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81B1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81B1
KR930006881B1 KR1019900020753A KR900020753A KR930006881B1 KR 930006881 B1 KR930006881 B1 KR 930006881B1 KR 1019900020753 A KR1019900020753 A KR 1019900020753A KR 900020753 A KR900020753 A KR 900020753A KR 930006881 B1 KR930006881 B1 KR 93000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condenser
air condition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620A (ko
Inventor
다다사또 이이다
후사끼찌 다까하시
고오지 와다
도시로 니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282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912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9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66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136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
제1도는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그라프.
제2도는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의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사용된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6도는 제4도에 나타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방열판(放熱板)상에 설치된 인버터의 스위치소자들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제7도는 한가지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블록선도.
제8도는 한가지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그라프.
제9도는 제5도에 나타낸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의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10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및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럭선도.
제11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에 나타낸 공냉식 응축기의 소정의 온도값들에 대한 작동 영역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14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5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의 수정된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16도는 제3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및 제어회로들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17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수공냉식 응축기의 온도와 인버터 유닛의 구동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18도는 제2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수공냉식 응축기의 온도와 배출 송풍기의 회전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19도는 제3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기조화기 15,143 : 공기흡입구
17,141 : 공기배출구 21,111,209 : 증발기
31,155 : 물분부기 33,205 : 수공냉식응축기
37 : 2축 팬모터 41,103,203 : 능력가변압축기
43,171 : 물탱크 45,161 : 물받이
53 : 인버터 회로 57,115a : 스위치소자
59,117 : 방열판 59a : 방열핀
63 : 압력검지스위치 67 : 수위탐지기
73 : 제어부 107 : 공냉식 응축기
131 : 물고갈표시램프 133 : 비정상상태표시램프
151a : 제1증발기 151b : 제2증발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및 물로 냉각되는 응축기(이하 "수공냉식응축기"라 함)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실내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 공기 조화기는 소위 자유설치형 공기조화기로 잘 공지되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전형적으로 압축기, 증발기 및 수공냉식 응축기를 포함하고, 또한 물탱크와 수공냉식 응축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분무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냉방될 실내의 공기는 케이싱의 후방상부에 형성된 제1공기 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속으로 흡입되고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어 마지막으로 케이싱의 전방폭에 형성된 공기공급구로 부터 방안으로 방출된다.
전술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는 또한 케이싱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흡입구를 통해 케이싱속으로 흡입된다. 케이싱속으로 흡입된 공기는 수공냉식 응축기를 통해 흐르고,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또한 수공냉식 응축기상에 분무된다.
그러므로 수공냉식응축기가 공기와 물에 의해 냉각되고 수공냉식 응축기를 통해 흐르는 공기가 이때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전술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실내의 실제온도가 실내 설정온도와 비교되고 압축기가 그 비교값에 대응하여 작동 및 작동중지된다.
압축기가 작동된 후 압축기의 냉방 능력이 점차 증가되고 작동이 정지될때 급격히 감소되어 제로가된다. 압축기가 작동될때 압축기의 전력소비는 상승되고, 작동이 중지될때 제로로 된다.
전술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의 압력은 물탱크의 물이 배출될때 과도하게 증가되고, 이러한 압력의 증가는 역으로 냉동사이클 기기들의 작동 수명에 영향을 끼치게 되며 압력검지스위치가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의 과도한 압력증가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측의 압력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부족으로 인해 설정값보다 높게 증가 할때, 압력검지스위치가 공기조화기, 즉 압축기의 작동을 멈추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물의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는 작동중에 물탱크로의 물의 보충이 늦어짐으로 인해 종종 작동이 중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에 있는 물의 양이 소정의 레벨이하인 것으로 검지될때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수공냉식 응축기에서의 물의 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에 있는 물이 다 소모되어도 이동형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검지 스위치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빈번한 작동중지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 따르면,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능력가변압축기,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수공냉식응축기, 응축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급수장치에 저장된 물의 양을 검지하기 위한 수위검지 장치 및 급수장치의 물의 양이 소정의 값에 도달할때 응축기의 물의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제어유닛은 공기조화될 한정된 공간에서 공기조화부하(이하 "공조부하"라 함)에 대응하는 목적구동주파수를 능력가변 압축기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고, 급수장치의 물의 양이 소정의 값에 도달할때 공조부하와는 관계없이 언버터로 부터의 목적 구동주파수 출력을 강제로 감소시키는 감소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냉동사이클을 가지는 이동형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능력가변압축기,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수공냉식응축기, 응축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에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냉매온도 검지유닛, 냉매의 온도의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에서의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것으로 검지될때 압축기의 용량을 수정하고 압축기의 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제어유닛은 공조부하에 상응하는 목적구동 주파수를 능력가변압축기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고, 냉매의 온도가 고압측에서의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것으로 검지될때 공조부하에 관계없이 인버터로부터의 목적 구동주파 출력을 강제로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기능을 포함한다.
제어유닛은 또한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목적구동주파수를 능력가변압축기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고, 냉매온도 검지유닛의 검지결과를 기초로 해서 인버터의 최대구동 주파수룰 결정하는 결정기능과 목적 구동 주파수가 최대 구동주파수보다 클때 압축기의 작동을 연장시키기 위해 인버터로 부터의 목적 구동 주파수를 최대구동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변환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지고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가 동일한 요소에 적용되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1)는 케이싱(13)을 포함하는데, 이 케이싱에는 후방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5) 및 전방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7)를 가진다.
두쌍의 캐스터(caster)(18a)(18b)는 케이싱(13)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케이싱(13)의 후방바닥면의 대향된 모퉁이들에 각각 설치되고, 공기통로(19)가 케이싱에 있는 공기흡입구(15)와 공기배출구(17)사이에 형성된다.
