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60B1 -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60B1
KR930005360B1 KR1019910005112A KR910005112A KR930005360B1 KR 930005360 B1 KR930005360 B1 KR 930005360B1 KR 1019910005112 A KR1019910005112 A KR 1019910005112A KR 910005112 A KR910005112 A KR 910005112A KR 930005360 B1 KR930005360 B1 KR 93000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rtional pressure
pressure reducing
reducing valve
amplifi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388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60B1/ko
Publication of KR92001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제4a, 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컴퓨터 2 : 신호 발생부
3,6 : 톱니파 발진기 4 : 신호 합성부
5 : 증폭기 7 : 비교기
8 : 트랜지스터 9 : 솔레노이드
10 : D/A 변환기 11,13,16,17,18,19 : 저항
12 : 다이오드 14 : 타이머
15 : 단사트리거 20 : 떨림신호발생부
30 : 증폭부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기와 전자비례감압변이 사용되는 제어계통에서 제어기로부터 전자비례 감압변에 감압변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비례 감압변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자비례 감압변의 솔레노이드에 각 비례변의 특성에 따라 적당한 떨림신호가 포함된 제어신호(구동전류)를 흘려주어야만 비례변의 기계적 관성력과 마찰력에 대한 오차를 없애고 정확한 비례변 특성을 갖게 된다.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제1도에서와 이 신호(Vi)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1)에 연결된 D/A 변환기(10)나 신호 발생부(2)의 출력신호와, 떨림신호를 발생시키는 톱니파 발진기(3)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신호 합성부(4), 상기 신호 합성부(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증폭기(5), 고주파의 톱니파 발진기(6)의 출력신호와 상기 증폭기(5)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전류안정화를 위한 펄스폭 변조용 비교기(7) 및, 상기 비교기(7)의 출력단이 베이스단에 연결되며 솔레노이드(9)가 에미터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8)로 구성되어 동작하는 경우와,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신호 합성부(4)와 떨림 발생용 톱니파 발진기(3)를 제거하고 상기 D/A 변환기(10)나 신호 발생부(2)의 출력단을 곧바로 증폭기(5)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제1도의 경우는 대체로 양호한 출력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이나 떨림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당히 번거로운 회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구조도 복잡하고 외형도 커지며 고가의 제작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도의 경우는 대체로 제1도에 비해 간편하나, 어떤 특정범위내의 제어계통 및 전자비례 감압변에서만 가능하므로 범용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장착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증폭부에 떨림신호를 발생함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훨씬 더 간편하게 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20은 떨림 신호 발생부, 30은 증폭부, 14는 타이머(Timer), 15는 단사트리거(One shot Trigger), 1은 마이컴, 10은 D/A 변환기, 11, 17은 가변저항, 5는 증폭기, 8은 NPN 트랜지스터, 16과 18 및 19는 저항, 9는 솔레노이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타이머(14)에 연결된 단사트리거(15), 상기 단사트리거(15)의 출력단이 인터럽트핀에 연결된 마이컴(1), 상기 마이컴(1)에 연결된 D/A 변환기(10)로 구성된 떨림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D/A 변환기(10)에 일단이 연결된 가변저항(11), 상기 가변저항(11)의 타단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저항(19)이 반전 입력단자에 연결된 증폭기(5), 상기 증폭기(5)의 출력단이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에 저항(16)의 일단과 상기 증폭기(5)의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된 트랜지스터(8), 상기 저항(1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타단이 연결된 가변저항(17), 상기 저항(16)과 가변저항(17) 연결점에 일단이 연결된 솔레노이드(9) 및, 상기 솔레노이드(9)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저항(18)으로 구성된 증폭부(12)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머(14)가 떨림신호의 반주기 즉, Td/2의 주기로 연속적인 펄스열을 발생하면 단사트리거(15)는 상기 타이머(14)가 발생시킨 펄스의 에지(edge)에서 짧은 듀티(duty)를 갖는 펄스를 발생시켜 마이컴(15)의 인터럽트핀에 전송한다. 이때 단사트리거(15)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마이컴(1)의 인터럽트핀이 레벨감지판(level sensitivie pin)이기 때문이며 만일 인터럽트핀이 에지 감지핀(edge sensitive pin)이면 단사트리거(15)는 필요없게 된다. 한편 마이컴(1)에서는 Vp-p/2에 해당하는 디지트를 저장하고 Vi를 계산하여 저장한 상태이며 인터럽트 신호를 받으면 Vi에 Vp-p/2를 더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며 다시 인터럽트 신호를 받으면 Vi에 Vp-p/2를 빼소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상기 마이컴(1)의 출력신호는 D/A 변환기(10)에 의해 아날로그화되고(제4a도)가 가변저항(11)을 거쳐 증폭기(5)에 의해 증폭된 후 솔레노이드(9)에 흐르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9) 구동전류는 제4b도에 나타나 있으며 솔레노이드(9) 구동전류에 의해 전자비례 감압변을 구동하게 된다.
