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93Y1 -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93Y1
KR960009093Y1 KR2019930023066U KR930023066U KR960009093Y1 KR 960009093 Y1 KR960009093 Y1 KR 960009093Y1 KR 2019930023066 U KR2019930023066 U KR 2019930023066U KR 930023066 U KR930023066 U KR 930023066U KR 960009093 Y1 KR960009093 Y1 KR 960009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een
luminance
pip
color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969U (ko
Inventor
백태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3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093Y1/ko
Publication of KR950015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제1도는 종래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휘도레벨을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휘도검출기 20 : 색차신호 복호기
30 : 동기신호 분리회로 40 : A/D 변화부
50 : 화면 압축부 60 : 혼합부
70 : CRT 구동부 72 : CRT
80 : 주화면 처리부 90 : 마이크로 컴퓨터
100 : 스위칭 제어부 110 : 보조화면 처리부
본 고안은 주화면의 내부에 다른 영상의 보조화면을 표시하는 각 기능을 갖는 픽츄어 인 픽츄어(Picture In Picture : 이하 PIP라함)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화면에 가려진 주화면의 저옵가 보조화면의 정보와 함께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PIP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IP텔레비젼 수상기는 주화면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화상을 갖는 보조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보조화면용 영상신호를 압축하여야 하며, 압축된 주화면의 블랭킹 된 부분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보조화면 크기 만큼의 주화면 영역이 나타나지 않아 보조화면에 가려진 정보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상기 문제점을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PIP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입력단자(11)를 통해 유입되는 방송중인 복합 영상신호는 2개의 복합영상신호로 나뉘어져 선택되며, 이 중 하나는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서 휘도검출기(1), 색차신호복호기(2) 및 동기 신호 분리회로(3)에 공급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서 주화면처리부(8)에 공급된다.
상기 주화면처리부(8)는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적색-휘도(이하 R-Y라 함) 신호 및 청색-휘도(이하 B-Y라 함)신호를 포함한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상기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혼합부(6)에 공급한다.
상기 휘도검출기(1)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중 3.58㎒의 부근에 존재하는 색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저주파수 대역에 분포된 휘도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휘도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이하 A/D라 함) 변환부(4)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색차신호복호기(2)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 영상신호를 복호하여 R-Y신호 및 B-Y신호를 포함하는 색차신호를 상기 A-D변환부(4)에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A-D변환부(4)는 상기 휘도검출기(1)와 색차신호복호기(2)에서 각각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압축부(5)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 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수직동기신호는 분압저항(R1),(R2)을 경유하여 화면 압축부(5)로 공급한다.
상기 화면압축부(5)는 상기 A/D변환부(4)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휘도 및 색차신호의 화면크기를 일정크기로 압축하기 위하여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 압축된 디지탈 휘도신호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아날로그 휘도신호 및 아날로그 색차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탈-아날로그(이하 D/A라 함) 변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압축부(5)는 화면크기를 압축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로부터 받은 수직동기신호의 주사기간동안 A/D 변화부(4)에서 출력된 디지탈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탈 휘도신호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수직동기신호의 주사기간보다 매우 짧은 기간내에 독출한다.
또한, 상기 화면압축부(5)에 포함된 D/A변환부는 보조하면의 색차신호와 휘도신호의 디지탈파형을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하여 보조화면의 색신호와 블랭킹(Blanking)신호를 혼합부(6)에 공급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혼합부(6)는 상기 주화면처리(8)로 부터의 영상신호와 상기 화면압축부(5)로 부터의 색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조합하여 주화면 내부의 일부화면 영역에 일정크기의 보조화상을 갖는 PIP 처리된 영상신호 즉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음극선관(이하 CRT라 함)구동부(7)에 공급한다.
상기 CRT구동부(7)는 상기 혼합부(6)로 부터의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조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신호를 발생하고, 이와 함께 상기 R,G,B신호를 CRT(9)에 공급한다.
