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24B1 -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24B1
KR930008224B1 KR1019910003933A KR910003933A KR930008224B1 KR 930008224 B1 KR930008224 B1 KR 930008224B1 KR 1019910003933 A KR1019910003933 A KR 1019910003933A KR 910003933 A KR910003933 A KR 910003933A KR 930008224 B1 KR930008224 B1 KR 93000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compound
following general
pyrrolidine
cp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021A (ko
Inventor
김완주
박명환
백경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채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채영복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0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224B1/ko
Publication of KR92001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중에서,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것으로서,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3개의 저급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며,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종래에 뛰어난 항균력과 광범위한 항균스펙트럼을 갖는 항균활성화합물로서 퀴놀린계화합물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노플록사신(Norfloxacin), 에녹사신(Enoxac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및 오플록사신(Ofloxacin) 등이 개발되어 현재 시판중이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항균제의 경우 그램음성균에는 탁월한 항균력을 보여주지만 그램양성균에 대해서는 그 항균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최근에는 내성균도 발현되어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그 개발의 방향도 독성이 없고 약효가 장기간 지속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퀴놀론모핵에 도입되는 출발물질로서의 새로운 중간체 화합물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는 바, 본 발명자들은 좀더 강한 항균력이나 광범위한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내고, 특히 기존의 항균활성화합물들에서 취약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균에 대해 서로 보완적인 항균력을 갖는 화합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항균활성을 갖는 퀴놀론계 화합물의 새로운 도입기를 찾아 내려고 오랜 동안 연구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퀴놀론계 항균화합물 및 세팔로스포린계 항균화합물에 도입되는 중간체로 특히 유용할 뿐아니라 기타 다른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새로운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Ⅰ)의 염은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또는 트리플루오로 초산염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일반식(Ⅰ)의 피롤리딘 유도체 또는 그 염은 퀴놀론 모핵의 7번위치에 축합되어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퀴놀론 항균제의 원료가 되거나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출발화합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신규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의 반응식과 같이 공지 화합물인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에다 트리에틸 포스포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 트리페닐포스포염을 강한 염기존재하에 Witting 반응시켜서 엑소이중결합을 갖는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를 가하고 가열하여 질소보호기를 에톡시카보닐기로 치환한 다음, 디이소프로필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l-H)로 에스테르를 환원시켜 다음 일반식(Ⅴ)로 표시되는 알콜화합물을 제조한 후, 다음 일반식(Ⅵ)의 메탄술포닐 유도체로 전환시킨 다음 NH(R2R3)인 아민을 치환시켜서 다음 일반식(Ⅶ)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가수분해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의 목적화합물을 합성한다.
이때 상기 일반식(Ⅶ)의 화합물을 산존재하에 가수분해시키면 다음 일반식(Ia)로 표시되는 피롤리딘 유도체의 산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식들중에서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같고, A는 염산, 황산, 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초산중에서 선택된 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조공정중에서 상기 일반식(Ⅱ)의 Witting 반응시 사용되는 강한 염기로서는 소디움하이드라이드, 포타시움 t-부톡사이드, 소디움에톡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의 가열시 가열온도는 벤젠을 용매로하여 환류되는 온도에서 시행하여 상기 일반식(Ⅳ)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고 디이소프로필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나 리티움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를 이용하여 환원시키므로써, 상기 일반식(Ⅴ)의 알콜화합물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일반식(Ⅶ)화합물의 가수분해시에는 예컨대 가성소오다와 같은 염기하에 가수분해시키면 유리형아민인 상기 일반식(Ⅰ)의 신규한 피롤리딘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조공정중에 생성되는 중간체인 일반식(Ⅴ)의 화합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중결합을 중심으로한 이성체인 시스체와 트란스체로 분리하여 다음 공정에 이용하게 되면 상기 일반식(Ⅰ)의 또는 (Ia)의 목적화합물을 시스형 또는 트란스형 이성체 또는 이들 이성체의 혼합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1-벤질-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
1-에톡시카보닐-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
1-에톡시카보닐-3-(히드록시메틸메틸렌)-1-피롤리딘,
1-에톡시카보닐-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1-에톡시카보닐-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1-에톡시카보닐-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페리딘,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2-메틸-1-피롤리딘,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4-메틸-1-피롤리딘,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5-메틸-1-피롤리딘,
3-(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디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일반식(Ⅰ)의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 또는 그염은 항균 또는 항생활성을 갖는 각종 퀴놀론유도체 또는 세팔로스포린계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시 도입기로 이용되는 원료화합물인 중간체로서 매우 유용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을 모핵에 도입한 퀴놀론항균제 또는 세팔로스포린 항생제는 뛰어난 항균 또는 항생활성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규 화합물을 이용하여 퀴놀론계 화합물을 제조한 참고예를 예시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벤질-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3
소디움하이드라이드(NaH, 55%) 4.24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30ml에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20℃로 냉각한 후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 19.8g(88.39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이 되었을 때 N-벤질-3-피롤리딘 14.2g(81.14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ml에 녹인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50ml에 희석시키고 소금물로 세척하고(100ml×3회), 무수망초로 탈수, 농축하여 얻은 액상물질을 실라카겔칼람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6.6g을 얻었다(수득율 83.5%).
