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13B1 -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13B1
KR930005913B1 KR1019900701707A KR900701707A KR930005913B1 KR 930005913 B1 KR930005913 B1 KR 930005913B1 KR 1019900701707 A KR1019900701707 A KR 1019900701707A KR 900701707 A KR900701707 A KR 900701707A KR 930005913 B1 KR930005913 B1 KR 93000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distal end
intermediate tube
surgical
l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28A (ko
Inventor
윤인배
Original Assignee
윤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배 filed Critical 윤인배
Publication of KR91070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20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 A61F6/206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20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 A61F6/208Implements for liga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20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 A61F6/22Vas deferens occluders; Fallopian occluders implantable i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외과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장치의 외부튜브 또는 실린더의 확대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중간튜브 또는 실린더의 확대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부재 또는 실린더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확대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내부부재 내로 삽입된 추가의 세장(細長)외과기구의 측면도.
제6도는 핀셋을 인출, 인입하는데 사용되는 핸들을 제1도의 중심에서 본 분해확대 저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우측에서 본 분해 확대 정면도.
제8a와 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로서 도면 좌측의 핀셋에는 생검을 하기 위한 요소가 구비되며 제8a도는 기구가 열린상태를, 제8b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제1도에 도신된 기구에 복강경이 구비된 경우의 측면도이며, 기구와 복강경을 연결하는 회전고리가 도시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핀셋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말단부의 확대된 부분 측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와 유사하나 상기 기구의 말단부로부터 뻗은 다른 기구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중간튜브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조직 수용 슬롯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하나 상기 중간튜브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하나 상기 중간튜브부재의 단부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클립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15a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상기 신장가능한 클립의 사시도.
제15b도는 나팔관과 같은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결찰하는, 제15a도에 설명된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6도는 제15a도에 도시된 클립의 설치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클립의 다리 사이에 위치한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단편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예를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
제17도는 상기 장치에(제14도) 상기 신장가능한 클립(제15도)을 설치하기 위한 로딩장치의 부품과 클립패키지의 평면도.
제18a도는 본 발명에 따를 또다른 신장기능한 클립의 열린 상태의 측면도.
제18b도는 나팔관의 같은 해부학적 관형구조 둘레에 위치한 제18a도의 클립을 나타내는 도면.
제19a와 b도는 제18a와 b도와 유사한 것으로서 본 각기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
제20a와 b도는 제18a 및 b도와 유사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신장가능한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한 신장가능한 클립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3도는 제21도에 도시한 신장가능한 클립을 사용하여 또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4도 내지 제3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 장치의 내부튜브부재의 단부에 장착된 핀셋의 다른 형태들을 부분적으로 분리 절단한 측면도.
제40도와 제41도는 각기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부재의 단부에서의 단부 또는 측면부 흡인장치를 부분적으로 분리 절단한 측면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자궁난관 접합부에 사용하는 플러그의 측면도.
제43도는 자궁난관 접합부 플러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 장치의 부분적으로 분리 절단된 측면도.
제44도는 제43도의 외과적 장치와, 제42도의 플러그와, 그리고 상기 외과적 장치에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한 푸시장치(pusher)를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
제45도는 제43도와 제44도에 나타난 외과적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늘구조의 측면도.
제46도와 제47도는 각각 자궁난관 접합부에 삽입된 자궁경 플러그와 복강경 플러그를 부분적으로 분리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48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난소체 캡의 측면도.
제49도는 제48도에 나타난 난소체 캡의 정면도.
제50도는 난소체 캡이 착탈 가능하게 장치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분리 절단한 측면도.
제51도는 52도 53도는 제48도에 나타난 난소체 캡과 그의 정면, 후면의 사시도.
제54도는 나팔관 입구에서의 난소체의 사시도.
제55도는 제54도에 나타난 난소체의 위치한 난소체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대체로 외과적 장치 및 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기능의 내시경적 및 또는 비내시경적 외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은 해부학적 관상기관 혹은 비관상기관 구조를 폐색, 결찰함에 있어서 전(全)단계에 걸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여성의 나팔관이나 남성의 정관을 폐색 혹은 절단하거나, 또는 혈관결찰, 해부학적 관강이나 기관 조직구조를 막는 것에 이용된다.
현재, 여성과 남성을 상대로 한 다양한 붙임술이 시술되고 있다. 그 한 가지는 나팔관을 자르고 묶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쌍극성이나 단극성 기구에 의해 전기적으로 응고시킬 수 있는 내시경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관, 정관 혹은 혈관을 폐색하거나 클립핑하기 위하여 영구적으로 변형 가능한 클립이나 탄성고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클립핑이나 폐색과정은 한 개 이상의 클립을 나팔관에 적용하거나 한 개 이상의 탄성고리를 나팔관이나 정관에 형성된 루프에 적용함으로써 차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잠재적 불임법이다.
탄성고리로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본 발명자에 의한 미국특허번호 제3,870,048호,제3,911,923호, 제3,989,049호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고, 그 내용은 본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전기적 단극성 또는 쌍극성 응고기술은 나팔관, 정관이나 혈관에 대한 전기적 소작(cauterization)를 수반한다. 이들 각각의 과정은 그 자체의 잘 알려진 부수적인 이점과 단점을 갖는다. 이 전기적 기술에 의한 불임시술은 튜브플라스티(tuboplasty)방법에 따른 (종단과 종단 문합술(anastomosis))탄성고리로 클립핑하거나 폐색하는 것보다 나팔관이나 정관을 복원할 가능성이 적다.
