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31Y1 -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31Y1
KR930006831Y1 KR2019910007716U KR910007716U KR930006831Y1 KR 930006831 Y1 KR930006831 Y1 KR 930006831Y1 KR 2019910007716 U KR2019910007716 U KR 2019910007716U KR 910007716 U KR910007716 U KR 910007716U KR 930006831 Y1 KR930006831 Y1 KR 930006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odule
storage battery
direct current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222U (ko
Inventor
강부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엔지니어링
강부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엔지니어링, 강부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10007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31Y1/ko
Publication of KR920022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20A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₁, D₂, D₃ : 다이오드 TR₁. TR₂ : 모듈트랜지스터
T₂ : 트랜스 BT : 축전지
㉮ : 신호검출센서회로 ㉯ : 경보회로
㉰ : 조정회로 ㉱ : 전력조정회로
본 고안은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승용차 또는 화물차 등과 같이 축전지를 자동적으로 충전 시킬수 있는 충전 장치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축전지가 소모 될 경우에는 재 충전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종래의 축전지의 충전방식은 일차 인입상용전압을 하강(DOWN)시켜 그 전압을 정류소자를 통하여 단장전파 또는 삼상전파의 정류방식으로 정류하여, 그 직류 전압으로 축전지를 충전하거나 또는 일차측에는 DOWN용 TRANSFORMER로 구성하여서 된 S. C. R. TYPE등의 충전기로 충전하게 되므로, 이는 저주파직류로 충전하게 되므로 충전기의 무게와 부피가 크고 충전 소비전력을 많이 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전체에 사용되고 있는 기기 대수를 줄잡아 수십만대로 볼 때 허실되는 소비전력량을 금액으로 따져 수천억원에 달하게 되어 국가에너지 절약시책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주파직류에 의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충전소비전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충전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부피를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즈(F1)(F2)와 스위치(SW)로 된 입력측의 교류전압을 다이오드(D1), 저항(R1), 휴즈(F3), 콘덴서(C1)에 의하여 정류시킨 직류를 모듈(MODULE)트랜지스터(TR1)(TR2)에 의하여 교류로 전환시키고, 트랜스(T2)의 2차측에 다이오드(D2), 쵸오크(L1), 휴즈(F4), 다이오드(D3)에 의하여 고주파직류를 발생시켜, 상기의 고주파 직류를 출력측(PO)(NO)을 통하여 축전지(BT)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신호검출센서회로(㉮)와 경보회로(㉯)에 의하여 AC입력에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스위치(SW)를 자동으로 콘트롤 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작중 이상유무를 조정회로(㉰)에 의하여 자동으로 콘트롤 되게 하고, 모듈트랜지스터(TR1)(TR2)작동은 전력조정회로(㉱)에 의하여 콘트롤 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는 모니터 표시판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AC입력의 이상유무는 신호검출센서회로(㉮)와 경보회로(㉯)에 의하여 감지되어 이상있는 때는 스위치(SW)는 오프(OFF)상태로 되고, 이상이 없는 때는 스위치(SW)는 온(ON)상태로 되어 다이오드(D1)로 입력되어 직류로 정류된다.
다음 직류는 모듈트랜지스터(TR1)(TR2)에 의하여 다시 교류로 되게 되는데, 상기 작동과정에서 이상이 발생시에는 전력조정회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된다.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시에는 트랜스(T2)의 2차측에는 매우 높은 고주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의 고주파에 의하여 충전되게 되므로 충전소비전력을 대폭 감소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AC→DC→AC→DC의 정류과정을 거쳐 저주파보다 충전효율이 매우 높은 고주파에 의하여 충전시키게 되므로 충전소비전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주파수에 비례하여 TRANSFORMER의 크기가 적어짐으로 이에 따라 종래의 중전기에 의하여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즈(F1)(F2)와 스위치(SW)로 된 입력측의 교류전압을 다이오드(D1), 저항(R1), 휴즈(F3), 콘덴서(C1)에 의하여 정류시킨 직류를 모듈(MODULE) 트랜지스터(TR1)(TR2)에 의하여 교류로 전환시키고, 트랜스(T2)의 2차측에 다이오드(D|2), 쵸오크(L1), 휴즈(F4), 다이오드(D3)에 의하여 고주파 직류를 발생시켜 상기의 고주파 직류를 출력측(PO)(NO)을 통하여 축전지(BT)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신호검출센서회로(㉮)와 경보회로(㉯)에 의하여 AC입력에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스위치(SW)를 자동으로 콘트롤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작중 이상유무를 조정회로(㉰)에 의하여 자동으로 콘트롤 되게 하고, 모듈트랜지스터(TR₁)(TR₂)작용은 전력조정회로(㉱)에 의하여 콘트롤 되게 한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이동 충전 장치.
KR2019910007716U 1991-05-27 1991-05-27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KR930006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716U KR930006831Y1 (ko) 1991-05-27 1991-05-27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716U KR930006831Y1 (ko) 1991-05-27 1991-05-27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222U KR920022222U (ko) 1992-12-19
KR930006831Y1 true KR930006831Y1 (ko) 1993-10-07

Family

ID=1931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716U KR930006831Y1 (ko) 1991-05-27 1991-05-27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827B1 (ko) * 1999-04-03 2001-12-22 권영한 고주파 고압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222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7609A (en)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JP295668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US4236107A (en) Secondary cell charging system
KR930006831Y1 (ko) 지게차용 축전지의 전자식 자동 충전 장치
JPS62173913A (ja) 回路しや断器の電源装置
JPH04229028A (ja) デュアルモード電池充電器
JPH08317575A (ja)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US20200144810A1 (en)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dc/dc converter
JPH05103430A (ja) バツテリ充電回路
JPH05344605A (ja)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JP2001128389A (ja) 電源ユニット
CN111579920A (zh) 故障检测装置和方法
JP3071488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H01110060A (ja) 電源装置
JPH0865908A (ja) 充電器
JPH01122327A (ja) 電源装置
JPH0739014A (ja) 車両用充電装置
CN113595226B (zh) 一种充电电流可调的ups电源充电系统
KR200194413Y1 (ko) 제로화 스위칭 방식 배터리 충전기
KR100266515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충전방법 및 장치
JPH0416637Y2 (ko)
JP2728682B2 (ja) 電算機用無停電付電源装置
JPH03117373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70145A (ja) 定電圧充電器
KR930007931Y1 (ko) 무선 전화기의 정전시 사용 가능한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