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618B1 - 농구용 골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농구용 골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618B1
KR930005618B1 KR1019850005850A KR850005850A KR930005618B1 KR 930005618 B1 KR930005618 B1 KR 930005618B1 KR 1019850005850 A KR1019850005850 A KR 1019850005850A KR 850005850 A KR850005850 A KR 850005850A KR 930005618 B1 KR930005618 B1 KR 930005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olley
goal
basketbal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036A (ko
Inventor
히데요시 요시오까
요시미찌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세노-가부시끼가이샤
세노우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5756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73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5756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74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5756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740Y2/ja
Application filed by 세노-가부시끼가이샤, 세노우 가즈오 filed Critical 세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구용 골 지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농구대의 정면도.
제2도는 이동식 농구대의 측면도.
제3도는 이동식 농구대의 평면도.
제4도는 백보드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골 지지 아암과 지주와의 결합부의 사시도.
제7도는 결합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골 지지 아암의 끼워 맞춤용 요부와 지주측의 끼워 맞춤용 블럭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제7도의 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전방 아웃리거(outrigger)의 사시도.
제10도는 골 지지 아암 및 지주의 수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제1도에 도시된 이동식 농구대의 개략 사시도.
제11도는 골 지지 아암 및 지지와의 수납 상태를 도시한, 전방 아웃리거가 지주 기립시의 상태로 도시된 제1도에 도시된 이동식 농구대의 개략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전방 아웃리거의 하단부의 상세한 사시도.
제13도는 후방 아웃리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농구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링 또는 골 10 : 백보드
11 : 골 지지 아암 12 : 지주
13 : 지지대 또는 대차 14 : 지주 승강 장치
15 : 전방 아웃리거 또는 제1아웃리거 15A : 기부 지지 프레임
16 : 후방 아웃리거 또는 제2아웃리거 25 : 보조 지주
27 : 주축 34 : 접지 기부
35 : 주축 수납편
37 :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 또는 높이 조절 나사봉
43 : 활주 칼라 44 : 접지 기부
47 : 나사봉 47c : 나사부
47d : 활주축 또는 활주봉 48a : 너트
48b : 볼 베어링 49 : 나사봉 회전 조작체
49a : 회전스핀들 49b : 활주 칼라
F : 바닥면
본 발명은 구기용 골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농구에 사용되는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구용 이동식 농구대로서, 제14도에 도시한 농구대가 알려져 있다. 상기 이동식 농구대는, 농구공이 투입되는 골링(1), 골링(1)이 부착된 백보드(2)와, 골링(1) 및 백보드(2)를 지지하는 골 지지 아암(3)과, 골 지지 아암(3)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차(4)와, 대차(4) 또는 골 지지 아암(3)에 부착되어 있고 골 지지 아암(3)을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5)와, 대차(4)의 일부에 설치되어 이 대차(4)를 바닥면에 대하여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4개의 아웃리거(6)(outrigge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골 지지 아암(3)은, 기단측 아암부(3a), 중간 아암부(3b) 및 선단측 아암부(3c)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식 농구대의 사용시에는 기단측 아암부(3a)가 유압 실린더(5)에 의해서 상승되고, 중간 아암부(3b)가 지지부(3d)에 의해서 기단측 아암부(3a)의 선단에 외팔보로서 지지되고, 선단측 아암부(3c)도 지지부(3e)에 의해서 중간 아암부(3b)의 선단에 외팔보로서 지지된다. 한편 이동식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단측 아암부(3a)의 내부에 중간 아암부(3b) 및 선단측 아암부(3c)가 삽통식으로 수납딘다.
상기 골 지지 아암(3)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아암부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4개 이상 또는 2개의 아암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또한 골 지지 아암(3)의 수납 방식으로서는 절첩식도 사용할 수 있다(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53-37750호 참조).
상술한 이동식 농구대에 있어서는 골 지지 아암(3)의 각 아암부를 신장, 수축 또는 절첩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했다.
또한, 아웃리거(6)의 구조는 복잡하고, 그 조작은 번거롭게 된다.
본 발명은, 골을 지지하는 골 지지 아암을 지지하는 지주의 하강 또는 상승 조작만으로 골 지지 아암을 사용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주 승강 장치를 설치하여, 골 지지 아암은 지주의 승강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주의 선단측에 지지되고, 골을 지지하는 골 지지 아암의 일측단에 대향된 측단에 일측단이 지지되고 타단측이 지지대에 지지되는, 지주를 완전히 기립시킬 때에 골이 소정의 자세로 설치되도록 지주에 대하여 골 지지 아암을 전개하는 보조 지주를 설치한다.
