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932B1 -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32B1
KR930007932B1 KR1019870012131A KR870012131A KR930007932B1 KR 930007932 B1 KR930007932 B1 KR 930007932B1 KR 1019870012131 A KR1019870012131 A KR 1019870012131A KR 870012131 A KR870012131 A KR 870012131A KR 930007932 B1 KR930007932 B1 KR 93000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imuth
magnetic head
alignment
disc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611A (ko
Inventor
히로시 오까무라
쇼지 나까지마
찌까히사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도시바 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이와세 마사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60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46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30766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151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도시바 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이와세 마사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한 캐리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아지머스 보정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동 아지머스 보정기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 시스템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대한 자화패턴의 기록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동 얼라인먼트 디스크를 사용해서 아지머스를 검출할때에 사용하는 측정기구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럭도.
제6도는 동 측정기기의 각 신호 파형을 대비해서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상의 자화패턴과 상기 측정기기의 타이밍 펄스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종래의 플로피디스크장치에 대한 캐리지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종래의 플로피디스크 장치에 대한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 기록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동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대한 자화패턴과 자기헤드의 판독 파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디스크 12 : 캐리지
13 : 메인레일 14 : 서브레일
15, 16 : 축받이 17 : 슬라이드 축받이
18 : 스핀들 축 19 : 판독/기입갭
20 : 프레임 21 : 부착부재
22 : 위치 보정용 단자 24 : 기대
25 : 고정 부재 26, 30 : 화살표
31 : 자기헤드 32 : 프리앰프
33 : 비교기 34 : 타이밍 펄스 발생 회로
35, 36 : 피크호울드 회로 37 : 감산증폭기
38 : 로우패스필터 39 : 절환 회로
본 발명은 플로피디스크 장치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캐리지에 장치한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으로서의 플로피디스크 장치는 다른 장치로 기입된 데이타도 오독없이 판독할 수 있도록 자기헤드의 판독/기입 갭의 트랙에 대한 각도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
장치간에서 판독/기입갭의 각도가 상이하면 디스크상에 기록된 자화패턴과 판독/기입갭이 소용없는 각도를 갖게 된다.
이 각도는 아지머스로 호칭되고, 이 아지머스에 의한 지게헤드의 출력의 저하는 아지머스 손실로 호칭된다. 아지머스 손실은 트랙폭이 크고(즉 트랙 밀도가 낮고), 자화패턴의 독출 파장이 짧을(즉 선 밀도가 높다)수록 커지나, 장치간에서 판독/기입갭의 각도를 통일하면 아지머스손실을 해소할 수 있다.
종래의 플로피디스크 장치에서는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자기헤드(10)가 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캐리지(12)에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12)는 고정된 아래축(이하 사이드(0) 축으로 약칭)의 자기헤드(10) 및 플렉시블한 헤드 아암(도시 생략)에 부착된 위쪽(이하 사이드(1)축으로 약칭)의 자기헤드(도시 생략)의 양자를 탑재하고 있다.
캐리지(12)는 메인 레일(13) 및 서브 레일(14)에 슬라이드 축받이(15)-(17)를 개재하여 장치되고, 각 레일(13), (14)을 가이드로 하여 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한편, 디스크(11)는 스핀들 기구의 스핀들축(18)을 중심으로 고속 회전한다.
각 자기헤드는 캐리지(12)에 의하여 디스크(11)위를 시이크 동작하고, 디스크(11)의 트랙에 대하여 판독/기입갭(사이드 (0)에서는 번호(19)로 표시)의 부분에서 데이타의 판독/기입을 한다.
여기에서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자기헤드(10)의 판독/기입갭(19)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b가 캐리지(12)의 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직선 a와 평행이면 상기와 같은 아지머스 손실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연장선 b와 직선 a가 평행을 이루도록 자기헤드(10)를 장치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헤드(10)가 다소의 각도(θ1) 또는 (θ2)를 가지고 장치될 때가 있다. 이와같은 각도(θ1) 또는 (θ2)를 가지는 자기헤드(10)에서는 디스크(11)에서 데이타를 독출할때, 각도(θ1) 또는 (θ2)에 따른 아지머스 손실이 발생한다. 예를들면 제10도에 도시한 자기헤드(10)에 의하여 데이타가 기록된 디스크(11)에 대하여 제11도에서 도시한 자기헤드(10)로 데이타를 독출할때에는 갭과 디스크(11)의 트랙과의 사이에 θ1+θ2의 절대치인 각도가 생겨서 큰 아지머스 손실이 발생한다. 이로인해 플로피디스크 장치의 제조 조립시에 있어서, 각도 θ1 또는 θ2가 가능한한 작아지도록 신중히 자기헤드를 장치해야 한다. 이 부착은 헤드 아암에 장치되는 사이드(1)측의 자기헤드에서는 비교적 용이하나 캐리지(12)의 본체에 고정하는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에서는 충분한 정밀도를 얻기 위한 보정이 곤란했었다.
