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66Y1 - 와 전류계 - Google Patents

와 전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66Y1
KR930005366Y1 KR2019900009484U KR900009484U KR930005366Y1 KR 930005366 Y1 KR930005366 Y1 KR 930005366Y1 KR 2019900009484 U KR2019900009484 U KR 2019900009484U KR 900009484 U KR900009484 U KR 900009484U KR 930005366 Y1 KR930005366 Y1 KR 930005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guide
guide shaft
guide member
brid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194U (ko
Inventor
나오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히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히로히꼬 filed Critical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9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using eddy currents
    • G01P3/49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using eddy currents where the indicating means responds to forces produced by the eddy currents and the generating magnetic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 전류계
제1a도는 종래 기술의 와전류계의 예를 도시한 길이방향부분 단면도.
b도는 제1a도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와전류계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계기를 구비한 와전류계를 도시한 정면도.
본 고안은 차량속도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와전류계, 특히 지침을 유연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와전류계에 관한 것이다.
와전류형 차량 속도계는 자동차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속도계에서는 회전구동축에 끼워진 환상형 영구자석의 유도판을 흐르는 와전류와 영구자석간에 발생된 자력에 기하여 컵형 유도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송기어에 의해 회전되므로, 회전유도판에 끼워진 차량 속도 지침은 회전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차량속도를 나타낸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기술의 와-전류 차량속도계의 예를 나타낸다.
제1a도에서, 원통형계기 케이싱(10)은 계기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구동축(2)은 베어링을 통해 계기프레임(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컵형 철제부재(3), 부쉬(4), 환상형영구자석(5), 및 자속 조절원판(6) (자석(5)이 그곳의 온도 의존을 보상하기 위해)은 계기 케이싱(10)의 하부면상에 서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회전구동축(2)은 가요성축(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전송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회전구동축(2)의 상부면상에서, 원통형 공동부(2a)가 형성되어, 피벗지지부재(7)가 지침축(8)의 최하단부(8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끼워진다.
이 지침축(8)에 대해 컵형 유도부재(9)는 부쉬(9A)를 통해 끼워지므로 그것의 원통부는 환상형 자석(5)의 외부원주와 컵형 철제부재(3)의 내부원주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브리지판(11)은 계기 케이싱(10)의 상단에 끼워지고, 지침축(8)은 이 브리지판(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선형스프링(12)은 지침축(8)에 스프링(12)의 내부판과 브리지판(11)에 끼워진 부재의 외부단에 끼워짐으로서 브리지판(11)에 부착되므로 자석(5)과 유도부재(9) 사이에 발생된 토크는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토크와 균형을 이룬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침 또는 바늘(도시되지 않음)은 지침축(8)에 끼워진다.
반면에, 워엄기어(13A)는 다수의 기어(14,15,16등)로 구성된 기어열을 통해 회전수(적분지시기 또는 주행계기)에 따라 회전구동축(2)의 회전을 전송하기 위해 워엄휠(13B)와 맞물려 컵형 철제부재(3) 아래에서 회전 구동축(2)에 형성된다.
그래서 종래기술의 와전류계에서, 차량속도에 비례하여 회전동작이 전송기어로부터 회전구동축(2)에 전송되기 때문에 컵형 유도부재(9)에서 발생된 와전류와 자석(5)의 자속간에 발생된 반발력때문에 영구자석(5)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토크가 자석(5)과 유도부재(9) 사이에서 발생되도록 영구자석(5)이 회전한다.
따라서, 지침축(8)은 와전류에 기인한 토크가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력과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회전되므로, 지침(도시되지 않음)은 차령속도판(19)에서 차량속도를 나타낸다.
제1b도는 종래기술의 문자판 장착구조를 나타내는데, 문자판(19)은 금속 브리판(11)에 두개의 고정나사(20)를 조임으로서 문자판 장착부재(18)에 부착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문자판 장착부재(18)는 각각 그곳의 양단에 두개의 원통형장착부(18A)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내부 나사구멍(18a)은 각 원통형 장착부(18A)에 형성된다.