증발기(21)는 공기흡입구(15)에 대향되도록 공기통로(19)에 배치되고, 냉각팬(23)이 공기통로(19)의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기흡입구(25)는 케이싱(13)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고, 제2공기배출구(27)는 케이싱(13)의 제2공기흡입구(25)위로 형성된다.
중공형상의 공기 가이드(29)는 케이싱(13)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공기가이드(29)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제2공기흡입구(25)에 연결되며, 공기 가이드(29)의 상단부는 제2공기 배출구(27)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공기통로는 제2공기흡입구(25)로 부터 공기 가이드(29)를 통해 제2공기 배출구(27)까지 형성된다. 종래의 물분무기(31)가 공기 가이드(29)에 배치되며, 수공냉식 응축기(33)는 물분무기(31)둘레에 설치되고, 파이프(33a)를 감음으로써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팬(35)은 공기 가이드(29)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배출 팬(35)의 회전축이 물분무기(3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냉각팬(23)은 공기 통로(19)와 공기가이드(29)사이에 설치된 2축 팬모터(37)의 회전축중의 하나에 결합되고, 배출팬(35)은 또한 2축팬 모터(37)의 다른 회전축에 결합된다.
덕트(39)의 한쪽끝단은 제2공기 배출구(27)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실내벽(40)을 통과해서 실외로 뻗는다. 능력가변 압축기(41)는 케이싱(13)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물탱크(43)는 또한 상기 압축기(4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물받이(45)는 물탱크(43)밑에 설치되며, 물탱크(43)에 저장된 물은 물탱크(43)의 바닥 면에 형성된 급수구로부터 중력에 의해 물받이로 공급된다.
물받이(45)는 물탱크(41)로 부터 물분무기(31)로 물을 안내하기 위해 공기 가이드(29)아래로 뻗은 직사각 형상의 팬(pan)을 포함한다. 플로트(float) 스위치(47)는 물받이(45)에 저장된 수위를 검지하기 위해 물받이(45)에 설치되고, 물받이(45)에 저장된 수위가 소정의 레벨이하일때, 작동이 중지된다. 그러므로, 플로트스위치(47)는 또한 물받이(45)와 물탱크(43)사이의 유체통신에 의해 물탱크(43)에 저장된 물의 고갈상태를 검지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패널(51)은 케이싱(13)의 전방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7도에 나타낸 인버터회로(53) 및 후술될 다른 제어 회로들은 제어패널(51)의 뒷부분에 설치된다.
인버터회로(53)는 AC전원(55)으로 부터 공급된 AC전압을 DC전압으로 정류시키고, 이 DC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AC전압으로 변환시키며, 이 AC전압은 구동전원으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능력가변압축기(41)의 압축기 모터(56)로 공급된다. 인버터회로(53)의 스위치 소자(큰 트랜지스터)(57)들은 인버터회로(53)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소자(57)는 공기 가이드(29)의 외부표면에 부착된 방열판(59)상에 일체식으로 설치된다. 방열판(59)으로부터 돌출한 다수의 방열핀(fin)(59a)들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가이드(29)의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능력가변 압축기(41), 수공냉식응축기(33), 모세관튜브(61) 및 증발기(21)는 연속으로 결합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압력검지스위치(63)는 능력 가변압축기(41)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해 능력가변 압축기(41)와 수공냉식응축기(33)사이에 (냉동사이클에서 고압측)뻗은 파이프에 부착된다.
압력검지스위치(63)는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의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때 작동이 중지된다. 전술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어회로를 제7도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2축 팬모터(37)는 팬속도제어스위치(65)를 통해 AC전원(55)에 연결된다.
2축 팬 모터(37)는 고속단자(H) 및 저속단자(L)를 가지며, 고속단자(H) 또는 저속단자(L)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작동한다. 수위 검지기(67)는 물받이(45)에 저장된 물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플로트 스위치(47)를 포함한다.
수위검지기(67)로 부터의 검지결과는 비교측정기(69)로 이송되어 회로(71)에 설정된 값에 의해 소정의 설정값과 비교되고, 비교측정기(69)로 부터의 비교결과가 마이크로컴퓨터와 그 주변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73)로 이송된다.
실제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75)는 제어부(73)에 연결되고, 압력검지스위치(63)도 또한 제어부(73)에 연결된다. 최소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작동부(77)는 제어부(73)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79)도 또한 공기조화기(11)의 각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부(73)에 연결된다.
작동부(77) 및 디스플레이부(79)는 일반적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51)의 앞쪽에 설치된다. 제어부(73)는 인버터회로(53)의 출력주파수가 온도센서에 의해 검지된 실제실내온도값과 작동부(77)에 의해 설정된 요구되는 실내 온도값 사이의 차이(공조부하)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압축기 제어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73)는 또한 물받이(45)에서의 물의 고갈상태가 비교측정기(69)에 의한 비교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부(79)상에 표시되어 물탱크(43)로 물을 보충해야할 필요성을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73)는 압력검지스위치(63)가 작동될때 인버터 회로(53)의 작동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1)의 모든작동이 중지되는 고압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73)는 팬속도제어스위치(65)가 2축 팬모터(37)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부(77)에 의한 공기체적설정작동에 대응하여 고속단자(H) 또는 저속단자 (L)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팬 속도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제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기술한다. 공기조화기(11)의 작동은 공기조화작동에 필요한 값들이 작동부(77)를 통해 개시된 후 시작된다. 제어부(73)는 인버터회로(53)를 통해 압축기 모터(56)(능력가변압축기(41))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73)는 2축 팬 모터(37)를 고속 또는 저속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팬 속도제어스위치(65)를 작동부(77)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공기체적을 기초로 해서 고속단자(H) 또는 저속단자(L)중 하나로 제어한다.
