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069B1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069B1
KR930007069B1 KR1019910004808A KR910004808A KR930007069B1 KR 930007069 B1 KR930007069 B1 KR 930007069B1 KR 1019910004808 A KR1019910004808 A KR 1019910004808A KR 910004808 A KR910004808 A KR 910004808A KR 930007069 B1 KR930007069 B1 KR 93000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title
blue
scree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47A (ko
Inventor
김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0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069B1/ko
Publication of KR92001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제1도는 종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막표시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 자막표시 시스템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제5도는 제3도의 블루우 자막표시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막디코더부 2 : 스위칭부
3 : 동기검출부 4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
5 : 블루우자막제어부 4i : 동기선택부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브이씨알이라 약칭함)의 자막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우(BLUE)화면상에 자막만을 디스플레이하여 실제화면이 없이 오디오신호와 자막(CAPTION)만을 시청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문자자막이 없는 경우에는 순수한 블루우 화면상태로 되게 실제 비디오신호를 선택뮤트(MUTE) 하도록 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 자막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이씨알의 자막표시 시스템 구성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자막신호(CAP) 및 윈도우신호(Window)(WIN)이 레벨에 따라 휘도 및 색도신호처리부(Y/C)에서 신호처리되어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자막코드를 검출하여 해독하는 자막디코더부(1)와, 상기 자막디코더부(1)로 부터 출력되는 스크린신호(SCREEN)(SR) 및 문자신호(CHA)에 따라 스위칭 절환되어 상기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 및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일정직류전압(V1)을 선택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부(3)와, 상기 동기검출부(3)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스위칭부(2)의 출력영상신호 및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비디오출력단자(VOUT)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플레이부(4)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일정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4C)와, 상기 발진부(4C)의 주파수를 1/4로 분주시켜 색부반송파신호(CHS)를 출력하는 1/4 분주기(4d)와, 상기 1/4 분주기(4d)로 부터 출력되는 색부반송파신호(CHS)를 1/227로 분주시켜 수평동기신호(H-SY')를 출력하는 1/227 분주기(4e)와, 상기 1/227 분주기(4e)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를 1/262.5로 분주시켜 수직동기신호(V-SY')를 출력하는 1/262.5 분주기(4f)와, 상기 1/4 분주기(4d), 1/227 분주기(4e) 및 1/262.5 분주기(4f)의 색부반송신호(CHS),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아 색신호(CHS)를 생성하는 블루우화면발생부(4B)와, 상기 1/262.5 분주기(4f) 및 1/227 분주기(4e)의 수직,수평동기신호(V-SY')(H-SY') 또는 동기검출부(3)로 부터 검출된 수직,수평동기신호(V-SY)(H-SY)를 입력받아 마이콤의 출력 데이타(DA)를 자막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문자발생기(4a)와, 상기 동기검출부(3)를 검출된 동기신호(SY)의 유,무에 따라 스위칭 절환되어 블루우화면발생기(4d)의 색신호(CH) 및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4h)와, 상기 스위치(4h)에서 선택된 비디오신호 및 색신호(CH)를 문자발생기(4a)의 자막영상신호와 합성하여 비디오출력단자(VOUT)로 출력하는 가산기(4g)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CK,CS는 문자발생기(4a)에 입력되는 클럭 및 칩선택신호이고, bc는 스위칭부(2) 및 스위치(4h)의 고정단자이며 a는 가동단자 S는 선택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브이씨알의 자막표시장치는 먼저 휘도 및 색도신호처리부(Y/C)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비디오입력단자(VIN)를 통해 입력되는 자막디코더부(1)는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되는 자막신호(CAP) 및 윈도우신호(WIN)에 따라 그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자막코드를 해독한 후 그 자막코드가 스크린신호(SR) 또는 문자신호(CHA)이면 그에 해당하는 스위칭부(2)의 선택단자(S)(S')에 하이펄스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2)의 가동단자(a)(a')는 자막디코더부(1)로 부터 스크린신호(SR) 또는 문자신호(CHA)에 해당하는 하이펄스가 입력될때마다 그의 고정단자(C)(C')에 