따라서, 지주 승강 장치가 지주를 지지대 위에 기립시키면, 골 지지 아암이 전개되어 골이 사용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지주 승강 장치로 지주를 지지대로 하강시키려면, 골 지지 아암이 지주 위에 접혀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술하겠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구기용 골 지지 장치를 농구의 이동식 농구대로서의 구체화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식 농구대는 농구공이 투입되는 골링(1)과, 골링(1)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백보드(10)과, 골링(1) 및 백보드(10)을 지지하는 골 지지 아암(11)과, 골 지지 아암(11)을 거의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주(12)와, 지주(12)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차(13)과, 대차(13)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주(12)를 승강시키는 지주 승강 장치(14)와 대차(13)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13)을 소정 위치에서 바닥면에 고정하거나 바닥면에서 분리시키는 하나의 전방 아웃리거(제1아웃리거)(15) 및 두개의 후방 아웃리거(제2아웃리거)(16)과, 골 지지 아암(11)의 회동 상태를 안정시키는 보조 지주(25)를 갖는다.
상기 백보드(10)은, 장방형의 아크릴판(17)과, 이 아크릴판(17)의 배면의 모서리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18)로 부착된 보강을 위한 알루미늄제 프레임(19)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미늄제 프레임(19)의 각 모서리에는 4개의 지지봉(20)을 삽입하여 골 지지 아암(11)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이에 의해, 백보드(10)은, 골지지 아암(11)의 종축 및 횡축에 대해서 각각 수직 및 평행으로 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골 지지 아암(11)은, 후단에서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는 테이퍼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지지 아암(11)의 후부에는 하면에서 개구된 장방형 횡단면의 끼워 맞춤용 요부(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용 요부(21)의 측종단면 형상은, 대개 사다리꼴이고, 지주(12)의 상단부 및 이 상단부 전면측에 설치된 끼워 맞춤용 철부(22)로 이루어진 끼워 맞춤용 블럭(22A)의 측단면 형상과 서로 대응되게 되어 있고, 끼워 맞춤용 요부(21)을 형성하는 벽면과 끼워 맞춤용 블럭(22A)의 벽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존재한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용 요부(21)의 전방에는, 이 끼워 맞춤용 요부(21)을 가로질러서, 골 지지 아암(11)에 지지된 회동축(2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용 요부(21)의 후벽면에는, 로울러(24)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 지지 아암(11)의 후단은, 2개의 보조 지주(제2지주)(25)를 거쳐 대차(13)에 연결된다. 각 보조 지주(25)의 양단은, 각각 골 지지아암(11)의 후단 및 대차(13)에 지지되어 있고, 지주(12)와 함께 승강되어, 이동식 농구대로 사용시에는, 골링(1)이 수평으로 되도록 골 지지 아암(11)의 자세를 안정시키고, 이동식 농구대의 수납시에는 지주(12)의 하강 동작에 따른 백보드 지지 아암(11)의 절첩을 위한 회동을 안정되게 한다.
상기 지주(12)는, 지주 승강 장치(14)에 의해서 대차(13)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하는 자세 또는 대차(13)의 후측으로 하강되는 자세로 조작된다. 지주(12)의 상단부 전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용 철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12)의 상단부 후면측에는, 상기 로울러(24)를 수용하기 위한 Ⅴ-형 로울러 수납부재(26)이 설치되어 있다.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는 이동식 농구대의 사용시는, 끼워 맞춤용 블럭(22A)가 골 지지 아암(11)의 끼워 맞춤용 요부(21)에 삽입됨과 동시에, 로울러(24)가 로울러 수납부재(26)에 맞닿은 상태로, 골 지지 아암(11)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한편, 지주(12)는 이동식 농구대의 수납시에 블럭(22A)의 상면이 끼워 맞춤용 요부(21)의 천정면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로울러(24)가 로울러 수납부재(26)에서 이탈한 상태로 대차(13)의 후부측으로 하강되고, 그 상태로 접혀진 골 지지 아암(11)은 자세를 낮춘 상태로 지지된다(제10도 참조).