이산화탄소 선행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술된 불임기술과 마취제의 사용, 수술부위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주입, 생검(biopsy)법의 이용, 흡인법의 사용 등의 부수적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떤 다목적 기구나 장치도 없었다. 더우기, 불임시술에 있어서 클립을 사용하는 선행기술은 관을 교합하기 위하여 영구적으로 변형 가능한 클립을 사용한다. 적소에서 관을 완전히 결찰하기 위한 충분한 탄성기억을 가진, 스프링이 부착된 클립을 사용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요약하면, 전기적으로 응고시키는 기술과 클립기술과 그리고 고리기술은 각각 환자 개인의 연령 및 나팔관의 상태와 관련된 장단점을 갖는다. 상기 지적된 복강경(내시경)에 의한 관의 결찰의 세 가지 주요 타입의 잇점을 이용하면서 이들 세 가지 기술의 단점을 없애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외과 시술시 각 개인의 조건에 따라 세 가지 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튜브플라스티를 사용치 않고도 복원 가능한 불임법을 행하는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달리 말하면, 폐색장치를 간단히 제거함으로써 환자는 다시 그의 기임 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상기 지적된 기술 이외에 두 가지의 복원 가능한 불임법이 있는데 이는 자궁경(hysteroscope)을 사용하여 자궁난관의 연결부를 막는 것과, 그리고 난관체의 피낭을 입히는 것이며, 이 두 가지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기구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폐색장치가 사용되는 이 신규의 진보된 기구는 영구불임술이나 복원불임술 뿐만 아니라 내시경을 사용하는 외과적 시술, 예컨데 혈관결찰, 폴립절제(polypectomy), 그리고 기타의 결찰, 클립핑, 막기 및 혹은 피낭을 입히는 다양한 외과적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폐색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공지기술도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의 외과적 시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폐색(예컨대 붙임시술)하기 위한 모든 보조적인 시술을 수행하는데 더욱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나팔관이나 정관과 같은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둘러싸거나 가로질러 이를 폐색하기에 충분한 탄성기억을 가진 개량되고, 유연하고, 탄력성 있거나, 또는 신장가능한 해부학적 관형구조용 결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결찰하기 위하여 조명과 관찰수단(예를 들면, 복강경)이 결합된 개선된 다기능의 외과적 시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관찰 수단은 상기 다기능의 외과적 장치에 회전고리로 연결됨으로써 외과적 수술을 행함에 있어서 기구 전체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클립, 플러그, 턴성고리, 또는 형태유지성의 신장가능한 클립을 사용하여 전기적 소작, 관의 절단과 묶음, 관의 교합, 자궁난관 연결부위 막음 또는 난관체에 피낭을 입히는 것과 같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방법 중의 하나에 의해 붙입술을 시술하기 위한 외과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폐색하기 위한 신규의 진보된 신장 가능한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클립이나 결찰기는 열려지고 팽창된 상태로부터 이에 작용된 외력이 제거될 경우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단단히 교합하고 조이는데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향한 외과적 시술을 위해 호환가능한 핀셋을 구비한 진보된 다기능의 외과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목저과 잇점을 하기된 도면과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참조번호에 의해 도면들, 특히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탄성고리나 신장가능한 클립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외과적 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외과적 장치(10)는 외부튜브부재(16)에 끼워져 들어가 신축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중간튜브부재(14)와 이 중간튜브부재(14)에 끼워져 들어가 신축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내부튜브부재(12)를 포함한다. 이들 튜브부재(12), (14), (16)는 각가 원위말단(18), (20), (22)과 근위말단(24), (26), (28)을 가진다. 내부튜브부재(12)는 그의 원위말단(18)으로부터 뻗어 있는 소정의 형태의 핀셋(30)을 구비한다. 내부튜브부재(12)는 단일 구조일 수도 있고 또는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그 근위말단이 본 장치(10)의 근위말단으로부터 뻗치는 것을 막기 위해 투피스의 망원경 구조일 수도 있다. 핀셋(30)은 중간튜부부재(14)내에서 내부튜브부재(2)가 슬라이딩하여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뻗어나오거나 또는 그 안으로 들어간다. 제4도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같이, 이는 내부튜브부재(12)의 중간부위에 매달린 걸이목(peg)(34)에 걸어 맞추어진 포위핸들(32)을 움직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핀셋"이란 용어는 흡인장치 등을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파지수단도 포함하는 용어이다.
핸들(32)의 구조는 제6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슬롯(36)은 핸들(32)의 전방말단(38)에 형성되어 있고 걸이못(34)은 상기 전방말단(38)에 나합되는 캡(40)에 의해 갇혀진다.
제1도에 있어서, 중간튜브부재(14)에는 그 바닥에 세장슬롯(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튜브부재(16)는 그의 바닥에 형성된 유사한 슬롯(44)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슬롯(42), (44)은 같은 치수이며 제1도에서 볼수 있듯이, 걸이못(34)은 상기 슬롯(42), (44)을 통해 뻗어 있다. 그러므로, 핸들(32)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중간 튜부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핀셋(30)를 뻗치게 하거나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전기적 소작방법을 성취하기 위하여, 걸이못(34)은 또한 양극성 혹은 단극성의 전기 콘넥터(connector)일 수도 있다. 내부튜브부재(12)는 제1도의 우측위에서 볼 수 있는 부가적인 전기 콘넥터(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콘넥터(46)는 단극성 혹은 양극성의 전기 콘넥터일 수 있다.
내부튜브부재(12)의 근위말단(24)에는 정지코크(50)와 포트(port)가 구비된 부기의 관형요소(48)을 수용하도록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포트(52)는 예를들면, 이산화탄소(도시치 않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해 연결된다. 분형히, 기체는 내부튜브부재(12)를 통해 수술부위를 통과할 것이다. 기체가 도입된 후 기체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정지코크(50)가 잠궈진다.
제5도에는 내부튜브부재(12)의 근위말단(24)을 통해 수술부위로 삽입될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기구는 보호막(56)내에 들어 있는 세장 캐뉼라(cannula)(54)또는 바늘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기구는 전기적 소작에도 효과적이다. 예를들면, 상기 기구의 말단(58)에는 단극성의 콘넥터(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기구는 또한 마취제의 주입, 수술부위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기체의 적용, 레이저의 적용, 또는 기타 잘알려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도를 더 살펴보면, 본 장치(10)를 복강경(도시하지 않음) 등에 자유롭게 고정하기위하여 나사가 형성된 회전가능한 접속기 부재(62)를 원위말단(22)과 핸들(32)사이의 외부튜브부재(16)상에 위치시킨다.