용매 ;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3 : 1)
1H-NMR(CDCl3, δ ppm) : 7.28(5H, m), 5.68(1H, m), 4.07(2H, q, J=7.2 Hz), 3.61(3H, m), 3.17(1H), 2.91(1H, t, J=6.8Hz, 2.64(1H, t, J=6.8Hz), 2.55( 2H, s), 1.19(3H, m).
[실시예 2]
1-에톡시카보닐-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4
1-벤질-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 16.5g(67.34mmol)을 벤젠 40ml에 녹이고 에틸크로로포르메이트 40ml를 넣고 4시간 환류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 및 과잉의 시약을 제거하고 잔유물을 실리카겔 칼람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1.9g을 얻었다(수득율 77.8%).
용매 ;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3 : 1)
1H-NMR(CDCl3,δ ppm) : 5.77(1H, m), 4.41(1H, br.s), 4.11(5H, m), 3 .51(2H, m), 3.07(1H,br.s), 2.70(1H,t,J=7.1Hz), 1.21(6H,m)
[실시예 3]
1-에톡시카보닐-3-(히드록시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5
1-에톡시카보닐-3-(에톡시카보닐메틸렌)-1-피롤리딘 18.3g(80.61mmol)을 톨루엔 120ml에 녹이고 질소기류하에서 -78℃로 냉각시키고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20ml, 111.26mmol)을 서서히 가했다. 동 온도에서 3시간 교반후 -20℃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50ml 및 물로 반응을 중지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실라카겔칼람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였다.
용매 ;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5 : 1→2 : 1→1 : 1→1 : 2→1 : 3)
출발물질 5g을 회수하고, 트란스체 : 1.2g, 시스체 : 0.8g, 트란스체 시스체 1.27g을 얻었다(수득율 21%).
MS m/z(rel.int.%) :185(M+,10), 167(100), 156(37), 154(85), 140(18), 126(30).
1H-NMR(CDCl3,δppm) : 트란스체 시스체 ; 5.58(1H,m), 4.13(4H ,m), 4.06(2H,br.s), 3.52(2H,m), 2.58(2H,br.s), 1.26(3H,t,J=6.8Hz).
트란스체 ; 5.58(1H,m), 4.13(4H,m), 4.01(2H,br,s), 3.46(2H,br,q,J=7.5 Hz), 2.67(2H,br,s), 1.26(3H,t,J=7.2Hz).
시스체 : 5.60(1H,m), 4.10(4H,m), 4.00(2H,br,s), 3.52(2H,br,q,J=6.1 Hz), 2.59(2H,br,s), 1.28(3H,t,J=7.1Hz).
[실시예 4]
1-에톡시카보닐-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6
1-에톡시카보닐-3-(히드록시메틸메틸렌)-1-피롤리딘 1.06g(5.72mmol)을 염화메틸렌 25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2ml를 가하고 -10℃로 냉각시키고 메탄술포닐클로리드 0.97ml를 염화메틸렌 5ml에 희석한 것을 서서히 가하였다. -5℃ 이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염화메틸렌 50ml을 더 넣고 물로 세척하고 (20ml×2), 유기층을 무수망초로 탈수후 농축한 것을 메탄올 2ml에 녹이고 40% 메틸아민수용액 5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남은 물질을 실리카겔칼람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 600mg을 얻었다(수득율 53%).
