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55Y1 -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55Y1
KR930006255Y1 KR2019910000605U KR910000605U KR930006255Y1 KR 930006255 Y1 KR930006255 Y1 KR 930006255Y1 KR 2019910000605 U KR2019910000605 U KR 2019910000605U KR 910000605 U KR910000605 U KR 910000605U KR 930006255 Y1 KR930006255 Y1 KR 930006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late portion
garbage
stage
b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082U (ko
Inventor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최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찬 filed Critical 최종찬
Priority to KR2019910000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255Y1/ko
Publication of KR920015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통부만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분을 나타낸 배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걸이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일부분을 예시한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함체부 200 : 통로부
300 : 앞뚜껑판부 400 : 뒷뚜껑판부
500 : 비닐포대 600 : 쓰레기함
700 : 괘정구
본 고안은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방형의 함체에 용기부와 통로를 경사지게 형상하므로 쓰레기의 투입과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워질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은 공간에서도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통은 주로 가옥 밖으로 1개의 커다란함체를 구비하여 가정에서 불필요한 각종 쓰레기를 모두 수집하여 버려짐에 따라, 재생이 가능한 물품과 음식물 찌꺼기, 연탄재와 같은 모두 쓰레기가 섞여 청소원에 의해 수거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석여진 쓰레기중 재생이 가능한 물품과, 소각할 물품, 그리고매립하여야 되는 물품등을 수거한 다음 분리 작업자가 추후 인위적인 방법으로 일일이 분리하여 각기 처리되는 바, 각 가정에서 수집할때 각종 쓰레기가 혼합되어 재생이 가능한 물품이 음식물 찌꺼기등에 의해서 못쓰고 버리게 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되어, 많은 자원의 낭비로 개인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커다란 손실이 뒤따르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소각을 해야만 되는 물품속에도 다른 물품이 섞여져 공해를 해치거나, 매립시에도 불순물로 인한 각종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되어 정부의 권장으로 각 가정에서 쓰레기를 분리 수거토록 된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므로, 각 가정에서는 분리수거를 위한 수개의 쓰레기통이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옥 밖의 많은 공간을 쓰레기통이 차지하여 환경미화를 해침은 물론 보행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대부분 쓰레기통의 덮개가 완전한 밀폐되지 않은 관계로 여름철에는 파리와 모기와 같은 각종 곤충이 모여드는 원인이 되므로 매우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어 적은 공간으로 완전한 밀폐는 물론 분리수거가 용이한 쓰레기통이 요구되었다.
이는 케비넷형식의 보체에 상하좌우로 수개의 박스를 복수로 형성시켜 이용시 해당 박스를 연출하여 쓰레기를 넣고 다시 본체내로 진입하는 방법으로 쓰레기를 수집케 한후 이를 청소작업자가 수거할때는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박스를 인출하여 별도의 수거용기에 쓰레기를 일일이 옮기고 수거차량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토록 되었다.
따라서 쓰레기를 투입하는 작업시나, 수거시에 비교적 부피가 큰 박스를 인출할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될뿐만 아니라, 투입 박스가 평면적이여서 투입할때 위치된 쓰레기가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입구에만 적재되는 현상이 나타난 정해진 용기 크기에 비하여 적은양의 쓰레기를 버리더라도 용기가 채워지는 등 용기내의 용량활용을 정상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수거자가 별도의 용기에 옮기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용기에서 부터 깨끗하게 모든 쓰레기를 수거하기가 난이함은 물론 먼지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체를 가옥내에 비치할 경우는 청소 작업자가 가정내로 항시 들어와야만 수거가 가능하여, 실외에 비치될 경우는 사용자가 매우 불편해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도 간단히 분리된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거자도 복잡하고 번거롭게 쓰레기 옮기고 이동하는 과정없이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로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 분리된 수개의 내통을 함체내에 상하 병렬로 경사지게 인입 설치하여 항시 투입된 쓰레기가 일측 하부에 차례로 적재토록 하고, 둘째 : 사용자로 하여금 쓰레기의 투입을 손쉽게 하도록 함은 물론, 그 작업 공간을 최소로 줄여 작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하며, 셋째 : 쓰레기를 버리는 투입구와 수거용 출구를 양측으로 각기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와 수거작업자가 대문을 이용하지 않고도 쓰레기를 버리거나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 분리수집된 쓰레기를 별도의 수집 용기에 옮기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히 수거해 갈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물론 작업자가 편리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하여 줄수 있도록 하여주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함체부(100), 함체부(100)의 전면판부에서 후면판부측으로 일정간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통로부(200)들, 상기 통로부(200)들의 상부의 전면판부에 겨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앞뚜껑판(300)들 및 상기 통로부(200)들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별도의 쓰레기함(600)들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부(100)는 제1도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판부(110)에서 후면판부(120) 좌,우판부(130)(140) 및 하판부(160)의 