제1도의 우측부재와 제7도에는 중간 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신장 가능한 결찰기를 밀어내는데 사용되는 핸들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대체로 U자형의 핸들(64)은 일체형이거나 또는(66)을 중심으로 두 갈래로 갈라져 제1핸들부재(68)와 게2핸들부재(70)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핸들부재(68)(70)는 두 갈래로 갈라진 지점(66)에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스프링(72)이 핸들부재(68)가 각기 분리되는 방향으로 부세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를 보면 중간튜브부재(14)의 근위말단(26)에는 나사포스트(74)가 구비되어 있다. 핸들부재(68)의 위쪽 끝에는 나사포스트(74)를 핸들부재(68)에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가 나사인 부재(76)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나사포스트(74)는 외부튜브부재(16)의 세장 슬롯(44)을 통해 하향으로 뻗어 있다. 두 번째 핸들부재(70)의 위쪽 끝에 외부튜브부재(16)의 근위말단(28)이 삽입되는 고정고리(78)가 구비되어 있다. 외부튜브부재(16)의 근위말단(28)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고정캡(82)를 수용하기 위해(80)에서 외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핸들(68)(70)이 함께 죄어지기 때문에 외부튜브부재(16)의 원위말단(22)은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을 향해 그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위말단(20)에 장착된 신장가능한 결찰기가 밀어내어진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자의 이전 미국특허번호 제3,989,049호에 잘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제10도의 (84)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한 개 이상의 탄성고리를 밀어내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만일 신장가능한 결찰기, 플러그 또는 캡이 원위말단(20)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그 결찰기를 한 번에 하나씩 밀어내고 또한 압출된 결찰기의 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튜브부재(16)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게이지(86)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게이지는 핸들부재(70)(제1도)또는 핸들부재(68)(제7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지(86)는 (87)로 도시된 바와같이 피봇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치 않을 때에는 돌려서 접어둘 수 있다.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중간튜브부재(14)의 근위말단(26)에는 헤드(90)을 가진 제2의 곧은 수직포스트(88)가 구비된다. 외부튜브부재(16)의 근위말단(28)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압출하기 위하여 외부튜브부재(16)가 중간튜브부재(1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포스트(88)가 끼워질 상부의 세장 슬롯(92)이 설치된다.
제8a도와 제8b도는 생검을 실시하기 위한 핀셋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부가의 내부튜브부재(12)에는 생검박스부재(96)(98)와 협동하는 핀셋(9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핀셋(94)을 끌어당기면 핀셋은 닫히고 생검박스부재(96)(98)는 조직의 한 부분을 잘라 그 내부에 봉입한다.
제9도를 설명하면, 제1도의 기구(10)가 복강경(100)과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외부튜브부재(16)는 복강경(100)의 본체(102)에 수용된다. 광원(light source)이 분리관(104)에 구비되며 복강경(100)은 접안렌즈(106)을 가진 상기 분지관(104)을 포함한다. 분지관(104)은 회전식 연결부(108)에 의해 본체(102)와 편리하게 연결된다. 회전식 연결부(108)에 의해 외과의사는 분지관(104)을 더욱 편리한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외과의사는 복강경 바로 뒤에 서 있을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상기 기구의 측면에서도 시술부위를 볼 수 있다.
제11도는 협동하는 절단부재(110)(112)를 포함하는 생검을 위해 또다른 핀셋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개략적으로 논의된 것과, 그리고 예컨대 본 발명자의 이전의 미국특허번호 제3,911,923호 제398949호에 자세히 기재된 바와같이,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사용하는 한 가지 방법은 관을 구부려 그 관에 루우프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들면, 제22도와 제2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핀셋(30)을 관부근으로 뻗고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 내로 핀셋(30)을 후퇴시키며 그 다음에 루우프가 된 해부학적 관형 구조 위에 신장가능한 결찰기(탄성부재(84)와 같은)를 밀어내기 위하여 외부튜브부재를 중간튜브부재(14)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이 완전히 닫혀질 때 폐색하고자 하는 조직 둘레에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위치시켜 조직을 확실하게 결찰함에 있어서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적당한 양만큼 장치 내로 빼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2도를 참고해 보면,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은 조직 수용 슬롯(114)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술과정중에 상기 슬롯내로 조직이 충분히 놓이도록 하여 적당한 양의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중간튜브부재(14) 내로 끌어낸다. 또한, 슬롯(114)은, 해부학적 관형구조가 그 슬롯 내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튜브부재가 다소 팽창할 수 있도록 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체로 같은 치수를 갖는 한 쌍의 조직 수용 슬롯(114)(116)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측면으로 가로지는 신장 가능한 결찰기를 사용할 수 있어 결찰될 관에 루우프를 형성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사용할 핀셋의 유형에 따라 조직은 중간튜브부재의 슬롯 내로 움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들면, 말단이 겹쳐지는 핀셋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직은 중간튜부재의 원위말단쪽으로 움직이고 결찰기는 조직이 슬롯 내로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조직에 가해진다. 키싱(kissing)핀셋의 경우에는 조직은 결찰기가 조직에 가해지기 전에 슬롯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결찰기의 첫번째 실시예는 제15a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결찰기는 인체에 이식하기에 적당한, 조직과 비반응적인 의료적 등급(grade)의 물질로 형성되고, 또한 협동하는 베이스부(120), (122)와, 합동하는 다리(124), (126)를 구비하는 원피이스(one piece)클립(118)를 구비한다. 적어도 베이스부(120), (122)는 해부학적 관형구조상에 상기 클립(118)이 위치한 후에 그 다리(124)(126)가 닫혀지도록 하기에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클립(118)은 열려져서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중간튜브부재(14)의 근위말단(20)상에 끼워진다. 이것은 제14도에 나타나있다. 다음으로 핀셋(30)을 조작하여 해부학적관을 집어서 슬롯(114)(116)내부로 관을 당긴 다음 본 기구로부터 클립(118)과 해부학적 관형조직에 압출하기 위해, 외부튜브부재(16)를 중간튜브부재(14)위로 밀어낸다. 이 압출이 이루어지면 다리(124)(126)는 베니스(120)(122)의 부세력에 의해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집어서 결찰하며 그 결과는 제15b도에 나타나 있다.
