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769B1 -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769B1
KR930007769B1 KR1019860700350A KR860700350A KR930007769B1 KR 930007769 B1 KR930007769 B1 KR 930007769B1 KR 1019860700350 A KR1019860700350 A KR 1019860700350A KR 860700350 A KR860700350 A KR 860700350A KR 930007769 B1 KR930007769 B1 KR 93000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evice
measuring
selector member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250A (ko
Inventor
베이코 마키넨.
Original Assignee
발메트 오이
올리미콘헤이모 · 티모 루오난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메트 오이, 올리미콘헤이모 · 티모 루오난수오 filed Critical 발메트 오이
Publication of KR88070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본 발명은 프로세스의 경계면에 부착된 몸체를 포함하는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몸체는 프로세스(process)와 연결되는 구멍등의 개구부를 포함하는데, 프로세스는 이 개구부를 통해서 연결장치에 부착된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다.
오늘날 프로세스 산업분야에서 여러종류의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센서, 압력조정자등과 같은 측정기기를 프로세스 물체와 직접 또는 간접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측정기기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프로세스 물체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센서를 적소에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장치의 슬라이브형 몸체를 프로세스의 경계면, 예를들면 튜브의 외부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슬리이브형 몸체에는 내부나사부 또는 고정플랜지가 매우 적절하게 제공되어 있으며, 몸체에서 프로세스의 경계면에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센서는 슬리이브형 몸체를 관통하여 프로세스 물체와 접촉하게 되며, 예를들면, 외부나사부에 의하여 프로세스 물체에 고착된다. 그러므로, 센서는 프로세스와 직접 연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또하나의 연결장치는 프로세스와 연결되므로, 차단밸브가 연결장치의 몸체 및 프로세스 사이에 배열된다. 이 밸브에 의하여, 필요한 경우 프로세스 물체 및 연결장치 사이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에 대한 이러한 종류의 배열이 스위스 공개공보 제521,657호에 발표 되었다. 연결장치내에서 센서는 자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차단밸브가 개방되어야 하고, 센서가 자체의 길이방향으로 차단밸브의 구멍을 관통하여 자체의 전방위치로 이동되어 프로세스와 접촉한다. 상응하는 방식에 있어서, 측정을 마친 경우에는, 센서가 자체의 길이방향으로 밸브의 구멍으로부터 자체의 후방위치로 이동해야만 하며, 밸브는 폐쇄된다.
연결장치는 프로세스와 직접 연결되며, 자체의 몸체에 부착된 센서를 갖추고 있다. 연결장치의 몸체는 프로세스의 경계면에 고정되는데, 이에따라 프로세스를 혼란시키지 않고서는 측정기기의 교환 또는 수리를 할 수 없는 결점이 생긴다. 센서의 실제 교환 또는 수리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프로세스는 적어도 연결장치의 부근에서 저지되어야만 한다. 차단밸브를 가진 연결장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조립체 부품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첫째로, 프로세스의 경계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가 필요하다. 이 고정부재에 밸브가 부착된다. 센서와 결합하는 실제의 연결장치가 밸브에 부착된다. 이러한 측정배열을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센서 및 프로세스 몸체사이에 연결을 이루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서, 센서 및 차단밸브가 서로 분리되어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차단밸브가 항상 프로세스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로 이격되어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만일, 측정될 프로세스 물체가 쉽게 석출물을 형성하면, 프로세스 물체와 차단밸브 사이의 연결관이 막힐 수 있다. 어쨋든, 센서는 상기의 연결채널내로 들어와서 결국에는 차단밸브내로 들어가는 프로세스 물체를 이동시켜야만 한다 이것은 차단기간후에 센서가 프로세스 물체와 연결되는 경우에, 특히 고압 프로세스가 측정될때, 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기기를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측정기기는 프로세스 그 자체가 흐트러지지 않는 방식으로, 센서의 교환 및 수리를 위해서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측정기기가 몸체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선택기 부재에 부착되고, 선택기 부재는 측정기기와 통해 있는 구멍등의 개구부를 가지며, 그 구멍은 연결장치의 측정위치에서 몸체의 구멍과 연결되고, 선택기 부재는 연결장치위치 폐쇄위치에서 몸체의 구멍에 있는 폐쇄표면등을 가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종속항에서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특성이 제시된다
이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8도 내지 제10도는 측정기기를 프로세스 물체내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부재와 측정기기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물에 대한 몇몇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세자리의 참고 숫자가 다음의 장치에 이용된다. 첫번째의 숫자는 해당도면의 숫자를 나타내고, 뒤의 두 숫자는 연결장치의 실제부품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능상 유사한 부품은 일련의 참고숫자를 이루며, 일련의 참고숫자는 해당도면의 번호에 의해서 서로 구별된다.