제8도에 도시한 로울러(24)와 로울러 수납부재(26)과의 결합 관계에 의하면, 백보드(10)이 좌우로 흔들릴 때, 골 지지 아암(11)에 회동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약간 선회하는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이 요동상태를 일으키는 외부힘은, 로울러 수납부재(26)의 경사면에 따른 작은 분력으로 되어 나타나고, 골 지지 아암(11)의 후부를 겨우 들어 올리는 힘으로 되어서 소멸된다. 따라서, 골 지지 아암(11)의 좌우 요동은, 극히 단시간으로 제동된다. 또한, 골 지지 아암(11)의 좌우 요동은, 로울러(24)와 로울러 수납부재(26)과의 결합관계에 의해서 지주(12)로 귀환되어 진동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지주(12)의 하부에는, 이 지주(12)의 횡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주축(27)이 삽입되어 고착되어 있다. 이 주축(27)은, 대차(1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주(12)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지주(12)의 회동에 의해서 주축(27)은 축 회전한다.
상기 대차(13)은 전륜(28) 및 후륜(29)에 의해서 바닥면 위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대차(13)의 상면 전방 축면에는,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이, 지주(12)의 양측에 대차(13)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한 쌍의 지주 하강 안내부(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주 승강 장치(14)는, 유압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고, 실린더 본체(31)의 후단부가 대차(13)에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32)의 선단부는 지주(12)에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32)의 신장 또는 후퇴에 의해서 지주(12)가 기립 또는 하강한다. 지주 승강 장치(14)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유압 제어 조작판(33)을 대차(13)의 상면에 설치한다.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아웃리거(15)는 대차(13)의 전단에 있는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대개 장방형 판상의 접지 기부(34)와, 접지 기부(34)를 하단부에 고착하고 대차(13)에 대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기부 지지 프레임(15A)와, 기부 지지 프레임(15A)의 상단에 회동 지지된 주축 수납편(35)와, 주축 수납편(35)의 상단에 고착된 주축(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 기부(34)는 금속제의 기부 본체(34a)와 이 기부 본체(34a)의 하면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용 고무판(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부 지지 프레임(15A)는 접지 기부(34)의 상면의 좌우측에 고착된 한쌍의 트러스트 베어링(36)과 각 트러스트 베어링(36)에 고정된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37)과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37)을 하단에 나사 결합한 활주축(38)과, 활주축(38)에 끼워져 장착되고 대차(13)에 고정된 원통상의 활주 칼라(43)과, 한 쌍의 활주축(38)의 상단부가 고착되어 대차(13)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한개의 축고정부(39)와, 축 고정부(39)의 상면 좌우로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 브라켓(40)과, 이들 베어링 브라켓(40)에 핀(41)을 끼워서 회동식으로 지지된 1개의 연결 프레임(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트러스트 베어링(36)에는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37)의 회전을 위한 한 쌍의 볼트(36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37)의 하단부 근처에는 트러스트 베어링(36)의 내향 플랜지(36a)에 맞닿는 환형의 외향 플랜지(3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향 플랜지(37a)보다도 밑쪽으로 돌출한 비나사부(37b)가 볼트(36b)에 의해서 체결된다. 외향 플랜지(37a)보다도 윗쪽에 위치하는 비나사부(37c)에는 구멍(37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37d)에 봉형의 손잡이(36c)를 삽입하여, 높이 미세 조절 나사봉(37)을 활주축(38)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기부 지지 프레임(15A)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골링(1)의 좌우방향 수평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주(12)가 대차(13)의 후방으로 하강되어, 대차(13)의 상면에 대하여 10°의 양각을 갖고 있을 때에는, 주축 수납편(35)가 연결 프레임(42)에 대하여 거의 직각을 이루어 후방으로 배치된다. 지주(12)는, 주축(2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제10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접지 기부(34)가 연결 프레임(42)를 거쳐 바닥면(F)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상태로 들어 올려져 있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같이 지주(12)가 대차(13)의 상면에 대하여 50°의 양각을 갖고 있을때, 즉 지주(12)가 제10도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40°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 접지 기부(34)는 거의 바닥면(34)는 거의 바닥면(F)에 접촉할 때까지 주축 수납편(35)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진다. 지주(12)가 대차(13)의 바닥면에 대하여 50°의 양각을 초과한 시점에서 접지 기부(34)는 바닥면(F)에 접촉하여, 대차(13)을 바닥면(F)에 대하여 고정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같이, 지주(12)가 완전히 기립할 때, 한 쌍의 주축 수납편(35)도 완전히 기립하고, 연결 프레임(42)와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접지 기부(34)는 최대한 하방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접지 기부(34)는 바닥면(F)에 더욱 강하게 눌려진다. 이와같이, 지주(12)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접지 기부(34)가 바닥 상면(F)에 고정되거나 바닥(F)로부터 분리된다.