제4도에서 Vi는 증폭부(30)의 입력신호전압의 크기, Td는 떨림신호주기, Vp-p는 떨림의 피크투피크(peak to peak) 전압, Vo는 솔레노이드 구동전류의 크기, Da는 떨림신호 진폭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점차 일반화될 마이컴을 이용함으로서 값싸고, 소형화 할 수있고, 고장요인을 줄임으로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비례변의 성능보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 장치에 있어서, 떨림신호의 반주기로 연속적인 펄스열을 발생하는 타이머수단(14), 상기 타이머수단(14)에 연결되며 전압(Vi)을 출력하는 마이컴(1),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어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해주는 D/A 변환수단(10), 상기 D/A 변환수단(10)에 연결되어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30), 상기 증폭수단(3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30)은 상기 D/A 변환수단(10)의 출력단이 비반전입력단에 연결되고 저항(19)이 반전입력단에 연결된 증폭기(5), 상기 증폭기(5)의 출력단과 반전입력단에 각각 베이스단과 에미터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수단(14)과 마이컴(1) 사이에 연결된 단사트리거(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는 비반전 입력단자에 연결된 제1가변저항(11), 상기 증폭기(5)의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8)의 에미터단 사이에 연결된 제2가변 저항을 더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KR1019910005112A 1991-03-30 1991-03-30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KR93000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112A KR930005360B1 (ko) 1991-03-30 1991-03-30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112A KR930005360B1 (ko) 1991-03-30 1991-03-30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388A KR920018388A (ko) 1992-10-21
KR930005360B1 true KR930005360B1 (ko) 1993-06-19

Family

ID=1931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12A KR930005360B1 (ko) 1991-03-30 1991-03-30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02B1 (ko) * 2007-05-08 2008-06-26 마산시 수돗물 공급용 감압밸브의 압력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02B1 (ko) * 2007-05-08 2008-06-26 마산시 수돗물 공급용 감압밸브의 압력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388A (ko) 199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0366A (ko) 디지탈 서보 회로
KR930005360B1 (ko) 전자비례 감압변 구동용 전자식 신호처리장치
KR930006681A (ko) 영상기기용 로딩 모터 구동장치
EP0871011A3 (en) Control circui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proportional to the position of an input device
US4700148A (en) Shaker table amplifier
US5379217A (en) Vehicle electromagnetic clutch control device
US5361048A (en) Pulse width modulator having a duty cycle proportional to the amplitude of an input signal from a differential transducer amplifier
US3970909A (en) Constant speed regulator for DC motor
KR930008423B1 (ko) 펄스폭 변조신호의 복조회로
US5375031A (en) Vehicle electromagnetic clutch control device
US5563573A (en) Pseudo-random switched resistor
KR960003058A (ko) 모터전류에 의한 진동과 잡음을 방지하는 전력 스티어링 모터의 제어장치
US4115831A (en) Velocity detecting apparatus insensitive to noise
KR100270792B1 (ko) 가변 지연 장치
AU2002333352B2 (en) Device for adjusting an operating point of a magnetic field sensor
KR950004048Y1 (ko) 마이콤의 볼륨 콘트롤 전압 제어회로
KR960010117Y1 (ko) Fm발진전압 전송회로
KR0172697B1 (ko)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브 듀티제어회로
US8804384B2 (en) Converter for powering electric motor
KR0155280B1 (ko) 펄스폭 변조방식을 이용한 디지탈 펄스 발생회로
KR0122334Y1 (ko) 전류 제한 회로
JPH03175709A (ja) 高周波増幅器の電力制御回路
JP2705347B2 (ja) パワーアンプ保護回路
KR0140716Y1 (ko) 단상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구동회로
KR0168062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삼각파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