그런데 종래 플로피디스크 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검출할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디스크로 호칭되는 시험용 디스크가 사용된다.
얼라인먼트디스크는 예를들면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트랙 전주에 걸쳐서 +θ의 아지머스·버스트(예를 들면 트랙 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기록된 자화패턴)와 -θ의 아지머스·버스트(예를들면 트랙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기록된 자화패턴)가 일정한 길이로 교대로 기입되어 있고, 양아지머스·버스트의 사이는 직류 소거된다.
제13도는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기입된 아지머스·버스트를 자기헤드로 독출했을 때의 출력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얼라인먼트 디스크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부분을 자기헤드로 독출하면 단속적으로 함께 보여진 정현파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양 아지머스·버스트사이가 직류 소거되고 있는 경우에는, 양아지머스·버스트간으로부터는 출력은 얻어지지 않고, +θ의 아지머스·버스트 및 -θ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부분으로서는 이 아지머스·버스트와 판독/기입갭과의 사이의 아지머스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의 출력 파형이 얻어진다.
측정기기에 의하여 +θ,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자기헤드의 출력치를 측정하면, 판독/기입갭에 아지머스가 없는 경우에는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출력과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출력이 동일해지나, +θ 또는 -θ에 가까운 아지머스가 있을 경우에는 어긋남각에 가까운 쪽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출력이 커진다.
따라서 양쪽의 아지머스·버스트로 부터의 출력이 동일해지도록 자기헤드의 장치각도를 보정하면 각 장치사이에 호환성을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자기헤드의 아지머스의 보정 정밀도는 아지머스 손실의 검출 각도로 결정되므로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파장을 짧게하면 아지머스 손실의 검출감도가 높아지고, 보정 절밀도도 높아진다.
그러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의 파장을 짧게하면, 헤드의 장치각도가 현저히 어것나는 경우에는 아지머스 손실이 극히 커지기 때문에 아지머스·버스트의 출력 레벨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아지머스의 검출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즉, 종래의 얼라인먼트 디스크 1장으로는 헤드 아지머스의 대략 보정과 미세 보정을 함께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플로피디스크 장치의 제조 조립시에 있어서, 캐리지 본체에 장치한 자기헤드(특히 사이드 0측)의 아지머스 보정을 간단하고 또 고정밀도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타의 독출시에 있어서의 아지머스 손실을 작게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장치 각도가 크게 어긋난 자기헤드의 보정에서 장치 각도가 약간 어긋나 있는 자기헤드의 보정까지 공통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캐리지와 스핀들 기구와의 상대위치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보정 기구는 예를들면 캐리지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메인 레일을 미소 이동하기 위한 기구이고,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의 판독/기입갭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스핀들 기구의 회전중심이 위치하도록 보정하는기구이다.
또,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특수한 얼라인먼트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디스크는 트랙 방향으로 기록시의 아지머스가 상이한 일정한 길이의 자화패턴이 교대로, 또한 소정의 트랙 영역마다에 적어도 장파장 또는 단파장으로 독출되도록 기록된 것이고, 자기헤드의 아지머스의 검출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측정기기에 의하여 우선 파장이 큰 자화패턴을 독출해서 대략 보정을 실시하고, 다음에 파장이 작은 자화패턴을 독출해서 미세 보정을 실시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리지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도는 상기 제8도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표기한다.
동 도면과 같이 캐리지(12)는 본체의 중심선의 연장선이 스핀들축(18)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크(11)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지(12)는 중공구조의 슬라이드 축받이(15, 16)가 메인 레일(13)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또 U자 형상의 슬라이드 축받이(17)로 서브 레일(14)을 중간에 지지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11)는 스핀들축(1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구동된다. 스핀들축(18)은 스핀들 모터의 로터에 고정 장치된다. 이 스핀들 모터 및 각 레일(13, 14)은 프레임(20)에 장치되어 있다. 캐리지(12)는 헤드 아암에 장치된 사이드(1)측의 자기헤드(도시 생략) 및 본체에 고정된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10)를 탑재하고 있고, 회전하는 디스크(11) 위를 시크동작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아지머스 보정기구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고정하는 부착 부재(21), 위치 보정용 단자(22) 및 스페이서로 구성된다. 부착부재(21)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20)에 장치된 부착기대(24) 및 이 부착기대(24)에 나사고정된 고정부재(25)로 구성된다. 이 고정부재(25)는 스프링부재로 형성된다. 위치 보정용 나사(22)는 부착기대(24)의 측부에 설치된 나사부에 끼워,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에 접속해서 캐리지(1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화살표(26) 방향으로의 미소이동을 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 메인 레일(13)의 다른쪽 단은 부착부재(21)와 동일한 구조의 부착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10)를 탑재한 캐리지(12)를 메인 레일(13) 및 서브 레일(14)에 의해 가이드되어 디스크(11)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프레임(20)에 장치한다.