제1도는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물체(1)의 온도, 밀도 pH-값, 경점성(consistency), 또는 어떤 다른 특성들이 측정된다. 프로세스 물체는 프로세스의 경계면(2)에 의해 제한을 받는데, 이 경계면은 예를들어 프로세스 물체주위의 용기벽, 프로세스 물체가 유동하는 관, 또는 용기와 연결된 플랜지, 또는 프로세스 물체를 함유하는 튜우빙을 가리킬 수 있다. 측정기기(3)는 이러한 경우에 센서가 되지만, 그것은 프로세스 물체, 및 이 프로세스 물체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 특성의 측정과 관련하여 압력조정자 또는 상응하는 부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의 측정과, 측정기기에 의해서 프로세스 물체의 특성에 대해서 주어지는 정보와, 그리고 이 정보의 전달은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은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으므로, 시장성 있는 측정기기가 연결장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기기용 연결장치(110)는 프로세스의 경계면(2)에 부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장치의 몸체(111)는 몸체의 내부면이 프로세스의 경계면(2)의 내부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4)위치에서 프로세스의 경계면내에 있는 구멍(5)에 용접된다. 몸체(111)는 환형의 기저부(112)를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저부(111)의 주변부 표면 및 구멍(5)의 가장자리 사이에 용접 이음매(4)가 위치한다, 기저부는 내부에 가스켓(114)이 배치된 구멍(113)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스켓(114)은 구멍(115)을 포함하고 있다. 기저부는 내부에 가스켓(114)이 배치된 구멍(113)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스켓(114)은 구멍(115)을 포함하고 있다. 센서(3)는 이 구멍(115)을 통해서 프로세스 물체와 연결된다 가스켓(114)은 플라스틱 재료, 예를들면 테프론과 같이 화학적 및 기계적 저항성을 갖는 밀봉재로 제조될 수 있다 가스켓(114)은 센서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기저부(112)에서 플랜지(116)에 의해 지지된다 가스켓(114)뿐만 아니라 밀봉플랜지(116)는 센서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때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를 향하고 있는 기저부의 표면(117)뿐만 아니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가스켓(114)의 표면(118)은 프로세스의 경계면(2)의 내부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기 부재(120)는 폐쇄부(119)에 의해서 몸체(111)에 고정되는데, 폐쇄부(119)는 환상 플랜지(121)에서 볼트(122)를 사용하여 기저부(112)에 고정된다.
폐쇄부(119) 및 선택기 부재(120) 사이에 또하나의 가스켓(123)이 배치된다. 가스켓(123)은 기저부(112) 및 폐쇄부(119) 사이에서 칼라(collar) (124)에 의하여 폐쇄부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이 가스켓은 테프론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부(119)는 예를들어, 디이프 드로우잉 (deep drawing)에 의해서 판상의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저부(112)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밀봉플랜지(116), 가스켓(123)의 칼라(124)에 대한 리세스(recess) 및 선택기 부재를 위한 필요 공간으로 구성되는 환상형으로 기계 가공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택기 부재(120)는 실질적으로 몸체(111)의 내부에 위치한 측정 및 폐쇄부(125)와, 센서(3)를 위한 중앙에 위치된 구멍(126)을 포함한다. 선택기 부재(120)는 또한 구멍(126)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하여 배열된 슬리이브부분(127)을 더 포함한다. 센서는 이 슬리이브안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데, 이 슬리이브는 예를들면 배럴너트(128)에 의해서 센서를 선택기 부재(120)에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배럴너트(128)는 내부나사부를 갖추고, 선택기 부재(120)의 슬리이브(127)는 이에 상응하는 외부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배럴너트(128)는 선택기 부재의 슬리이브(127) 단부면과 배럴너트(128)의 저부사이에 센서(3)의 플랜지(6)를 고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측정 및 폐쇄부(125)는 구의 형상을 가지며, 가스켓(114) 및 (123)의 내부면의 형상은 측정 및 폐쇄부(125)의 형상과 본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따라, 몸체(111)의 하우징(130)내에 있는 측정 및 폐쇄부(125)와, 가스켓(114) 및 (123) 사이에서 밀봉효과가 얻어진다. 이 하우징은 가스정의 내부면에 의해서 본질적으로 정의된다.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프로세스는 센서(3)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 위치에서 선택기 부재(120)의 구멍(126) 안에 위치하고 특히 단부면(7)에 위치한 센서 (3)는 몸체(111)의 구멍(115)에 놓이게 되고, 이에따라 프로세스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기 부재(120)는 몸체(111)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끼워 맞추어 지므로, 선택기 부재(120), 특히 측정 및 폐쇄부(125)는 몸체(111)의 하우징(130)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이 하우징은 가스켓(114) 및 (123)에 의해서 필수적으로 한정된다. 측정 및 폐쇄부(125)의 폐쇄위치가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이 위치에서, 측정 및 폐쇄부(125)의 구형상 외부면(129)이 몸체(111)의 구멍(115)에 위치한다. 연결장치는 폐쇄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 센서는 점검될 수 있거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하여 배럴너트(128)를 풀어서 연결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몸체(111)의 구형 가스켓(123) 및 폐쇄부는 회전운동을 하기 위하여 서로 부합하는 슬롯(131)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슬롯(131)들의 폭은 슬리이브부분(127)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폐쇄부 및 측정부 사이의 회전운동은 제1도에 각도 알파(α)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회전운동은 슬룻의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구형의 측정 및 폐쇄부(125)의 외부면(129)중 일부가 폐쇄면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전체의 외부면은 몸체(111)의 하우징 (130)내에서 회전운동에 대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폐쇄부(119) 및 가스켓(123)의 슬롯(131)은 연결장치(110)를 장착하는 경우, 수평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진동과 같은 외부방해 인자 선택기 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선택기 부재(120)의 우연한 위치변동 방지하는 고정장치가 본래 제공될 수 있다.