또한, 문자판(19)은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원통형 장착부(18A)의 각 나사구멍(18a)을 맞추기 위해 그런 위치에서 두개의 장착나사 구멍(19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문자판장착부재(18)를 통해 브리지판(11)에 문자판(19)을 부착하기 위해, 두개의 고정나사(20)가 나사구멍(19a 및 18a)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고정나사는 비교적 얇은 판을 지나서 나사를 죄일 수 있는 드럴형 나사인데 빅판과 동시에 구멍에 나삿니를 내면서 죈다.
또한 문자판 장착부재(18)는 중앙구멍(18b)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장착부(18A)는 원통형 장착부(18A)의 외부면에 이어진 외부축방향홈(18c)으로 형성되며, 또한 브리지판(11)은 중앙구멍(11a)및 대칭으로 내열된 2개의 슬롯구멍(11b)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지침축안내부재(21)는 문자판 장착 부재(18)의 원통형 장착부(18A)의 외부축 방향홈부(18C)와 맞물릴 수 있는 클로부(21b)를 각가가 구비하는 대칭으로 뻗은 2개의 아암부(21B) 및 지침축(8)의 상단을 지지하는 중앙 원통형 보스부(21A)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침축 안내부재(21)는 브리지판(11)의 두개의 중앙구멍(11a 및 18b)및 눈금판 장착부재(18)에 원통형 보스부(21A)를 삽입함으로서 브리지판(11)에 부착되며, 부가적으로 지침축 안내부재(21)의 두개의 클로부(21b)가 문자판 장착부재(18)의 두개의 축홈(18C)과 맞물릴때까지 대칭으로 뻗은 2개의 아암부(21B)가 두개의 슬롯 구멍(11b)에 부착된다.
또한 제1b도에서, 부재번호(22)는 지침축안내부재(21)의 보스부(21A)의 최상단에 부착된 드러스터 베어링(thrust bearing)을 나타낸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와전류부재에서, 문자판(19)은 금속(예컨대 철제)으로 만들어진 브리지핀(11)의 표면에 두개의 고정나사(20)를 조이므로서 문자판 장착부재(18)를 통해 브리지판(11)에 끼워지므로 고정나사를 죄일때 금속분이 생겨 구동축(2)의 공동부(2a)(제1a도에 도시됨)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지침축(8)은 유연하게 움직이지 않거나 부정확한 지시상태로 진동하거나 비정상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판이 브리지판에 끼워질때 금속분이 발생하여 회전 구동축에 끼워진 피벗 지지부재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지침축이 비정상음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고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는 와전류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는 (a) 계기 지침축(89), (b) 회전구동축 (2), (C) 상기 회전구동축에 동축으로 끼워진 환상형 영구자석 (5), (d) 상기 환상형 영구자석 (5)의 외부 원주를 덮기위해 상기 계기 지침축에 동축으로 끼워진 컵형유도부재(9), (e) 상기 환상형 영구자석 및 상기 컵형 유도부재를 하우징하는 계기 케이싱 (10), (f) 상기 컵형 유도부재위에 부착되어 상기 계기 케이싱에 끼워진 브리지판(11), (g) 상기 계기 지침축을 회전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브리지판에 끼워진 지침축 안내부재(21), 및 (h) 고정나사로 상기 브리지판에 문자판을 끼우기 위해 상기 브리지 판에 장착된 분자판 장착부재(18)로 구성되며,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 및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 사이에 상기 브리지판(11)을 끼우고 상기 지침축 안내부(21)에 조여진 다수의 고정나사로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에 상기 문자판(19)을 끼우므로서 상기 브리지판(11)에 상기 문자판(19)이 간접적으로 끼워지는 특성이 있다.
