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39Y1 - 접철 의자 - Google Patents

접철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39Y1
KR930005939Y1 KR2019910001039U KR910001039U KR930005939Y1 KR 930005939 Y1 KR930005939 Y1 KR 930005939Y1 KR 2019910001039 U KR2019910001039 U KR 2019910001039U KR 910001039 U KR910001039 U KR 910001039U KR 930005939 Y1 KR930005939 Y1 KR 930005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plate
pie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657U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19910001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939Y1/ko
Publication of KR920014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철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및 U형 받침판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4a도는 지지대 부분의 단면도.
제4b도는 받침대 부분의 단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고안의 접철상태등을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판 2 : 좌판 보조편
3 : 등판 4 : 등판 보조편
5, 5' : 핀 6 : 유동축
7 : 지지대 8, 8' : 연결편
9 : 팔걸이대 10 : 삽입공
11 : 안내요홈 12 : 축봉
13 : 스프링 14 : 요형홈
15 : 횡프레임 16 : 고정편
17 : 받침대 18 : 고정쇠
19 : U형 받침판 20 : 완충스프링
21 : 지지축 22 : 조정축
23 : 걸림고리편 24 :분할핀
25 : 복원스프링 26 : 걸림고리편 해체용발판
27 : 덮개 28 : 체결공
29 : 안내판 30 : 정지봉
본 고안은 연극관, 예술관, 영화관등 각종 공연장이나 관람용에 매우 적합한 접철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후 자동으로 등판과 좌판, 팔걸이대가 동시에 수직으로 접철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일단 접철된 상태에서 의자 자체를 유연하게 눕히고 세울수 있도록 하여 유효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에도 여러종류의 접철식 의자가 공지되고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주로 야외용 또는 휴대용에 적합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기에 공연장등 제한된 공간내에서의 이용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으며, 이외에도 관람용에 적합한의자로서 접철식구조로 된 것이 시중에 선보이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좌판은 접철되지만 팔걸이대 부분만은 고정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관람을 위하여 좌석사이를 지나거나 좁은 통로를 통행할시에는 팔걸이대로 말미암아 통행에 큰 지장을 가져왔으며 특히 내부가 어두운 영화관 등의 공연장에서는 그러한 불편함이 훨씬 가중되는 불편함이 있고, 화재등의 비상사태 돌발시에는 통로의 비좁음등으로 인해 일거에 많은 사람들이 긴급 대피하기 어려워 큰 혼잡과 막대한 피해가 초래될 수 있는 위험성 마저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결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좌판으로부터 이석(이席)하는 순간 좌판과 팔걸이대 및 등판이 일체로 접철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할 경우 발판을 밟으면 접철되어진 의자 자체가 유연하게 눕혀지고 세워질수 있도록하여 활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한 의자를 제공코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과 연관시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판(1)양측단에 부착된 좌판보조편(2)과 동판(3)양측단에 부착된 동판보조편(4)을 핀(5)으로 연결시켜 유동될 수 있게끔 구성하고 좌판보조편(2)에는 유동축(6)과 정지봉(30)을 돌출, 형성하여 지지대(7)와 결합시킴으로써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지지대(7)에는 유동축(6)이 삽차되는 삽입공(10)과 정지봉(30)이 활동할 안내요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연결편(8)과 팔걸이대(9)가 축봉(12)을 중심으로 연설되어 있고, 팔걸이대(9)는 지지대(7)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3)과 결착되어 있으며 연결편(8)은 핀(5')으로 등판보조편(4)상단에 유설되어 있다.