주연부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부(100)의 전면판부(110)에는 통로부(200)의 상부에 경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판체로 된 앞뚜껑판부(300)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투입부(230)를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앞뚜껑판부(300)에는 개폐의 편이를 위하여 손잡이부(3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면판부(120)측의 통로부(200)들의 좌우에는 후술하는 쓰레기함(600)의 결착판부(620)에 형성된 고정구멍(631)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2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로부(200)들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윗판부(210) 및 바닥판부(220)가 전면판부(110)에서 후면판부(12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윗판부(210) 및 바닥판부(220)와 일체로 좌,우벽면판부(250)(260)를 형성하며 전,후면이 트여지는 사각형상의 통로부(200)를 형성하여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다단층을 이루어 후술하는 쓰레기함(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로부(200)는 투입부(230)들이 작고, 인출부(240)들이 보다 큰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부(100)의 하부로는 통로부(200)들중에 최하단에 위치되는 통로부(200)의 바닥판부(220)와 하판부(160) 사이로는 비닐포대(500)나 그외 청소용구등이 내장될 수 있는 보관부(9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쓰레기함(60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로부(200) 내에 끼워져서 그 앞부분이 통로부(200)를 통하여 전면판부(110)로부터 일정하게 돌출되는 내통부(610), 그 내통부(610)의 뒷부분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멍(631)을 양측부에 형성하여 된 뒷판부(630)에 필요에 따라서 결착되거나 해체될 수 있도록 된 결착판부(620) 및 상기 내통부(610)의 뒷부분 하부에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상부에는 쾌정구(700)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판부(620)에 걸려지거나 해체되는 구조를 가지는 뒷판부(6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통부(610)는 투입부(230)들이 작고, 인출부(240)들이 보다 큰 단면 형상을 가지는 통로부(20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쓰레기함(600)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함체부(100)에 형성된 다단층의 통로부(200)에 병렬로 끼워져 상기 인출부(240)측의 후면판부(120) 좌, 우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21)에 쓰레기함(600)의 결착판부(620)에 형성된 고정구멍(631)을 끼워 결합하여 설치 구성된다.
따라서, 함체부(100) 내부의 다단층의 통로부(200)에 병렬로 쓰레기함(600)을 끼워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면판부(110)의 앞뚜껑판부(300)를 열고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쓰레기함(600)에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면 되는 것이고, 내용물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은 우선, 상기 후면판부(120)에 걸림돌기(121)에 걸려져 있던 내통부(610)를 인위적으로 해체한 후 약간의 당기는 힘을 가하면 통로부(200)에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던 내통부(610)가 통로부(200)로부터 미끄러지며 인출되는 것으로 별도의 용기에 옮기지 아니하고도 수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함체부(100)의 하부에는 바퀴(800)를 수개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함체부(100)의 설치는 제3도 및 제7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이 담벽이 위치되게 하여 전면판부(110)는 가옥의 실내로 오도록 하고, 후면판부(120)는 가옥밖의 실외에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별도의 쓰레기함(600)이 없이 통로부(200)자체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통로부(200)의 바닥판부(220) 및 좌,우벽면판부(250)(260)가 상기 함체부(100)의 전면판부(110)에서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통로부(200)의 전,후면이 트여져 형성된 투입부(230)와 인출부(240)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함체부(100) 내부에 다단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30)측의 전면판부(110) 상부에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뚜껑판부(300)로 투입부(23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인출부(240)측의 후면판부(120) 상부에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뒷뚜껑판부(400)를 설치하고,그 뒷뚜껑판부(400)의 하부에는 괘정구(700)를 형성하여 후면판부(120) 내측에 필요에 따라서 걸려지거나 해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부(200)와 내통부(610)는 동일 형상으로 정면으로 보면 상광하협식으로 양측면이 경사짐에 따라 쓰레기가 항시 하부로 모여지게 하였으며, 제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후면판부(120), 상기 통로부(200)의 투입부(230)에서 인출부(240)측이 낮도록 일정각도(a)를 유지케 하므로서 내통부(610), 또는 비닐포대(500)에 수거되는 쓰레기는 항상 우측하부로만 모이도록 고성됨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는 제7도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비닐포대(500)가 통로부(200)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뒷뚜껑판부(400)가 후면판부(120)의 내측에 걸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면판부(110)의 앞뚜껑부(300)를 열고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로부(200)에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고 내용물이 완전히 채원진 상태에서는 후면의 뒷뚜껑판부(400)를 열고 쓰레기를 종류에 따라 수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시 즉, 쓰레기를 버릴때는 우선 앞뚜껑부(300)를 인위적으로 들어 올린후 비닐포대(500)나, 쓰레기함(600)내로 가옥 내에서 버리도록 하고, 수거자는 가옥 밖에서 예로서 나타낸 비닐포대(500)나, 쓰레기함(600)을 함체부(100)로 부터 분리시킨후 필요 위치까지 이동하여 비닐포대(500)는 직접 버리면되고, 쓰레기함(600)은 뒷뚜껑부(400)를 해체한후 버리고 다시 함체부(100)에 조립하는 방법으로 수거된다.