접속되어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일정직류전압(V1)을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의 입력단자(VIN')에 인가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자막디코더부(1)로 부터 자막코드 즉, 스크린신호(SR) 및 문자신호(CHA)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위칭부(2)의 선택단자(S)(S')에는 로우펄스가 인가되므로 그 스위칭부(2)의 가동단자(a)(a')가 고정단자(b)(b')에 접속되어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의 입력단자(VIN')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동기검출부(3)는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SY)를 검출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에 구성된 문자발생기(4a)에 각각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에 구성된 발진부(4C)에서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14.3MHz의 발진주파수가 발생되면 1/4 분주기(4d)는 발진부(4C)의 발진주파수를 1/4로 분주시켜 색부반송파신호(CHS)를 블루우화면발생기(4d)에 입력하게 되고, 아울러 1/227 분주기(4d)에 입력하게 되고, 아울러 1/227 분주기(4e)는 1/4 분주기(4d)로 부터 분주된 색부반송파신호(CHS)를 1/227로 분주시켜 수평동기신호(H-SY')를 문자발생기(4a)와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 입력하게 되며, 1/262.5 분주기(4f)는 상기한 수평동기신호(H-SY')를 1/262.5로 분주시켜 문자발생기(4a)와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문자발생기(4a)는 동기검출부(3)로 검출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또는 1/227 분주기(4e), 1/262.5 분주기(4f)로 부터 발생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고 마이콤으로 부터 칩선택신호(CS) 및 클럭신호(C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DA)를 자막문자신호로 변환하여 가산기(4g)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블루우화면발생기(4b)는 1/4 분주기(4d) 및 1/227(4e), 1/262.5 분주기(4f)로 부터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신호(CHS) 및 수평, 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아 색도신호(CH)를 생성하여 스위치(4h)의 고정단자(b)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동기검출부(3)로 부터 동기신호(SY)(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수직동기신호)가 검출되어 하이(H)로 입력되면 상기 스위칭(4h)의 가동단자(a)가 고정단자(C)에 접속되므로 입력단자(VIN')로 입력된 영상신호가 문자발생기(4a)의 자막문자신호와 가산기(4g)에서 합성되어 비디오출력단자(VOUT)로 출력되고, 반대로 동기검출부(3)로 부터 동기신호(SY)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4h)의 가동단자(a)가 고정단자(b)에 접속되므로 블루우화면발생기(4b)의 색도신호(CH)가 문자발생기(4a)의 자막문자신호와 가산기(4g)에서 합성되어 비디오출력단자(VOUT)로 출력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브이씨알의 자막표시장치는 스위칭부로 부터 선택된 영상신호와 문자발생기에서 생성된 자막문자신호가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합성되어 화면에 표시될 뿐 자막만 블루우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없고, 또한 자막문자신호에 영상신호 또는 색도신호를 합성하여 블루우화면상에 표시하게 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막이 없는 순수한 뮤트화면 상태로 영상신호로 뮤트시킬 수 없고, 아울러 동기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신호의 지연현상에 의해서 블루우화면상의 자막위치와, 실제화면상의 자막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휘도 및 색도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서 자막문자신호 및 색도신호로 미리 처리한 후에 스위칭부를 통해 화면에 실제 영상신호 없이 자막 또는 순수한 블루우화면 상태로 비디오신호를 뮤트하고, 아울러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블루우자막신호로 동기 선택부를 제어하여 실제 영상신호와 블루우화면발생기의 색도신호와의 동기를 일치시켜 주도록 자막표시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 브이씨알의 블루우 자막표시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자막신호(CAP) 및 윈도우신호(WIN)의 레벨에 따라 휘도 및 색도신호처리부(Y/C)에서 신호처리되어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자막코드를 검출하여 해독하는 자막디코더부(1)와, 상기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3)와, 상기 동기검출부(ㄴ3)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 및 마이콤으로 부터 클럭신호(C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데이타(DA)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와, 자막디코더부(1)의 스크린신호(SR) 및 문자신호(CHA)에 따라 스위칭 절환되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의 영상신호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일정직류전압(V1)을 선택하여 비디오출력단자(VOUT)를 출력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의해 구동하여 자막디코더부(1)의 스크린신호(SR)을 제어함과 아울러 그 블루우자막신호(BCAP)를 반전시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를 제어하는 블루우자막제어부(5)로서 구성한다.