제1도의 선택기 부재(120)는 구형의 측정 및 폐쇄부(125)를 형성하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측정 및 폐괘부에는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126)이 제공되어 있다. 슬리이브부분(127)은 이러한 구형의 측정 및 폐쇄부에 나사장착될 수 있으므로, 슬리이브부분의 구멍(126a)은 측정 및 폐쇄부 구멍(126)의 중앙에 위치하며, 이 구멍(126)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제1도의 선택기 부재(120)를 만드는 또하나의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구형의 중공주형에서 사출성형함으로써 측정 및 폐쇄부(125)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구형부분의 지름보다 실질직으로 더 큰 길이의 금속관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구형부분의 밖으로 연장되는 관의 부분이 슬리이브(127)를 형성한다. 구형부분내에 남아있는 관의 부분은 관과 플라스틱재 사이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관의 외부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그밖의 같은 종류의 기관(orga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도에서, 몸체(111)의 기저부(112)에는 보어(168)가 제공되어 있다. 이 보어(168)는 몸체(111)의 하우징(130)과 몸체(11)의 외부면을 연결한다. 센서가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고, 센서(3)의 단부(7)가 가스켓(114) 및 (123) 사이에 있는 하우징(130)내의 공간(169)과 연결되는 경우, 보어(168)를 통해서 센서(3)의 조건을 점검할 수 있다. 내부단부(170) 또는 보어(168)를 통해서 센서(3)의 조건을 점검할 수 있다. 내부단부(170) 또는 보어가 공간(169)과 연결된다. 이 경우에, 통상적인 측정은 센서(3)를 가지고 수행할 수 없으며, 선택기 부재(120)의 폐쇄면(129)이 몸체의 구멍(115)에 위치하여 연결장치를 폐쇄시킨다. 점검장치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멍(168)희 외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멍이 위에 설명된 점검을 해서 사용되지 않을때는 폐쇄될 수 있다.
제2a도 및 제2b도에는 측정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a도는 제2b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b도는 제2a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몸체(211)는 기저부(212)와, 중앙에 위치된 구멍 (215)을 갖춘 가스켓(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211)의 기저부(212) 양쪽측면에 프로세스의 경계면의 밖으로 연장되는 지지브래킷(232)과 (233)이 제공되어 있다. 선회축(236) 및 (237)은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234) 및 (235)내에서 저어널(journal) 된다. 선택기 부재의 측정 및 폐쇄부(225)는 이들 선회축 사이에 장착되어 선회축 사이에서 회전축(240)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연결장치(210)를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화살표(8) 방향으로 회전하는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버(238)가 선회축(236)에 고정되어 있고, 측정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이브(227)의 구멍(226)이 선택기 부재(220)에 포함되어 있으며, 몸체(211)의 구멍(215)에 위치되어 있다. 폐쇄위치에서, 회전축의 방향으로 보았을때, 슬리이브(227)의 측면에 있는 선택기 부재(220)의 폐쇄면(229)은 몸체(211)의 구멍(215)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선택기 부재(220)는 셸구조의 형상을 가진다 이 구조의 외부면은 구 또는 회전체의 면이며, 적어도 가스켓(214)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면에 도시된 셸구조는 판상형의 금속재료로부터 디이프 드로우잉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구멍을 갖출 수 있고, 이 구멍위에 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이브(227)가 설치된다. 회전축(240)의 방향으로 보았을때, 고정 슬리이브(227)를 측정 및 폐쇄부(225)의 다른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보았올때, 선택기 부재(220)의 원주상 길이가 반원이라 할지라도 폐쇄면의 길이는 충분하다.