상기 CRT(9)는 R,G,B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내부의 일부화면영역에 다른 프로그램의 화상을 갖는 PIP화상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PIP텔레비젼 수상기는 보조화면용 영상신호의 화면크기가 압축되어 주화면의 일부분에 나타나기 때문에, 보조화면의 크기만틈 주화면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보조화면에 의해 가려진 주화면의 정보가 보조화면의 정보와 함께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가려진 주화면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PIP 텔레지젼 수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IP 텔레지젼 수상기는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휘도검출기와 보조화면용 복합 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색차신호를 발생하는 색차신호복호기에서 각각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신호분리기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탈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상기 동기신호분리기로부터 입력된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적절한 수단으로 압축하여 소정의 화면크기로 축소함과 동시에 자체 내부적으로 D/A변환기를 구비하여 압축된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파형을 아날로그파형으로 변환함으로써 보조화면의 색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압축부로 구성된 보조화면처리부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주화면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발생하는 주화면처리부와, 상기 주화면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주화면의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와 상기 화면압축부로부터 입력된 보조화면의 색차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조합하여 PIP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입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를 음극선관에 디스플레이하는 CRT구동부를 포함하는 PIP 텔레지젼 수상기에 있어서, 입력된 PIP선택키에 의해 상기 화면압축부에 PIP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스위칭제어부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제어신호로 의해 스위칭동작함으로써 상기 주화면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혼합부에서 출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를 인가하여 주화면의휘도신호와 보조화면의 휘도신호를 중첩시키는 스위칭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된 소정의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주화면 처리부에서 출력된 주화면의휘도신호를 상기 혼합부에서 출력된 보조화면의 휘도신호에 중첩시키도록 상기 주화면 처리부의출력단에 켈랙터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부의 출력단에 에미터가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받는 소정의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주화면 처리부로부터 받은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혼합부에서 출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에 인가함으로써 보조화면의 휘도 신호에 주화면의휘도신호를 중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PIP 텔레지젼 수상기는 사용자의 보조화면선택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보조화면과 주화면의 휘도신호를 중첩시켜 보조화면에 주화면과 보조화면의 화상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보조화면에 가려진 주화면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고안의 PIP 텔레지젼 수상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도이다.
제2도에 나타낸 PIP 텔레지젼 수상기에서, 보조화면처리부(110)는 복합영상신호중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휘도검출기(10)와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색차신호르 발생하는 색차신호복호기(20)에서 각각 출력된 보조화면의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의 아날로그파형을 디지탈파형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 및 동기신호분리기(30)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와 상기(A/D)변환부(40)에서 출력된 보조화면의 디지탈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를 공급받아 화면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압축하는 화면압축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사용자의 선택키에 따라 화면압축부(50)에 PIP제어신호를 공급할 뿐 아니라 스위칭제어부(100)에도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화면압축부(50) 및 스위칭제어부(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화면처리부(80)는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부터 R-Y신호 및 B-Y신호를 포함한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복호하여 상기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혼합부(60)와 제2휘도검출기(11)에 공급한다.
상기 혼합부(60)는 상기 주화면처리부(8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와 화면압축부(50)로부터 입력된 색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상기 화면압축부(50)를 통해 들어온 마이크로 컴퓨터(90)의 PIP제어신호에 의해 조합하여 주화면 내부의 일부화면 영역에 일정크기의 보조화상을 갖는 PIP처리된 영상신호 즉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음극선관(이하 CRT라 함)구동부(70)에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100)는 상기마이크로 컴퓨터(90)에서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를 베이스로 받아들여 스위칭 동작함과 동시 주화면 처리부(80)의출력단에 컬렉터단이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TR)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상호 병렬연결된 비이어스저항(R3) , (R4)과,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단과 상기 혼합부(6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저항(R5)으로 구성되어 주화면 처리부(80)로부터 받은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혼합기에서 출력된 PIP용 영상신호에 인가함으로서 주화면의 휘도신호를 보조화면의 휘도신호에 중첩한다.