압축기 모터(56)가 구동될때, 냉매가 능력가변 압축기(41)로 부터 이송되어 수공냉식 응축기(33), 모세관튜브(61) 및 증발기(41)를 통해 순환된다. 냉각팬(23)이 2축 팬 모터(37)에 의해 회전될때 냉방될 실내공기는 공기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3)속으로 흡입되어 증발기(21)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냉각된 공기는 공기통로(19)를 따라 흘러 마지막으로 공기배출구(17)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배출팬(35)이 2축 팬 모터(37)에 의해 회전될때 실내 공기는 제2공기 흡입구(25)를 통해 케이싱(13)속으로 흡입되어 수공냉식 응축기(33)를 냉각시키기 위해 공기 가이드(29)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공기는 제2공기 배출구(27) 및 덕트(39)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동시에 수공냉식응축기(33)가 물에 의해 냉각된다. 물 분무기(31)가 2축 팬 모터(37)에 의해 회전될때, 물받이(45)에 저장된 물은 물분무기(31)속으로 빨려들어가고, 이때 물분무기(31)의 물은 수공냉식응축기(33)쪽으로 원심분무된다.
분무된 물은 수공냉식응축기(33)의 표면에 달라붙어서 수공냉식 응축기(33)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분무된 물의 상당량은 방열판(59)을 통해 인버터회로(53)의 스위치 소자(57)를 냉각시키기 위해 방열핀(59a)상에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분무된 물은 재사용되도록 물받이(45)에 수집된다.
제어부(73)의 작동에 대해 더 기술한다. 제어부(73)는 온도센서(75)에 의해 검지된 실제 실내온도와 작동부(77)에 의해 설정된 요구되는 실내온도 사이의 온도차이를 계산하고, 이 온도차이(공조부하)에 대응하여 인버터회로(53)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을 제어한다.
실제 실내온도가 요구되는 실내온도보다 높을때, 인버터 회로(53)로 부터의 구동주파수는 능력가변압축기(41)의 냉방능력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된다. 한편, 인버터회로(53)로 부터의 구동 주파수는 실제실내온도가 요구되는 실내온도에 접근함에 따라 능력가변 압축기(41)의 냉방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된다.
그러므로 능력가변압축기(41)의 냉방능력은 실내에서의 공조부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되고, 실제 실내온도는 요구되는 실내온도로 원활하게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11)의 냉방능력(Q)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실내온도가 요구되는 실내온도로 접근함에 따라 감소되고, 공기 조화기(11)의 소비전력(W)도 또한 실제실내온도가 요구되는 실내온도로 접근함에 따라 감소된다.
그러므로 실용적 표현(냉방능력(Q)/소비전력(W))으로 표시되는 공기조화기(11)의 에너지 소비효율(N)이 향상된다. 에너지 소비효율(N)이 향상될때, 수공냉식 응축기(33)에 필요한 물의 증발잠열이 감소되므로 물탱크(43)에 대한 물의 보충횟수가 물의 소비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줄어든다.
제3도,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45)에 저장된 수위는 수위검지기(67)에 의해 검지되고, 수위 검지기(67)에 의해 검지된 수위가 수위값 설정회로(71)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 이하일때 비교측정기(69)의 출력은 작아지게 된다.
이때, 제어회로(73)은 공조부하에 기초를 둔 전술한 제어를 중지시키고, 능력가변 압축기(41)의 냉방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버터 회로(53)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을 강제로 감소시킨다.
동시에 디스플레이부(79)는 물받이(45)(물탱크(43))속의 수위가 예를들자면 램프의 작동에 의해 설정값이하임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능력가변 압축기(41)의 냉방능력은 강제로 감소되고, 냉방 능력(Q) 및 소비전력(W)도 또한 감소된다. 물의 소비량(C)은 실질적으로 냉방능력(Q)과 소비전력(W)의 합인 수공냉식응축기(33)로 부터의 방열량에 대응하는 값에 비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능력 가변 압축기(41)의 냉방능력이 강제로 감소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효율(W)이 향상되고 물의 소비량이 대폭되므로 제5도에 도시된 냉동 사이클의 고압측의 압력의 증가가 또한 억제된다.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에서, 수위가 물받이(45)(물탱크(43))에 설정된 값보다 낮은것이 디스플레이부(79), 즉 램프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거주자는 압력검지 스위치(63)가 작동되기전에 물탱크(43)속에 물을 보충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압력검지스위치(63)의 작동에 대응한 능력가변 압축기(41)의 정지 횟수가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물받이(45)속의 물이 인버터회로(53)의 스위치 소자(57)들이 설치되어 있는 방열핀(59a)들 위로 분무되기 때문에, 스위치 소자(57)의 방열 효율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11)의 안정된 작동이 보장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소자(57)의 방열핀(59a)은 물분무기(31)에 의해 분무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뿐 아니라 공기 가이드(29)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므로 스위치 소자(57)로 부터의 충분한 방열이 실행된다.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에서, 물받이(45)에 설정된 값보다 낮은 수위는 디스플레이부(79)에 설치된 버져(buzzer)의 작동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물탱크(43)의 물이 다소모될때까지의 남은 시간이 램프 또는 버져의 작동 대신에 디스플레이부(79)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물탱크(43)에 있는 물의 소비가 램프에 의해 알려질 경우에, 다수의 서로다른 색상의 램프들이 물탱크(43)에서의 수위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수의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들은 물탱크(43)에서의 물의 감소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램프는 작동된 이후에 설정된 시간에 켜지거나 꺼질 수 있고, 램프의 스위칭율은 물탱크(43)에서의 물의 감소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구체적 실시예를 기술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체적 실시예의 냉동사이클(101)은 파이프(113)를 통해 연속으로 연결된 능력가변 압축기(103), 수공냉식응축기(105), 공냉식 응축기(107), 모세관튜브(109) 및 증발기(111)를 포함한다.
