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117Y1 -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117Y1
KR930007117Y1 KR2019880005899U KR880005899U KR930007117Y1 KR 930007117 Y1 KR930007117 Y1 KR 930007117Y1 KR 2019880005899 U KR2019880005899 U KR 2019880005899U KR 880005899 U KR880005899 U KR 880005899U KR 930007117 Y1 KR930007117 Y1 KR 930007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ressure chamber
low pressure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411U (ko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5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117Y1/ko
Publication of KR89002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유수감지장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유수감지장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관 2 : 급수공
3 : 모세관 4 : 벤튜리
7 : 저압실 9 : 다이아그램
10 : 지지판 11 : 작동봉
11a : 나사부 13 : 나사공
14 : 보스 15 : 삽입공
16 : 오링 17 : 체결볼트
18 : 코일스프링 19 : 탄지판
20 : 조절너트 21, 23 : 스톱와셔
22 : 패킹
본 고안은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수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봉을 급수관의 저면으로 관통설치하여 상기 급수관의 외측에서 작동봉을 급수관의 저면으로 관통설치하여 상기 급수관의 외측에서 작동봉을 코일스프링의 탄력으로 지지되게 함으로써 급수관내의 급작스런 압력변동에도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한 동시에 상기한 코일스프링이 탄력을 급수관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한 개선된 형태의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31)의 급수공(32) 일측에 벤튜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3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34)의 상면에는 다이아램(35)의 개재하에 덮개(36)가 고정되어 그 사이에 저압실(37)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5)하측의 급수관(31)에는 급수공(32)과 저압실(37)을 연통시키는 통공(38)이 형성되고, 상기 벤튜리부(33)의 모세관(39)이 저압실(37)로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다이아프램(35)의 상면에 얹혀져 코일스프링(40)으로 탄력지지되는 고정판(41)의 고정홈(41a)에는 덮개(36)외측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2)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봉(43)이 압입고정되고, 상기 작동봉(43)이 삽입되는 덮개(36)의 나사공(36a)에는 오링(44)의 개재하에 고정볼트(45)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수감지장치는 급수관(31)의 급수공(22)을 통하여 보일러수가 공급되면 벤튜리부(33)에서 베르누이정리에 의한 작용으로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즉, 급수관(31)의 급수공(32) "가" 부위의 압력은(+)가 되고, 이에 대하여 저압실(37) "다" 부위의 압력은(-)가 되므로 "가" 및 "나"부위의 압력평형을 위하여 급수공(32)측의 (+)압력은 통공(38)을 통하여 저압실(37)로 전달되며, 다이아프램(35)을 상승시켜 저압실(37)과 연통된 모세관(39)에 의하여 "가" 및 "나" 부위가 압력평형을 이루는 동시에 고정판(41)은 코일스프링(40)의 탄성을 이기면서 상승하게 되어 작동봉(43)에 의하여 마이크로스위치(42)의 작동돌기(42a)가 눌려지게 된다.
또한 급수공(32)에 소량의 보일러수가 흐르거나 급수가 정지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고정판(41)에 고정된 작동봉(43)이 하강하게 되므로 작동봉(43)은 마이크로스위치(42)의 작동돌기(42a)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수감지장치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급수공(32)내부에서 수류가 급변하여 발생되는 워터햄머링(water hammering)등의 급격한 압력변동 현상에 의하여 다이아프램(41)이 순간적으로 상승되어 보일러수의 유무에 관계없이 마이크로스위치(42)를 작동시킴으로써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성이 강한 코일스프링(40)을 사용할 경우에는 저압에서는 작동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40)이 저압실(37)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공급되는 보일러수의 압력에 대하여 적절하게 코일스프링(4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봉을 연장 형성하여 급수관의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급수관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봉에 크일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탄지판을 개재하며, 상기 작동봉의 하측부에 형성한 나사부에는 조절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작동봉을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및 지지판의 상, 하측부에는 스톱와셔를 고정함으로써 워터햄머링과 같은 급작스런 압력의 변동현상이 발생되어도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급수관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1)의 급수공(2)일측에는 모세관(3)을 갖는 벤튜리부(4)가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3)이 돌출부(5)와 덮개(6)에 의하여 형성된 저압실(7)으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급수관(1)의 일측에는 저압실(7)과 연통되는 통공(8)이 형성되며, 상기 저압실(7)에 고정되는 다이아프램(9)의 상, 하유동에 의하여 지지판(10)에 지지된 작동봉(11)이 마이크로스위치(12)를 작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통공(8)과 대응되는 