관계없이 DABCO를 사용하면, 새로운 화합물인 3, 5-피리딘디카보티오산, 2-클로로-1, 2, 3, 4-테트라하이드로-4-(2-메틸프로필)-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S, S-디메틸에스테르가 분자로 부터 HCl과 HF를 잃고 탈활로겐화수소반응하여 디티오피르가 된다.
어떤 탈할로겐수소반응을 사용하든지, 불활성의 비양성자성 용매 존재하에서 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된 것은 아니나 이러한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모노클로로벤젠, 부티로니트릴 등의 용매가 있다. 더우기, 본 과정의 단계에 사용되는 온도가 특히 중요한 것은 아니며, 50℃-120℃, 바람직하게는 60℃-80℃가 적당하다.
촉매량의 DABCO를 사용하는 탈불화수소반응에서, 2단계의 톨루엔 용액에 산화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질소를 격렬하게 주입시킨다. 디하이드로피리딘의 이론적 몰(또는 1몰당/본래 IVA몰)당 0.6-1.0몰의 K2CO3를 함유하는 40% K2CO3수성용액을 비슷하게 질소로써 탈기하였다. 2개의 용액을 조합시키고 촉매량의 (본래 IVA몰을 기준으로 5-20몰%) DABCO를 고체 형태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피색의 용액을 4시간 동안 60-100℃에서 가열하고 냉각한 후 수층을 제거하였다. 톨루엔층을 진공조건하에서 스트립시켜 wt%분석으로 80-85%인 초기 IVA 양을 기준으로 65-70% 수율로 조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가 생성되었다.
화학양론적인 DABCO 탈불화수소반응법을 이용할 때는, 산화 부생성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의 톨루엔 용액에 질소를 격렬하게 주입시켰다. 디하이드로피리딘의 이론적인 몰당(또는 1몰/본래 IVA몰), 0.5몰, 바람직하게는 약 1몰 이상의 비율의 수성용액, 바람직하게는 거의 포화상태의 DABCO에 유사하게 질소를 주입시키고 2개의 용액을 결합한다. 생성된 피색용액을 약 2시간 동안 70℃로 가열하고 냉각시켜 수층을 빼내었다. 톨루엔층을 1N HCl로 2회 세척하여 남아있는 DABCO를 제거하고 진공조건하에서 스트립시켜 wt% 분석으로 80-85%인 초기 TMTFAA의 양을 기준으로 65-70%의 조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를 얻었다.
하기 실시예 1과 2는 이미 상술된 비교실시예에서 보여준 것과 동일한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화합물인 디티오피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실시예 1은 탈불화수소반응에서는 촉매량의 DABCO를, 탈수반응에서는 진한 HCl을 사용하는 것이다.
반응 플라스크에 TMTFAA(0.025몰, 5g)와 아세트니트릴 15g을 넣고 10℃까지 냉각시켰다. 암모니아(0.43g, 0.025몰)을 아세토니트릴/TMTFAA용액의 바닥으로 주입시키고 이때 온도는 20℃이하로 유지시켰다. 암모니이 첨가후, 20℃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반응 플라스크에 TMTFAA(0.025몰, 5g)와 IVA(0.025몰, 2.19g)의 혼합물을 적하하여 첨가시켰다. 첨가후, 반응혼합물을 20℃나 그 이하에서 30분간 저어준후 65℃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기의 압력을 10토르(1.33킬로파스칼)까지 서서히 감소시켜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제거하고, 용매가 완전히 제거되면 반응기 압력을 질소로 상압까지 증가시켰다. 스트립된 1단계 생성물에 32% HCl(29g, 0.25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까지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톨루엔(15g)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을 30℃까지 냉각시키고 1시간동안 상분리시켰다. 아랫쪽의 수층을 제거하고, 톨로엔 용액의 pH를 30% K2CO3를 이용하여 8-9로 맞추었다. 30% K2CO3(11.36g, 0.025몰)과 DABCO(0.14g, 0.0013몰)을 반응기에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가열(85℃)하며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되면, 내용물을 30℃가지 냉각시키고 상분리시켰다. 아랫쪽 수층을 제거하고, 톨루엔 용액을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원하는 화합물의 조생성물 7.73g(79%)을 얻었다.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전 과정에 따른 수율은 61%이었다.
본 단계에 사용된 용매의 효과는 하기 표에 나타나며, 각 실시에서 온도는 85℃, 시간은 4시간, 촉매량의 DABCO는 초기 IVA 몰의 6%, 초기 IVA에 대한 K2CO3의 몰비는 1.0의 조건이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2]
하기 실시예 2는 탈불화수소반응에 대하여 화학양론적인 양의 DABCO를 , 탈수반응에 대하여는 POCl3를 사용한 것이다.
