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22B1 -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22B1
KR930007422B1 KR1019870700115A KR870700115A KR930007422B1 KR 930007422 B1 KR930007422 B1 KR 930007422B1 KR 1019870700115 A KR1019870700115 A KR 1019870700115A KR 870700115 A KR870700115 A KR 870700115A KR 930007422 B1 KR930007422 B1 KR 93000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yclopentenone
phenyl
methyl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288A (ko
Inventor
칼 이. 워드
Original Assignee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윌리엄 제럴드 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윌리엄 제럴드 덕 filed Critical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70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2Radical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nitro or nitros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2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hetero atoms, or by two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3-아미노-2-(치환된 -페닐)-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와 이 화합물의 제초제 및 식물생장 조정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링토닌 알카로이드의 합성에 관한 연구로 3-아미노-2-[3,4-(메틸렌디옥시)-페닐]-사이클로펜테논의 제조를 설명한 학술논문이 유기화학저널 49권, 228-236면(1984년)에 나타나 있다. 4-아미노-3-(a,a,a-트리플루오로-m-톨릴)-스피로[4,5]데카-3,6,9-트리엔-2,8-디온, 즉
Figure kpo00001
의 제조가 Tetrahedron Letters No. 40, pp 4125-4128(1976)에 나타나 있는 학술논문에 설명되어 있다.
Chemiker-Zeitung 104(1980) 제 10 호 302-303면은 1-(디메틸아미노)-2,4-디페닐-1-부텐-3,4-디온을 고리 폐쇄하여 5-디메틸아미노-2,4-디페닐-2,3-디히드로푸란을 얻는 것을 소개한 학술논문이다. 영국 특허 제 1,521,092는 제초제로서 어떤 3-페닐-5-치환된 -4(1H)-피리드-온이나-티온을 소개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 제 13,710/69(Chemical Abstracts 71 : 61195e)은 5-아미노-3-옥소-4-(페닐 및 할로페닐)-2,3-디히드로푸란의 일반식을 소개하고 특히 5-아미노-3-옥소-4-(페닐 및 4-클로로페닐)-2,3-디히드로푸란을 소개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 19090(Chemical Abstracts 69p 10352e)는 약제로서 어떤 2,3-디히드로티오펜을 소개한 것이다.
Helvetica Chemica Acta 66권, 362-378면(1983)은 학술적 화학합성 토론의 일부인 5-N-사이클로프로필-4-페닐-2-메톡시카보닐-메틸렌-3-푸라논을 소개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441,910은 제초성 우레이도설폰닐푸란과 우레이도설포닐티오펜을 소개하고 있다.
본인의 공동계류중인 1984. 5. 9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7,610 호 ; 1985. 4. 16 출원한 제 723,768 호 ; 1984. 10. 26 출원한 제 666,075 호 ; 1984. 3. 29 출원한 제 594,497 호 ; 1984. 12. 21 출원한 제 684,977 호 및 1985. 4. 26 출원한 제 727,459 호는 제초작용을 갖는 어떤 2-치환된 -5-아미노와 치환된 아미노-3-옥소-4-치환된 페닐-2,3-디히드로푸란 유도체를 소개 및 청구한 것이다.
본인의 공동계류중인 1984. 6. 22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623,805 호는 어떤 2-치환된-5-아미노와 치환된 아미노-3-옥소-4-치환된 페닐-2,3-디히드로티오펜 제초제를 소개하고 이를 청구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발생전 및 발생후 제초활성을 가지며, 특히 광엽잡초류와 초본잡초류의 광범위한 종류에 대하여 우수한 발생전 제초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화합물은 초본잡초류에 대하여 특별한 발생전 제초활성을 나타낸다. 더우기 이 화합물의 어떤 적절한 살포량 조절로 콩, 목화 및 낙화생을 포함한 수많은 중요 광엽작물에서 풀이나 광엽잡초에 대하여 발생전 제초제로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낮은 살포량에서 본 발명의 어떤 화합물은 또 식물의 생장조정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은 1 내지 4개 탄소를 가진 저급알킬 ; 3 내지 7개 탄소원자를 가진 사이클로알킬 ; 저급알케닐 ; 1 내지 4개 탄소원자와 1 내지 3개 불소원자를 가지는 플루오로알킬 ; 2 내지 4개 탄소원자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의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 할로겐원자를 가지는 할로알케닐 ; 알콕시와 알킬부분이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저급알콕시알킬 ; 알킬부분이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저급알킬티오알킬 ; 페닐 ; 나프트-1-일 ; 인덴-1-일 ; 4-플루오로페닐 ; 4-클로로페닐 ; 티에닐 ; 푸릴 ; 알킬렌부분이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고 아릴부분이 페닐, 나프트-1-일 또는 인덴-1-일인 아릴알릴렌 ; 또는 다음 일반식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을 갖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치환된 아릴 또는 아릴알킬렌이고, 이 식에서, R4, R5, R6, R7, R8와 R9중의 한개, 두개 또는 세개는 독립적으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니트로, 또는 1 내지 3개 탄소원자와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다른 할로원자를 가지는 할로알킬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나머지는 수소이고, R3는 단일결합이거나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렌이며 ; R1은 수소이거나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이고 ; R2는 수소,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 3이나 4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케닐, 알콕시부분에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가지며 알킬부분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콕시카보닐알킬, 알콕시와 알킬부분이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콕시알킬이거나, 알킬부분이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티오알킬이며 ; 또는 R1과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5개나 6개 고리원자들을 가지며 그것들중 하나가 질소이고 나머지는 탄소원자인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질소복소환을 형성하며 ; X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페닐고리의 어떠한 위치에도 있을 수 있으며 ; Y는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시아노, 니트로,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와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원자를 가지는 저급할로알킬 ; 1 내지 4개 탄소원자와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원자를 가지는 저급할로알콕시 ;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와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할로겐원자를 가지는 저급할로알킬티오이다.
본 발명은 또 일반식(Ⅰ) 화합물의 적합한 염, 예를들면, 환외의 아미노그룹에 과한 산부가염과 적절한 양이온으로 아미노수소(즉, R1과 R2가 수소인)의 치환을 거쳐 얻거나 아미노수소의 치환에 따라 1-옥소그룹의 에놀화를 거쳐 얻은 염도 포함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케토 ⇔ 에놀이성체로서 존재한다. 이 화합물은 또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며 광학 이성체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몇가지 예에서는, 이 화합물은 또한 기하이성체로서 존재한다. 상기 일반식은 각각의 개별적 이성체는 물론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 각각의 이성체들뿐 아니라 이것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4-페닐그룹상에 3-트리플루오로메틸 치환체의 존재는 일반적인 아주 실질적으로 제초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또다른 본 발명의 관점으로는 적절한 담체와 일반식(Ⅰ)의 화합물이나, 이것들의 적합한 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의 제초효과를 나타내는 양으로 구성되는 제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불필요한 식물의 생장환경과/또는 잎을 일반식(Ⅰ)의 화합물과/또는 이것의 적절한 염의 제초효과를 내는 양으로 처리하여 불필요한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관점으로는 본 발명은 적합한 담체와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패턴을 바꾸어 놓기에 효과적인, 일반식(Ⅰ)의 적합한 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의 식물생장 조정양으로 이루어지는 식물생장 조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그 식물의 생장환경과/또는 잎을 상깅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패턴을 바꾸는데 효과적인, 일반식(Ⅰ) 화합물(들)과/또는 이것의 적절한 염의 식물생장 조정효과량으로 처리하여 식물생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화학적 중간체와,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전형적인 화합물에 대한 설명은 하기 실시예 2-7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치환체들로 보아,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R이 저급알킬, 티에닐, 푸릴,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이며, 특히 페닐, 모노메틸페닐이나 모노할로페닐, 더욱 특수한 것으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2-티에닐, 3-티에닐, 2-할로페닐, 2-저급알킬페닐이거나 4-플루오로페닐이며, R1과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또는 n-프로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과 R2중의 하나가 수소이며 다른 하나는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 더 좋기는 메틸이나 에틸, 특히 에틸이며, X는 수소이고/또는 Y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할로, 특히 3-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두개 이상의 바람직한 치환체를 함유한다.