고정 슬리이브(227)는 측정기기(3)를 설치하기 위한 제1도에 따른 고정배열을 갖추게 된다. 또한, 고정슬리이브의 외부단부는 고정슬리이브에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 가질 수 있고, 센서의 고정 플랜지(6)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의 외부면은 장착홈에 의해 둘러싸이고, 홈안에는 양 측면을 가진 고정링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고정링은 안쪽으로 향하는 브이(V)자 형상의 단면적을 가지며, 자체의 첫번째 레그(leg)를 홈에 고착시키고 두번재 레그를 상용하는 형상의 홈에 고착시킨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의 특성이외에, 주로 구형상인 선택기 부재(320)를 갖추고 있고, 선택기 부재내에 측정기기(3)를 장착하기 위한 중심구멍(326)을 갖는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더 작은 크기의 측정기기에 아주 적합하다. 이러한 기기는 예를들면 도면에 도시된 압력 조정자(3)를 포함한다. 이 기기는 모세관(9)을 따라서 프로세스의 압력에 상응하는 측정신호를 중재한다. 측정기기(3)는 선택기 부재(320)의 측정부 및 폐쇄부(325)의 구멍(326)에 고정너트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된다. 너트(328)는 외부나사부를 갖추고 있으며 구멍(326)의 내부나사부내로 끼워 맞추어진다. 가스켓(323) 및 폐쇄부(310)에는 측정기기(3) 및 고정너트(328)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329)과, 연결장치를 레버(338)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슬룻(331)이 제공되어 있다. 레버는 몸체(311)내에서 저어널되고, 몸체를 관통하여 연장된 선회축(336)에 부착된다. 선회측은 측정 및 폐쇄부(325)에 부착된다. 도면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에서 레버(338)를 선회시키면, 선택기 부재의 폐쇄면(구형상의 선택기 부재의 외부면(329)중 일부)은 제3도의 방향으로 본 바와같이 센서의 뒤에 위치되는데, 이 위치는 몸체(311)의 구멍(315)의 위치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선택기 부재의 회전축(340)은 선회축(336)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제4a도 및 제4b도에는 측정기기를 갖추고 있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a도는 제4b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4b도는 제4a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를 수정한 것이다. 선택기 부재(420)의 측정 및 폐쇄부(425)의 표면(429)은 원통형상을 가진다. 몸체(411) 및 특히 몸체의 하우징(430)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이며, 하우징내에서 측정 및 폐쇄부(425)는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주로 원통형 링의 형상을 가지는 가스켓(414)이 측정 및 폐쇄부(425)와 몸체의 하우징(430) 사이에 위치한다. 가스켓(414) 및 몸체(411)는 슬롯(431)를 가지며, 이 슬롯안에서 선택기 부재(420)의 슬리이브(427)가 원통형상의 측정 및 폐쇄부(425)의 중심축(441)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측정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가스켓(414) 및 몸체(411)에는 구멍(415)이 제공되어 있고, 선택기 부재의 구멍(426) 및 (426a)안에 배치된 측정기기는 측정위치에서 이 구멍(415)을 통하여 프로세스와 연결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측정기기를 갖추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 5실시예이다. 제5a도는 제5b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5b도는 제5a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선택기 부재(520)의 측정 및 폐쇄부(525)의 표면(529)은 끝이 잘린 원추형상을 가지며, 몸체(511)의 기저부(512)에 있는 하우징(530)도 유사한 원추의 형상을 가진다. 측정 및 폐쇄부(525)가 하우징(530)내로 배치되므로, 이들 원추형상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된다. 제5a도 및 제5b도에 따른 연결장치가 다음의 방식, 즉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운동이 수평면상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경우, 중력의 영향을 받는 측정 및 폐쇄부(525)가 하우징의 내부면에 대하여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몸체(511)의 하우징(530)과 측정부 및 폐쇄부(525) 사이에 매우 바람직한 밀봉효과가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앞의 실시 예들에 사용된 가스켓을 생략할 수도 있다. 몸체(511)의 폐쇄부(519)는 폐쇄부 자체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고정나사(542)를 가진다. 선택기 부재가 측정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있을때, 나사(542)의 단부면(543)과 측정 및 폐쇄부(525)의 상부면(553)이 서로에 대하여 압력을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위치외 우발적인 변화가 방지된다. 몸체의 기저부(512)는 스트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측정기기용 구멍(515)과 선택기 부재의 회전운동에 대한 슬룻(531)을 가진다.
제6a 및 6b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제 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6a도는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제6b도는 제6a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몸체(611)의 기저부(612)는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리세스(645)를 포함한다. 슬랩(646) 및 (647)은 나사(648)에 의해서 리세스의 양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슬랫은 부분적으로 리세스 위로 연장된다. 이에따라, 홈(649) 및 (650)이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선택기 부재 홈(649) 및 (65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판이며, 홈내에 위치하는 자체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판에는 구멍(626)이 제공되는데, 이 구멍에 센서 고정용 슬리이브(627)가 설치된다.