붙임술 시술이 영구붙임을 보장하기 위해 다리(124)(126)사이의 관형조직부분을 절단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제16도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클립(118)을 위치시킨 후 내부튜브부재(12)는 그 부재(12)의 근위말단(18)에서 스피링이 장치된 블레이드(blade)(128)(130)을 가진 또다른 기구와 대체될 수 있다. 중간튜브부재(14) 내에 내부튜브부재(12)가 들어가게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가 서로 모여져 해부학적 관형구조로부터(132)부분을 잘라낸다. 그 후에 기구(54)(제5도)가 내부튜브부재(1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기구(54)는 흡입기(도시치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기구(54)를 시술부위로 뻗은 다음 흡입기를 가동하여 절단된 부분(132)를 제거한다.
제17도는 한 쌍의 클립(118)(118), 로딩장치(136), 그리고 푸싱장치(138)를 포함하는 패키지(134)를 도시한 것이다.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클립(118)을 올려 놓기 위하여 로딩장치(136)의 말단(140)은 원위말단(20) 내로 삽입된다. 클립(118)은 로딩장치(136)의 좁은 말단(142)위로 미끄러 지낟. 푸싱장치(138)는 중아의 구멍(144)과 스프링단부(146)(148)를 가진다. 푸싱장치(138)는 그 중앙구멍(144)를 통해 삽입된 로딩장치(142)의 단부가 구비된 로딩장치(136)에 의해 삽입된다. 다음, 클립은 원추형의 로딩장치(136)로 미끄러져 올라가고,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으로 밀어진다. 그 결과는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결찰기를 로딩하기 위한 유사한 구조가 본 발명자의 이전 미국특허번호 제3,911,923, 제3,989,04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제18도-제20도에 소개되어 있다. 제18a도에서, 탄성기억베이스(152)와 단일의 한쌍의 협동하는 다리(154)(156)의 형태로 된 클램프 부분을 포함하는 클립(150)을 볼 수 있다. 구멍(158)이 베이스(152)에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150)은 바로 앞서 논의된 방법으로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삽입될 수 있다. 제18b도는 장착후의 클립(150)을 나타낸다.
제19a도는 탄성기억베이스(162)와, 그리고 마주보고 있는 다리(164)(166)가 구비된 클립(160)을 나타낸다. 베이스(162)는 다리(164)(166)의 전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도시치 않음). 제19b도는 클립(160)이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결찰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다른 클립(168)이 서로 마주보는 다리(174)(176)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탄성기억베이스(170)(172)를 포함하여 제20a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0b도는 해부학적 관형구조를 결찰하는 클립(168)을 보여준다.
원한다면, 논의된 각 클립다리의 마주보는 면은 도면부호 177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클립이 해부학적 관형 구조의 결찰될 곳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톱니모양으로 될 수 있다.
제21도-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장 가능한 결찰기의 또다른 실시예와 결찰기를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걸치거나 그 둘레에 위치시키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해 준다. 클립(178)은 제21도에서 볼 수 있듯이, 힘을 주어 열면 4변형태의 배열을 취하는 탄성기억베이스(180)(182) 한 쌍을 포함한다. 베이스(180)(182)는 한쌍의 다리(184)(18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다리의 양 대향면에는 교합될 조직에 클립(178)이 고정되는 것을 도와주는 일렬의 핀(188)이 취부된다. 제22도에서 볼 수 있듯이, 큰 루우프(190)가 교합될 관조직에 형성되고 클립(178)은 루우프(190)의 상단부 아래에 잘 적용된다. 제23도에서 클립은 결찰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180)가 그 루우프(190)에 걸쳐 적용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결찰기"란 용어는 본 발명 분야에서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적용하기 위한 링, 클립, 플러그 또는 캡과 같은 부재를 의미한다.
내부튜브부재(12)의 원위말단(18)에 장착할 또다른 종류의 핀셋들이 제24도로부터 제39도에 걸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이들 변형된 핀셋들은 특정한 외과적 수술을 위한 본 발명의 장치(10)에 의해 제4도에서 볼 수 있는 내부튜브부재(12)와 쉽게 대체될 수 있는 내부튜브부재에 장착된다. 실례가 되는 실시예로서, 제24도와 제25도의 핀셋은 닫혀졌을 때 겹쳐지는 끝부분을 가져서 결찰링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제27도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키싱 핀셋은 신장가능성 클립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제26도와 제28도의 핀셋에는 갈고리 모양의 단부가 구비되며, 제29도와 제30도의 핀셋에는 관형구조 등을 잡기 위한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31도의 핀셋에는 네 개의 집게가 구비되어 있다.
제32도와 제35도의 핀셋에는 생검 표본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3, 34, 36, 도와 제37도의 핀셋에는 절단수단 또는 생검수단과 결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구성된 바늘파지(needle-holding)부분이 구분되어 있다.
제40도와 제41도에 대해 설명하면, 내부튜브부재(212)의 원위말단은 그의 단부(213)(제40도)나 측부(215)(제41도)에서 그 위에 본체 부재를 잡기 위한 흡인기를 설치하기 위해 개구될 수도 있다.