인버터 유닛(115)은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115a)는 방열판(117)을 통해 공냉식 응축기(107)에 설치된다. 인버터유닛(115)의 출력주파수는 제어부(119)에 의해 제어되고, 실제 실내온도센서(121)는 제어부(119)에 연결된다.
온도설정유닛(123)은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제어부(119) 속으로 입력하도록 제어부(119)에 연결되고, 방열판(117)에 설치된 온도센서(125)도 제어부(119)에 연결된다. 온도센서(125)는 냉동사이클(101)의 고압측의 냉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냉식 응축기(103)의 온도를 검지하고, 공냉식 응축기(107)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제어부(119)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그 주변 회로들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주파수 제어기능(127)(129)을 포함한다. 제어부(119)가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을 실행할때, 제어부(119)는 실제 실내온도센서(121)로 부터 공급된 실제실내온도와 온도설정 유닛(123)에 의해 설정된 요구되는 실내온도사이의 온도차에 기초를 두어 냉방될 실내의 공조부하를 계산하고,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칭 작동을 제어해서 인버터 유닛(115)으로 부터의 적당한 구동 주파수를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에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119)가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을 실행할때, 제어부(119)는 온도센서(125)에 의해 검지된 공냉식 응축기(107)의 온도가 설정값을 초과한다면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에 의한 제어제어작동이 중지되고 인버터 유닛(115)의 작동이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에 의해 설정된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를 감소시킨다. 즉,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이 실행될때,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19)는 또한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에 의해 제어되는 물고갈표시램프(131) 및 비정상 상태 표시램프(133)를 포함한다.
이제 제2구체적 실시예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로 기술한다. 케이싱(137)의 내측은 수평간막이판(139)에 의해 상부챔퍼(137a) 및 하부챔버(137b)로 나누어진다. 공기 배출구(141)는 케이싱(137)의 전면에 형성되고, 공기흡입구(143)는 케이싱(137)의 후면에 상부 챔버(137a)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팬케이싱(145)은 공기 배출구(141)쪽이 개방되어 상부챔버(137a)에 설치된다. 냉각팬(147)은 팬 케이싱(14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챔버(137b)에 설치된 2축 모터(149)의 회전축 중의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제1증발기(151a) 및 제1증발기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2증발기(151b)는 공기흡입구(143)에 대향되도록 상부 챔버(137a)에 배치된다. 전술된 증발기(111)는 제1 및 제2증발기(151a)(151b)를 포함한다. 배출팬(153) 및 물분무기(155)는 하부챔버(137b)에 있는 2축 모터(149)의 냉각팬 지지축이 아닌 다른 회전축에 의해 동축적으로 지지된다.
배출팬(153)은 원심팬으로 2축 모터(149)와 물분무기(155)사이에 배치되고, 배출팬 케이싱(157)은 배출팬(153)둘레에 설치된다. 전술된 수공냉식 응축기(105)는 물분무기(155) 둘레에 설치되고, 원통형 덮개(159)가 수냉식 응축기(105)에 외부에 배치된다. 물받이(161)는 케이싱(137)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물분무기(155)의 하부끝단은 물받이(161)에 저장된 물속에 잠긴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기흡입구(163)는 하부챔버(137b)에 노출되도록 케이싱(137)의 후면에 형성되고, 제3공기 흡입구(165)는 케이싱(137)후면의 제1공기흡입구(143)와 제2공기흡입구(163)사이에 형성된다.
전술된 공냉식응축기(107)는 제3공기흡입구(165)에 대향되도록 하부챔버(137a)에 배치되고, 스위치 소자(115a)들이 설치된 전술한 방열판(117)도 또한 제3공기흡입구(165)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유연한 공기안내 호스(167)는 공기를 배출 팬(153)으로 부터 외부대기중으로 안내하도록 케이싱(137)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팬 케이싱(157)의 출구(157a)속으로 삽입된다.
제어부(119)의 제어부재들이 수용된 박스(169)는 케이싱(137)의 하부챔버(137b)에 설치된다. 두쌍의 캐스터(170a)(170b)는 케이싱(137)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각 케이싱(137)의 후방 바닥면의 대향된 모서리에 갖추어 진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능력가변 압축기(103)는 케이싱(137)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물탱크(171)는 능력가변 압축기(10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물탱크(171)의 물은 물받이(161)의 물이 소비됨에 따라 물받이(161)로 공급된다.
전술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13도를 참조로 기술한다.
전술된 제1주파수 제어기능(129)에 있어서, 제어부(119)에 의해 결정된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Fout)(Hz)는 다음표에 나타낸 바와같이 실제 실내온도(Ta : ℃)와 요구되는 실내온도(Ts :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만들어진다.
[표 1]
한편, 전술된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에 있어서, 제어부(119)는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 :。C)와 세개의 서로 다른 설정온도(Tc1)(Tc2)(Tc3)를 비교하고, 검지된 온도(Tc)에 있어서의 변화가 상승하는지 하강하는지를 판단한다.