제4도는 제3도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일정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4C)와, 상기 발진부(4C)의 발진주파수를 분주시켜 색부반송파신호(CHS)를 발생하는 1/4 분주기(4d)와, 상기 1/4분주기(4d)의 색부반송파신호(CHS)를 분주시켜 수평동기신호(H-SY')를 발생하는 1/227 분주기(4e)와, 상기 1/227 분주기(4e)의 수평동기신호(H-SY')를 분주시켜 수직동기신호(V-SY')를 발생하는 1/262.5 분주기(4f)와, 상기 블루우자막제어부(5)로 부터 출력되는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레벨에 따라 스위칭 절환되어 1/227 분주기(4e), 1/262.5 분주기(4f)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및 동기검출부(3)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를 선택하는 동기선택부(4i)와, 상기 동기선택부(4i)에서 선택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H-SY')(V-SY') 및 1/4 분주기(4d)의 색부반송파신호(CHS)를 입력받아 색도신호(CH)를 생성하는 블루우화면발생기(4b)와, 상기 1/227 분주기(4e), 1/262.5 분주기(4f)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또는 동기검출부(3)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아 마이콤의 데이터(DA)를 자막문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발생기(4a)와, 상기 동기검출부(3)로 검출된 동기신호(SY)의 유,무 또는 블루우자막제어부(5)로 부터 반전된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따라 스위칭 절환되어 블루우화면발생기(4b)의 색도신호(CH) 및 비디오입력단자(VIN)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4h)와, 상기 스위치(4h)에서 선택된 영상신호 및 색도신호(CH)를 문자발생기(4a)의 자막문자신호와 합성하여 스위칭부(2)에 출력하는 가산기(4g)로서 구성한다.
제5도는 제3도의 블루우자막제어부(5)의 상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콤으로 부터 입력되는 블루우자막신호(BCAP) 단자를 저항(R1)(R2)을 통해 분리시켜 콜렉터에 스크린신호(SR) 단자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및 에미터에 연결함과 아울러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및 동기선택부(4i)의 가동단자(a)(a')에 연결하고, 그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저항(R4)를 통해 전원단자(Vcc)에 연결한 후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1)을 통해 스위치(4h)의 가동단자(a)에 연결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와 같이 휘도 및 색도신호처리부(Y/C)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비디오입력단자(VIN)를 통해 입력되면 동기검출부(3)는 그 입력된 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SY)를 검출하여 제4도와 같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에 구성된 문자발생기(4a)에 각각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에 구성된 발진부(4C)에서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14.3MHz의 발진주파수가 발생되며 1/4분주기(4d)는 이를 1/4로 분주시켜 색부반송신호(CHS)를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 입력하게 되고, 아울러 1/227 분주기(4e)는 1/4 분주기(4d)에서 분주된 색부반송파신호(CHS)를 1/227로 분주시켜 수평동기신호(H-SY')를 문자발생기(4a)와 동기선택부(4i)의 고정단자(C)에 인가하게 되고, 1/262.5 분주기(4f)는 상기한 수평동기신호(H-SY)를 1/262.5로 분주시켜 문자발생기(4a) 및 동기선택부(4i)의 고정단자(C')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문자발생기(4a)는 동기검출기(3)로부터 검출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또는 1/227 분주기(4e) 및 1/262.5 분주기(4f)로부터 발생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아서 마이콤으로부터 칩선택신호(CS) 및 클럭신호(C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DA)를 자막문자신호로 변환하여 가산기(4g)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제3도에서와 같이, 자막디코더부(1)는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자막신호(CAP) 및 윈도우신호(WIN)에 따라 비디오 입력단자(VIN)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자막코드를 해독한 후 그 자막코드가 스크린신호(SR) 또는 문자신호(CHA)이면 그에 해당하는 스위칭부(2)의 선택단자(S)(S')에 하이펄스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2)의 가동단자(a)(a')은 자막디코더부(1)로 부터 스크린신호(SR) 또는 문자신호(CHA)에 해당하는 하이펄스가 입력될때마다 그의 