선택기 부재(620) 및 몸체의 리세스(645) 사이에 가스켓(614)이 끼워진다. 몸체(611)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스켓(614)은 구멍(615)을 가지며, 이 구멍을 통해서 측정기기가 제6b도에 도시된 위치에 놓인 프로세스(1)와 접촉된다. 선택기 부재(620)는 측정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향하는 화살표(10) 방향 또는 그 역의 방향으로 홈(649) 및 (650)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선택기 부재가 직선경로를 따르는 이동의 또하나의 말단위치에 있을때, 제6a도에 도시되어 있고 선택기 부재(620)의 폐쇄면으로서 작용하는 내부면(629)은 몸체(611)의 구멍(615)에 위치하게 된다.
제7a도 및 제7b도에는 필수적으로 판상형의 선택기 부재를 채용하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7실시예는 제7a도에 평면도로서 보여진다. 제7b도는 제7a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몸체(711)의 기저부(712)에는 원형 리세스(745)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리세스는 기저부에 보울트(748)로 고정된 환상의 링(74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환상의 링의 내부지름은 리세스의 지름보다 작다. 이것에 의하여, 환상홈(749)이 몸체내에 형성된다. 이 홈은 본질적으로 판상형태인 선택기 부재(72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동시에, 홈은 선택기 부재의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또한, 몸체(711)에는 원형홈(745)의 중심과 다른 중심을 갖는 구멍(715)이 제공되어 있고, 가스켓(714) 및 선택기 부재(720)에는 구멍(726)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몸체내의 구멍(715) 및 선택기 부재내의 구멍(72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된다.
측정기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선택기 부재(720)에는 상기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고정 슬리이브(727)가 제공된다. 슬리이브의 중심축은 판상과 같은 선택기 부재(720)의 주평면(main plane)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구멍(726)과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몸체(711)에는 가스켓(714)용 환상흠이 제공된다. 환상홈(749)에서 선택기 부재를 화살표(11)를 따라 중심축(752)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연결장치가 제7a도에 도시된 측정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운동이 계속됨에 따라 선택기 부재(720)의 폐쇄면으로서 작용하는 내부면(729)이 몸체(711)의 구멍(715)으로 이동하여 프로세스(1) 및 측정기기 사이의 연결을 폐쇄 한다.
제6a도, 제6b도,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택기 부재(620) 및 (720)에 사용되는 판상재료의 두께는 홈(649) 및 (749)와 관련하여 선택되어질 수 있으므로, 슬랩(646,647)의 고정볼트(648,748) 및 환상링(746)의 최종적인 조임에 의해서 선택기 부재가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1도 및 제3도에는 측정기기(3)와 선택기 부재의 구멍(126,326) 사이의 패킹링(12)과 같은 밀봉부재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제1도 내지 제7도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연결장치의 몸체는 용접에 의하여(4) 위치에서 프로세스의 경계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용접이외에 보울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대안도 가능함을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레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때는 측정기기 또는 슬리이브부분을 잡고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측정기기를 선택기 부재내에 설치하는데 대한 몇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다. 이러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연결장치가 측정위치에 있을때, 측정기기가 부분적으로 프로세스 물체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선택기 부재 구멍의 길이방향에서 측정기기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측정기기가 완전하게 선택기 부재의 구멍안에 위치하는 경우, 연결장치는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측정기기는 선택기 부재 구멍의 길이방향으로 선택기 부재의 전반부를 지나 몸체의 기저부로 이동됨으로써 프로세스 물체내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장치가 폐쇄위치로 이동되기전에, 센서는 본래 선택기 부재의 구멍내로 다시 완전하게 이동되어야만 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선택기 부재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제8도는 선택기 부재의 단면도이며, 이 선택기 부재는 내부나사부(151)가 있는 제공된 구멍(126a)을 가지는 슬리이브 부분과 통합된다. 외부나사부(153)를 가진 외부 슬리이브(152)는 센서(3) 상에 고정된다. 나사부(153)는 슬리이브분(127)의 내부나사부(151)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슬리이브(152)에서 센서위에 위치한 슬리이브(152)의 단부면(155)이 구멍(126a)의 바닥(154)에 도달할때 까지, 슬리이브위에 장착된 센서를 회전시킴으로써, 센서는 프로세스(1)를 향하는 선택기 부재의 구멍 (12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센서(3)의 전방부분은 프로세스 물체내에 위치한다. 외부고정너트가 슬리이브(152)에 배치된다. 이 너트를 사용해서 너트를 슬리이브부분(127)의 단부면(157)에 접촉시킴으로써 센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센서(3)는 구멍(126) 및 센서 사이에서 밀봉부재로 작용하는 패킹링(12)에 대한 환상홈(13)을 가진다.