제42도 내지 제4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 장치(10)는 복원가능한 붙임술을 시술함에 있어서 자궁난관의 접합부에 플러그 등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플러그(220)는 대체로 원통형인 베이스 부분(222)과 제42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보통 닫혀 있고 점점 가늘어져서 뾰족한 끝부분을 가진 휘기 쉽고 탄성을 가진 복수의 핑거(224)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외과적 장치(10)의 작동에 따라 플러그(220)는 소정 구조의 압출장치(pusher)(226)에 의해 밀려져서 중간튜브부재(14)의 단부상에 장치된다. 이 방법으로, 플러그(220)의 핑거(224)는 열려져서 중간튜브부재(14) 위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제4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위에 마찰적으로 유지된다. 그후에 플러그(220)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외부튜브부재(16)를 플러그의 베이스 부분에 맞닿게 하고 이를 중간튜브부재(14)로부터 밀어내지도록 하는 운동에 의해, 자궁경시술(제46도)이나 복강경시술(제47도)중에 자궁난관 접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원한다면 바늘(228)(제45도)은 자궁난관접합부에 플러그(220)를 삽입하는 도중이나 그 전에 마취제와 같은 것을 적용하기 위하여 중간튜브부재(1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48도 내지 제55도를 보면, 본 발명의 외과적 장치(10)는 또한 복원가능한 붙임시술 과정에서 캡(230)을 나팔관(234)의 난소체(232)에 위치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230)은 세장슬릿(238)이 형성된 대체로 길이방향의 원통형 몸체부분(236)을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플러그는 제50도에서 보여진 방법으로 중간튜브부재(14)의 단부에 장착되기 위해 늘어날 수 있다.
캡(230)은 머리부분의 횡단슬롯(244)에 의해 형성된 보통 닫혀진 복수의 휭거(242)를 포함하는 확대 머리부(240)를 갖는다. 플러그(230)는 적합한 플라스틱재료와 같이 적절히 유연하고 탄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그의 몸체부분(236)과 머리부분(240)은 제48, 49, 51도에서 볼 수 있듯이 보통 닫혀 있다.
수술에서는 플러그(230)의 몸체부분(236)과 머리부분(240)은 적당한 방법으로 어느정도 열려져서 플러그가 제50도에 나타난 방법으로 외과적 장치(10)의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에 마찰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내부튜브부재(12)의 원위말단상에서 적절한 핀셋(250)을 사용함으로써 관(234)이 파지되며 외과적 장치(10)의 외부튜브부재(16)를 플러그(230)의 머리부분(240)에 맞닿게 하여 이를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중간튜브부재(14)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는 운동에 의해, 제5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난소체에 위치시킨다. 플러그(230)의 몸체부분(236)의 세장슬릿(238)의 가장자리는 외과적 장치(10)에 의해 관(234) 위에 위치시킬 때 플러그의 조이는 힘을 배가하기 위하여 톱니를 갖도록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이나 필수적인 특징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별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지적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와 의미내에서의 모든 변형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Claims (40)

  1. 근위말단(28) 및 원위말단(22)을 구비한 세장의 외부튜부재(16)와 ; 상기 이 외부튜부부재 내에 망원경식으로 습동되어 삽입되는 근위말단(26) 및 원위말단(20)을 구비한 세장의 중간튜브부재(14)와 ; 상기 중간튜브부재 내에 망원경식으로 습동되어 삽입되고 근위말단(24) 및 원위말단(18)을 구비하며 그 원위말단(18)상에 핀셋수단(30)을 갖는 내부튜브부재(12)와 ; 상기 핀셋수단(30)을 적어도 하나의 결찰기, 플러그 또는 캡을 수용하는 형상의 원위말단(20)을 구비한 중간튜브부재(14)에 넣거나 빼내기 위한 이동수단과 ; 그리고 상기 중간튜브부재(14)로부터 결찰기, 플러거 또는 캡을 밀어내기 위한 압출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외부튜브부재(16)가 중간튜브부재(14)에 대하여 그 원위말단(20)쪽으로 습동하므로써 외부튜브부재(16)의 원위말단(22)이 결찰기 플러그 또는 캡에 맞닿아 이를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압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수 있고 탄성이 있는 결찰기, 플러그 또는 캡을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적용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외과적 시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부부재(16)의 둘레에서 이 외부튜부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1핸들수단(32)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핸들수단은 상기 이동수단(34)과 연계되어 있어서 그 핸들수단을 외부튜브부재(1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할 경우 핀셋수단(30)이 상기 중간튜브부재(14)내로 출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4)은 전원연결용 쌍극성 전기 접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과(34)은 전원연결용 단극성 전기 접속수단(34)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본 외과적 시술장치를 복강경 등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튜브부재(16)의 원위말단(22)과 상기 핸들수단(33)사이에서 상기 외부튜브부재에 접속수단(62)이 장착된 외과적 시술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로부터 결찰기, 플러그 혹은 캡을 밀어내기 위한상기 압출수단은 제1, 제2핸들부재(68)(70)를 갖는 제2의 U자형 핸들수단(64)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제1핸들부재(32)의 원위말단는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포스트(88)에 부착되어 있고, 제2핸들부재(70)는 상기 외부튜브부재(16)의 원위말단(28)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U자형 핸들수단(64)에 대한 파지 및 쥐는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외부튜브부재(16)를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 향하여 움직이게 하여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결찰기, 플러그 혹은 캡을 압출하도록 된 외과적 시술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은 다수의 결찰기, 플러그 혹은 캡을 받아들일 수 있는 형상이며, 상기 U자형 핸들수단(64)은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각 결찰기, 플러그 혹은 캡을 압출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조절하기 위하 계측수단(8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부재(12)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가적인 세장기구(54)가 그 내부에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세장의 중공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부재(12)의 근위말단(24)은 상기 중간튜브부재(14) 밑 외부튜브부재(16)의 근위말단들(26)(28)을 너머 연장되고 이에 밸브수단(48)이 취부됨을 특징으로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부재(12)의 근위말단(24)은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단극성의 전기적 접속수단(46)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부재(12)의 근위말단(24)은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단극성의 전기적 접속수단(4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시각적 관찰수단(100)과 조명수단(104)이 본 기구(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본 외과적 시술기구에 상기 시각적 관찰수단(100)을 장착시키는 회전고리 수단(108)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은 그 중간튜브부재의 길이 방향축에 평행으로 배열된 최소한 한 개의 슬롯 수단(11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은 두 개의 슬롯수단(114)(11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슬롯수단(114)(116)은 대체로 동일한 치수이고 측면으로 일렬로 늘어서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장착되어 최소한 한 쌍의 다리부재(124,126)(154,156)(164,166)(174,176)(184,186)와 이 다리부재들이 뻗어나오는 베이스부(120)(122)(152)(162)(170)(172)(182)를 갖는 일체적인 원피스(one piece)클립(118)(150)(160)(168)의 형상으로 된 휠 수 있고 탄성이 있는 결찰기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클립들의 베이스부는, 보통의 경우에는 닫혀있고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에 삽입될 경우에는 그 베이스부에 으해 발휘되는 폐쇄력에 대항하여 벌어지며,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압출되자마자 다시 폐쇄될 정도의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들은 두 쌍의 다리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수단은 톱니(177)가 있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핀셋수단(30)은 스프링과 같이 탄성이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핀셋이동 수단은 상기 중간튜브부재(14) 및 외부튜브부재(16)의 중간부들을 통해 같은 크기로 형성된 대략 세장형의 슬롯(42)(44)과, 상기 내부튜브부재(12)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된 이동수단(34)을 포함하며, 이 이동수단을 상기 부재들의 길이 방향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핀셋수단(30)을 상기 중간튜브부재(14)로 인입 및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결찰기 압출수단은, 상기 중간튜브부재(14)에 부착되어 상기슬롯(42)(44)을 통해 측면으로 뻗은 포스트수단(7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용 기구.