고정단자(C)(C')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마이콤으로부터 블루우자막신호(BCAP)가 하이펄스로 블루우자막제어부(5)에 입력되면 이 블루우자막신호(BCAP)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자막디코더부(1)로 부터 검출되어 스위칭부(2)의 선택단자(S)로 입력되는 스크린신호(SR)가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되므로 스위칭부(2)의 가동단자(a)가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되어 접속되고, 이와 동시에 블루우자막신호(BCAP)가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게 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4) 및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되어 이와 연결된 다이오드(D1)에서는 로우펄스인 블루우자막신호(BCAP')가 제4도에 도시한 스위치(4h)의 가동단자(a)에 입력되며 아울러 상기 저항(R3)을 통한 블루우자막신호(BCAP)의 하이펄스가 동기선택부(4i)의 가동단자(a)(a')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동기선택부(4i)의 가동단자(a)(a')는 블루우자막신호(BCAP)의 하이펄스에 의해 그의 고정단자(C)(C')에 접속되어 1/227 분주기(4e) 및 1/262.5 분주기(4f)로부터 발생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 입력하게 되고, 블루우화면발생기(4b)는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및 1/4분주기(4d)로 부터 발생되는 색부반송파신호(CHS)를 입력받아 비디오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에 맞게 색도신호(CH)를 생성하여 스위치(4h)의 고정단자(b)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설명과 같이 스위치(4h)의 가동단자(a)에는 블루우자막제어부(5)의 다이오드(D1)로 부터 출력되는 블루우자막신호(BCAP')의 로우펄스가 입력되고, 아울러 동기검출부(3)로 부터 검출된 동기신호(SY)의 하이펄스가 동시에 입력되나 그 동기신호(SY)의 하이펄스는 블루우자막제어부(5)로 바이패스되므로 가동단자(a)는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의해 스위치(4h)의 고정단자(b)에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블루우화면발생기(4b)의 색도신호(CH)는 가산기(4g)에서 자막문자신호와 합성되어 제3도와 같이, 스위칭부(2)의 고정단자(b)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2)의 가동단자(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우자막제어부(5)의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의해 그의 고정단자(b)에 접속되고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C')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가산(4g)로부터 합성된 색도신호(CH) 및 자막문자신호는 차단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일정직류전압(V1)이 문자신호(CHA)에 해당하는 펄스가 입력되는 동안 스위칭부(2)를 통해 블루우화면상에 자막문자로 표시된다.
반대로 마이콤으로 부터 블루우자막신호(BCAP)가 로우펄스로 블루우자막제어부(5)에 입력되면 즉, 스위치(4h)의 가동단자(a)에 블루우자막신호(BCAP')가 하이펄스로 입력되고, 스위칭부(2)의 선택단자(S)에 스크린신호(SR)가 하이펄스로 입력되면 가산기(4g)는 문자발생기(4a)의 자막신호와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스위칭부(2)를 통해 블루우화면상에 표시하게 되고 또한 자막코드가 없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블루우자막제어부(5)가 스위칭부(2)와 동기선택부(4i) 및 스위치(4h)를 제어하여 자막이 없는 순수한 뮤트 화면상태로 영상신호를 뮤트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막코드가 없는 영상신호가 입력되거나 자막기능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자막이 없는 순수한 뮤트화면상태로 영상신호가 뮤트되고, 아울러 동기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신호의 지연현상에 의해서 블루우화면상의 자막위치와 실제 영상화면상의 자막위치가 틀어짐을 동기선택부로 제어하여 방지할 수가 있으며, 특히 교육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블루우화면상에 문자자막을 표시함으로써 실제화면이 없이 음성과 자막만으로 집중력이 키워져 학습 효과가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에서 스크린신호(SR) 및 문자신호(CHA)를 검출해동하는 자막디코더부(1)와, 상기 자막디코더(1)의 출력신호를 입력된 영상신호에 합성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부(3)와, 상기 동기검출부(3)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및 자체에서 발생되는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받아 마이콤의 데이터를 문자발생기(4a)에서 자막문자로 변환하고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서 색도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4)를 포함하여 브이씨알의 