지침축 안내부재(21)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아암부의 양단에 작은 중앙구멍(21e)을 각각 구비하는 두개의 원통형 탭부(21c) 및 대칭적으로 뻗은 2개의 아암부(21B)로 형성되고, (b) 상기 눈금판 장착부재(18)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아암부의 양단에서 소중앙구멍(21e)을 각각 가지는 두개의 원통형 탭부(21C) 및 대칭으로 뻗은 아암부(21B)로 형성되며, (C)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두개의 상기 원통형 탭부(21C)가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 및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사이에 상기 브리지판을 각각 끼워넣음으로서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상기 내부 다단구멍(18a)에 끼워진다.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두개의 원통형 탭부(21C)는 클로부(21d)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상기 두개의 원통형 장착부(18A)는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가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에 끼워질 때,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상기 클로부(21d)와 맞물리수 있는 외부축홈(18C)로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에서 합성수지 지침축 안내부재 및 합성수지문자판 장착부재 사이에 끼우고 조립과정동안 금속브리지판에 다수의 고정나사로 직접 조이지 않고 합성수지 문자판 장착부재에 문자판을 합성수지 지침축 안내부재에 조여진 다수의 고정나사로 부착됨으로서 문자판이 간접적으로 금속 브리지판에 끼워지기 때문에 금속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침진동, 부정확한 지시 및 이상음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계기보다 나은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의 특성 및 장점은 해당 소자를 부재번호로 나타내는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더욱 분명하게 알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브리지판에 문자판의 장착구조를 두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조는 종래의 계기와 실제로 동일하므로, 부재번호는 상세한 설명없이 동일기능을 가지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문자판(19)은 수지 지침축 안내부재(21)(종래의 부재로서 직접적으로 금속 브리지판(11)이 아닌)에 조여진 두개의 고정나사에 의해 문자판 장착부재(18)를 통해 지침축 안내부재에 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문자판 장착부재(18)는 각각 그곳의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원통형 장착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작은 나사구멍과 큰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내부 다단구멍(18a)은 원통형 장착부(18A)에 각각 형성된다. 중앙구멍(18b)은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중앙에 형성된다. 외부축방향홈(18c)은 그곳의 외부 표면상에서 축방향으로 뻗기 위해 각 원통형 장착부(18A)에 형성된다.
문자판(19)은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원통형 장착부(18A)의 각 나사구멍을 맞추기 위해 상기 위치에 두개의 장착나사 구멍을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브리지판(11)는 중앙구멍(11a)을 형성하고 대칭으로 배열된 두개의 슬롯구멍(11b)을 형성한다.
반면에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지침축 안내부재(21)는 지침축 상단을 지지하는 원통형 보수비(21A), 대칭으로 뻗은 두개의 아암부(21B),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원통형 장착시트(18A)의 축방향 홈부(18C)와 맞물릴수 있는 클로부(21d) 및 작은 중심구멍(21e)을 각각 가지는 두개의 원통형 탭부(21C)로 형성된다.
조립에서 문자판 장착부재, 브리지판(11)의 중앙구멍(18b) 및 두개의 중앙구멍(11a)에 원통형 보스부(21A)를 삽입함으로써 브리지판(11)에 지침축 안내부재(21)가 부착되고, 부가적으로 지침축 안내부재(21)의 두개의 클로부(21d)가 문자판 장착부재(18)의 두개의 축방향 홈(18c)와 탄성적으로 맞물릴때까지 두개의 원통형 탭부(21C)가 2개의 다단구멍(18c)에 부착된다.
따라서, 문자판 장착부재(18)와 지침축안내부재(21) 사이에 브리지판(11)를 끼움으로서 문자판 장착부재(18)를 통해 브리지판(11)에 문자판(19)을 간접적으로 끼우기 위해 작은 중앙구멍(21e)에 2개의 고정나사(20)로 조여진다. 또한, 부재 번호(12)는 지침축(8)에 부착된 나선형 스프링을 나타낸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전류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주행계기(17) (적분 지시기)와 함께 조립된다.
또한, 직사각형 문자판 장착부재(18)는 제3도에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라 구성된 와전류에서, 고정나사(20)는 지침축 안내부재(21)의 두개의 수지 원통형 탭부(21c)의 중앙구멍(21e)에서 조여지기 때문에 종래의 와전류계와 같이 금속분이 발생되지 않고 탭부(21c)는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원통형 탭부(21c)에서 고정나사가 조여진다. 따라서, 발생된 금속분이 지침축 지지부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침진동, 부정확한 지시 및 이상음 발생을 제거함에 따라 지침지시의 신뢰성을 높여질 수 있다.