R1과 R2가 각각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 도식으로 표시된 공정에 의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이 식에서, R, X와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공정은 화합물(A)를, 바람직하기는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강염기와 접촉시켜서 편리하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공정은 약 0°내지 100℃범위의 온도에서, 좋기는 60 내지 80℃에서, 약 1 내지 24시간동안, 좋기는 12시간 내지 18시간동안, 약 1.0 내지 2.0몰, 좋기는 1.0 내지 1.5몰의 염기를 화합물(A)의 몰당 사용하여 실시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강염기는, 예를들면 알카리금속알케놀레이트, 예컨대, 나트륨메톡사이드, 나트륨에톡사이드, 칼륨에톡사이드,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이 포함된다. 강염기는 바람직하기로는 이 반응계에서 부산물로서 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이라야 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불활성용매는 예컨대, 예를들면, 저급알카놀(예로서, 메탈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디옥산 등과 이것들의 적합한 혼합물들이 포함된다. 편리하게는, 알카리금속알카놀레이트는 알카리금속을 상기 반응에서 용매로서 차례로 작용하는 과잉의 알카놀과 동일 반응계에서 반응시켜서 제조하는 것이다.
R이 수소이고 R1과 R2가 수소인 일반식(Ⅰ) 화합물은 또한 그 상응하는 3-클로로 또는 3-브로모 동족체를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6
이 식에서, Z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X와 Y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 공정은 전형적으로 3-클로로 또는 3-브로모 동족체를 화학량론적으로 과잉의 수산화암모늄과, 약 0 내지 30℃범위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72시간동안 접촉시켜서 실시한다. 바람직하기는, 이 반응은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와 유사물 및 이것들의 적절한 혼합물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3-클로로 또는 3-브로모 동족체는 그에 상당하는 3-히드록시 동족체를 수소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나트륨염을 얻은 다음 옥사릴클로라이드(브로마이드)로 벤젠 환루하에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J. Org. Chem. 49,228)(1984)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식(A)의 출발물질들은 다음의 도식으로 표시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7
이 식에서, R'은 수소이거나 저급알킬, 바람직하기는 수소이며, R"는 저급알킬, 좋기는 메틸이거나 에틸이고, M1과 M2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양이온이며, R, X 및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 공정이 도식에 의해 3단계로 나타나 있지만, 그 과정들은 전형적으로 편리하게는 동일반응계에서 실시된다. 또한 이 반응에서 통상적인 것은, 이 반응이 대체로 무수상태에서 불활성가스(예, 질소)하에 실시되는 것이 좋다.
이 공정의 첫째단계는 화합물(B)를 비-친핵성 강염기와, 좋기는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접촉시키므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전형적으로 화합물(B)의 몰당 약 2 내지 4몰, 좋기는 2 내지 2.6몰 당량의 비-친핵성 염기를 사용하여 약 -78°내지 25℃범위의 온도에서 약 0.5 내지 5.0시간동안 실시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비-친핵성 강염기들로는 예를들어, 알카리금속아미드, 예,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 나트륨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 칼륨비스(트리메틸실린)-아미드 : 리튬디에틸아미드,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 나트륨디메틸아미드 및 이와 유사물들이 포함된다. 알카리금속아미드는 일반적으로 공지 화합물들이며 공지공정에 의해 제조되거나 이것의 명백한 변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알카리금속아미드는 2급아민을 알킬알카리금속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불활성 유기용매로서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예를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이것들의 적합한 혼합물들이 포함된다.
R'양자의 치환은 메틸렌 수소 양자의 치환과 같이 강한 염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단계는 역시 덜 강한 비-친핵성 염기와, 일반적으로 예를들어 알카리금속수소화물, 예로서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덜비싼 염기를 사용하여 첫단계를 기준으로 두 단계로 실시하여 산양자(R')를 치환할 수 있다. 이때, 메틸렌 수소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치환할 수 있지만 알카리금속아미드의 약 절반 양만을 사용하여 치환할 수 있다. 이 두가지 치환은 동일 반응계내에서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제 2 단계는 화합물(C)를, 바람직하게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화합물(D)와 접촉시켜서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 공정 단계는 첫번단계의 반응 생성 혼합물로 동일 반응계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제 2 단계는 화합물(C)의 몰당 약 1.0 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몰 당량의 화합물(D)를 사용하여 약 1 내지 24시간동안 약 -30°내지 25℃의 범위의 온도로 실시된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는 첫째 단계와 관련하여 위에서 나열한 것들과 이와 유사한 것들이 포함된다.
탈카복실화(단계 3)는 거의 자동작으로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단지, 제 2 단계의 반응 생성물을 물이나 약한 산 용액과, 0°내지 25℃의 온도범위에서 접촉시켜서 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주변온도를 이용한다.
일반식(B)와 (D)의 출발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물질들이며, 공지공정이나 이것의 명백한 변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즉, 적절한 출발물질의 치환). 화합물(B)의 제조는, 예컨대, Org, Syn, Coll, 1권, 436(1941)에 설명되어 있고, 화합물(D)의 제조는, Tetrahedron 39, 3055(1983)에 설명되어 있다.
일반식(D)의 화합물은, 예컨대, 다음 도식으로 표시한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8
이 식에서 R과 R"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 공정은 화합물(E)를 강염기와 접촉시켜 염을 얻은 다음 그 염을 요오도아세토니트릴과 접촉시켜서 달성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두 반응은 불활성 유기용매중, 동일반응계내에서 실시된다.
전형적으로, 이 두 단계는 화합물(E)의 몰당 약 1.0 내지 2.0몰 당량, 좋기는 1.0 내지 1.1몰 당량의 1.0 내지 2.0몰, 좋기는 1.0 내지 1.1몰의 요오도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약 4 내지 24시간동안, 약 -78°내지 25℃, 좋기는 -78℃ 내지 0℃범위의 온도로 실시된다.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비-친핵성 염기들로는, 예를들면, 알카리금속 수소화물, 예,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 ; 알카리금속아미드, 예,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 나트륨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 칼륨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 리튬디에틸아미드,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 나트륨디메틸아미드와 유사물들이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불활성 유기용매들로는,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이와 유사물과 이것들의 적합한 혼합물들이 포함된다.