제9도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선택기 부재(120)의 슬리이브부분(127)은 안내슬롯(158)를 갖추고 있고, 센서의 외부면은 슬롯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안내핀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슬롯(158)은 슬리이브부분(127)의 구멍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두 부분(160) 및 (162)으로 구성된다. 안내핀이 이러한 슬룻들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내에 있을때, 센서가 회전된다. 또한, 슬롯(158)은 슬리이브부분(127)의 구멍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두부분(161)으로 구성된다. 안내핀이 이 슬롯들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내에 있을때, 센서는 선택기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품(159) 및 부분(160)은 선택기 부재내에 있는 구멍의 길이방향으로 센서의 위치를 한정한다.
제10도는 또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슬리이브부분(127)은 내부나사부를 가진다. 상기 내부나사부내로 끼워 맞추어지는 외부나사부를 갖춘 슬리이브(163)는 슬리이브부분(127)내에서 회전하여 슬리이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슬리이브(163)에는 회전너트(164)가 제공되어 있다. 슬러이브(163)가 선택기 부재(120)의 슬리이브부분(127)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센서의 최종 길이방향의 위치는 회전하는 너트의 단부면(167) 위치에 의해서 정의된다. 여기서, 센서위에 위치한 플랜지 (6)는 회전하는 너트의 단부면(167)에 접촉한다. 센서는 센서의 플랜지 (6)를 배럴너트(128)의 바닥과 회전너트(164)의 단부면(167)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써, 배럴너트(128)에 의해서 연결장치에 고정된다. 배럴너트에는 내부나사부가 제공되어 있는데, 선택기부재(120)의 슬리이브부분(127)은 내부나사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외부나사부를 갖추고 있다. 제10도에는 또한 모서리가 절단된 고정너트(16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너트는 연결장치의 슬롯(131)내에 끼워맞추어진다 선택기 부재(120)의 위치가 바뀐후에, 너트(165)를 슬롯(131)내로 조임으로써 선택기 부재는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서리가 깎인 가장자리(166)는 폐쇄부(119) 및 가스켓(123)의 가장자리로 구성된 슬롯(131)의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Claims (18)

  1. 측정기기(3)에 대한 연결장치로서, 프로세스(1)의 경계면(2)에 부착된 몸체(111,211,311,411,511,611,7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가 상기 프로세스(1)와 연결된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이 구멍을 통해서 상기 프로세스(1)가 연결장치에 부착된 상기 측정기기(3)에 의해서 측정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 (3)가 상기 몸체(111,211,311,411,511,611,711)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선택기 부재(120,220,320,420,520,620,720)에 부착되며, 상기 선택기 부재가 상기 측정기기(3)에 연결된 구멍 (126,226,326,426,526,626,726)과, 연결장치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구멍(115,215,315,415,515,615,715)에 위치하는 폐쇄면(129,229,329,429,529,629,729)을 갖추고 있고, 상기 구멍(126,226,326,426,526,626,726)이 연결장치의 측정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구멍(115,215,315,415,515,615,7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기 부재(120,220,320,420,520)의 폐쇄면(129,229,329,429,529)이 구형면(129,329), 회전면(229), 원통형면(429) 또는 원추형면(529)과 같은 아치형면이며, 상기 폐쇄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몸체의 내부면(514) 또는 가스켓(114,214,314,.414)이 적어도 상기 폐쇄면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상기 폐쇄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정기기(3)가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상기 선택기 부재의 구멍(126,226,326,426,526)의 길이방향 사이에 각도(α)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택기 부재(620,720)의 폐쇄면이 평면(629,729)이고, 상기 측정기기(3)가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선택기 부재(620,720)의 구멍(626,726)의 길이방향이 측정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의 이동이 직선경로를 따르고, 몸체(611)가, 판상형의 선택기 부재(62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선택기 부재(620)에 대한 가이드로서 작용하기에 적합한 직선형 안내홈 (649,650)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의 이동이 회전운동이고, 몸체(711)가, 판상형의 선택기 부재(72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선택기 부재(720)에 대한 가이드로서 작용하기에 적합한 환상의 안내홈(749)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의 선택기 부재(620,720)가 측정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이브(627,727)를 갖추고 있고, 상기 측정기기가 측정위치에서 상기 슬리이브의 