전술된 비교와 판단결과를 기초로 제어부(119)는 검지된 온도(Tc)가 속하는 소정의 영역(A), (B), (C) 또는 (D)중의 하나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공기조화기는 결정된 영역(A), (B), (C) 또는 (D)을 기초로 제어된다. 소정의 영역 "A"에서, 물받이(161)의 물이 규칙적으로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분무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에 의한 표로부터 선택된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Fout)가 어떠한 수정도 없이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에 적용된다.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검지온도(Tc)가 설정온도(Tc2)들 중의 하나를 초과하고 영역 "C"로 들어간다면,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는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에 의한 전술한 표로부터 선택된 구동주파수(Fout)에 관계없이 현재의 구동주파수로부터 20(Hz)를 감소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이것은 물받이(161)의 물이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규칙적으로 분무되지 않는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가 전술한 감소된 구동주파수로 구동된 이후 30초가 될때까지도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탐지온도(Tc)가 영역 "C"에 있다면,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는 20(Hz) 만큼 더 감소된다.
이때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가 인버터 유닛(115)으로 부터의 20(Hz) 출력의 구동주파수로 구동되었었다면,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제로로 되고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모터가 정지된다.
전술된 제어작동 동안에,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가 영역 "C"로 부터 온도 "Tc2"와 "Tc3" 사이에 한정된 영역 "B"로 들어가면, 인버터 유닛(115)으로 부터의 구동주파수는 현재의 값을 유지한다.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가 전술된 제어작동이 실행됨에도 불구하고 영역 "C"으로부터 "D"로 들어간다면,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제로(Hz)로 됨으로써 능력가변 압축기(103)가 정지된다.
이것은 검지된 온도(Tc)의 증가가 물탱크(171)의 물의 고갈뿐 아니라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냉동사이클(101) 기기들의 비정상 작동에 의해 발생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주파수 제어기능(127)(129)의 작동을 제14도를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공기조화기(135)의 작동이 시작될때, 온도설정 유닛(123)으로부터의 요구되는 실내온도(Ts)와 실제 실내 온도센서(121)로 부터의 실제 실내온도(Ta)가 제어부(119)속으로 입력된다(스텝 F1).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Fout)는 요구되는 실내온도(Ts)와 실제 실내온도(Ta) 사이의 온도차이에 따른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에 의한 상기표에 나타낸 소정의 값으로 부터 선택된다(스텝 F2).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검지온도(Tc)가 제어부(119)로 입력된다(스텝 F3). 스텝 F4에서, 제2주파수 제어기능(129)은 검지온도(Tc)가 속하는 소정의 영역(A), (B), (C) 또는 (D)중의 하나를 결정한다. 검지온도(Tc)가 영역 "A"에 속한다면, 현재의 구동주파수(f')가 스텝 F2에서 선택된 구동주파수(Fout)로 되고(스텝 F8), 그 이후 전술된 스텝 F1, F2, F3 및 F4가 재실행된다. 그러므로 영역 "A"에서 인버터 유닛(115)이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구동주파수를 출력하고, 실내가 충분히 공기조화 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물탱크(171)의 물이 다 소모되었을때 물받이(161)의 물이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규칙적으로 분무되지 않으므로 수공냉식 응축기(105)의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수공냉식 응축기(105)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열판(117)의 온도도 증가된다. 공냉식 응축기(107)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 (Tc)가 또한 증가되어 영역 "A"로 부터 영역 "C"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스텝 F9가 스텝 F4에서 선택되고 현재의 출력주파수(f')가 20(Hz)만큼 감소된다. 인버터 유닛(115)의 감소된 출력주파수가 30초 동안 유지된다(스텝 F10). 물 고갈표시 램프(131)가 동시에 물탱크(171)의 물의 고갈을 거주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작동된다.
이때 전술된 스텝 F1, F2, F3 및 F4가 재실행되고,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가 감소된다.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가 감소되고 영역 "C"로 부터 영역 "B"로 들어갈때, 스텝 F12가 스텝 F4에서 선택된다. 인버터 유닛(115)의 현재의 구동주파수(f')가 스텝 F2에서 결정된 구동주파수에 관계없이 유지되고(스텝 F12), 이때 전술된 스텝 F1, F2, F3 및 F4가 재실행된다.
한편, 온도센서(125)의 검지온도(Tc)가 전술된 제어작동에도 불구하고 급속히 증가되어 영역 "C"로 부터 영역 "D"에 도달 한다면,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스텝 F13에서 제로(Hz)로 되어 능력가변 압축기가 작동중지된다. 동시에 비정상 상태 표시램프(133)가 냉동사이클(101)의 비정상 상태를 거주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작동되고(스텝 F14), 제어부(119)의 제어작동이 마침내 대기상태로 이동된다.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정상 작동에서는, 물받이(161)(물탱크(171))의 물이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규칙적으로 분무되고, 수공냉식 응축기(105)가 그 증발 작동을 정상적으로 실행한다. 수공냉식 응축기(105)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검지온도(Tc)는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최대 값일지라도 소정의 한계값을 넘어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한 정상 작동상태에서는, 물탱크(171)의 물이 다 소모되고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최대 값으로 증가한다면, 물이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수공냉식 응축기(105)는 정상적으로 그 증발 작동을 실행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수공냉식 응축기(105)는 충분히 냉각되지 않고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검지온도(Tc)가 소정의 한계값을 넘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된 물탱크(171)의 물의 고갈 및 인버터 유닛(115)의 출력 주파수의 최대값은 능력가변 압축기(103)에 기계적 고장과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들의 열파손을 초래한다.