일반식(E)의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공지 화합물이며 공지 공정이나 이것의 명백한 변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요오도아세토니트릴은 공지 화합물이다.
R1과 R2중 한개나 둘다가 치환된 일반식(Ⅰ) 화합물은 일반식(Ⅰ")에 대하여 그 상응하는 화합물의 아미노그룹을 알킬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9
이 식에서, R, R1, X 및 Y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는 R2에 대해 정의한 것과 같으나 수소는 아니며 ; R2'Z"는 디알킬화가 필요하면 적절한 R2'나 적절한 R1그룹을 갖는 알킬화제이다.
이 공정은 화합물(Ⅰ")를 일급이나 이급아미노그룹을 알킬화할 수 있는 적합한 알킬화제와 접촉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이 공정은 화합물(Ⅰ")를 R2'요오드화물이나 브롬화물과, 바람직하기는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또 좋기는 스캐빈저 염기의 존재하에, 접촉시켜서 달성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 공정은 약 0 내지 100℃ 범위의 온도로, 좋기는 20 내지 45℃범위의 온도로, 약 1.0 내지 72.0시간동안, 좋기는 2.0 내지 18.0시간동안 실시된다. 단일 알킬화를 원할때는,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1.1몰의 R2'할로겐화물 반응물을 화합물(Ⅰ")몰당 사용한다. 양쪽 아미노수소를 알킬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형적으로 약 1.9 내지 4.0몰의 R2'할로겐화물을 화합물(Ⅰ")몰당 사용한다. R2'가 알콕시알킬이나 알킬티오알킬인 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일 알킬화를 바라더라도 아주 과량의 R2'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화합물(Ⅰ")몰당 3-6몰의 R2'Z"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하면 제 2 단계에서 다시 알킬화를 시킬 수 있다. 또한 R1과 R2에서의 변형은 두개의 아미노수소중 단 한개만을 먼저 알킬화시킨 다음 제 2의 아미노수소를 상이한 R2'그룹을 가진 알킬화제로 알킬화시켜서 이루어진다. 아미노질소원자와 함께 R1과 R2가 포화된 복소환을 형성하는 화합물은 Z"가 Cl이나 Br알킬화제인 적합한 Z"-(CH2)2-5-Z"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R1R2N 불포화된 복소환은 할로겐원자중 하나가 말단의 알케닐탄소중 각각의 위에 있는 적절한 시스-알케닐 이할로겐화물(디할라이드)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불활성 유기용매로는 예를들어, 액체 할로겐화알칸 ; 예로서 염화메틸렌, 사염화탄소 또는 디클로로에탄이 포함되며 ; 역시 유용한 것으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과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스캐빈저 염기는, 예를들어, 알카리금속알케놀레이트, 예로서, 나트륨메톡사이드, 나트륨에톡사이드, 칼륨에톡사이드,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강한 염기는 이 반응계에서 부산물로서 물을 생성하지 않는 것들이어야 바람직하다.
R1이 저급알킬(예, 메틸)이고 R2가 수소이거나 저급알킬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알킬화제로서 디알킬황산염을 사용하여 유익하게 제조된다. 이 반응은 R1과 R2중 한개나 두개 모두가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필요한 저급알킬황산염과, 강염기의 존재하에, 좋기는 상전이제의 존재하에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접촉시켜서 편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 공정은 약 0°내지 100℃범위의 온도, 좋기는 20°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화합물(Ⅰ)몰당 디알킬황산염 약 1.0 내지 4.0몰을 실시된다. 전형적으로 약 2.5몰의 염기를 과잉으로 사용한다. 좋기는 이 공정 역시 예를들어, 염화메틸렌,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이와 유사물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실시된다.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강염기들로는, 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나트륨에톡사이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상전이제는 친수성 이온을 친유성 유기매질로 옮기는 물질이며, 예컨대, 벤질트리에틸암모늄염화물, 테트라-n-부틸암모늄염화물, 메틸트리옥틸암모늄염화물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일반식(Ⅰ)의 적절한 염은 R1과/또는 R2가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예컨데, 필요한 양이온을 갖는 n-부틸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이와 유사물과 같은 적절한 강염기로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그에 상응하는 R1과/혹은 R2양이온염을 얻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에놀염은 R1과/혹은 R2양이 온염을 통상의 공정을 거쳐 염기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산부가염은 일반식(Ⅰ)의 유리염기를 강산으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일반식(Ⅰ)의 유기염기를 무수가스로서 강산과 접촉시키는 것이다. 적합한 산으로는, 예를들어, 불화수소, 염화수소, 요오드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및 이와 유사물들이 포함된다. 염의 추가변화는 역시 필요한 교환이온을 갖는 이온교환수지로 이온교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전체공정 조건
상술한 공정들에서, 동일반응계내 단계에서와 같이 설명된 것외에 또는 달리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반응순서중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각각의 생성물을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들 생성물은 예컨대 결정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어떤 적절한 분리공정과 정제공정에 의해서도 그 각각의 반응생성물의 혼합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적합한 분리 및 정제공정은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반응들은 액상 반응으로 실시된다. 그러므로 압력은 반응이 환류하에 실시되는 온도(비점)에 영향을 주는 것외에는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들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300 내지 3000mm의 수은압으로 실시되며 편리하게는 약 대기압이나 주변압에서 실시된다.
또한 전형적으로나 바람직한 공정조건(예, 반응온도, 시간, 반응물의 몰비, 용매 등)이 주어졌을 경우, 다른 공정조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최적 반응조건(예, 온도, 반응시간, 몰비, 용매 등)은 특수한 시약이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변경시킬 수 있지만 통상의 최적조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광학이성체 혼합물이 얻어지면, 각각의 광학이성체들은 통상의 분리공정으로 얻을 수 있다. 기하 이성체들은 기하이성체들간의 물리적 성질의 차이에 따라 통상적인 분리공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다음 용어들은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한 다음 의미를 갖는다.
"저급알킬"이란 총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측쇄 및 직쇄알킬그룹 모두를 말하는 것이고, 일급, 이급, 삼급 알킬그룹이 포함된다. 전형적인 저급알킬은 예를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을 포함한다.
"알킬렌"이란 직쇄와 측쇄 알킬렌그룹 둘다를 말하며 예를들면, -CH2- ; -CH2-;
Figure kpo00010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저급알케닐"이란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기는 2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그룹을 말하며, 예컨대,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메틸비닐, 1-부테닐, 2-메틸프로프-1-에닐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저급알콕시"란 R'가 저급알킬인 -OR'-그룹을 말한다.
"저급알킬티오"란 R'가 저급알킬인 그룹 -SR'을 말한다.
"저급알콕시알킬"이란 R'와 R"가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직쇄나 측쇄알킬그룹인 그룹 R'OR"-를 말한다.
"저급알킬티오알킬"이란 R'와 R"가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직쇄나 측쇄 알킬그룹인 그룹 R'SR"-를 말한다.