구멍(626,726)을 통해서 상기 몸체(611,711)의 구멍 (615,715)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선택기 부재(120,320,420,520)내에 통합되어 있는 측정 및 폐쇄부(125,325,425,525)가 구형상, 원통형상 또는 절단된 원추형상을 가지며, 구멍(126,326,426,526)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측정기기(3)가 상기 측정 및 폐쇄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몸체(111,311,411,511)가 측정 및 폐쇄부를 둘러싸는 하우징(130,330,430,5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측정 및 폐쇄부의 외부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가 선택기 부재의 회전운동(각도 α)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131,331,431,531)을 갖추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부분(127,427,527)이 측정 및 폐쇄부(125,425,525)에 부착되고, 상기 슬리이브의 구멍이 상기 측정 및 폐쇄부의 구멍(126,426,526)과 연결되며, 상기 슬리이브부분이 슬롯(131,431,5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하고, 선택기 부재에서 측정기기(3)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측정 및 폐쇄부(225)가 아치형 폐쇄면(229)을 갖춘 셸 구조이고, 측정기기(3)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이브(227)가 상기 셸구조에 부착되며, 상기 슬리이브(227)의 구멍(226)이 측정위치에서 몸체(211)의 구멍 (215)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선택기 부재(220,320)가 몸체(211,311)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회축(236,237,336)과 저어널(journal)되고, 레버(238,338)가 상기 선회축(236,237,336)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에서 측정 및 폐쇄부(225,325)를 회전시키기 위해 선회축(236,336)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테프론 가스켓과 같은 가스켓(114,214,314,414,614,714)이 선택기 부재(120,220.320,420,620,720) 및 몸체(111,211,311,411,611,711) 또는 적어도 기저부(112,212,312,412,612,71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측정기기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선택기 부재(120,220,320.420,520,620,720)의 구멍(126,226,326,426,526,626,726)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측정기기(3)가, 상기 구멍(126,226,326,426,526,626,72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연결장치의 측정위치에서 프로세스(1)내로 이동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장치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선택기 부재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나사부(151)가 선택기 부재(120)의 구멍(126)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측정기기(3)의 외부면이 이에 상응하는 치수의 외부나사부(153)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측정기기(3)가 상기 선택기 부재(120)의 구멍내에서 프로세스내로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슬룻(158)이 상기 선택기 부재(120)의 슬리이브부분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기기(3)의 외부면상에 위치된 안내핀(159)이 상기 슬리이브부분의 길이방향(16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롯(158)내로 끼워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슬롯(158) 및 안내핀(159)에 의해서 달성된 안내 효과에 의하여 측정기기가 프로세스(1)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 부재(120)의 구멍(126)내에 나사부가 배열되어 있고, 이 나사부에 상응하는 나사부를 갖춘 슬리이브(163)가 상기 선택기 부재의 구멍내로 배치되며, 상기 슬리이브(163)의 단부면(167)이, 측정기기(3)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기기(3)상에 위치된 플랜지(6)와 같은 멈춤부재와 접촉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6)가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면(167)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측정기기(3), 및 선택기 부재(120,220,320,420,520,620,720)의 구멍(126,226,326,426,526,626,726) 사이에 패킹링(1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1)내에 보어 (168)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보어 (168)가, 상기 몸체(111)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몸체(111)의 하우징(130)내의 공간(169)을 프로세스의 경계면 외부에 있는 몸체의 표면과 연결시키고, 상기 공간(169)이 폐쇄된 위치에서 측정기기(3)와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결장치.
KR1019860700350A 1984-10-11 1985-09-26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KR930007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43985 1984-10-11
FI843985A FI71838C (fi) 1984-10-11 1984-10-11 Maetstuts.