그러나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에서, 온도센서(125)로 부터의 검지온도(Tc)는 소정의 서로 다른 온도값(Tc1), (Tc2), (Tc3)과 비교된다. 그러므로 수공냉식 응축기(105) 및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115a)들이 설치되는 방열판(117)에서의 과다한 온도증가는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기계적 고장 또는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들의 파손이 발생하기전에 검지될 수 있다. 물 고갈표시램프(131)가 작동되고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강제로 감소되며 능력가변 압축기(103)가 인버터 유닛(115)의 감소된 구동주파수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이것은 공조부하가 작을 경우 기계적 고장 또는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들의 열파손이 없이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연속작동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탱크(107)의 물이 다 소모될 때 인버터 유닛(115)의 구동주파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101)이 주로 공기와의 열교환을 사용하는 공냉식 응축기(107)와 수공냉식 응축기(105)에 의해 규칙적으로 실행되는 작동범위내에서 능력가변 압축기(103)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그러한 작동범위는 제13도에 도시된 설정온도 "Tc1"과 "Tc2"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가능한 작동기간은 물탱크의 물이 다 소모될때 압축기의 작동이 중지되는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비교할때 상당히 연장된 것이다. 더우기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서, 물탱크(171)의 물의 고갈이 제13도에 도시된 설정온도(Tc2) 이상의 온도(Tc)를 검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검지되고, 물 고갈표시램프(131)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물의 소모를 검지하는데 높은 비용이 들고, 상대적으로 작동 신뢰성이 낮은 플로트와 같은 기계적 검지 부재가 물탱크(171)에 필요하지 않다.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115a)들은 작동동안에 열을 방출한다. 그러나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115a)들이 설치된 방열판(117)이 공냉식 응축기(10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유닛(115)의 스위치 소자(115a)들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에서, 냉동사이클(101)의 고압측에서의 냉매 온도가 공냉식 응축기(107)에 설치된 방열판(117)의 온도(Tc)를 검지함으로써 판단한다. 그러나 냉동사이클의 고압측에서의 냉매온도는 능력가변 압축기(103)로 부터 배출된 냉매의 돈도 또는 수공냉식 응축기(105)의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도센서(125)는 또한 공냉식 응축기(107)와 수공냉식 응축기(105)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 공냉식 응축기(107)의 출력측과 수공냉식 응축기(105)의 입력측사이에 뻗은 파이프(113a)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우기 온도센서(105)는 물분무기(155)에 의해 분무된 물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수공냉식 응축기(105)로 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제3의 구체적 실시예를 제16도, 제17도,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로 기술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이 구체적 실시예의 냉동사이클(201)은 파이프(211)를 통해 연속적으로 결합된 능력가변 압축기(203), 수공냉식 응축기(205), 모세관 튜브(207) 및 증발기(209)를 포함한다. 수공냉식 응축기(205)에는 물분무기(2130)가 제공되고, 인버터 유닛(215)은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능력가변 압축기(203)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인버터 유닛(215)으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은 제어부(217)에 의해 제어된다. 실제 실내온도센서(219)는 제어부(217)에 연결되고, 온도설정유닛(220)도 또한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제어부(217)로 입력시키기 위해 제어부(217)에 연결된다. 수공냉식 응축기(205)에 설치된 온도센서(221)는 제어부(217)에 연결되고, 이 온도센서(221)는 냉동사이클(201)의 고압측에서의 냉매온도를 판단하기 위해 수공냉식 응축기(203)의 온도를 검지한다. 배출팬(223)은 수공냉식 응축기(205)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팬모터(225)에 의해 회전된다.
전술된 제어부(217)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되며, 주파수 제어기능(227), 최대주파수 결정기능(229) 및 팬모터 제어기능(231)을 포함한다. 주파수 제어기능(227)의 작동은 전술된 제2구체적 실시예의 제1주파수 제어기능(127)의 작동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어부(217)가 최대 주파수 결정기능(229)을 실행할때, 제어부(217)는 온도센서(221)에 의해 검지된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를 기초로 인버터 유닛(215)으로 부터 공급된 최대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공냉식 응축기(205)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각각의 최대 주파수 값은 미리 결정되고, 최대 주파수값과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변화의 표가 전술된 제어부(127)에 있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제어부(217)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 전술된 표를 참조함으로써 제어부(217)는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에 대응하는 목적 최대 주파수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제어기능(227)에 의해 결정된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가 최대 주파수 결정기능(229)에 의해 결정된 목적 최대 주파수 보다 크다면, 목적 최대 주파수는 인버터 유닛(215)으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으로써 선택된다. 제어부(217)가 팬모터 제어기능(231)을 실행할때, 팬모터(225)의 회전 속도는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를 기초로 제어된다. 팬모터(225)(배출팬(223))의 회전속도와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 사이의 관계가 제18도에 나타나있고, 이 관계는 또한 표의 형태로 제어유닛(217)에 있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가 60℃에 달하면, 팬모터(225)의 회전속도는 배출팬(223)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약한 유동에서 강한 유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증가된다. 그러므로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에 상응하는 적당한 열방출 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의 기계적 설치는 제1구체적 실시예와 유사하다(그 구체적 구조는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의 제어작동을 제19도를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시작될때, 온도설정유닛(220)으로부터의 요구되는 실내온도(Ts)와 실제 실내온도센서(219)로 부터의 실제 실내온도(Ta)가 제어부(217) 속으로 입력된다(스텝 S1).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Fout)는 요구되는 실내온도(Ts)와 실제 실내온도(Ta) 사이의 온도차(공조부하)에 따른 주파수 제어기능(227)에 의한 제2구체적 실시예에서의 표에 나타난 소정의 값으로부터 선택된다(스텝 S2). 스텝 S3에서, 온도센서(221)에 의해 검지된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Tc)가 제어부(217) 속으로 입력된다. 온도(Tc)를 기초로 최대 주파수 값(fmax)이 스텝 S4에서 제어부(217)의 최대 주파수 결정 기능(229)에 의해 결정되고, 이 최대 주파수값(fmax)은 스텝 S5에서 전술된 구동주파수(Fout)와 비교된다. 구동주파수(Fout)가 최대 주파수 값(fmax) 보다 크다면, YES-로가 취해진다.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가 스텝 S6에서 최대 주파수값(fmax)으로 제어된다. 또한, 팬모터(225)(배출팬(223))의 회전 속도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 S7에서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를 기초로 제어된다. 그 이후 전술된 스텝 S1, S2, S3, S4 및 S5가 재실행된다. N0-로가 스텝 S5에서 취해지면,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가 스텝 S8에서 구동주파수(Fout)로 제어되고, 이때 전술된 스텝 S7이 실행된다.