상기 CRT구동부(70)는 상기 혼합부(60)로부터 출력된 주화면의 휘도신호가 중첩된 PIP용 휘도 및 색차신호를 조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신호르 발생하고, 이와함께 상기 R,G,B신호르 증폭하여 CRT(27)에 공급한다.
상기 CRT(72)는 R,G,B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내부의 일부 화면영역에 다른 프로그램의 화상을 갖는 PIP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보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입력단자(11)를 통해 유입하는 방송중인 복합영상신호중 그 하나는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서 휘도검출기(10), 색차신호복호기(20) 및 동기신호분리회로(30)로 공급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주화면용 복합영상 신호로서 주화면처리부(80)로 공급된다.
상기 주화면처리부(80)는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적색-휘도(이하 R-Y라 함)신호 및 청색-휘도(이하 B-Y라 함)신호를 포함한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르 복호하며, 이 복호된 상기 색차신호와 휘도신호를 혼합부(60)와 스위칭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상기 보조화면처리부(110)의 휘도검출기(10)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중 3.58㎒의 부근에 존재하는 색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저주파수대역에 분포된 휘도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휘도신호를 A/D변환부(4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색차신호복호기(20)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하여 R-Y신호 및 B-Y신호를 포함하는 색차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색차신호를 상기 A/D변화부(40)에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A/D변환부(40)는 상기 휘도검출기(10)와 상기 색차신호복호기(2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의 색차 및 휘도신호를 디지탈의 색차 및 휘도신호로 변화하여 화면압축부(50)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0)는 상기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수직동기신호를 분압저항(R1),(R2)을 경유하여 화면압축부(50)에 공급한다.
상기 분압저항(R1),(R2) 은 상기 화면압축부(50)가 요구하는 전압레벨을 갖도록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0)로 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분압한다.
상기 화면압축부(50)는 상기 A/D 변화부(40)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휘도신호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압축하여 화면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축소함과 동시에 압축된 디지탈 휘도신호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아날로그 휘도신호 및 아날로그 색차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그 자체 내부에 메로리(도시하지 않음) 및 디지탈-아날로그(이하 D/A라 함)변환기(도시하니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압축부(50)는 화면크기를 축소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0)로부터 수직동기신호의 주사기간동안 상기 A/D변환기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휘도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그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탈 휘도 및 디지탈 색차신호를 수직동기신호의 주사기간보다 매우 짧은 기간에 독출한다.
또한, 상기 화면압축부(50)에 구비된 D/A변환기는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색신호 및 블랭킹(Blanking)신호를 혼합부(60)에 공급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는 키나 리모콘을 통해 PIP선택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압축부(50)에 PIP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스위칭제어부(10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혼합부(60)는 화면압축부(50)를 통해 들어온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주화면처리부(8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와 보조화면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동시에 조합하여 PIP처리된 영상신호 즉 PIP용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100)는 마이크로(90)로부터 받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주화면 처리부(80)로부터 받은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혼합부(60)에서 출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에 인가함으로써 보조화면의 휘도신호에 주화면의 휘도신호르 중첩시키는데, 이의 동작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PIP선택키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90)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스위칭제어부(100)의 주 구성소자인 스위칭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TR) 를 턴온동작시킨다. 그러면, 주화면 처리부(80)에서 출력된 주화면의 영상신호는 턴온상태인 스위칭트랜지스터(TR)의 컬렉터 및 에미터를 경유하여 저항(R5)을 통해 혼합부(60)에서 출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와 주파수적으로 혼합되고, 이로 인하여 주화면의 휘도신호는 보조화면의 휘도신호에 중첩되게 된다.