PCT/FI1985/000080 WO1986002442A1 (en) 1984-10-11 1985-09-26 Connection device for measuring instru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250A KR880700250A (ko) 1988-02-22
KR930007769B1 true KR930007769B1 (ko) 1993-08-19

Family

ID=851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350A KR930007769B1 (ko) 1984-10-11 1985-09-26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28732A (ko)
EP (1) EP0197077B1 (ko)
JP (2) JPS61501797A (ko)
KR (1) KR930007769B1 (ko)
DE (1) DE3566577D1 (ko)
ES (1) ES296278Y (ko)
FI (1) FI71838C (ko)
IN (1) IN162388B (ko)
NO (1) NO163583C (ko)
WO (1) WO19860024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59B1 (ko) * 2000-08-18 2006-11-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로의 누설방지용 이중플랜지
KR20160063467A (ko) * 2014-11-26 2016-06-07 (주)프론틱스 휴대용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658A (en) * 1992-11-16 1995-01-10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Intrusive acoustic sensor mounting arrangement
US5591907A (en) * 1995-07-13 1997-01-07 Scientific Solutions, Inc. Weatherproof sensing apparatus with rotatable sensor
EP0959371A3 (de) * 1998-05-22 2002-04-17 INES Elektronik-Systementwicklung-Produktions GmbH Lichtgitterprofil
US5905213A (en) * 1998-07-14 1999-05-18 Jaeger; Ben E. Liquid sampler having connecting device
US6854328B2 (en) * 2001-06-14 2005-02-15 Custom Spec Engineering, Inc. Cover structure for marine instrument
US6792818B2 (en) 2002-04-08 2004-09-21 Ben E. Jaeger Liquid sampler having an in-line valve
US7984660B2 (en) * 2004-07-23 2011-07-26 Scott Roger Nathan Pipeline sampling device
GB2466894B (en) * 2005-01-11 2010-08-25 Parker Hannifin Plc Connection module and connector
US7481124B2 (en) 2006-05-24 2009-01-27 Sentry Equipment Corp. Positive-displacement sampling apparatus
SE534959C2 (sv) * 2009-10-20 2012-02-28 Somas Ventiler Vridbar ventil för en mätanordning
FI122118B (fi) 2010-01-11 2011-08-31 Satron Instr Oy Mittausyhde
FI122499B (fi) 2010-01-11 2012-02-29 Satron Instr Oy Mittausyhde ja menetelmä mittausyhteeseen sijoitetun mittausvälineen mittauspään puhdistamiseksi
NO330935B1 (no) * 2010-02-04 2011-08-22 Mirmorax As Anordning for stromningsprove
CN102797520B (zh) * 2012-09-03 2016-02-03 中国航空动力机械研究所 一种燃气涡轮发动机的机匣
DE202013011774U1 (de) 2013-06-18 2014-06-24 Voith Patent Gmbh Messvorrichtung
US10139261B2 (en) * 2014-03-28 2018-11-27 Parker-Hannifin Corporation Through wall installation of sensors in fuel tanks
US11339830B2 (en) * 2017-12-19 2022-05-2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Bearing housing fille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0094A (en) * 1954-04-22 1957-02-05 Standard Oil Co Pipeline mount for thermistor installation
CH521657A (de) * 1970-12-14 1972-04-15 Proton Ag Messwertgebereinrichtung mit herausnehmbarer Messwertgebersonde
US4091672A (en) * 1977-06-09 1978-05-30 Sarns, Inc. Temperature probe and connector
US4096754A (en) * 1977-08-26 1978-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movable probe
GB2058247B (en) * 1979-09-10 1983-02-16 Redland Automation Ltd Stuffing box
US4495810A (en) * 1983-04-20 1985-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Probe mount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59B1 (ko) * 2000-08-18 2006-11-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로의 누설방지용 이중플랜지
KR20160063467A (ko) * 2014-11-26 2016-06-07 (주)프론틱스 휴대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62260L (no) 1986-06-06
ES296278Y (es) 1988-12-01
NO163583B (no) 1990-03-12
IN162388B (ko) 1988-05-21
FI71838B (fi) 1986-10-31
NO163583C (no) 1990-06-20
ES296278U (es) 1988-04-16
JPH0736256Y2 (ja) 1995-08-16
WO1986002442A1 (en) 1986-04-24
NO862260D0 (no) 1986-06-06
EP0197077B1 (en) 1988-11-30
KR880700250A (ko) 1988-02-22
US4628732A (en) 1986-12-16
DE3566577D1 (en) 1989-01-05
FI843985A0 (fi) 1984-10-11
FI71838C (fi) 1987-02-09
JPS61501797A (ja) 1986-08-21
EP0197077A1 (en) 1986-10-15
FI843985L (fi) 1986-04-12
JPH0720523U (ja) 199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769B1 (ko) 측정기기를 위한 연결장치
US3516638A (en) Flow diverter ball valve
US471142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valve element to a valve stem
US3974855A (en) Check valve having self energizing seal
US4164343A (en) Eccentric ball type valve
US6253791B1 (en) Ball valve
KR100468304B1 (ko) 볼세그먼트밸브
US4757708A (en) Through hole construction for process measuring devices
US6164324A (en) Adjustable quick closing disk check value with flow indicator
USRE33792E (en) Connecting device for measuring instruments
US3767162A (en) Resilient connection between stem and plug of plug valve
US403873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utterfly valve
CA2002357C (en) Shaftless butterfly valve
US5148831A (en) Bi-directional shaftless butterfly valve
US3216696A (en) Lubricated ball plug valve with relieved surface on seat ring
GB1598477A (en) Valve
US20050205823A1 (en) Adjustable sealing means
KR200378361Y1 (ko) 압력계 및 센서용 스위블 조인트
FI77517C (fi) Kran.
KR20080085538A (ko) 유량계
US20050092954A1 (en) Plug valve adjustment means
CA1053649A (en) Ball valve
FI60295C (fi) Kulventil
GB1583821A (en) Shut-off cocks for endoscopes
JPH01242889A (ja) バルブの開度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