  23. 근위말단(28) 및 원위말단(22)을 구비한 세장의 외부튜브부재(16)와, 이 외부튜브부재내에 망원경식으로 습동되어 삽입되는 근위말단(26) 및 원위말단(20)을 구비한 세장의 중간튜브부재(14)와, 그리고 이 중간튜브부재(14)내에 망원경식으로 습동되어 삽입되고 근위말단(24) 및 원위말단(18)을 구비하며 원위말단(18)상에 핀셋수단(30)을 갖는 내부튜브부재(12)와, 상기 핀셋수단(30)을 상기 중간튜브부재(14)내로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그 중간튜브부재의 길이방향축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114)(116)과, 그리고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예정된 위치에 결찰하도록 외부튜부부재(16)를 중간튜브부재(1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로부터 상기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압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해부학적 관형구조에 신장가능한 결찰기를 적용하기 위한 외과적 시술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은 두 개의 슬롯(114)(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슬롯(114)(116)은 동일한 치수이고 측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장착되는 최소한 한 쌍의 다리부재(124, 126), (154, 156), (164, 166), (174, 176), (184, 186)와, 이 다리부재가 뻗어 나오는 베이스부(120)(122)(152)(162)(170)(172)(182)를 갖는 일체적인 원피스 클립(118)(150)(160)(168)의 형상으로 된 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결찰기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클립들의 베이스부는, 그 클립이 보통의 경우에는 닫혀있고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상에 삽입될 경우에는 그 베이스부에 의해 발휘되는 폐쇄력에 대항하여 벌어지며 상기 중간튜브부재(14)의 원위말단(20)으로부터 압출되자마자 다시 폐쇄될 정도의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두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톱니가 있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과적 시술 기구.
  29. 해부학적 관형 구조의 예정된 위치를 폐색하기 위하여 다향하여 협동하는 클램핑 부재(124, 126)(154, 156)(164, 166)(174, 176)(184, 186)와, 상기 클램핑부재가 뻗어 나오는 적어도 한 개의 일체의 베이스부재(120), (122), (152), (162), (170), (172), (182)를 포함하여, 이 베이스부재는, 상기 클램핑 부재가 보통은 닫혀있고 그 사이에 해부학적 관형구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니스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열려지며 그 힘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클립이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해부학적 관형 구조를 효과적으로 폐색할 정도의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의 단일 피스의 클립형태로된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결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뻗어 나오는 적어도 한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두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톱니가 있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톱니가 이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4. 제29항에 있어서, 클립(178)은, 힘을 주어 열 때 각각 사변형의 형태이며 한 쌍의 평행한 다리(184)(186)형태인 상기 클램핑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베이스부재(180)(182)를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다리의 마주보는 표면은 해부학적 관형조직을 맞물도록 하기위해 그 표면으로부터 뻗은 핀 수단(18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기.
  36. 베이스부재(222)와, 이 베이스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세장의 다리부재(22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222)는, 상기 다리부재(224)가 보통은 상호간에 대하여 닫혀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22)와 다리부재(224) 내에 지지부재(226)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24)의 폐쇄력에 대항하여 열려지는 정도의 충분한 탄성기억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적 단일피스부재의 형태로 된 해부학적 관형구조 폐색 플러그(220).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224)는 상기 베이스부재(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쪽으로 테이퍼(teper)지며, 닫혀진 상태일 때 상기 베이스부재(222)로부터 떨어져 뾰족한 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부학적 관형구조 폐색 플러그(220).
  38. 길이방향의 슬릿(238)을 가진 세장의 튜브몸체(236)와, 상기 튜브몸체(236)에 연결된 확대된 머저부(240)를 구비하며, 상기 머리부는 횡단슬릿(244)에 의해 규정되는 다수의 핑거부(242)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몸체부(236)와 머리부(2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슬릿들(238)(244)이 보통의 경우 닫혀 있도록 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폐색캡(230).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상기 튜부몸체의 대향표면이 톱니 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폐색캡(230).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분(240)은 대체로 구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학적 관형구조의 폐색캡(230).