다음에 스핀들 기구에 후기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11)를 세트하고, 스핀들축(1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11)에 대하여 캐리지(12)가 이동하여 자기헤드(10)가 디스크(11)의 소정의 트랙(내측의 트랙)으로부터 위치 보정의 아지머스·버스트를 독출한다. 이 아지머스·버스트에 의하여 자기헤드(10)가 정상의 위치에 대하여 아지머스(θ1 또는 θ2)를 가지고 있음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헤드(10)가 아지머스를 가지고 있으면, 자기헤드(10)의 판독/기입갭(19)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이 스핀들축(18)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도에 도시한 아지머스 보정기구에 의하여 캐리지(12)의 위치를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자기헤드(10)의 아지머스를 보정한다.
즉,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위치 보정 나사(22)를 조정해서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화살표(30)의 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킨다.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은 고정부재(25)와 위치 보정용 나사(22)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고, 예를들면 위치 보정용 나사(22)를 늦추므로써 미소 이동한다. 그 후 고정부재(25)와 부착기대(24)와의 극간에 스페이서(23)를 삽입하여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확실히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 레일(13)은 고정된 다른쪽단을 축으로 하여 미소 회전 이동하고, 화살표(3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메인 레일(13)의 미소 이동에 의하여 캐리지(12)의 본체는 동일방향으로 미소 이동하고, 자기헤드(10)의 판독/기입갭(19)의 위치를 스핀들축(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된다.
이때 서브 레일(14)은 고정되어 있으나 슬라이드 축받이(17)는 U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캐리지(12)의 이동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미소 이동한다. 여기에서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화살표와는 반대방향으로 미소 이동할경우에는 위치 보정용 나사(22)를 죄게된다. 이것에 의하여 캐리지(12) 즉 자기헤드(10)는 화살표(30)와는 반대방향으로 미소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미소 이동하므로써 캐리지(12)에 탑재한 자기헤드(10)의 판독/기입갭(19)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얼라인먼트 디스크(11)로부터의 위치 보정용 신호를 측정기기에 넣어서 아지머스의 상황을 모니터하고, 판독/기입갭(19)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이 스핀들축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자기헤드(10)의 위치를 보정하면 된다.
즉,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자기헤드(10)의 갭(19)에 대하여 스핀들축(18)이 거리 L만큼 이동하고, 새로운 스핀들축(18a)의 중심이 설정된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캐리지(12)의 본체에 사이드(0)의 자기헤드(10)가 아지머스를 가진 상태로 고정되어도, 이것을 보정하는 조정을 용이하고,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동실시예에서는 아지머스 보정 기구로서 메인 레일(13)의 한쪽단을 미소 이동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메인 레일(13)의 타단측에도 부착부재(21) 및 위치 보정용 나사(22)를 구비한 기구를 설치하고, 메인 레일(13)을 평행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캐리지(12)를 고정한 상태로 스핀들축(18) 자체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프레임(20)에 장공을 설치하고, 이 장공에 나사를 관통해서 스핀들 모터를 장치하고, 이 장공을 따라 모터를 미소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는 장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와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가 디스크의 내각 60°에 대응하는 트랙 영역마다 교호로 기재되어 있다.
또, 장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신호의 주파수는 125 KHz,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신호의 주파수는 500KHz로 되어 있다.
또, 각 트랙 영역에는 +θ의 아지머스·버스트와 -θ의 아지머스·버스트가 교호로 기재되어 있고, 양 아지머스·버스트의 사이는 직류 소거되다.