수거후에는 다시 쓰레기함(600)를 사용하는 경우는 통로부(200)에 분리되었던 내통부(610)을 조립한후 후면판부(120)의 걸림돌기(121)에 고정구멍(631)을 끼워 맞추면 되는 것이며, 비닐포대(500)를 사용한 경우는 뒷뚜껑판부(400)를 괘정구(700)로 밀폐케 한 후 새로운 비닐포대(500)를 통로부(200) 내측에 준비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용과 소각용, 그리고 매립용등을 각자 구분하여 필요한 해당 용기, 또는 비닐포대(500)에 쓰레기를 버리게 되므로서 쓰레기 분리수거를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각기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한후 청소작업자가 이를 수거할때, 가옥밖에 노출된 내통부(610)의 손잡이홈을 잡고 약간 들어 올리면 함체부(100)의 후면판부(120)에 형성되 있던 결착수단(650), 즉 실시예로 도시한 걸림돌기(121)와 쓰레기함(600)의 후면판(630)에 뚫어진 고정구멍(631)이 분리, 해체하는 방법으로 함체부(100)에서 부터 쓰레기함(600)이 분리되어 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경사진 통로부(200)의 안내로 내통부(610)가 함체부(100)로 부터 미끄러지며 인출되는 것이며, 청소용 수거차량까지 내통부(610)를 이동한후 손잡이를 당겨 뒷뚜껑부(400)가 열려지게 하면 수집되었던 쓰레기를 내통부(610)로 부터 낙하되므로 먼지등이 비교적 매우 적게 발생되며 간단히 쓰레기를 수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각종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 분리수거하여 많은 자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적은 공간으로 가옥의 내외(內外)를 구분하여 사용자는 물론 수거작업자로 하여금 일일이 대문를 경과하지 않고 모든 작업을 행할 수 있게하고, 특히 주어진 작은 공간에서의 쓰레기 투입시 입구의 적당한 경사각도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청소 작업자가 쓰레기를 옮길때 발생되는 먼지와 불편한 작업등을 없앨수 있어 사용자와 청소작업자 모두에게 깨끗한 위생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수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주는등의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8)

  1.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전면판부에서 후면판부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통로부들, 상기 통로부들의 상부의 전면판부에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뚜껑판부들 및 상기 통로부들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별도의 쓰레기함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체부의 하부로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퀴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함체부의 후면판부에서 통로부가 위치되는 부분에 뚫려진 인출부의 상부에 경첩으로 지지되는 뒷뚜껑부로 밀폐 지지시키게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통로부는 투입구측들이 작고, 인출구측들이 보다 큰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의 투입부에서 인출부측이 낮도록 일정 각도(a)을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함체부의 하부측으로는 최하단에 위치되는 통로부의 바닥판부와 함체부의 하판부 사이에형성된 공간으로 보관부를 갖도록하여 비닐포대 및 각종 청소용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6. 제1항에 있어서, 함체부에 형성되는 통로보의 배면부는 트여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에 진입되는 쓰레기함은 통로부의 내특 단면형상을 가지되, 그 뒷판부가 함체부의 배면위치되는 걸리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에 끼워지는 내통부의 인출부측으로 상부가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뒷판부로 인출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딧 분리수거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함의 내통부는 투입구측이 작고 인출구측이 큰 통로부에 상용하는 형상을가지되, 결착판부의 좌, 우에는 고정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딧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19910000605U 1991-01-16 1991-01-16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KR930006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605U KR930006255Y1 (ko) 1991-01-16 1991-01-16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605U KR930006255Y1 (ko) 1991-01-16 1991-01-16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082U KR920015082U (ko) 1992-08-14
KR930006255Y1 true KR930006255Y1 (ko) 1993-09-17

Family

ID=1930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605U KR930006255Y1 (ko) 1991-01-16 1991-01-16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3Y1 (ko) * 2018-12-20 2019-08-19 윤희남 재활용품수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3Y1 (ko) * 2018-12-20 2019-08-19 윤희남 재활용품수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082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843A (en) Compartmented receptacle for use in recycling and waste disposal
US5076458A (en) Recyclable trash collection station for household usage
US5090785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KR102034954B1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US6354441B1 (en) Waste disposal and manager system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930006255Y1 (ko) 다단식 분리수거 쓰레기통
US6293409B1 (en) Y-shaped garbage and recyclables separating disposal system
KR101470156B1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GB2252898A (en) A compartmentalised container for recyclable waste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101654506B1 (ko)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212075203U (zh) 一种分类抽屉式垃圾箱
KR102179113B1 (ko)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EP0341353A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ste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CN210259767U (zh) 一种新型社区垃圾归类收纳箱
CN217674719U (zh) 一种分类垃圾桶
JP3055481U (ja) 直立式分別ごみ箱
JPH10109701A (ja) 分別用ゴミ箱
CN211618865U (zh) 一种便于清洗的垃圾回收箱
CN211944738U (zh) 一种垃圾桶
CN212557734U (zh) 一种双开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