"저급알콕시카보닐알킬"은 R'가 저급알킬이고 R"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렌이며 직쇄이거나 측쇄일 수도 있는 그룹
Figure kpo00011
을 말한다. 전형적인 알콕시카보닐알킬그룹은 예컨대, -CH2C(O)OCH3; -CH(CH3)C(O)OC2H5및 이와 유사한 것이 포함된다.
"할로"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말한다.
"저급할로알킬"이란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가지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의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킬 화합물을 말한다. 바람직하기는 저급할로알킬그룹은 1개나 2개 탄소원자를 갖는다.
"저급할로알콕시"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 할로겐원자를 갖는 저급알콕시그룹을 말한다.
"아릴"이란 6개 내지 10개 탄소원자를 가진 아릴그룹을 말하며, 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인데닐이 포함된다. 전형적으로 아릴그룹은 이 그룹을 갖는 화합물들은 다른 아릴 화합물보다 상업적으로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으므로 페닐이나 나프틸이 된다.
"치환된 아릴"은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니트로, 또는 1 내지 3개 탄소원자와 1개 내지 3개 할로겐원자를 가지는 할로알킬의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 치환체를 가지는 아릴그룹을 말한다. 전형적인 치환된 아릴그룹은 예를들면, 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2,6-디메틸페닐, 4-플루오로페닐, 2메틸페닐, 2-클로로, 3-클로로메틸페닐, 2-니트로, 5-메틸페닐, 2,6-디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메톡시페닐, 2-브로모나프트-1-일, 3-메톡시인덴-1-일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아릴알킬렌"은 Ar이 아릴이고 R3가 1개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렌인 ArR3-그룹을 말하며 직쇄와 측쇄알킬렌, 예컨데, 메틸렌, 에틸, 1-메틸에틸, 및 프로필을 포함한다.
"(치환된 아릴)알킬렌"이나 "고리-치환된 아릴알킬렌"은 아릴알킬렌에 관하여 정의한 바와 같이 Ar'가 치환된 아릴이고 R3가 알킬렌인 Ar'R3-그룹을 말한다.
일반식(Ⅰ)의 R1과 R2에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포화된 질소복소환"은 n이 2이거나 3인 다음 일반식을 가지는 그룹을 말한다 :
Figure kpo00012
일반식(Ⅰ)의 R1과 R2에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불포화된 질소복소환"은 다음 일반식들을 갖는 그룹을 말한다 :
Figure kpo00013
"적합한 염"이란 모 화합물의 제초성질을 현저하게 바꾸어 놓지 않는 염을 말한다. 적합한 염은 예컨데, 리튬, 나트륨, 칼륨, 알카리토금속, 암모니아, 4급암모늄염의 양이온염 ; 산부가염, 예를들면,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불화수소, 황화수소 및 이와 유사물과 같은 양이온염이 포함된다.
"실온"이나 "주변온도"란 약 20-25℃를 말한다.
용도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발생전 및 발생후 제초활성 둘다를 나타내고 특히 우수한 발생전 제초활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발생후 살포의 경우는, 제초제 화합물을 잎이나 기타 식물의 부분에 직접 살포한다. 발생전 살포의 경우는, 제초제 화합물을 식물의 생장환경이나 예상되는 생장환경에 살포한다. 제초제 화합물이나 조성물의 최적량은 특수한 식물의 종류와 필요하면, 식물생장의 범위 및 접촉될 식물의 특정부분과 접촉범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최적 살포량은 또 전체지역이나 환경(예, 야외와 같은 노출된 지역에 비하여 온실과 같은 한정된 지역)과 목적하는 조정 형태와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생전 및 발생후 조절을 위하여, 본 발명 화합물은 약 0.02 내지 60kg/ha의 양으로, 바람직하기는 약 0.02 내지 10kg/ha의 양으로 살포한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본 발명 화합물은 희석하지 않고 살포할 수도 있지만, 실제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것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들)과 허용 담체로 구성되는 조성물이나 제제로서 살포된다. 허용되는 또는 적합한 담체(농업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화합물을 희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활성 화합물로 달성되는 필요한 생물학적 효과에 현저하게 역효과를 주지 않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조성물은 약 0.05 내지 95중량%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이나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농도 또한 살포전에 희석하게끔, 예정된 고농도로 만들 수도 있다. 담체는 고체, 이겼체 또는 연무질일 수 있다. 실제 사용할 조성물은 과립, 분말, 분진, 용액, 유화액, 슬러리, 연무질 및 이와 유사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고체담체는, 예를들면, 천연점토(카올린, 아타펄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등), 활석, 피로필라이트, 규조토, 합성 미세실리카,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및 이와 유사물이 포함된다. 또한, 예를들어, 호두껍질가루, 면실껍질, 밀가루, 목분, 나무껍질가루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유기성 물질도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액체 히석제로는 예를들어, 물, 유기용매(예, 벤젠, 톨루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유, 디젤유, 염료유, 석유, 나프타 등)과 이와 유사한 것들이 포함된다. 사용가능한 적절한 연무질 담체들로는 할로겐화 알칸 등과 같은 통상의 에어로졸 담체를 포함한다.
이 조성물은 또한 예로서, 유기용매, 습윤제 및 오일과 같은 식물조직으로 활성 화합물을 이송하는 비율을 증가시키고, 발생전 살포제로 예정된 조성물의 경우에는 화합물의 침출성을 감소시키거나 달리는 토양 안정성을 증가시켜주는 여러가지 촉진제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여러가지 적합한 보조제, 안정화제, 분입제, 살진균제, 살충제와 필요하면, 다른 제초성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살포량을 감소시켰을때도, 본 발명의 어떤 화합물은 역시 식물생장 조정활성, 예로서, 보조싹의 생장억제, 뿌리의 생장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식물의 정상생장 패턴을 변경시키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순수형태의 식물생장 조정제로서 살포할 수도 있지만 보다 실용적으로는 제초제 살포의 경우와 같이 담체와 혼합하여 살포할 수도 있다. 제초제 조성물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 형태의 담체도 사용될 수 있다. 살포목적에 따라, 식물생장 조정 조성물은 건조제, 고엽제, 계면활성제, 보조제, 살충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다른 상용성이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이것들과 혼합하여 살포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식물생장 조정 조성물은 그 조성물을 직접 살포하고저 하거나 먼저 희석시키고저 하는데 따라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을 총 약 0.005 내지 90중량% 함유하게 된다.
다음의 비-제한적인 제조방법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한 모든 온도와 온도범위는 섭씨계를 말하는 것이고 "주변온도" 또는 "실온"이란 약 20-25℃를 의미한다. "퍼센트"나 "%"는 중량 퍼센트를 말하고 "몰"은 그람몰수를 의미한다. "균등량(당량)"이란 제한 몰수란 제한중량이나 용적에 의하여 그 실시예에서 인용한 사전 반응물이나 다음에 계속되는 반응물의 몰수에 대한 동등한 몰의 시약양을 일컫는다. 양자-자기공명 스펙트러(p, m, r 또는 n, m, r)이 60mHz로 결정되어 주어져 있을때 신호들은 단선(s), 광역선(bs), 이중선(d), 이중이중선(dd), 삼중선(t), 이중삼중선(dt), 4중선(q) 및 다중선(m)으로 지정되고 cps는 매초당 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다음 실시예를 위해 추가로 출발물질을 얻기 위해서 실시예들을 반복한다.