전술된 구체적 실시예의 경우,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가 최대 주파수 값(fmax)을 초과한다면 인버터 유닛(215)의 구동주파수는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Tc)에 의해 결정된 최대 구동주파수 값(fmax)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Tc)의 증가를 피할 수 있고 과다한 물의 소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배출팬(223)의 회전속도가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온도(Tc)에 대응해서 제어되기 때문에, 수공냉식 응축기(205)의 열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동안에 물의 소비가 감소되고, 또한 물탱크의 물이 다 소모되어도 공기조화기의 냉각작동이 어느정도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실내의 공조부하가 작다면, 물탱크의 물이 다 소모되어도 공기조화기의 연속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버터 유닛으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이 수공냉식 응축기의 온도를 기초로 수정되기 때문에, 수공냉식 응축기에 분무되는 물의 소비가 제어된다. 그러므로 물탱크의 물이 다 소모되어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수공냉식 응축기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는 인버터 유닛의 구동주파수의 감소로 인해 압력검지 스위치의 빈번한 작동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빈번히 중지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구체적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칙들에 기초를 둔 다른 구체적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명백하고, 그러한 구체적 실시예들은 특허청구범위들에 의해 보호될 것이다.

Claims (21)

  1.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능력가변 압축기 ; 수공냉식이며 물의 일부가 응축기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냉매를 응축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계된 응축기 ; 상기 응축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 상기 급수장치에서의 물의 양을 검지하는 장치 ; 상기 급수 장치의 물의 양이 설정값에 도달할때 상기 압축기의 압축 능력을 감소시키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조화될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조부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목적구동주파수를 능력가변 압축기에 공급하는 장치와 급수장치의 물의 양이 설정된 값에 도달할때 공조부하에 관계없이 인버터 장치로 부터의 목적 구동주파수 출력을 강제로 감소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급수장치가 응축기에 물을 분무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인버터 장치는 물분무기로 부터의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공조부하 결정장치가 실제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장치, 요구되는 방의 온도를 입력시키는 장치 및 공조부하를 결정하기 위해 실제 실내온도와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비교하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수위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것을 표시해주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8.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능력가변 압축기, 수공냉식이며 물의 일부가 응축기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냉매를 응축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계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냉동 사이클의 고압측에서 급수장치의 물이 다 소모될대 온도가 증가하는 냉매온도를 검지하는 냉매 온도검지장치, 및 냉동 사이클의 고압측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높을때 전술한 압축기의 능력을 수정하고 전술한 압축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냉매의 고압측과 저압측을 가지는 냉동 사이클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공기조화될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조부하를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목적 구동주파수를 능력가변 압축기에 공급하는 장치, 냉매의 온도가 고압측에서의 설정온도보다 높을때 공조부하에 관계없이 인버터 장치로 부터의 목적 구동주파수 출력을 강제로 감소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이 또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제1응축기와 연계된 제2응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응축기는 공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인버터 장치가 스위치 소자들을 가지며, 제2응축기가 상기 인버터 장치의 스위치 소자들과 냉매 온도검지장치가 설치된 방열판을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3. 제11항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이 제1응축기와 냉매 온도 검지장치가 설치된 제2응축기 사이에 뻗은 파이프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4. 제8항에 있어서, 냉매의 온도가 냉동 사이클의 고압측에서의 설정값 보다 높을 때 급수장치에서의 물의 고갈을 표시하는 장치를 또한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5. 제9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공조부하에 대응하는 목적 구동주파수를 능력가변 압축기에 공급하는 인버터장치, 냉매 검지장치의 검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 장치의 최대 구동주파수를 결정하는 장치, 목적 구동주파수가 최대 구동주파수보다 클 경우 압축기의 작동을 연장시키기 위해 인버터 장치로 부터의 목적 구동주파수 출력을 최대 구동주파수로 변화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응축기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가변속도 팬 장치를 또한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냉매 온도 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팬 장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를 또한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8. 공기의 유동과 물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는 응축기가 사용되고, 능력가변 압축기가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조부하에 대응하여 인버터로 부터의 가변 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물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물탱크의 수량을 검지하는 단계 ; 및 물탱크의 수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검지될 때 인버터로 부터의 구동주파수를 강제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물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19. 물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물과 팬 장치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는 응축기가 사용되고, 능력가변 압축기가 물탱크의 물이 다 소모될 경우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조부하에 대응하여 인버터로 부터의 가변 구동주파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내온도(Ts)를 판독하는 단계 ; 실제 실내온도(Tc)를 검지하는 단계 ; 상기 온도 "Tc"와 "Tc" 사이의 차에 대응하는 공조부하를 기초로 인버터로 부터의 구동주파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 냉동 사이클의 고압측에서의 냉매 온도(Tc)를 탐지하는 단계 ; 및 상기 온도(Tc)가 설정값보다 높을때 공조부하에 관계없이 결정된 구동주파수를 소정의 값으로 강제로 감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냉매온도(Tc)가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물탱크의 물의 고갈을 표시해 주는 표시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냉매 온도(Tc)에 대응하여 팬 장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방법.