칼람용매 ; 클로로포름 : 메탄올 : 트리에틸아민(50 : 1 : 1.5→40 : 1 : 1.5→30 : 1 : 1.5).
MS m/z(rel.int.%) : 198(M+,3), 167(100), 153(10), 139(18), 122(8), 108(35), 94(30).
1H-NMR(CDCl3,δppm) : 5.55(1H,m), 4.15(2H,m), 4.04(2H,br .s), 3.50(2H,m), 3.43,3.33(2H,d,d,J=6.2Hz), 2.61(2H,br.s), 2.50,2.52(3H,two singlet), 1.25(3H,m).
[실시예 5]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7
1-에톡시카보닐-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550mg(2.77mmol)을 증류수 10ml에 분산시키고 수산화나트륨 520mg(13mmol)을 넣어서 녹이고 2.5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소금을 넣어 포화용액으로 하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20ml×6), 유기층을 무수망초로 탈수 후 40℃ 이하에서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320mg을 얻었다(수득율 91%).
MS m/z(rel.int.%) : 126(M+,3), 95(100), 82(25), 68(20).
1H-NMR(CDCl3,δppm) : 5.42(1H,m), 3.48(2H,m), 3.18,3.15( 2H,d,d,J=6.0Hz), 3.02,2.96(2H,t,t,J=6.8Hz), 2.42,2.41(3H,s,s), 2.36(2H,m).
[실시예 6]
1-에톡시카보닐-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8
1-에톡시카보닐-3-(트란스-히드록시메틸메틸렌)-1-피롤리딘555mg(3m mol)을 염화메틸렌 10ml에 녹이고 -20℃로 냉각하고 트리에틸아민 1ml(7.1 2m mol)을 가하고, 메탄술포닐크로리드 0.51ml(6.62mmol)을 염화메틸렌 3ml에 희석한 것을 서서히 가한후에 반응혼합물을 얼음물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포화식염수 20ml에 희석하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 합하고(20ml×4)무수망초로 탈수하고 농축하여 얻은 잔류물을 메탄올 2ml에 녹이고 얼음물 온도로 냉각시킨 후 40% 메틸아민 수용액 2.5ml을 가하여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람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68mg을 얻었다(수득율 45%).
1H-NMR(CDCl3,δppm) : 5.47(1H,m), 4.15(2H,q,J=7.1Hz), 3.98(2H,br.s), 3.55(2H,br,q,J=6.1Hz), 3.21(2H,d,J=6.9Hz), 2.56(2H,br.t), 2.42(3H,s), 1.26(3H,t,J=7.1Hz).
[실시예 7]
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09
1-에톡시카보닐-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250mg(1.26mmol)을 증류수 6ml에 현탁시키고 소디움히드록시드 300mg을 가하여 녹이고 2.5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20ml×5), 무수망초로 탈수하고 40℃ 이하에서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128mg을 얻었다(수득율 80%).
H-NMR(CDCl3,δppm) : 5.40(1H,m), 3.47(2H,br.s), 3.14(2H,d, J=6Hz), 3.00(2H,t,J=6.9Hz), 2.40(3H,s), 2.36(2H,m).
[실시예 8]
1-에톡시카보닐-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10
1-에톡시카보닐-3-(시스-히드록시메틸메틸렌)-1-피롤리딘555mg(3mmol)을 염화메틸렌 10ml에 녹이고 -20℃로 냉각하고 트리에틸아민 1ml(7.12mmol)을 가하고, 메탄술포닐클로리드 0.51ml(6.62mmol)을 염화메틸렌 5ml에 희석한 것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혼합물을 얼음물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포화식염수 20ml를 가하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20ml×4)무수망초로 탈수하고 농축하여 얻은 액상물질을 메탄올 2ml에 녹이고 40% 메틸아민 수용액 2.5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하여 얻은 잔유물을 실라카겔칼람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91mg을 얻었다(수득율 48%).
1H-NMR(CDCl3,δppm) : 5.44(1H,m), 4.15(2H,q,J=7.1Hz), 3.98 (2H,d,J=11.6Hz), 3.50(2H,m), 3.16(2H,d,J=9Hz), 2.57(2H,br.s), 2.42(3H ,s), 1.27(3H,t,J=7.1Hz).