제법 1
(α-에톡시카보닐벤질)아세토니트릴
이 실시예에서, 10ml THF중의 10g 에틸페닐아세테이트의 용액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인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1몰용액 61ml에 질소하, -78℃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78℃에서 교반시켰다. 1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10.2g의 요오도아세토니트릴을 함유하는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78℃에서 약 반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2시간동안 교반하고 이시간 동안 실온으로 되도록 따뜻하게 하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을 물에 첨가하고 10%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1까지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에틸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그 추출물을 모아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10.7g의 오일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이 오일을 20% 용적의 에틸아세테이트 : 석유에테르로 용출시켜서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다시 정제하였다.
[실시예 1]
[α-(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카보닐)벤질]아세토니트릴
이 실시예에서는 42g의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초산을 1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인 용액을 9.65g의 수소화나트륨을 5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된 냉각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그결과 생성된 혼합물을 약 15-18시간동안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방치시켰다. 이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킨 다음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인 1몰 용액 201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20분간 교반한 다음 20.4g의 (α-에톡시카보닐벤질)아세토니트릴을 5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넣은 것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1-1/2시간동안 실온까지 따뜻하게 한 다음 실온에서 1200ml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 수용액을 석유에테르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모아서 진공하에 농축하여 백색 페이스트로 하였다. 이 고형물을 흡입여과로 수거하여 염화메틸렌에 녹였다. 이 용액을 10% 염산 수용액으로 한번 세척하고,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증발시켜 17.2g의 백색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이 고체 2.2g을 다시 메탄올로 재결정시켜 정제하였다. 융점 111°내지 112℃.
적합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이 공정을 이용해서 표제 화합물의 여러가지 유사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기계적 교반기, 첨가깔대기 및 질소 주입관이 고정되어 있는 환류콘덴서가 장착된 건조된 500ml, 3목,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75ml의 메탄올과 4.0g의 나트륨으로 충전했다. 모든 나트륨을 반응시킨 후, 38.4g의 [α-(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카보닐)벤질]아세토니트릴을 메탄올 75ml에 녹인 용액을 급속히 적가하는 한편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약 16시간동안 환류를 계속한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에 녹여서 10% 염산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에테르로 역추출(2×)하여 유기층을 모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붉은 페이스트를 얻었다. 이 페이스트를 에테르로 분쇄하여 7.8g의 표제 화합물을 연한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융점 205°내지 206℃).
이와 유사하게, 적합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공정을 이용하여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할 수 있다 : 2-(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브로모-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6-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5-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6-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4-플로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에틸-3-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5-메톡시-3-클로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요오도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노 ; 2-(3-디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에톡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아미노-5-(2-니트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2-에틸페닐)-3-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2,3-디메틸페닐)-3-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부톡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프로필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요도페닐)-3-아미노-5-(3-니트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녹시페닐)-3-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3-클로로-8-플루오로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트리플루오로메틸-3-메틸-8-메톡시-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인덴-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플루오로인덴-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시아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사이클로펜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5-프로폭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클로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3-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4-메톡시페닐)-3-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6-디메틸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4-브로모페닐)-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4-메틸페닐)-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톡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페닐)-3-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4-플루오로페닐)-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2-브로모페닐)-3-옥소-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클로로페닐)-3-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3-아미노-5-부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4-메톡시페닐)-3-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메틸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5-브로모페닐)-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플루오로-4-메틸페닐)-3-옥소-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톡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플루오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에틸페닐)-3-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2-(3-프로폭시페닐)-3-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플루오로페닐)-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옥소-3-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2-요도-3-플루오로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이소프로폭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벤질-2-사이클로펜테논 ; 2-(2,3-디메틸페닐)-3-아미노-5-(3-클로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4-브로모페닐)-3-아미노-5-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부틸-4-메틸페닐)-3-옥소-3-아미노-5-(3-메틸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3-플루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3,5-트리플루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3-메틸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메톡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프로폭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에톡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메톡시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메틸티오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1-프로필티오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페닐)-3-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시아노페닐)-3-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 3-아미노-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실시예 3]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자기 교반봉이 들어 있는 2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7.8g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70ml의 염화메틸렌, 0.3g의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화물과 1.0g의 수산화나트륨을 6.0ml물에 녹인 용액으로 채웠다. 그 결과 생긴 교반 혼합물에 2.8ml(3.7g)의 디메틸설페이트를 10ml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그 결과 혼합물을 16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물로 세척(3회)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암색오일을 얻었다. 이 오일을 디에틸에틸/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분쇄하여 2.3g의 표제 화합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공정을 이용하고 출발물질로서 실시예 2에서 나열된 생성물을 사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5-메틸아미노 유사체인 다음 물질들을 제조할 수 있다 ; 2-(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브로모-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6-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5-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6-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4-플루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4-에틸-3-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5-메톡시-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요도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에톡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메틸아미노-5-(2-니트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3-에킬페닐)-3-메틸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2,3-디메틸페닐)-3-메틸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부톡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프로필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요도페닐)-3-메틸아미노-5-(3-니트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클로로-8-플루오로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트리플루오로메틸-3-메틸-8-메톡시-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인덴-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플루오로인덴-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페린)-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시아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사이클로펜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5-프로폭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6-디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4-브로모페닐)-3-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4-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디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4-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2-브로모페닐)-3-옥소-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2-메톡시-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부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4-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5-브로모페닐)-3-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플루오로-4-메틸페닐)-3-옥소-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메톡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5-디에틸페닐)-3-메틸아미노-5-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프로폭시페닐)-3-메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브로모페닐)-3-옥소-3-메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2-요도-2-플루오로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2-이소프로폭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벤질-2-사이클로펜테논 ; 2-(2,3-디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클로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4-브로모페닐)-3-메틸아미노-5-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부틸-4-메틸페닐)-3-옥소-3-메틸아미노-5-(3-메틸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3-플루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메틸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3-플루오로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3,5-트리플루오로페닐)-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메틸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클로로비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플루오로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메톡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프로폭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프로폭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에톡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메톡시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메틸티오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1-프로필티오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니트로페닐)-3-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시아노페닐)-3-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틸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이와 유사하게, 디메틸설페이트의 양을 약 두배로 하고 반응시간을 늘려서, 상기 화합물들의 상응하는 5-디메틸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디메틸설페이트 대신에 디에틸설페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화합물들의 상응하는 5-에틸아미노와 5-디메틸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이 실시예에서는, 8.0g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3.0g의 50중량% 수산화나트륨수용액 ; 6.4g의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화물과 5.0ml의 디에틸황산염을 70ml의 염화메틸렌에 녹인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가온하여 약 15 내지 20분간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켜 실온으로 하고 계속하여 물로 세번 세척하고 1N 염산 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한 다음 포화중탄산 나트륨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오일잔사를 얻었다. 이 오일을 에틸에테르와 석유에테르의 혼합물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3.2g의 표제화합물을 고체로서 얻었다. 융점 120-120.5℃.