또한 양지지대(7)하부의 요형홈(14)에는 횡프레임(15)이 삽설되어 고정편(1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받침대(17)는 고정쇠(18)에 의해 횡프레임(15)의 중단부에 삽지되어 있고 받침대(17)는 재차 U형 받침판(19)에 완충스프링(20)과 함께 지지축(21)으로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U형 받침판(19)후방에 횡설된 조정축(22)에는 받침대(17)를 고정하기위한 걸림고리편(23)이 분할편(24)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복원스프링(25)이내 삽되어 있으며 U형 받침판(19)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축(22)일측에는 걸림고리편 해체용발판(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완벽하게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U형 받침판(19)상단에 덮개(27)를 덮게되며, 그 저부에는 체결공(28)을 형성하여 적정지점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체결구(미설명 부호로서 도시되지 아니함)와 단단히 결착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사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첨언할 사항은 본 고안은 단일체로도 형성, 가능하나 다수개를 연설 할 수도 있는데(제6도 참조)이럴 경우 전술한 연결편(8')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7)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설치 된다는 점이며 하단부의 조정축(22)역시 연설된 의자길이에 사용되게끔 형성하고 그 끝단에 걸림고리편 해체용발판(26)을 1-2개 정도 구성한다는 점이다. 다만 발판(26)의 경우 의자 4개가 연설되었을 때에는 하나만으로 충분하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조정축(22)양끝단에 2개를 설치함이 매우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횡프레임(15)양측단의 빈공간에는 외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된 안내판(29)을 삽설하는데 이의 내부에는 전구부착도 가능하다.
그리고 팔걸이대(9)는 등판(3) 및 좌판(1)이 접철됨과 동시에 같이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일단 접철된 상태하에서는 단독적인 원상 회복도 가능한 바, 그 이유는 팔걸이대(9)저부에서 받침 역할을 하던 연결편(8)이 하강하여 아무런 걸림이 없기 때문이며 또 수평유지를 위한 힘을 계속 가하지 아니하면 내부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곧 절첩상재로 되돌아 오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31)은 마개로서 지지대(7)중단부에 삽착하여 미관상 보기 흉함을 방지토록 하며(32)는 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자리를 이탈 할 경우 동판(3)의 무게로 인해 동판(3) 및 동판보조편(4)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좌판보조편(2) 및 좌판(1)후방부와 연결편(8)의 일측을 하강토록하며 이와 연이어 좌판(1)전방부는 유동축(6)을 중심으로 상향회전하여 등판(3)과 좌판(1)이 수직으로 평행한 접철상태가 되고 상기 연결편(8)과 연설된 팔걸이대(9)역시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상태로 변모한다.
또 착석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판(1)전방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하향회전 시키면(등판을 위로 올려도 관계없으나 많은 힘을 요한다)유동축(6)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구성들의 연쇄 작용으로 등판(3)이 상승하면서 좌정가능한 상태가 되고 팔걸이대(9)는 연결편(8)에 거치되어 회전하면서 수평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작용과 연동하는 정지봉(30)은 지지대(7)내에 형성된 안내요홈(11)내를 원호형으로 운동하면서 좌판(1)의 과다한 움직임(접철 및 하강의 과다함)을 방지하는데 일조를 가한다.