또, 직류소거되는 아지머스·버스트 사이의 1개소에는 장파장의 인덱스·버스트(INDEX )가 기재되어 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를 사용해서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검출하는 측정기기인 아지머스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도면에서, (31)은 피보정체로서 자기헤드, (32)는 자기헤드(31)의 출력을 증폭하는 프리앰프, (33)은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와 드레시호울드 전압 VT를 비교해서 출력신호 a가 클 경우에 출력신호 b를 발생하는 비교기, (34)는 비교기(33)의 출력신호 b에서 아지머스·버스트의 피크레벨을 호울드하기 위해 필요한 타이밍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 펄스 발생 회로, (35)는 +θ의 아지머스·버스트의 출력신호의 피크레벨을 호울드하는 피크 호울드 회로, (36)은 -θ의 아지머스·버스트의 출력신호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하는 피크 호울드 회로, (37)은 양 피크 호울드 회로(35, 36)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증폭기, (38)은 감산증폭기 (37)의 출력을 디스크의 트랙 전주에 걸쳐서 평균하는 로우패스필터(이하 LPF로 약칭), (39)는 후기하는 절환회로이다.
이하,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 및 상기 아지머스 검출장치를 사용하여 자기헤드의 아지머서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기헤드(31)에 의하여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각 아지머스·버스트를 독출하여 그 출력을 프리앰프(32)에서 증폭한다.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파형을 제6도의 a에 도시한다. 인덱스·버스트는 장파장으로 지재되고 있으므로 크게 각도가 어긋나는(n°단위) 자기헤드로 독출해도 아지머스 손실에 의한 출력저하가 적은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θ의 아지머스·버스트, -θ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신호가 얻어지지만, 이때의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는 비교기(3)에 의하여 드레시호울드전압 VT와 비교된다.
또, 드레시호울드전압 VT는 인덱스·버스트에 대응하는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비교기(33)의 출력신호 b는 제6도중 b의 도시와 같이 인덱스·버스트의 부분에서 상승한다.
이것은 자기헤드의 부착각도가 크게 어긋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타이밍 펄스 발생 회로(34)는 이미 인덱스·버스트에 대응하는 펄스를 기준으로 하여 제6도중 c 및 d의 도시와 같이 +θ의 아지머스·버스트,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하기 위한 타이밍 펄스를 발생한다.
타이밍 펄스 발생 회로(34)는 절환회로(39)의 출력신호 e에 의하여 대략 보정, 즉 장치 각도가 크게 어긋나는 자기헤드의 보정을 실시할 경우에는 제7도중의 ①c 및 d의 도시와 같은 타이밍 펄스로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한다.
한편, 부착각도가 약간 어긋하는(m', m"단위) 자기헤드의 보정을 할경우에는 제7도중 ②c 및 d의 도시와 같은 타이밍 펄스로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한다.
이 어느 한쪽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피크 호울드 회로(35)가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프리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하고, 피크호울드회로(36)가 -θ의 아지머스·버스트에 대응하는 프래앰프(32)의 출력신호 a의 피크 레벨을 호울드 한다.
이 양쪽의 호울드치는 감산증폭기(37)에서 감산된다. 또 감산된 치는 LPF(38)에 의하여 트랙의 전주에 걸쳐서 평균되고, 자기헤드의 아지머스 정보로서 출력된다.
즉,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의하여 헤드 아지머스의 대략 보정을 할 경우에는 장파장 아지머스·버스트를 유효화하여 아지머스 보정을 실시한다. 또 아지머스의 미세보정을 할 경우에는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를 유효화하여 고정밀도의 아지머스 보정을 실시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는 이 한장으로 부착각도가 크게 어긋나는 자기헤드의 보정과 부착각도가 약간 어긋난 자기헤드의 보정을 같이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있어서는, 장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신호의 주파수가 125KHz,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의 독출신호의 주파수가 500KHz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가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의 적어도 2배의 파장이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있어서는 장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와 단파장의 아지머스·버스트가 디스크의 내각 60°에 대응하는 트랙영역마다 교호로 기재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트랙영역이 트랙의 전주를 등분한 영역이면 이것과 상이한 내각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있어서는, 아지머스·버스트가 장파장과 단파장과의 2종류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예를들면 자기헤드의 부착각도의 보정을 수단계로 할 수 있도록, 아지머스·버스트이 파장을 트랙영역마다에 수 종류로 상이하게 설정해 놓아도 좋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조립시에 캐리지의 본체에 고정한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의 판독/기입갭과 스핀들축과의 상대적 위치를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이로인해 사이드(0)측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의 보정을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얼라인먼트 디스크는 자기헤드의 부착각도의 검출을 실시할 경우에 우선 장파장의 자화패턴을 독출해서 대략 보정을 하고, 이어서 단파장의 자화패턴을 독출해서 미세보정을 할 수 있으므로 부착각도가 크게 어긋나는 자기헤드의 보정에서 부착각도가 약간 어긋나는 자기헤드의 보정까지를 다같이 할 수 있다.