Claims (3)

  1. (a) 계기지침축 (8), (b) 회전구동축 (2), (c) 회전구동축에 동축으로 끼워진 환상형 영구자석 (5), (d) 상기 환상형 영구자석의 바깥원주를 덮기위해 상기 계기지침축에 동축으로 끼워진 컵형의 유도부재 (9), (e) 상기 환상형 영구자석과 상기 컵형의 유도부재를 하우징 하는 계기케이싱(10), (f) 상기 컵형의 유도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계기케이싱에 끼워진 브리지판(11), (g) 상기 계기 지침축으로 회전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브리지판에 끼우는 지침축 안내부재(21), (h) 문자판(19), 및 (i) 고정나사(20)로 상기 브리지판에 상기 문자판을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브리지판에 장착된 문자판 장착부재(18)로 구성되어, 상기 브리지판(11)을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와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사이에 끼우고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위의 문자판을 다수의 고정나사로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에 부착시키므로써 상기 문자판이 상기 브리지판(11)에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계.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각각 아암부의 양끝에 작은 중앙구멍(21e)을 각각 갖고 있는 상기 2개의 원통형 탭부(21C)와 대칭으로 뻗은 상기 2개의 아암부재(21B)로 형성되고, (b)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각기 다단 구멍(18a)을 갖고 있는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원통형 장착부(18A)로 만들어지며, (c)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상기 2개의 원통형 탭부(21C)가 각기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와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의 내부 다단구멍(18a)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상기 원통형 탭부(21C)는 클로부(21d)로 각기 형성되고, 상기 지침축 안내 부재(21)가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에 끼워질때 상기 문자판 장착부재(18)의 상기 2개의 원통형 장착부(18A)는 각기 상기 지침축 안내부재(21)의 클로부(21d)와 맞물릴 수 있는 외부 축방향 홈(18C)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계.
KR2019900009484U 1989-06-30 1990-06-30 와 전류계 KR9300053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76374 1989-06-30
JP1989076374U JP2510346Y2 (ja) 1989-06-30 1989-06-30 渦電流式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4U KR910001194U (ko) 1991-01-24
KR930005366Y1 true KR930005366Y1 (ko) 1993-08-16

Family

ID=1360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484U KR930005366Y1 (ko) 1989-06-30 1990-06-30 와 전류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10346Y2 (ko)
KR (1) KR930005366Y1 (ko)
CN (1) CN10252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403A1 (ja) * 2015-09-07 2017-03-16 日本精機株式会社 渦電流式計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818Y2 (ja) * 1981-07-31 1985-11-29 日本精機株式会社 渦電流式計器
JPS5832169A (ja) * 1981-08-20 1983-02-25 Nippon Denso Co Ltd 渦電流式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243C (zh) 1994-06-29
CN1048454A (zh) 1991-01-09
JPH0317572U (ko) 1991-02-21
KR910001194U (ko) 1991-01-24
JP2510346Y2 (ja) 199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6765A (en) Tachometer generator
US4646007A (en) Tachometer indicator with uncompensated magnetic return to zero
KR930005366Y1 (ko) 와 전류계
US4504756A (en) Electrical speed sensor
US3240072A (en) Speedometer
KR930005365Y1 (ko) 와 전류계
US2798174A (en) No tipping error speed cup instrument
US3073978A (en) Magnetically driven instruments
US5059934A (en) Cross-coil rotary magnet device
JPH0789117B2 (ja) 回転センサ
US5174238A (en) Pointer shaft in indicating instrument
US3131561A (en) Flow measuring device
US2073152A (en) Speedometer
GB2079473A (en) Improvements in a tachometer device controlled by an electric motor
KR20020073288A (ko)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 장치
US3517561A (en) Speedometer mechanism
JPH0317211Y2 (ko)
JPH07942Y2 (ja) クロスコイル形指示計器のマグネットロータ
US3066541A (en) Eddy current instrument
JPS6017741Y2 (ja) 車輛用計器
US3181064A (en) Wide scale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with two afertured pole pieces lying in substantially parallel planes and a movable coil surrounding one pole piece
SU819894A2 (ru) Датчик положени ротора вентильного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US3768315A (en) Speedometer and odometer assembly
JPH0446213Y2 (ko)
US2027589A (en) Pointer type speed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