분쇄하여 얻은 여액을 고체화가 되도록 실온에서 약 3일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 고형화된 여과물을 에틸에테르와 석유에테르로 분쇄하였다. 3.3g의 고체를 분쇄물로부터 여과하여 수거하였다. 그 여과물을 증발시켜 또다른 고체 2.9g을 얻었다. 고체를 3.0g의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화물, 2.5ml의 디에틸황산염과 1.5g의 5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염화메틸렌 용액과 합쳐서 약 1-1/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켜 실온으로 하여 1N 염산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고 포화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증발시켜 오일을 얻었다. 오일을 에틸에테르와 석유에테르혼합물로 분쇄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여 또다른 2.8g의 표제화합물을 분말로서 얻었다.
이와 유사하게 동일공정을 채택하여 출발물질로서 실시예 2에서 나열되어 있는 생성물을 사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5-에틸아미노유사체인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1-나프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알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메톡시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등.
[실시예 4A]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이 실시예에서는, 1.1g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 ; 0.93g의 50중량%, 수산화나트륨수용액 ; 2.02g의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화물과 1.8g의 디에틸설페이트를 15ml의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물로 세번, 1N 염산수용액으로 두번, 포화된 중탄산나트륨수용액으로 두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혼합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증발시켜 오일잔사물을 얻었다. 오일을 에틸에테르와 석유에테르의 혼합물로 분쇄하고 여과하여 0.6g의 표제화합물을 고체로서 얻었다. 융점 120-124℃.
[실시예 5]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알릴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표제화합물을 다음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g의 수산화나트륨을 4.0ml의 물에 녹여 4.0g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을 80ml의 염화메틸렌에 넣은 혼합물에 실온에서 첨가한 다음 1.46g의 알릴브로마이드와 0.27g의 벤질트리에틸암모늄염화물을 첨가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두-상의 혼합물을 반응이 종료될때까지의 실온에서 교반한다. 그 반응혼합물을 물로 세번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물을 전형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이와 유사하게 실시예 2에서 나열된 생성물들에 이 공정을 적용하여 상응하는 5-알릴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알릴브로마이드와 수산화나트륨의 양을 거의 두배로 하여 상응하는 5-디알릴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알릴브로마이드 대신에 에틸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5-에틸아미노와 5-디에틸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메톡시메틸브로마이드, 에틸티오메틸브로마이드, 메틸브로모아세트산염, 메틸 2-브로모부틸레이트, 1,5-디브로모펜탄과 시스-1,4-디브로모부트-1,3-디엔을 알킬브로마이드대신에 각각 사용하여 동일한 공정에 따라 실시예 2에 나열된 생성물의 상응하는 5-메톡시메틸아미노, 5-에틸티오메틸아미노, 5-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 5-(1-메톡시카보닐프로필아미노), 5-피페리딘-1-일 및 5-피롤-1-일 유사체인 다음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메톡시-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텐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5-메틸티오메틸렌-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5-에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 아미노-5-메틸-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프루오로-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나프트-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1-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인덴-1-일-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피페리딘-1-일-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피롤-1-일-5-페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메틸-아미노-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톡시카보닐-프로프-1-일)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피페리딘-1-일-5-(2-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피롤-1-일-5-(3-티에닐)-2-사이클로펜테논 ; 2-(3-클로로페닐)-3-메톡시메틸아미노-5-(2-푸릴)-2-사이클로펜테논 ; 및 2-(3-클로로페닐)-3-에틸티오메틸아미노-5-(3-푸릴)-2-사이클로펜테논.
유사하게는, 상기 공정을 적용하고 출발물질로서 실시예 3의 5-메틸아미노생성물을 사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5-(N-메틸-N-알릴아미노), 5-(N-메틸-N-에틸아미노), 5-(N-메틸-N-메톡시메틸아미노), 5-(N-메틸-N-에틸티오메틸아미노), 5-(N-메틸-N-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와 5-(N-메틸-N-1'-메톡시카보닐프로필아미노)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6]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페닐-2-사이클로펜테논의 리튬염(R1=-CH3, R2=-Li)
본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리튬염을 제조하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을 상세히 여시한 것이다.
헥산중의 1.6M의 n-부틸리튬의 용액 5.4ml를 2.83g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4-페닐-2-사이클로펜테논을 25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넣은 용액을 함유하는 교반용액에 -30℃에서 적가한다. 그 결과 혼합물을 반응이 종료될때까지 교반한다. 표제화합물은 용매를 증발시켜서 수거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공정을 적용시켜 실시예 2-5의 화합물들의 상응하는 리튬염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7]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4-페닐-2-사이클로펜테논의 브롬화수소부가염
본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브롬화수소부가염을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공정을 예시한 것이다.
브롬화수소가스를 2.32g(0.007몰)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아미노-4-페닐-2-사이클로펜테논을 35ml의 염화메틸렌에 넣은 슬러리에 실온에서 기포가 발생되게 주입한다. 브롬화수소의 첨가는 반응이 완료되었어야 중단한다. 표제화합물은 용매를 증발시켜 수거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공정을 적용하여 실시예 2-5의 화합물의 상응하는 브롬화수소부가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8]
아래의 표들에 나열된 화합물을 상기에서 설명한 적합한 공정과 적절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표 A]
Figure kpo00014
[표 B]
Figure kpo00015
[실시예 9]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표들에서 제시된 화합물을, 아래에 설명한 공정을 사용하여 한가지의 곡물과 한가지 광엽작물을 포함한 각종 풀과 광엽식물에 대한 발생전 활성과 발생후 활성에 대하여 각각 시험하였다.
발생전 제초제 시험
제초활성을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의 시험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 355.5g의 시험화합물을 15ml의 아세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110ml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2ml의 아세톤을 첨가하였다. 그런다음, 이 원액 12ml를 동일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625ml/ℓ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47.7ml의 물에 첨가하였다.