더우기, 지주(12)가 대차(13)의 상면에 대하여 50°의 양각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골 지지 아암(11)의 후단과 대차(13)의 후단면이 거의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며, 이동식 농구대의 수납실에 대차(13)을 더욱 깊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아웃리거(16)은 대차(13)의 후단의 좌우에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양 후방 아웃리거(16)은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아웃리거(16)은 원판형의 접지 기부(44)와, 이 접지 기부(44)의 상면에 고착된 베어링 슬리브(45)와, 하방 비나사부(47a)를 한 쌍의 체결 볼트(46)에 의해서 베어링 슬리브(45)에 고정시키는 나사봉(47)과, 대차(13)에 고착되어 나사봉(47)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사 수납용 칼라(48)과, 나사 수납용 칼라(4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나사봉(47)의 상단부(47e)와 끼워 맞춤되는 나사봉 회전 조작체(4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슬리부(45)의 내부 바닥면 [즉, 기부 본체(44a)의 상면]에는, 나사봉 하단(47b)를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봉(47)의 상부에는, 나사부(47c)보다도 소구경인 6각형 단면의 활주축(봉)(47d)가 나사부(47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활주축(47d)는 나사부(47c)와 동축이다. 나사축(47d)의 횡단면은 6각형이 아닌 비원형 단면으로 하여도 좋다. 활주축(47d)의 상단부(47e)는, 나사봉 회전 조작체(49)의 회전 스핀들(49a)의 하단으로부터 회전 스핀들(49a)의 축상에 길게 설치된 6각형 구멍에 부착된 활주 칼라(49b)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 나사 수납용 칼라(48)의 내면 하단에는, 나사봉(47)의 나사부(47c)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48a)가 고착되어 있다. 나사 수납용 칼라(48)의 내면 상단 근처에는, 환형 홈(51)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환형 홈(51)에서 볼 베어링(48b)가 상부의 고정 링(52)를 수용하여서 고착된다. 이 볼 베어링(48b)가 나사봉 회전 조작체(49)의 회전 스핀들(49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나사봉 회전 조작체(49)는 상술한 회전 스핀들(49a)와, 활주축(47d)에 끼워 맞춤되는 활주 칼라(49b)와, 회전 스핀들(49a)의 상단에 고착된 원판(49c)와, 원판(49c)의 원주 외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손잡이(49d)로 구성되어 있다. 활주 칼라(49b)는 내부의 비원형 단면의 회전 결합 구멍(49e)의 벽면이 마모될 때, 호환 가능하게 회전 스핀들(49a)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회전 결합 구멍(49e)의 벽면의 마모를 생각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회전 스핀들(49a)에 직접 회전 결합 구멍(49e)를 형성하여도 좋다.
손잡이(49d)를 끼워서 원판(49c)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나사봉(47)이 회전함과 동시에 하강 또는 상승되고, 접지 기부(44)를 하방으로 눌러 바닥면(F)에 맞닿게 하거나 바닥면(F)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차(13)의 후방은 바닥면(F)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바닥면(F)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분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이동식 농구대만이 아니고, 고정식 농구대 및 기타 구기용 골 지지 장치로서도 구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의 승강 조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골 지지 아암이 전개 혹은 절첩됨으로써, 골 지지 아암의 전개 및 수납에 특별한 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또한, 골 지지 아암의 전개 및 수납에 별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지주와 제1아웃리거와를 관련시킨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주의 기립에 의하여 대차가 바닥면에 자동적으로 고정되고, 지주의 일정한 한도의 하강에 의하여 대차가 바닥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분리되므로, 제1아웃리거에 의한 이동식 농구대의 고정 및 분리에 특별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6)

  1. 지지대와, 일단측에서 지지대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지주(12)와, 지지대와 지주(12)를 연결하여 지주(12)를 기립 및 하강시키는 지주 승강 장치(14)와, 일단측에서 골을 지지하여 지주(12)의 승강면내에서 회도가능하도록 중간부에서 지주(12)의 타단측에 지지된 골 지지 아암(11)과, 일단측이 골 지지 아암(11)의 타단측에 지지되고 타단측이 지지대에 지지되며 지주(12)와 함께 승강되고 지주(12)가 완전히 기립될 때 골이 소정의 자세로 설치되도록 지주(12)에 대하여 골 지지 아암(11)을 전개하는 보조 지주(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면 상에서 이동가능한 대차(13)이고, 대차는 대차를 바닥면에 고정하거나 바닥면에서 분리시키는 제1아웃리거(15)를 갖고 있고, 제1아웃리거(15)는 지주(12)의 횡축 방향으로 길게 설치됨과 동시에 지주(12)에 고정되고 지주(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주축(27)과, 주축(27)에 고착된 주축 