KR1019900701707A 1987-05-14 1988-12-05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KR930005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49,503 US4788966A (en) 1987-05-14 1987-05-14 Plug for use in a reversible sterilization procedure
PCT/US1988/004283 WO1990006089A1 (en) 1987-05-14 1988-12-05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28A KR910700028A (ko) 1991-03-13
KR930005913B1 true KR930005913B1 (ko) 1993-06-29

Family

ID=2196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707A KR930005913B1 (ko) 1987-05-14 1988-12-05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88966A (ko)
KR (1) KR930005913B1 (ko)
WO (1) WO19900060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98B1 (ko) * 2011-02-22 2011-08-12 정명준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KR20160087147A (ko) * 2015-01-13 2016-07-21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전기를 이용한 척추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268A (en) * 1987-05-14 1989-09-26 Inbae Yoo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4990152A (en) * 1988-10-12 1991-02-05 Inbae Yoon Applicator device housing multiple elastic ligatures in series and for dilating and applying elastic ligatures onto anatomical tissue
US5922002A (en) * 1989-12-05 1999-07-13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movable internal biopsy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5026379A (en) * 1989-12-05 1991-06-25 Inbae Yoo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893863A (en) * 1989-12-05 1999-04-13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movable internal hook member for use thereof
US5665100A (en) * 1989-12-05 1997-09-09 Yoon; Inbae Multifunctional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operating units for performing endoscopic procedures
US5919202A (en) * 1989-12-05 1999-07-06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movable internal needl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5984938A (en) * 1989-12-05 1999-11-16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movable internal scissor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5217473A (en) * 1989-12-05 1993-06-08 Inbae Yoo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922001A (en) * 1989-12-05 1999-07-13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a movable internal blade member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5984939A (en) * 1989-12-05 1999-11-16 Yoon; Inbae Multifunctional grasping instrument with cutting member and operating channel for use in endoscopic and non-endoscopic procedures
US5217030A (en) * 1989-12-05 1993-06-08 Inbae Yoo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797958A (en) * 1989-12-05 1998-08-25 Yoon; Inbae Endoscopic grasping instrument with scissors
US5226908A (en) * 1989-12-05 1993-07-13 Inbae Yoo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797939A (en) * 1989-12-05 1998-08-25 Yoon; Inbae Endoscopic scissors with longitudinal operating channel
US5366458A (en) * 1990-12-13 1994-11-2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Latchless surgical clip
US5306283A (en) * 1992-06-30 1994-04-26 American Cyanamid Company Two-part surgical ligation clip
US5342373A (en) * 1992-09-14 1994-08-30 Ethicon, Inc. Sterile clips and instrument for their placement
US5833700A (en) * 1995-03-15 1998-11-10 Ethicon Endo-Surgery, Inc. Sterile occlusion fasteners and instrument and method for their placement
US6705323B1 (en) 1995-06-07 2004-03-16 Conceptus, Inc. Contraceptive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occlusion devices and methods
US6176240B1 (en) 1995-06-07 2001-01-23 Conceptus, Inc. Contraceptive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occlusion devices and their delivery
US7604633B2 (en) 1996-04-12 2009-10-20 Cytyc Corporation Moisture transport system for contact electrocoagulation
ATE499045T1 (de) 1997-06-05 2011-03-15 Adiana Inc Vorrichtung zur weiblichen sterilisation
US5935137A (en) * 1997-07-18 1999-08-10 Gynecare, Inc. Tubular fallopian sterilization device
US6241740B1 (en) 1998-04-09 2001-06-05 Origin Med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ligating and cutting tissue
US8551082B2 (en) 1998-05-08 2013-10-08 Cytyc Surgical Products Radio-frequency generator for powering an ablation device
US6309384B1 (en) 1999-02-01 2001-10-30 Adian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ubal occlusion
US8702727B1 (en) 1999-02-01 2014-04-22 Hologic, Inc. Delivery catheter with implant ejection mechanism
US6350269B1 (en) 1999-03-01 2002-02-26 Apollo Camera, L.L.C. Ligation clip and clip applier
JP4683804B2 (ja) 1999-08-23 2011-05-18 コンセプタ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卵管内避妊のための挿入及び配備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6709667B1 (en) 1999-08-23 2004-03-23 Conceptus, Inc. Deployment actuation system for intrafallopian contraception
US6428548B1 (en) * 1999-11-18 2002-08-06 Russell F. Durgi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US6482213B1 (en) * 2000-05-30 2002-11-19 Erol D. Riza Rubber band stretcher
US20080091264A1 (en) 2002-11-26 2008-04-17 Ample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shaping a heart valve annulus, including the use of magnetic tools
US6893459B1 (en) 2000-09-20 2005-05-17 Ample Medical, Inc. Heart valve annulus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50222489A1 (en) 2003-10-01 2005-10-06 Ample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shaping a heart valve annulus, including the use of a bridge implant
EP1339331A2 (en) * 2000-11-14 2003-09-03 ESD Medical, LLC Device for laparoscopic tubal ligation
US6550480B2 (en) 2001-01-31 2003-04-22 Numed/Tech Llc Lumen occluders made from thermodynamic materials
US10098640B2 (en) 2001-12-04 2018-10-16 Atricure, Inc. Left atrial appendage devices and methods
AU2003263099A1 (en) * 2002-09-06 2004-03-29 C.R. Bard, Inc. External endoscopic accessory control system
US7204804B2 (en) * 2002-09-06 2007-04-17 C.R. Bard, Inc. Endoscopic accessory mounting adaptor
AU2003268453B2 (en) * 2002-09-06 2009-02-05 Conmed Endoscopic Technologies, Inc. Endoscopic band ligator
US7678125B2 (en) 2002-11-12 2010-03-16 Apollo Camera, L.L.C. Surgical ligation clip
US8172870B2 (en) 2003-06-09 2012-05-08 Microline Surgical, Inc. Ligation clip applier
US20050061329A1 (en) * 2003-09-18 2005-03-24 Conceptus, Inc. Catheter for intrafallopian contraceptive delivery
US8048086B2 (en) 2004-02-25 2011-11-01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it occlusion
US8052669B2 (en) 2004-02-25 2011-11-08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y of compositions to conduits
US9238127B2 (en) 2004-02-25 2016-01-19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to conduit