TMTFAA(0.025몰, 5g)과 아세토니트릴 15g을 플라스크에 넣고 10℃까지 냉각시켰다. 암모니아수(0.43g, 0.025몰)를 20℃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용액의 바닥쪽에 주입시켰다. 이 NH3 주입후, TMTFAA(0.025)와 IVA(0.025몰, 2.19g)의 혼합물을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적하하여 첨가하고 온도는 계속 20℃를 유지시켰다. 혼합물을 25℃나 그 이하에서 30분간 저어준 후 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여 반응을 완결하였다. 반응기의 압력을 서서히 10토르(1.33 킬로파스칼)까지 감압하여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제거하였다(65℃ 유지), 반응기를 N2블랭킷트(blanket)하에서 상압까지 올린후 톨루엔 15g을 첨가하고 POCl3(0.03몰)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70℃까지 가열하여 1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30℃ 이하로 냉각시켰다. 온도는 계속 30℃를 유지하면서, 사용된 톨루엔(15g)과 같은 양의 물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수층을 분리 제거한 후, 톨루엔 용액의 pH를 20% NaOH로써 8-9로 맞추고 수층을 제거하였다. DABCO(0.025몰, 2.8g)과 물 2.8g을 결합시키고 질소를 주입시킨 후 질소를 주입시킨 톨루엔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70℃로 가열한 후 25-30℃로 냉각시키고 수층을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1N HCl(20g)으로 2회 수세·분리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조건하에서 톨루엔을 제거하여 디티오피를 조생성물을 얻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티오피르의 전체 수율은 66%이었다.
본 발명의 과정이 특별한 피리딘 다카보티오에이트 생성물로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다른 피리딘 화합물의 제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물론, 출발물인 알데하이드의 선택은 최종 피리딘 생성물의 4-위치의 치환체를 결정한다. 유사하게, 메틸티오에스테르외에 저급알킬 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테이트 티오에스테르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0)

  1. 염화수소, 30% 농도의 염산 및 아세트산 용매의 존재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PCl3에서 선택되는 탈수제와 피페리딘 화합물을 접촉반응시켜 치환된 하이드로피리딘이나 테트라 하이드로피리딘을 형성하기 위해 저급알킬 옥시에스테르 및 티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4-(저급알킬)-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2, 6-비스(하이드록시)피레리딘-3, 5-디카복실산 유도체의 탈수반응방법.
  2. 염화수소, 30% 농도의 염산 및 아세트산 용매의 존재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PCl3에서 선택되는 탈수제와 피페리딘 화합물을 접촉반응시켜 치환된 디하이드로 피리딘을 형성하기 위해 저급알킬 옥시에스테르 및 티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4-(저급알킬)-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2, 6-비스(하이드록시)피페리딘-3, 5-디카복실산 유도체의 탈수반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탈수제는 염화수소 및 염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탈수제 대 피페리딘 화합물의 몰비는 5 내지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용매는 아세트산이고 탈수제는 PCl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피페리딘 화합물은 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2, 6-비스(하이드록시)-4-(2-메틸프로필)-피페리딘-3, 5-디카보티오산, S, S-디메틸에스테르이고 디하이드로 피리딘 화합물은 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디하이드로피리딘-3, 5-디카보티오산, S, S-디메틸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피페리딘 화합물의 저급알킬 옥시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피페리딘 화합물은 저급알킬 티오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염화수소, 30% 농도의 염산 및 아세트산 용매의 존재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PCl3에서 선택된 탈수제와 피페리딘 화합물을 접촉시켜 3, 5-피페리딘 디카보티오산, 2, 6-디하이드록시-4-(2-메틸프로필)-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S, S-디메틸에스테르를 탈수반응시키므로써 3, 5-피리딘디카보티오산, 2-클로로-1, 2, 3, 4-테트라하이드로-4-(2-메틸프로필)-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S, S-디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10. 3, 5-피리딘디카보티오산, 2-클로로-1, 2, 3, 4-테트라하이드로-4-(2-메틸프로필)-2, 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S, S-디메틸에스테르 화합물.