그리고 접철되어진 의자를 하부바닥에 눕히고자 할 경우, 조정축(22)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26)을 밟으면 걸림고리편(23)이 받침대(17)로 부터 해체되면서 서서히 전방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축(21)에 연설된 완충스프링(20)의 완충작용으로 충격없이 부드럽게 눕힐 수가 있으며 다시 세우고자 할 경우에는 발판(26)을 밝고서 눕혀진 의자에 약간의 힘을 가하면 복원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부드럽게 세워지게 되고 세운후에 발판(26)을 놓으면 걸림고리편(23)이 받침대(17)에 재차 결착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이석(이席)했을 경우에는 상기 구성들의 연쇄, 연동작용으로 인해 팔걸이대등이 자연스럽게 접철되므로 좁은 공간내에서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석코자 할 경우 좌판만 살짝 눌러주면 되므로 그 사용의 간편함이 돋보이며 특히, 화재나 군중난동등의 비상사태 돌발시에는 대피코자하는 공간 통로가 넓어지게 되므로 큰 혼잡을 최소화 시킬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철된 의자 자체를 유연하게 눕히고 세울수 있어 비상계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지된 접철 이동식 계단(전기적 힘을 통해 하단부의 계단이 상단부 계단속으로 들어가게 하거나 나오도록 구성된 계단)에 부착할 경우에는 공간 활용면(특히 소공연장 등)에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덧붙여 전구가 삽설되어 있는 안내판을 번호판, 광고판등으로도 이용 할 경우에는 어두운 내부에서 통로 안내 및 선전 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접철식 의자에 있어서, 좌판(1) 양측단에 부착된 좌판보조편(2)과 등판(3)양측단에 부착된 등판보조편(4)을 핀(5)으로 유설하고 좌판 보조편(4)에는 유동축(6)과 정지봉(30)을 돌출, 형성하여 지지대(7)와 결합시키며, 지지대(7)에는 유동축(6)이 삽착될 삽입공(10)과 정지봉(30)이 활동할 안내요홈(1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연결편(8)과 팔걸이대(9)가 축봉(12)을 중심으로 연설되어 있고 팔걸이대(9)는 지지대(7)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3)과 결착시키고 연결편(8)은 핀(5')으로 등판보조편(4) 상단에 유설하며 양지지대(7) 하부의 요형홈(14)에는 횡프레임(15)이 삽설되어 고정편(1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받침대(17)는 고정쇠(18)에 의해 횡프레임(15)중단부에 삽지하고 받침대(17)는 재차 U형 받침판(19)에 완충스프링(20)과 함께 지지축(21)으로 연설하며 U형 받침판(19)후방에는 조정축(22)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U형 받침판(19)후방에 횡설된 조정축(22)에는 받침대(17)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고리편(23)이 분할핀(24)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복원스프링(25)이 축삽되어 있으며 U형 받침판(19)의 축으로 돌출된 조정축(22)일단에 걸림고리편 해체용 발판(26)이 설치되어 있고 U형 받침판(19)저부 및 상단에는 체결공(28)과 덮개(27)를 형성하며 상기 횡프레임(15) 양측단의 빈 공가에 안내판(29)을 삽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의자.
KR2019910001039U 1991-01-23 1991-01-23 접철 의자 KR930005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039U KR930005939Y1 (ko) 1991-01-23 1991-01-23 접철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039U KR930005939Y1 (ko) 1991-01-23 1991-01-23 접철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657U KR920014657U (ko) 1992-08-14
KR930005939Y1 true KR930005939Y1 (ko) 1993-09-13

Family

ID=1931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039U KR930005939Y1 (ko) 1991-01-23 1991-01-23 접철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29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유니테크시스템 접이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29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유니테크시스템 접이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657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274A (en) Retractable seat for gaming devices
JP3714968B2 (ja) 移動観覧席の椅子の起立倒伏構造
US9693630B2 (en) Beam mounted chair assemblies, chair assemblies of use within the beam mounted chair assemblies, components for use within the chair assemblies and parts for use within the components
US5159947A (en) Collapsible tent frame
US3052251A (en) Spectator shelter
US3121494A (en) Book stop device
US9993080B2 (en) Beam mounted chair assembly
KR20010007327A (ko) 적재식 의자
US3077364A (en) Stadium seating structure
CA2164527A1 (en) Theatre
KR102223928B1 (ko)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수납식 관람석 의자
US20060214488A1 (en) Folding seat having a moving seat proper and a moving seat back
US6293621B1 (en) Gravity lift chair
US20180055231A1 (en) Foldable chair
KR930005939Y1 (ko) 접철 의자
US3116091A (en) Stadium seat
KR20160053634A (ko) 관람석용 의자
US3233939A (en) Seating unit
JP2003310386A (ja)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US3796459A (en) Folding church pew
US1210518A (en) Folding device for theater-chairs.
US5303980A (en) Child theater booster seat
RU149504U1 (ru) Крепление кресла для стадионов (варианты)
US3228723A (en) Folding chair assembly
US5014818A (en) Children's vanity step-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