자막표시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로부터 자막코드검출시 상기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블루우자막신호(BCAP)에 의해 구동하여 스위칭부(2)로 입력되는 자막디코더부(1)의 스크린신호(SR)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블루우자막신호(BCAP)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를 제어하는 블루우자막제어부(5)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자막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4)는 상기 블루우자막제어부(5)로 부터 출력되는 불루우자막신호(BCAP)에 따라 스위칭절환되어 자체의 분주기(4e)(4f)에서 생성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 및 동기검출부(3)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V-SY)를 입력영상신호의 동기에 맞게 선택하여 문자발생기(4a) 및 블루우화면발생기(4b)에 입력하는 동기선택부(4i)와, 상기 블루우자막제어부(5)로 부터 반전된 블루우자막신호(BACP')에 따라 스위칭절환되어 블루우화면발생기(4b)의 색도신호 및 비디오입력단자(VIN)의 영상신호로 선택한 후 그 신호를 문자발생기(4a)에서 발생된 자막문자신호와 가산기(4g)에서 합성하여 스위칭부(2)에 출력하는 스위치(4h)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자막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블루우자막제어부(5)는 마이콤의 블루우자막신호(BCAP) 단자를 저항(R1)(R2)을 통해 분로시켜 콜렉터에 스크린신호(SR)단자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및 에미터에 연결함과 아울러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및 동기선택부(4i)의 제어단자에 연결하고, 저항(R4)을 통해 전원단자(Vcc)와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스위치(4h)의 제어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블루우자막 표시장치.
KR1019910004808A 1991-03-27 1991-03-27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KR93000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808A KR930007069B1 (ko) 1991-03-27 1991-03-27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808A KR930007069B1 (ko) 1991-03-27 1991-03-27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47A KR920018747A (ko) 1992-10-22
KR930007069B1 true KR930007069B1 (ko) 1993-07-26

Family

ID=1931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808A KR930007069B1 (ko) 1991-03-27 1991-03-27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47A (ko) 199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5510B2 (ko)
US6333731B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V and PC images
KR930007069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루우(Blue) 자막표시장치
CA1210855A (en) Synchronization input for television receiver on- screen alphanumeric display
JPH06217199A (ja) 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930008026Y1 (ko) 온스크린표시 배경 영상신호 처리회로
KR940008875B1 (ko) 캡션 vcr의 한글자막 제거장치
KR960014236B1 (ko) 브이씨알의 멀티 화면 표시장치
KR0128091Y1 (ko) 브이티알의 다기능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동기 안정화 회로
KR970010944B1 (ko) 브이씨알의 일단 정지 상태의 자막 디스플레이 장치
KR940005842B1 (ko) 시간정보 녹화회로 및 비디오 테이프 디스플레이 시간 체크회로
JPH0526873Y2 (ko)
KR900008279Y1 (ko) 엔코더 ic를 이용한 서브비데오 합성회로
KR940004955Y1 (ko) 무신호 상태에서의 글자 떨림 방지회로
KR940005992Y1 (ko) 영상신호 합성 회로
KR920008258Y1 (ko) 외부신호 무입력시 카메라신호 자동절환회로
KR950007157Y1 (ko) 칼라 osd 신호 발생회로
KR900009922Y1 (ko) 문자표시 제어회로
KR940010182B1 (ko) 캡션테이프 판단결과에 따른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방법
KR0128090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960005850Y1 (ko) 자화면 안정화 회로
KR960009093Y1 (ko)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KR200203912Y1 (ko) 4채널 스위처를 구비한 모니터
KR0163881B1 (ko) 레벨 진폭 설정 알지비 발생기
KR950013206A (ko) 텔레비젼화상 영역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