US8048101B2 (en) 2004-02-25 2011-11-01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it occlusion
US7645285B2 (en) * 2004-05-26 2010-01-12 Idx Medical,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occluding a hollow anatomical structure
US8876820B2 (en) 2004-10-20 2014-11-04 Atricure, Inc. Surgical clamp
US7731712B2 (en) 2004-12-20 2010-06-08 Cyty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cervical tubal occlusion
US7674260B2 (en) * 2005-04-28 2010-03-09 Cytyc Corporation Emergency hemostasis device utilizing energy
AU2006267056C1 (en) 2005-07-14 2013-03-28 Atric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occluding a hollow anatomical structure
US7850710B2 (en) * 2006-05-23 2010-12-14 St. Jude Medical Puerto Rico Llc Puncture closure apparatuses, sealing plugs, and related methods
US8486060B2 (en) 2006-09-18 2013-07-16 Cytyc Corporation Power ramping during RF ablation
US7846160B2 (en) 2006-12-21 2010-12-07 Cyty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ation
US20080243141A1 (en) 2007-04-02 2008-10-02 Salvatore Privitera Surgical instrument with separate tool head and method of use
US8161973B2 (en) * 2007-09-07 2012-04-24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Reversible vasectomy device and method
KR101618076B1 (ko) * 2008-05-16 2016-05-09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생식체 내강을 폐색하기 위한 폐색 장치 및 시스템
WO2010011661A1 (en) 2008-07-21 2010-01-28 Atric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occluding an anatomical structure
US10070888B2 (en) 2008-10-03 2018-09-11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onographic imaging
US9554826B2 (en) 2008-10-03 2017-01-31 Femasys, Inc. Contrast agent injection system for sonographic imaging
US9393023B2 (en) 2009-01-13 2016-07-19 Atricu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loying a clip to occlude an anatomical structure
US8256424B2 (en) * 2009-09-22 2012-09-04 Kennedy Patrick J Fertility regulator incorporating vas deferens implanted open/close bypass in combination with a hand held controll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8231619B2 (en) 2010-01-22 2012-07-31 Cytyc Corporation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9737320B2 (en) * 2010-03-18 2017-08-22 Covidien Lp Surgical grasper with integrated probe
US8550086B2 (en) 2010-05-04 2013-10-08 Hologic, Inc. Radiopaque implant
US9017349B2 (en) 2010-10-27 2015-04-28 Atricure, Inc. Appendage clamp deployment assist device
US9066741B2 (en) 2010-11-01 2015-06-30 Atricure, Inc. Robotic toolkit
US8636754B2 (en) 2010-11-11 2014-01-28 Atricure, Inc. Clip applicator
JP6239509B2 (ja) 2011-08-15 2017-11-29 アトリキュア インクAtricure Inc. 外科装置
US9282973B2 (en) 2012-01-20 2016-03-15 Atricure, Inc. Clip deployment tool and associated methods
BR112015002697A8 (pt) 2012-08-09 2018-01-16 Can Fite Biopharma Ltd uso de ligante de receptor de adenosina a3 (a3ar), ligante de a3ar,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tratar disfunção sexual em um indivíduo
US9119948B2 (en) * 2013-02-20 2015-09-01 Covidien Lp Occlusive implants for hollow anatomical structures,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7100785A1 (en) 2015-12-10 2017-06-15 Mvrx,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shaping a heart valve annulus
CN105997178A (zh) * 2016-06-08 2016-10-12 上海中医药大学附属岳阳中西医结合医院 一种用于痔疮套扎枪上的胶圈上圈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3141A (en) * 1967-05-15 1969-08-26 Casimir Mozolf Male contraceptive
US3858571A (en) * 1973-07-02 1975-01-07 Arthur I Rudolph Cornual plug
US3911923A (en) * 1973-07-30 1975-10-14 In Bae Yoon Occlusion r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its application
US3989049A (en) * 1973-07-30 1976-11-02 In Bae Yoon Method of applying an elastic ring to an anatomical tubular structure
US3870048A (en) * 1973-07-30 1975-03-11 In Bae Yoon Device for sterilizing the human female or male by ligation
US3918431A (en) * 1974-01-11 1975-11-11 Manfred Sinnreich Fallopian tube obturating device
US3990434A (en) * 1975-02-18 1976-11-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Reversible intravasal occlusive device
US4085743A (en) * 1976-03-02 1978-04-25 In Bae Yoon Multiple occlusion ring applicator and method
US4509504A (en) * 1978-01-18 1985-04-09 Medline Ab Occlusion of body channels
SE419597B (sv) * 1979-05-04 1981-08-17 Medline Ab Anordning for temporer eller permanent tillslutning av kroppskanaler eller halrum hos menniskor och djur
US4512342A (en) * 1982-04-14 1985-04-23 Lourens J. D. Zaneveld Device and method for reversibly occluding a body duct
US4523590A (en) * 1982-10-25 1985-06-18 Wilfred Roth Method and device for reversible sterilization in mammals
US4682592A (en) * 1985-01-28 1987-07-28 Thorsgard Knute E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reversible male steril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98B1 (ko) * 2011-02-22 2011-08-12 정명준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KR20160087147A (ko) * 2015-01-13 2016-07-21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전기를 이용한 척추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88966A (en) 1988-12-06
WO1990006089A1 (en) 1990-06-14
KR910700028A (ko) 1991-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13B1 (ko) 다기능 의료기구 및 결찰 교합장치
US4869268A (e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026379A (e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226908A (e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217030A (e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217473A (en) Multi-functional instruments and stretchable ligating and occluding devices
US5788716A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fallopian tube ligation and biopsy
US5908429A (en) Methods of anatomical tissue ligation
US57187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needle electrocautery
US5921993A (en) Methods of endoscopic tubal ligation
US5957936A (en) Instrument assemblies for performing anatomical tissue ligation
JP4658026B2 (ja) ポリープを切除および捕捉するための装置
US5336229A (en) Dual ligating and dividing apparatus
US5782839A (en) Laparoscopic surgical grasper having a detachable strap
US5972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ical ligation
US4085743A (en) Multiple occlusion ring applicator and method
US6911034B2 (en) Suturing method and apparatus
US4374523A (en) Occlusion ring applicator
US5980534A (en) Cervical clamp
US200301874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object from a body
CA2134662A1 (en) Laparoscopic surgical ligation, repair and electrosurgical coagulation and cutting device
US2020028915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 tissue specimen removal
CA2481745C (en) Haemostatic clip device
CN113853166A (zh) 组织牵引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