시험식물의 씨앗을 토양이 들어있는 분(盆)에 파종하고 시험용액을 아래표 1에서 지시된 바와 같은 몇가지 예로, 또는 27.5마이크로그람/㎠의 살포량으로 토양표면에 균일하게 살포하고, 어떤 화합물들은 15.6마이크로그람/㎠의 낮은 살포량으로 하여 시험했다. 분(盆)에 물을 주고 온실에 두었다. 분(盆)에 간헐적으로 물을 주면서 묘목발생, 발생묘목의 건강상태 등을 3주간 관찰했다. 이 기간 마지막에, 이 화합물의 제초효과를 생리학적 관찰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했다. 0 내지 100스케일을 사용했는데 0은 식물독성이 없음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히 사멸시킴을 나타낸다. 이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발생후 제초시험
시험화합물을 발생전 시험을 하기 위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제하였다. 이 제제를 27.5마이크로그람/㎠의 살포량으로 2 내지 3인치키의 식물(3 내지 4인치의 키인 야생귀리, 콩과 물풀을 제외하고)(분(盆)당 약 15 내지 25개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두개의 유사한 분(盆)에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식물을 건조하게한 후 온실에 넣은 다음 간헐적으로 필요한 만큼 그들의 기저부에 물을 주었다. 이식물을 화합물의 처리에 대한 식물동석효과와 생리학적 및 생태학적 반응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찰하였다. 3주후, 화합물의 제초효과를 이들 관찰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0 내지 100까지의 스케일을 사용했으며, 0은 식물독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100은 완전히 사멸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시험의 결과는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Figure kpo00016
[표 1A]
Figure kpo00017
[표 2]
Figure kpo00018
[표 2A]
Figure kpo00019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탁월한 발생전 식물동성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3-9, 11, 13-19, 21과 22번 화합물이 그러하다. 더우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광엽식물에 대해 발생후 식물독성 작용을 나타내며 몇가지 경우에는 풀에 대해서도 그런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화합물들이, 8과 9번 화합물과, 4-메틸 치환체의 존재하에서만 각각 다르더라도, 비교화합물들은 불활성인 반면 화합물 8과 9번은 탁월한 제초활성을 나타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과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의 아민그룹에 단일 치환체의 존재는 활성을 주는 반면, 한가지 실예를 기준으로 하면, 환의 아민그룹에 두가지 치환체의 존재는 활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에서, 화합물 6과 7번(즉,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과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아미노-5-프로필-2-사이클로펜테논)을 낮은 살포량에서의 추가의 잡초종에 대한 발생전 효능 및 동잉한 살포량에서의 여러가지 곡물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당 4개의 중복샘플로 수행하고 살포량은 아래표 3에 지시된 대로 사용한 것외에 실시예 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동일방법으로 이들 시험은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4개의 중복샘플의 평균치로서 표 3에 보고되어 있다. 식물들을 0 내지 100스케일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평가했다. 여기에서 0은 효과가 없고 100은 식물이 완전히 사멸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표 3]
Figure kpo00020
상기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화합물들은 이 실험에서 광엽잡초와 초본잡초(사초류포함)에 대하여 탁월한 발생전 제초활성을 나타냈다. 더우기, 4.4㎍/㎠량으로도 7번화합물은 중요한 곡물인 콩, 땅콩 및 면에 대하여 안전하게 나타나는 한편 100% 잡초억제력을 나타낸다. 1.7㎍/㎠까지 살포량을 낮추므로서 7번 화합물은 아주 개자리와 완두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6번 화합물은 7번 화합물과 같이 안정성에 있어서 아주 좋지는 않지만 그러나 아직까지는 안정성이 좋은 것이다. 4.4㎍/㎠에서 6번 화합물은 땅콩과 면에 대하여 안전하게 나타난다. 1.7㎍/㎠에서는 6번 화합물도 콩에 대하여 어느정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한편 잡초에 대하여는 매우 우수한 제초제 성질을 가지고 있다. 0.70㎍/㎠에서는 6번 화합물은 콩과 완두콩에 대하여 안전하게 나타났고, 몇가지 식물독성이 나타나긴 했지만 자주 개자리에 대하여도 안전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0.70㎍/㎠에서 6번 화합물의 제초활성은 수많은 잡초에 대해서는 상실됐지만, 그러나 6번 화합물은 여전히 시험한 10개 잡초종중 6개종에 대해서는 탁월한 제초활성을 매우 잘 유지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Claims (52)

  1. 상응하는 일반식(A)의 화합물을 약 0°내지 100℃범위의 온도에서 강염기와 접촉시켜 상응하는 일반식(Ia)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일반식(Ia)의 화합물을, 강염기의 존재하에 0°내지 100℃범위의 온도에서 저급디알킬황산염 ; R2'Z"(여기에서 R2'는 R2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으나 수소가 아니고, Z"는 요오드화물 또는 브롬화물이다) ; Z"'-(CH2)2-5-Z"'(여기에서 Z"'는 염소화물 또는 브롬화물이다) : 및 알케닐이 할로겐화물(여기에서 할로겐화물은 상이한 말단 탄소원자상에 존재하고 알케닐 잔기는 3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알킬화제와 임의로 반응시킴으로써 상응하는 R1R2치환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디알킬황산염이 알킬화제인 경우 반응을 상전환제의 존재하에서 추가로 수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Ⅰ)의 화합물 및 이의 적합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 :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R은 저급알킬, 3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 저급알케닐 ;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및 1 내지 3개의 불소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 ;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 및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 ; 저급알콕시알킬(여기에서 알킬 및 알콕시 잔기는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 알킬티오알킬(여기에서 알킬잔기는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 알킬티오알킬(여기에서 알킬잔기는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 페닐, 나프트-1-일, 인덴-1-일 ; 4-플루오로페닐 ; 4-클로로페닐 ; 티에닐 ; 푸릴 ; 아릴알킬렌(여기에서 알킬렌 잔기의 탄소수는 1 내지 3이고 아릴 잔기는 페닐, 나프트-1-일 또는 인덴-1-일이다)이거나 ; R은 다음 일반식을 갖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알킬렌이고 :
    Figure kpo00022
    [여기서, R4, R5, R6, R7, R8및 R9중 한개, 두개 또는 세개는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니트로 및 1 내지 3개 탄소원자를 가지며 1 내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원자를 갖는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나머지는 수소이며 ; R3는 단일결합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다]
    R1은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 R2는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3 또는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저급알콕시카보닐알킬, 저급알콕시알킬 또는 저급알킬티오알킬이거나 ; R1나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환원자의 하나가 질소이고 나머지는 탄소원자인 5 또는 6개의 환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질소 복소환을 형성하고, X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페닐환상의 어느 가능한 위치에든지 존재할 수 있고, Y는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할로, 시아노, 니트로,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및 1 내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겐원자를 갖는 저급할로알킬,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및 1 내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겐원자를 갖는 저급할로알콕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및 1 내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겐원자를 갖는 저급할로알킬티오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어느 하나가 수소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어느 하나가 메틸 또는 에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X는 수소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R이 페닐, 티에닐, 푸릴, 나프트-1-일, 4-플루오로페닐 또는 치환된 아릴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R이 페닐, 티에닐, 푸릴, 나프트-1-일 또는 단일 치환된 페닐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R이 페닐, 티에닐, 할로페닐 또는 저급알킬페닐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R이 페닐, 3-티에닐, 4-플루오로페닐, 2-할로페닐, 또는 2-저급알킬페닐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R이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저급알케닐, 할로알킬 또는 할로알케닐인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R이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Y가 CF3인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인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메틸 또는 에틸이고 다른 하나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메틸 또는 에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인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이고 R이 페닐, 티에닐, 푸릴, 4-플루오로페닐, 2-할로페닐 또는 2-저급알킬페닐인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페닐, 3-티에닐, 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또는 2-메틸페닐인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페닐인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페닐이고,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며 다른 하나는 메틸인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페닐이고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며 다른 하나는 에틸인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2-클로로페닐인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2-플루오로페닐인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2-메틸페닐인 방법.
  31. 제 23 항에 있어서, R이 3-티에닐이고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 또는 메틸인 방법.
  32. 제 18 항에 있어서, R이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저급알케닐, 저급플루오로알킬 또는 저급할로알케닐인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R1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R이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인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 또는 에틸이며, X가 수소인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R이 에틸이고 X가 수소인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메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인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에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인 방법.
  39. 제 34 항에 있어서, R이 프로필이고 X가 수소인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인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R1및 R2중 어느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에틸인 방법.