[실시예 9]
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kpo00011
1-에톡시카보닐-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270mg(1.36mmol)을 증류수 6ml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 300mg을 가하여 녹이고 2.5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20ml×5)합하고 무수망초로 탈수한 후 40℃ 이하에서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128mg을 얻었다(수득율 74%).
1H-NMR(CDCl3,δppm) : 5.40(1H,m), 3.45(2H,q,J=1.6Hz), 3.19(2H,d,J=6Hz), 3.02(2H,t,J=6.9Hz), 2.41(3H,s), 2.37(2H,m).
[참고예 1]
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7-{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1-일}-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KR-10851)의 제조
Figure kpo00012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500mg(1.76mmol), 3-(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285mg( 2.26mmol)과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덴세-7-엔(DBU) 350mg(2.30m mol)을 아세토니트릴 10ml에 녹이고 4.5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결정성침전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 물(10ml), 에탄올+에틸에틸(1 : 1)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감압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76mg을 얻었다(수득율 40%).
융점 : 200℃(분해)
MS m/z(rel.int.%) : 389(M+,10), 358(100), 345(10), 314(50).
1H-NMR(CDCl3+CD3COOD,δppm) : 8.76(1H,s), 7.81(1H,d,J= 14.2Hz), 5.58(1H,m), 4.39(2H,s), 4.00(1H,m), 3.84(2H,m), 3.70,3.63(2H,d, d,J=7.4Hz), 2.72(2H,m), 2.70(3H,s), 1.27(4H,m).
[참고예 2]
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7-{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1-일}-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KR-10868)의 제조
Figure kpo00013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270mg(0.95mmol), 3-(트란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120 mg(0.95 mol)과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DBU) 150mg(0.98mm ol)을 아세토니트릴 7ml에 녹이고 4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결정성침전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물 및 에틸에텔로 세척한 후 감압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40mg을 얻었다(수득율 64%).
융점 : 212∼215℃(분해)
1H-NMR(CDCl3+CD3COOD,δppm) : 8.77(1H,s), 7.83(1H,d,J= 13.5Hz), 5.57(1H,m), 4.39(2H,s), 4.01(1H,m), 3.84(2H,t),3.63 (2H,d,J=6.3H z), 2.73(2H, m), 2.69(3H,s), 1.30∼1.19(4H,m).
[참고예 3]
1-시클로프로필-6, 8-디플루오로-7-{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1-일}-1, 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KR-10869)의 제조.
Figure kpo00014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140mg(0.49mmol), 3-(시스-메틸아미노메틸메틸렌)-1-피롤리딘 60mg (0.47mmol)과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DBU) 80mg(0.52mm ol)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4시간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결정성침전을 여과하고 아세트니트릴,물및에틸에텔로 세척한 후 감압건조하여 목적화합물 113mg을 얻었다(수득율 64%).
융점 : 208∼210℃(분해)
1H-NMR(CDCl3+CD3COOD,δppm) : 8.79(1H,s), 7.84(1H,dd,J =13.4,1.5Hz), 5.59(1H,m), 4.37(2H,s), 3.99(1H,m),3.89(2H,br.s), 3.71(2H,d, J=6.4Hz), 2.73(2H,m), 2.70(3H,s), 1.30∼1.19(4H,m)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여 합성된 새로운 피롤리딘 화합물을 퀴놀론 항균제의 합성중간체인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7번탄소에 축합시켜서 강력한 항균작용과 광범위한 항균스펙트럼을 갖는 새로운 퀴놀론 항균제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항균제 합성은 상기 참고예에 기술하였으며, 이들의 시험관애 항균력을 한천배지희석법으로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는데, 기존 퀴놀론 항균제인 시프로플록사신 보다 그램양성균주에 대하여는 더욱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그램음성균주에 대하여는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1] 퀴놀론 화합물의 시험관내 항균활성
(최저발육저지농도 : ㎍/ml)
Figure kpo00015

Claims (6)

  1.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
    Figure kpo00016
    상기식중에서,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R2및 R3는 서로 같으나 다른 것으로서,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3개의 저급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며,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2. 다음 일반식(Ia)로 표시되는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의 염.
    Figure kpo00017
    상기식중에서, R1, R2, R3및 n 상술한 바와 같으며, A는 염산, 황산, 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초산을 나타낸다.