KR1019900020753A 1989-12-20 1990-12-17 이동형 공기조화기 KR930006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328250 1989-12-20
JP1-328250 1989-12-20
JP1328250A JPH03191245A (ja) 1989-12-20 1989-12-20 空気調和機
JP1-329604 1989-12-21
JP1329604A JP3066647B2 (ja) 1989-12-21 1989-12-21 空気調和機
JP2007541A JPH03211363A (ja) 1990-01-17 1990-01-17 空気調和機
JP2-007541 1990-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620A KR910012620A (ko) 1991-08-08
KR930006881B1 true KR930006881B1 (ko) 1993-07-24

Family

ID=272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753A KR930006881B1 (ko) 1989-12-20 1990-12-17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99652A (ko)
EP (1) EP0434424B1 (ko)
KR (1) KR930006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8935B1 (en) * 1990-03-30 1994-12-07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er
JPH0599484A (ja) * 1991-07-12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JP3167372B2 (ja) * 1991-10-11 2001-05-2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S2160015B1 (es) * 1998-08-13 2002-05-01 Bsh Fabricacion Sa Acondicionador de aire movil.
US6368343B1 (en) 2000-03-13 2002-04-09 Peter M. Bonutti Method of using ultrasonic vibration to secure body tissue
US9138222B2 (en) 2000-03-13 2015-09-22 P Tech, Llc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body tissue
US6418744B1 (en) * 2001-04-09 2002-07-16 Earnest J. Nea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n ambient climate control system
US6474086B1 (en) * 2002-01-03 2002-11-05 Wen-Jie Liu Air conditioner having functions of fire preventing, smoke exhausting and water spraying
US20080039873A1 (en) 2004-03-09 2008-02-14 Marctec, Llc.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body tissue
US8109104B2 (en) * 2004-08-25 2012-02-0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creased performance in a refrigeration system
US20060130779A1 (en) * 2004-12-20 2006-06-22 Chun-Ta Wei Water level detection apparatus for secondary water tank of radiator of wheeled vehicle
KR20070053939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27181A1 (en) * 2006-04-04 2007-10-04 Eduardo Leon Condenser shroud assembly for a direct current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70227178A1 (en) * 2006-04-04 2007-10-04 Eduardo Leon Evaporator shroud and assembly for a direct current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70227177A1 (en) * 2006-04-04 2007-10-04 Eduardo Leon Air mover cover for a direct current air conditioning system
EP1857363A1 (fr) * 2006-05-19 2007-11-21 Lebrun Nimy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température
US20120103559A1 (en) * 2010-11-03 2012-05-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Air-Based Geothermal Cooling System Criteria For Telecom Utility Cabinet
US9447992B2 (en) 2010-11-03 2016-09-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Geothermal system with earth grounding component
USD745129S1 (en) * 2013-08-08 2015-12-08 Amano Corporation Industrial air cleaner
TWI522534B (zh) * 2013-09-02 2016-02-2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顯示器風扇控制裝置及方法
CN106500197A (zh) * 2016-10-31 2017-03-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
CN110749052B (zh) * 2019-10-12 2021-05-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散热设备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2459A (en) * 1934-10-24 1941-02-18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110161A (en) * 1962-04-04 1963-11-12 Admiral Corp Float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3412571A (en) * 1966-10-12 1968-11-26 Andrew T. Bolynn Refrigeration system
US3635046A (en) * 1969-03-13 1972-01-18 Tokyo Shibaura Electric Co Air-conditioning apparatus
JPS6012532B2 (ja) * 1980-10-13 1985-04-02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US4364237A (en) * 1981-02-02 1982-12-21 Borg-Warner Corporation Microcomputer control for inverter-driven heat pump
JPS58129121A (ja) * 1982-01-27 1983-08-0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519696Y2 (ko) * 1987-09-14 1993-05-24
IT1218242B (it) * 1988-05-13 1990-04-12 Miralfin S P A Ora Miralfin Sr Apparecchiatura per il condizionamento dell' aria in un loc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620A (ko) 1991-08-08
EP0434424A2 (en) 1991-06-26
US5099652A (en) 1992-03-31
EP0434424A3 (en) 1992-04-08
EP0434424B1 (en)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881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US6257007B1 (en) Method of control of cooling system condenser fans and cooling tower fans and pumps
US8159170B2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US5297395A (en) Air conditioner using rotary-type heat exchangers
US5182915A (en) Portable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01179882A (ja)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EP0421699A2 (en) Portab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033655B2 (ja) 冷却装置及び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9120180A (ja) 車両用温度調節装置
JP7278408B2 (ja) 液面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08082620A (ja) 冷却装置
JP2598080B2 (ja) 空気調和機
US4109482A (en) Fan control circuit for air conditioner
JP3480871B2 (ja) 空気調和機
JP2000266439A (ja) 冷蔵庫
JPH10148406A (ja) 冷凍機の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
KR0177693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매 사이클 제어방법
JPH03211363A (ja) 空気調和機
KR0110427Y1 (ko) 에어콘 기능을 갖는 선풍기
JP7321297B2 (ja) ショーケース
JPH01247940A (ja) 空気調和機
KR100871116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냉난방기
JPH03191245A (ja) 空気調和機
WO2021074993A1 (ja) ショーケース
JP201618382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