이후, 보조화면의 휘도신호에 주화면의 휘도신호가 중첩된 PIP처리된 여상신호는 CRT구동부(70)에 인가되어 CRT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휘도레벨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제3도중 (a)는 기존의 PIP상태의 보조화면의 휘도레벨을 나타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화면의 보조화면의 휘도레벨이 중첩되면(b) 와 같이 나타나고, (c)는 중첩시 보조화면의 휘도신호 레벨이 줄어들어 주화면 내부의 일정크기의 보조화면에 보조화면의 화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가려진 주화면의 정보도 중첩되어 화면이 같이 나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PIP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보조화면선택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보조화면과 주화면의 휘도신호를 중첩시켜 보조화면에 주화면괴 보조화면의 화상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보조화면에 가려진 주화면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휘도검출기와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색차신호를 발생하는 색차신호복호기에서 각각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보조화면용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분리기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탈의 휘도 및 색차신호를 상기 동기신호분리기로부터 입력된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적절한 수단으로 압축하여 소정의 화면크기로 축소함과 동시에 자체 내부적으로 D/A변환기를 구비하여 압축된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파형을 아날로그파형으로 변환함으로써 보조화면의 색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출력하는 화면압축부로 구성된 보조화면처리부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주화면용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주화면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발생하는 주화면처리부와, 상기 주화면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주화면의 색차신호 및 휘도신호와 상기 화면압축부로부터 입력된 보조화면의 색차신호 및 블랭킹신호를 조합하여 PIP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입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를 음극선관에 디스플레이하는 CRT구동부를 포함하는 PIP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입력된 PIP선택키에 의해 화면압축부에 PIP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스위칭제어부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함으로써 상기 주화면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상기 혼합부에서 출력된 PIP처리된 영상신호에 인가하여 주화면의 휘도신호와 보조화면의 휘도신호를 중첩시키는 스위칭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P텔레비젼 수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주화면 처리부에서 출력된 주화면의 휘도신호를 상기 혼합부에서 출력된 보조화면의 휘도신호를 중첩시키도록 상기 주화면 처리부의 출력단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부의 촐력단에 에미터가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P텔레비젼 수상기.
KR2019930023066U 1993-11-05 1993-11-05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KR960009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066U KR960009093Y1 (ko) 1993-11-05 1993-11-05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066U KR960009093Y1 (ko) 1993-11-05 1993-11-05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69U KR950015969U (ko) 1995-06-19
KR960009093Y1 true KR960009093Y1 (ko) 1996-10-14

Family

ID=1936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066U KR960009093Y1 (ko) 1993-11-05 1993-11-05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0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69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3721A (en) TV of internal PiP type for receiving the character multibroadcasting
KR0150505B1 (ko) 2 화면 영상 처리 회로
CA2226792C (en) Multisystem television which is usable as monitor of personal computer
KR100548056B1 (ko) 다중-영상 디스플레이에서 독립 영상 변경을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US6067123A (en) Monitor output device in high-definition television
KR100202211B1 (ko) 텔레비젼 수신 장치
KR100233388B1 (ko) 티브이 및 피씨화면 동시 디스플레이장치
KR960009093Y1 (ko)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 수상기
KR0144890B1 (ko) 더블 화면 티브이에서의 캡션과 문자 방송표시장치 및 방법
US6414723B1 (en) Double/multi window processing apparatus for television system
KR960004258Y1 (ko) 픽츄어 인 픽츄어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동동기절환장치
JP3019032U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テレビ
KR100356508B1 (ko) 디지털 텔레비전
US20020015029A1 (en) On-screen display device
KR015282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중화면장치
KR0153893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부화면 osd표시 장치
KR0147579B1 (ko) 와이드 텔레비젼에서의 두 화면 동시 시청회로
KR100283756B1 (ko) 프로그레시브 텔레비전의 캡션신호 처리장치
KR100797466B1 (ko) 디지털 티브이
KR100294233B1 (ko) 화면비변환기능을 구비한 디지털tv수상기
KR970002701B1 (ko) 캡션신호 변조처리 모듈
KR960005850Y1 (ko) 자화면 안정화 회로
JPH0630354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017511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28868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