  3.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에다 트리에틸 포스포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 트리페닐포스포염을 강한 염기존재하에 Witting 반응시켜서 엑소이중결합을 갖는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에틸크로로포르메이트를 가하고 가열하여 질소 보호기를 에톡시카보닐기로 치환한 다음, 디이소프로필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l-H)나 리티움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로 에스테르를 환원시켜 다음 일반식(Ⅴ)로 표시되는 알콜화합물을 제조한 후, 다음 일반식(Ⅵ)의 메탄술포닐 유도체로 전환시킨 다음 NH(R2R3)인 아민을 치환시켜서 다음 일반식(Ⅶ)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가수분해시켜서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8
    상기식들중에서,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같고, A는 염산, 황산, 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초산중에서 선택된 산을 의미한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Ⅴ)로 표시되는 화합물중 이중결합을 중심으로 한 이성체인 시스체와 트란스체를 분리하여 상기 일반(Ⅰ)의 화합물의 시스-이성체, 트란스-이성체 또는 이들 이성체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피롤리딘 유도체를 퀴놀론 화합물 또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시 중간체로 이용하는 방법.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R1, R2, R3및 n은 상술한 바와 같다.
  6.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피롤리딘 유도체 또는 그 염을 도입기로 함유하는 퀴놀론계 화합물 또는 세파로스포린계 화합물을 항균 또는 항생활성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조성물.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R1, R2, R3및 n은 상술한 바와 같다.
KR1019910003933A 1991-03-12 1991-03-12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KR93000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933A KR930008224B1 (ko) 1991-03-12 1991-03-12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933A KR930008224B1 (ko) 1991-03-12 1991-03-12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021A KR920018021A (ko) 1992-10-21
KR930008224B1 true KR930008224B1 (ko) 1993-08-27

Family

ID=1931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933A KR930008224B1 (ko) 1991-03-12 1991-03-12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021A (ko) 199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6891B1 (en) Antibacterial agents
EP0324298B1 (fr) Dérivés des acides 7-(1-azétidinyl)-1,4-dihydro-4-oxoquinoléine-3-carboxyliques,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ant que médicaments
KR870001693B1 (ko) 1,4-디하이드로-4-옥소나프티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GB2188317A (en) 4-oxo-quinoline compounds
US4657913A (en) Trifluoro- quinoline -3- 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IE58098B1 (en) 7-Substituted-1-cyclopropyl-6,8-difluoro-1,4-dihydro-4-oxo-3-quinolinecarboxylic acids; 7-substituted-1-cyclopropyl-1,4-dihydro-6-fluoro-4-oxo-1,8-naphthyridine-3-carboxylic acids; their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compounds
US4977154A (en) 5-amino and 5-hydroxy-6-fluoroquinolones as antibacterial agents
EP0375658A1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US4840956A (en) Novel disubstituted-7-pyrrolidinoquinoline antibacterial agents
US5276041A (en) Oxime derivatives
KR960015002B1 (ko) 광학 활성 8-메톡시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중간체
US4617308A (en) 7-substituted amino-1-aryl-6,8-difluoro-1,4-dihydro-4-oxo-3-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as antibacterial agents
FR2559484A2 (fr) Nouveau derive 7-(pyrrol-1-yl) de l'acide 1-ethyl-1,4-dihydro-4-oxo-(1,8-naphtyridin)-3-carboxylique, sa preparation et son application en tant que medicament
US5659043A (en) Thiol compounds
US5013841A (en) Oxo quinoline derivatives
KR930008224B1 (ko) 새로운 피롤리딘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WO1994025464A1 (en) Novel 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4439436A (en) 1,3-Dioxolo(4,5-G)quinoline compounds
EP0394120A1 (fr) Dérivés d'isothiazolo-pyrydone azétidinyl substitués,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ant que médicaments
US5990106A (en) Bicyclic amino group-substituted pyrid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esters thereof and salts thereof, and bicyclic amines useful as intermediates thereof
US4720495A (en) Benzo[ij]quinolizine-2-carboxylic acids useful f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
JPH02191257A (ja) ベンゾヘテロ環化合物
US5677456A (en) Quinolo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970001159B1 (ko) 신규 1,8-나프티리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10002154B1 (ko) 3-피롤린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