KR1019910004257A 1990-03-19 1991-03-18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KR930008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5181 1983-05-16
US49518190A 1990-03-19 1990-03-19
US495,181 1990-03-19
US495,074 1990-03-19
US495074 1990-03-19
US07/495,074 US5116991A (en) 1990-03-19 1990-03-19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dihydropyridine carbodithio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705A KR910016705A (ko) 1991-11-05
KR930008234B1 true KR930008234B1 (ko) 1993-08-27

Family

ID=2705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257A KR930008234B1 (ko) 1990-03-19 1991-03-18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48542B1 (ko)
JP (1) JP2514285B2 (ko)
KR (1) KR930008234B1 (ko)
AT (1) ATE130606T1 (ko)
AU (1) AU630547B2 (ko)
CA (1) CA2038435C (ko)
DE (1) DE69114743T2 (ko)
ES (1) ES2080287T3 (ko)
HU (2) HU212237B (ko)
IL (1) IL975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1512A (en) * 1990-03-19 1991-09-24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iperidine carbodithioates
US5055583A (en) * 1990-03-19 1991-10-08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iperidine carbodithioates
AU630545B2 (en) * 1990-03-19 1992-10-29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yridine carbodithioates
DE10014607A1 (de) * 2000-03-24 2001-09-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nsymmetrischen 4,6-Bis(aryloxy pyrimidin-Derivaten
US8919422B2 (en) 2011-02-18 2014-12-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ie casting system and cell
EP2821398A1 (en) 2013-07-03 2015-01-07 Lonza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6-trifluoromethylpyrid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from 4,4,4-trifluoro-3-aminobutanoates
CN105130230B (zh) * 2015-10-14 2017-09-15 安徽科诺海绵城市生态技术有限公司 一种平移式钛石膏煅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535014A0 (es) * 1983-08-11 1985-08-01 Monsanto Co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derivados de piridina sustituidos en las posiciones 2 y 6
ES535012A0 (es) * 1983-08-11 1985-07-01 Monsanto Co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dihidropiridinas
US4785129A (en) * 1988-02-16 1988-11-15 Monsanto Company Methyl 4,4,4-trifluoro-3-oxo-butanethioate
US5051512A (en) * 1990-03-19 1991-09-24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iperidine carbodithioates
US5055583A (en) * 1990-03-19 1991-10-08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iperidine carbodithioates
AU630545B2 (en) * 1990-03-19 1992-10-29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yridine carbodithio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09737B (en) 1994-10-28
ATE130606T1 (de) 1995-12-15
HU212237B (en) 1996-05-28
HU910880D0 (en) 1991-09-30
CA2038435C (en) 1997-10-14
AU630547B2 (en) 1992-10-29
HU9401263D0 (en) 1994-08-29
EP0448542A3 (en) 1992-03-11
AU7350591A (en) 1991-09-19
EP0448542B1 (en) 1995-11-22
IL97583A0 (en) 1992-06-21
ES2080287T3 (es) 1996-02-01
JP2514285B2 (ja) 1996-07-10
CA2038435A1 (en) 1991-09-20
JPH069563A (ja) 1994-01-18
EP0448542A2 (en) 1991-09-25
HUT56821A (en) 1991-10-28
IL97583A (en) 1996-06-18
DE69114743D1 (de) 1996-01-04
KR910016705A (ko) 1991-11-05
DE69114743T2 (de) 199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702B1 (ko) 클로로말레이트 또는 클로로푸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치환 및 비치환 - 2,3 -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US5099024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yridine carbodithioates
US5099023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pyridine carbodithioates
KR930008234B1 (ko) 플루오로메틸-치환 디하이드로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KR930008230B1 (ko) 플루오로메틸-치환 피페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KR930008232B1 (ko) 플루오로메틸-치환 피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KR930008231B1 (ko) 플루오로메틸-치환 피페리딘 카보디티오에이트의 제조방법
EP037149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5162536A (en) S,S-dimethyl 2-chloro-1,2,3,4-tetrahydro-4(2-methylpropyl)-2,6-bis(trifluoromethyl)-3,5-pyridinedicarbothioate
US5116991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uoromethyl-substituted dihydropyridine carbodithioates
US5105002A (en) Ammonium salt of methyl 4,4,4-trifluoro-3-oxo-butanethioate
RU20369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изших алкиловых окси-или тиопроизводных 4-(низший алкил)-2,6-бис-(трифторметил)- (дигидро- или тетрагидро)-пиридин-3,5-ди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RU201432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s,s-ди (низшего алкилового)- эфира 4- (низший алкил) -2,6-бис- (трифторметил)-2,6- дигидрокси-3,5- пиперидиндикарботиокислоты
US4467093A (en) Process for preparing a 1,4-dihydropyridine derivative
KR930008233B1 (ko) 플루오로메틸이 치환된 피리딘 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0343551B1 (ko) 4-알콕시카르보닐-5-클로로피라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