  42. 제 32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방법.
  43. 제 18 항에 있어서, X가 수소인 방법.
  44. 제 5 항에 있어서, Y가 1 또는 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할로알킬인 방법.
  45. 제 1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적합한 담체를 하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46. 제 25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적합한 담체를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47. 제 1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식물의 잎 또는 잠재적인 생장환경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을 억제 또는 파괴시키는 방법.
  48. 제 25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식물의 잎 또는 잠재적 생장환경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을 억제 또는 파괴시키는 방법.
  49. 제 41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화합물 및 적합한 담체를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50. 제 41 항에 따라 제조된, 제초제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식물의 잎 또는 잠재적 생장환경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불필요한 식물을 억제하는 방법.
  51. 식물의 생장패턴을 변경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제 1 항에 따라 제조된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식물 생장조정 조성물.
  52. 식물의 생장패턴을 변경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제 1 항에 따라 제조된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식물의 잎 또는 그 생장환경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의 생장을 조정하는 방법.
KR1019870700115A 1985-06-11 1986-05-30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30007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346685A 1985-06-11 1985-06-11
US743466 1985-06-11
US06/794,345 US4978386A (en) 1985-06-11 1985-10-31 Herbicidal 2-(substituted-phenyl)-3-amino-2-cyclopentenone derivatives
US794345 1985-10-31
PCT/US1986/001215 WO1986007239A1 (en) 1985-06-11 1986-05-30 Herbicidal 2-(substituted-phenyl)-3-amino-2-cyclopentenone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288A KR870700288A (ko) 1987-12-28
KR930007422B1 true KR930007422B1 (ko) 1993-08-10

Family

ID=2711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115A KR930007422B1 (ko) 1985-06-11 1986-05-30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78386A (ko)
EP (1) EP0225378B1 (ko)
JP (1) JPS63500034A (ko)
KR (1) KR930007422B1 (ko)
AU (1) AU591915B2 (ko)
CA (1) CA1283110C (ko)
DE (1) DE3669825D1 (ko)
WO (1) WO1986007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980A1 (en) 2010-12-21 2012-06-28 Agraquest, Inc. Sandpaper mutants of bacillus and methods of their use to enhance plant growth, promote plant health and control diseases and pests
MX2014002890A (es) 2011-09-12 2015-01-19 Bayer Cropscience Lp Metodo para mejorar la salud y/o promover el crecimiento de una planta y/o mejorar la maduracion de fruto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136A (en) * 1960-04-04 1963-07-09 Parke Davis & Co Process for producing a depressant-like effe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US3577433A (en) * 1967-08-08 1971-05-04 Union Carbide Corp Keto-enol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s having an amino substituent
IL47938A (en) * 1974-08-28 1979-07-25 Lilly Co Eli 3-pjenyl-5-substituted-4(1h)-pyridones and pyridine thiones
US4256658A (en) * 1977-03-28 1981-03-17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2-aryl-1,3-cyclohexanedione compounds
US4209532A (en) * 1977-03-28 1980-06-24 Union Carbide Corporation Biocidal 2-aryl-1,3-cyclohexane dione compounds and alkali metal and ammonium salts thereof
US4283348A (en) * 1978-09-22 1981-08-11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2-aryl-3-cyclopentanedione compounds
US4419724A (en) * 1980-04-14 1983-12-06 Sperry Corporation Main bus interface package
US4441910A (en) * 1981-03-24 1984-04-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iophene or furan herbicides
JPS5762248A (en) * 1981-04-30 1982-04-15 Nippon Soda Co Ltd Preparation of 2-cyclohexen-1-one derivative
US4665174A (en) * 1981-05-12 1987-05-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duction of cyclopentenone derivatives
US4464536A (en) * 1982-11-05 1984-08-07 Riker Laboratories, Inc. Enamin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ethods, synthetic processes and intermediates
DE3429437A1 (de) * 1983-12-08 1985-06-20 Basf Ag, 6700 Ludwigshafen Cyclohexeno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kaempfung unerwuenschten pflanzenwuchses
US4537623A (en) * 1984-03-29 1985-08-27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2-(oxa or thia heterocycle)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US4568376A (en) * 1984-05-09 1986-02-04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and derivatives thereof
US4596595A (en) * 1984-06-22 1986-06-24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thiophene and derivatives thereof
US4606756A (en) * 1984-10-26 1986-08-19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2-(nitrogen heterocycle)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US4568378A (en) * 1984-12-21 1986-02-04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5-cycloalkyl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and derivatives thereof
US4568377A (en) * 1985-04-26 1986-02-04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288A (ko) 1987-12-28
US4978386A (en) 1990-12-18
AU591915B2 (en) 1989-12-21
EP0225378B1 (en) 1990-03-28
EP0225378A1 (en) 1987-06-16
JPS63500034A (ja) 1988-01-07
EP0225378A4 (en) 1987-10-26
WO1986007239A1 (en) 1986-12-18
CA1283110C (en) 1991-04-16
AU5991586A (en) 1987-01-07
DE3669825D1 (de)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199882A (en) N-heterocyclyl-methyl-amide derivatives and fungicidal and herbicidal compositions
US4568376A (en)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and derivatives thereof
KR910005893B1 (ko) 제초제 5-아미노-3-옥소-4-(치환된-페닐)-2,3-디하이드로푸란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905982B2 (ja) 複素環含有フェニルピラゾール誘導体又はその塩類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除草剤
KR930007422B1 (ko) 제초성 2-(치환된-페닐)-3-아미노-2-사이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AU593224B2 (en) 4-phenyl-3-oxo-2,3-dihydrothiophene derivatives and their useas herbicides
US4537623A (en) Herbicidal 2-(oxa or thia heterocycle)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US4568377A (en)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US4606756A (en) Herbicidal 2-(nitrogen heterocycle)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US4663466A (en)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amino herbicides
SU1452457A3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EP0232258B1 (en) Herbicidal 2-(oxa or thia heterocycle)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US4643762A (en) Herbicidal 5-amino-3-oxo-4-(3-substituted-phenyl)-4-pyrroline and derivatives thereof
JPH04211065A (ja) 3−置換フェニルピラゾール誘導体又はその塩類及びその用途
US4568378A (en) Herbicidal 5-cycloalkyl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and derivatives thereof
KR900005699B1 (ko) 제초제의 5-아미노-3-옥소-4-(치환된-페닐)-2,3-디히드로티오펜 및 그의 유도체
JP3054977B2 (ja) 殺菌性フラノン誘導体
JPH0142257B2 (ko)
US4568375A (en) 2-Substituted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 herbicides
JPH02726A (ja) シクロヘキセノ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除草剤
CA1280752C (en) Herbicidal 5-amino-3-oxo-4-substituted-phenyl)-2,3- dihydrothiophene and derivatives thereof
JPH0454168A (ja) N―スルホニルアミド誘導体及び除草剤
CA1255317A (en) Herbicidal 2-(oxa or thia heterocycle)5-amino-3-oxo-4- (substituted-phenyl)-2,3-dihydrofurans
JPH0479348B2 (ko)
JPH01422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