급수관(1)의 저면에는 나사공(13)을 구비한 보스(14)를 형성하여 그 보스(14)의 삽입공(15)으로 상기 작동봉(11)의 나사부(11a)에 조절너트(20)를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10) 상측의 작동봉(11)을 관설하고, 상기 나사공(13)에는 오링(16)의 개재하에 체결볼트(17)를 체결하며, 상기 작동봉(11)의 하측부에는 코일스프링(18)으로 탄력지지되는 탄지판(19)을 개재하여 상기 작동봉(11)에는 스톱와셔(21)를 고정하고, 상기 다이아프램(9)타측의 작동봉(11)에는 패킹(22)의 개재하에 스톱와셔(22)를 고정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6a는 덮개(6)의 나사공을, 24는 오링을, 25는 체결볼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수감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에서 급수관(1)의 급수공(2)으로 보일러수가 유입되면,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벤튜리부(4)에 의하여 급수공(1)의 "다" 부위와 저압실(7)의 "라" 부위에는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급수공(2)의 (+)압력은 (-)압력의 저압실(7)과 압력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통공(8)을 통해 저압실(7)로 전달되어 다이아프램(9)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9) 및 지지판(10)의 상, 하측에 스톱와셔(21) (22)로 고정된 작동봉(11)은 코일스프링(18)의 탄성을 이기면서 상승되어 "다" 및 "라" 부위의 압력이 평형을이루게 되는 동시에 작동봉(11)의 상단부에 의하여 마이크로스위치(12)의 작동돌기(12a)가 눌려지게된다.
또한, 급수관(1)의 급수공(2)에 소량의 보일러수가 공급되거나 급수가 정지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11)이 하강하게 되어 마이크로스위치(12)의 작동돌기(12a)에서 작동봉(11)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작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8)의 탄력이 너무 약하거나 강할 경우에는 조절볼트(20)를 조절하여 코일스프링(18)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유수감지장치는 워터햄머링등과 같은 급격한 압력변동이 발생되어도 그 충격이 직접 다이아프램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봉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급수관의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보일러수의 압력에 적절히 대응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급수관(1)의 중간에 통공(8)을 통하여 연통되는 저압실(7)을 형성하고, 이 저압실(7)내에 설치된 다이아프램(9)와 일체로 고정되며 저압실(7)의 외부로 관통되어 마이크로스위치(12)를 동작시키는 작동봉(11)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1)을 저압실(7)의 반대측으로 관통 돌출시켜 그 돌출단부에 고정된 탄지편(19)과 급수관(1)의 주벽사이에 스프링(18)을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온수 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KR2019880005899U 1988-04-25 1988-04-25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KR930007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899U KR930007117Y1 (ko) 1988-04-25 1988-04-25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899U KR930007117Y1 (ko) 1988-04-25 1988-04-25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411U KR890021411U (ko) 1989-11-02
KR930007117Y1 true KR930007117Y1 (ko) 1993-10-13

Family

ID=1927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899U KR930007117Y1 (ko) 1988-04-25 1988-04-25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1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411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8448A (en) Gas valve
KR930007117Y1 (ko) 가정용 온수겸용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CN111396586B (zh) 旋塞阀和家用电器
US2890305A (en) Hermetically sealed pressure sensitive switch having exteriorly suspended actuating means
CN212203199U (zh) 旋塞阀和家用电器
CN211047254U (zh) 一种恒温座
KR910004194Y1 (ko) 자동 확산소화기의 감지장치
KR0148537B1 (ko) 압력감지기
KR900010303A (ko) 연소기기의 역풍 방지장치
KR100269899B1 (ko) 보일러용 유량감지 센서
KR102635531B1 (ko)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EP0653691B1 (en) Improved pressure regulator
JPH05161588A (ja) 食器洗浄機の水位検出装置
KR200244236Y1 (ko) 온수보일러의감압밸브장치
KR950009226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급수구 누수 방지구조
JP2529177B2 (ja) ガス圧力調整器
GB2284687A (en) Fluid pressure regulator
PL315893A1 (en) Thermostatsub-assembly for radiator valves
KR19980014598A (ko) 기준 유량 가변식 오일 팬 구조
KR20040002257A (ko) 체크밸브구조
EP0399402B1 (en) Pressur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side the fuel supply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supply device
US5961292A (en) Ripple-effect removing valve for use with a pressure detecting device in a control assembly of a pump
JPH02140471A (ja) 水道加圧装置
JP2000234727A (ja) 液体燃料供給構造
KR940008227Y1 (ko) 가스연소기기용 가버너의 배출압력 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