수납편(35)와, 주축 수납편(35)에 지지되어 대차(13)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주(12)의 기립 또는 하강에 따라 각각 주축 수납편(35)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려지거나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는 기부 지지 프레임(15A)와, 기부 지지 프레임(15A)의 하단부에 고착되어 지주(12)가 기립될 때 바닥면에 고착되고 지주가 하강될 때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접지 기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지지 프레임(15A)는 기부 지지 프레임(15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접지 기부(34)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높이 조절 나사봉(37)를 갖고 있고, 상기 높이 조절 나사봉(37)의 회전에 의하여 골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면상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13)이고, 대차(13)은 대차(13)을 대차면에 고정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아웃리거(16)이 있고, 제2아웃리거(16)은 대차(13)에 대하여 고정된 너트(48a)와, 너트(48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있고 하단에 접지 기부(44)가 고착된 나사봉(47)과, 나사봉(47)과 결합되어 나사봉(47)을 회전시킬 때 상기 너트(48a)와 같이 작동하여 접지 기부(44)를 바닥면에 대해 밀거나 접지 기부(44)를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나사봉 회전 조작체(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농구용 골 지지 장치는 너트(48a)의 상부에서 너트(48a)와 동축으로 대차(13)에 대하여 고정된 베어링(48b)를 갖고 있고, 상기 나사봉(47)은 나사부(47c)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나사부(47c)와 동축으로 돌출되는 비원형 단면의 축(47d)를 갖고 있고, 상기 나사봉 회전 조작체(49)는 상기 베어링(48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스핀들(49a)를 가지며, 회전 스핀들(49a)의 하단에서 회전 스핀들(49a)의 축선상의 상방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축(47d)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비원형 단면의 회전 결합 구멍(49e)를 갖고 있고, 회전 결합 구멍(49e)에 삽입된 축(47d)가 회전 결합 구멍(49e)의 벽면에 대하여 활주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핀들(49a)는 그 하단에서 회전 스핀들(49a)의 축선상의 상방으로 길게 설치된 구멍을 포함하고, 이 구멍에 회전 결합 구멍(49e)를 갖는 착탈 가능한 활주 칼라(49b)가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용 골 지지 장치.
KR1019850005850A 1984-10-18 1985-08-14 농구용 골 지지 장치 KR930005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57563 1984-10-08
JP59-157564 1984-10-18
JP84-157563 1984-10-18
JP1984157563U JPH0411739Y2 (ko) 1984-10-18 1984-10-18
JP1984157565U JPH0411741Y2 (ko) 1984-10-18 1984-10-18
JP1984157564U JPH0411740Y2 (ko) 1984-10-18 1984-10-18
JP84-157565 1984-10-18
JP84-157564 1984-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36A KR860003036A (ko) 1986-05-19
KR930005618B1 true KR930005618B1 (ko) 1993-06-23

Family

ID=2732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850A KR930005618B1 (ko) 1984-10-18 1985-08-14 농구용 골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6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36A (ko) 198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9922A (en) Portable crane with hoist mounting and outrigger support apparatus
CN101284637A (zh) 防倾支撑的高空作业平台
US4723633A (en) Adjusting screw retainer
KR930005618B1 (ko) 농구용 골 지지 장치
ES294056U (es) Gato elevador de coches
US5000424A (en) Vehicle jack
CN112706808A (zh) 可调节手车防倾倒装置
EP0148418A2 (en) Side lifting apparatus
CN112134199A (zh) 手车断路器自动翻转装置
CN104295226B (zh) 地脚支撑组件
CN204225755U (zh) 地脚支撑组件
CN211533470U (zh) 一种工程造价用图纸展板
CN219345903U (zh) 一种医用摇臂结构
CN214951340U (zh) 一种便于调节测绘高度的测绘装置
JPH0848493A (ja) 簡易リフトの移動用台車装置
CN217268721U (zh) 一种装饰施工用安全施工平台
CN215274311U (zh) 一种新型儿童康复器用脚踏板
CN211105418U (zh) 一种注塑机械手的横梁
CN220112607U (zh) 一种焊接练习装置
CN217988314U (zh) 折叠篮架
CN210914913U (zh) 一种升降机用支腿锁定装置
CN218137885U (zh) 一种能切换支撑结构的汽车转向立轴拆装架
CN218805953U (zh) 一种货物搬运装置
CN213439222U (zh) 一种便于角度调节的操纵杆加工用夹取装置
CN116321880B (zh) 一种用于服务器机柜的滚轮组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