Claims (6)

  1. 회전중심의 주위로 회전되는 자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그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자기헤드를 구비한 플로피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아지머스 검출용의 버스트신호가 기록된 얼라인먼트 디스크와, 상기 자기헤드를 탑재하고, 레일에 가이드되어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얼라인먼트 디스크에 기록된 버스트신호를 상기 자기헤드로 판독해서 얻은 아지머스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자기헤드의 판독·기입 갭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 상기 회전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지와 상기 회전중심과의 상대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의 아지머스 보정 시스템.
  2. 자성의 디스크상의 트랙방향으로, 기록 아지머스가 다른 일정 길이의 자화패턴이 소정의 트랙영역마다 적어도 장단 2종류의 파장으로 독출되도록 교호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트랙영역이 트랙의 전주를 등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트랙영역이 트랙의 전주를 6등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자화패턴이 소정의 트랙영역마다에 장단 2종류의 파장으로 독출되도록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장파장의 자화패턴이 단파장쪽의 자화패턴에 대해 적어도 2배의 파장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먼트 디스크.
KR1019870012131A 1986-10-31 1987-10-30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KR93000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0047 1986-10-31
JP61260047A JP2554638B2 (ja) 1986-10-31 1986-10-31 アライメントデイスク
JP307666 1986-12-25
JP61307666A JPS63161513A (ja) 1986-12-25 1986-12-25 磁気ヘツドのアジマス調整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611A KR880005611A (ko) 1988-06-29
KR930007932B1 true KR930007932B1 (ko) 1993-08-21

Family

ID=2654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131A KR930007932B1 (ko) 1986-10-31 1987-10-30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43837A (ko)
KR (1) KR930007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780A (en) * 1993-06-30 1997-03-11 Matsushital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oppy disk unit
US6195238B1 (en) 1999-03-23 2001-02-2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ape head azimuth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7908A (en) * 1976-09-17 1978-06-27 Shugart Associates Method for inspecting the skew of a magnetic head, for selectively locating a lead screw and an apparatus therefor
US4513331A (en) * 1982-10-12 1985-04-23 Dysa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k drive alignment
JPS6050713A (ja) * 1983-08-31 1985-03-20 Toshiba Corp アジマス調整方式
JPS60212806A (ja) * 1984-04-09 1985-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ヘツドのギヤツプ傾斜角測定方法
US4694359A (en) * 1985-02-08 1987-09-15 Nec Corporation Diagnostic disk for checking the head alignment of magnetic disk dr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43837A (en) 1991-08-27
KR880005611A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341B1 (ko) 액츄에이터 암 위치제어시의 반복성 런아웃을 보상하기 위한 서보컨트롤러 및 그 방법
US6704156B1 (en) Self-writing of servo patterns in a disk drive using a printed reference pattern
US5452152A (en) Tracking control on longitudinal azimuth tracks using an auxiliary read head
US8743495B1 (en) Disk drive detecting track squeeze when circular tracks are defined from non-circular servo tracks
US5574602A (en) Processing servo signals concurrently read from plural spaced-apart servo areas for a magnetic tape having serpentine data track scanning
US6198584B1 (en) Disk drive with staggered calibration bursts that are disposably located in data reg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calibrating a read head
US70310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noise measurement tracks with servopositioning signals
KR940005561B1 (ko) 자기디스크장치
EP06163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 tape servo track seek algorithm
EP1127352B1 (en) Apparatus for developing a dynamic servo signal from data in a magnetic disc drive and method
US5940240A (en) Constant velocity servo linearity calibration method for MR head
US545758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 magnetic head relative to the storage medium of a magnetic layer storage
US4052741A (en) Track seeking and following
US5436773A (en) Enhanced linearity range for magneto resistive transducer servo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ias current
US4918972A (en) Dual reference track scheme
JPH06195664A (ja) 記録されたデータトラックの中心を識別する方法
WO2007091044A1 (en) Method of generating a position error signal, method of writing a data tra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head
KR930007932B1 (ko)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기헤드의 아지머스를 보정하는 시스템
US20020030920A1 (en) Feed-forward compensation of cage frequency using a reference head in a servo-writer
KR100240790B1 (ko) 서보 신호 기록 방법
US6833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calibrate a servo sensor
KR100522864B1 (ko) 자기 안정도 개선용 단극 마지막 기록 방법
US610106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 of a rotating scanner to a plurality of data track groups recorded on a tape
US20040156137A1 (en) Timing variance write gate pull
US6798607B2 (en) Defined signal injection to calibrate servo index positions employing an independent posi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