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20B1 - 전자현악기 - Google Patents

전자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20B1
KR930005220B1 KR1019890007632A KR890007632A KR930005220B1 KR 930005220 B1 KR930005220 B1 KR 930005220B1 KR 1019890007632 A KR1019890007632 A KR 1019890007632A KR 890007632 A KR890007632 A KR 890007632A KR 930005220 B1 KR930005220 B1 KR 93000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electronic
vibration
unit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837A (ko
Inventor
후미오 오마다
가쓰도시 사까이
요시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1Details of pick-up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현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현악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전자 현악기의 동체 상면에 부착설치된 현지지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제5도는 현 지지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6도는 동현지지유닛에 착설되는 전자 픽업의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현악기 2 : 동체
4 : 헤드 5 : 본체유닛
7 : 자성부재 8 : 현지지유닛
9 : 조정기구 10 : 폐그
25 : 베이스부재 79 : 가이드홈
81 : 나사간 82 : 자유단면
83 : 커버 85 : 구멍
본 발명은 현의 진동을 픽업장치라고 호칭되고 있는 현진동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하며, 검출된 진동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악음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될 악음을 발생된 전기신호에 기준하여 제거하는 전자현악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본체 유닛에 대한 장설된 현의 일단을 지지하는 현지지유닛의 설치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자현악기로서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지고 있다. 또, 미국에서의 본원의 관련기술은 다음과 같다.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계류중의 미국특허출원 제112,780호, 제184,099호, 제256,398호 및 제252,914호에는 복수의 현의 각기의 진동을 자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현의 진동에 대응하여 픽업신호를 발생하는 전자형 픽업장치와, 픽업신호에서 현진동 주기(즉, 현진동의 피치)를 추출하는 피치추출장치와, 그리고 피치에 대응하는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장치를 사용하는 키타신세사이저/전자키타가 제안된 바 있다.
이 타입의 키타신세사이저/전자키타는 피치추출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피치추출방식 전자현악기라고도 호칭되고 있다.
또한,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실개소 63-51395호에는 복수의 현의 각기의 진동을 자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현의 진동에 대응하여 픽업신호를 발생하는 전자형의 픽업장치와, 픽업신호에서 인베롭(envelope)신호를 검출하는 인베롭장치와, 그리고 인베롭신호의 픽크를 측정하는 픽크측정장치와를 사용하는 전자현악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인베롭신호의 픽크는 현을 튕기는 힘의 강도를 표시하고, 인베롭신호는 악음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될 악음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타입의 전자현악기는 현의 진동에 트리거(trigger)되어서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므로써 현트리거방식의 전자현악기라고 호칭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723,468호에는 복수의 현 각기의 진동을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전자형의 픽업장치와, 그리고 핑거보오드상의 핑거링조작에 의한 각 현의 누름위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핑거링 위치 검출장치를 사용하는 전자현악기가 제시되고 있다.
픽업장치에 의하여 장출된 픽업신호는 현의 진동상태를 표시하고, 악음발생수단에 의한 악음의 발생의 개시 및 종료의 지시와 발생된 악음의 음량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이 타입의 전자현악기는 초음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초음파 방식의 전자현악라고 호칭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765,219호에는 복수의 현의 각기의 진동을 자기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현진동에 대응하는 픽업신호를 창출하는 픽업장치를 사용하는 바이오린 형상의 전자현악기가 제안되고 있다.
더욱이, 미국특허 제4,702,141호에는 현진동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현진동에 대응하는 픽업신호를 창출하는 픽업장치를 사용하는 광학픽업방식의 전자현악기가 제안되고 있다.
더욱이, 미국특허 제4,658,690호에는 현진동을 홀소자와 자석과의 조합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현진동에 대응하는 픽업신호를 창출하는 픽업장치를 사용하는 홀소자 방식의 전자현악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어느방식의 전자현악기의 경우도 플러킹(plucking) 조작된 현진동에 응답하여 소정의 악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서는 플러킹 조작된 현의 현진동을 전기신호로 하여 검출하는 픽업장치와, 상기 전기신호에 기준하여 소정의 악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적인 처리를 하는 전기회로가 불가결한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전기신호는 소위 에렉기키타 또는 전기키타 방식의 전자현악기의 경우, 그대로 증폭되어서 소정의 악음으로서 발생되거나, 또는 소요의 가공이 시공된 후에 소정의 악음으로서 발음되거나 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피치추출방식, 현트리거방식, 또는 초음파방식의 전자현악기의 경우, 상기 전기신호는 별체의 악음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음의 음색이나 음량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현악기의 경우, 이들 픽업장치와 소정의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회로기판과는 일반적으로 현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현지지부재의 주위에 배치되었고, 거기에서 픽업장치와 회로기판과는 현지지 부재와는 별개의 상태로 현악기 본체에 부착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구조의 경우, 당연 현지지부와 픽업장치와 회로기판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현악기 본체에 부착설치되는 것이 되므로 현악기 본체의 조립작업이 번잡하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인 경우, 예를들면 픽업장치나 회로기판에 고장이 생겨서 그 교환을 필요로 하게 된 때에 고장난 픽업장치 또는 회로기판만을 현악기 본체에서 해탈시킬 수가 없고, 현악기 본체에 착설되어 있는 타의 부품까지도 해탈하지 아니하며 아니되는 일이 왕왕 있다.
현트리거 방식의 현악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장치에서 픽업신호가 출력된 때에 그 픽업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의 이상이 되었든 것에 응답하여 미리 악음발생 수단중에 프리세트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음색의 악음중에서 임의의 음색을 가진 악음이 발음된다.
특정의 악음의 발음후에도 소정시간 이상 현진동이 생기고 있으면 그 현진동에 수반된 픽업신호의 레벨이 소정시간 이상 소정레벨 이상이 된다. 이때문에 연주자의 의도에 없는 악음이 발음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현이 플러킹 조작된 직후, 단시간 내에 현진동이 억지될 것이 필요하다.
미국특허 제3,015,247호에서는 현이 플러킹 조작된 직후에 현진동을 단시간내에 제동시키기 위한 현진동 제동부재를 구비한 현악기가 개시되고 있다. 이 현악기의 경우 그러하지만 현을 지지하기 위한 현지지유닛과 상기 현진동제동부재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현지지유닛을 현악기 본체에 고정시킨 때에 상기 현진동제동부재를 상기 현에 대하여 적정한 상태로 누름접합시킬 수가 없는 사태가 생기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에는 현진동제어부재는 양호한 현진동제동기능을 달성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근본으로 하고 발명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 본체에 대한 픽업장치 등의 조립작업이 간단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픽업장치 및 전자처리기판이 고장된 경우의 교환작업도 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의 전자현악기를 제공하고저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의 목적은 현이 플러킹 조작된 직후, 현진동을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억지하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구성한 전자현악기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전자 현악기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도면에 도시된 전자현악기(1)는 기타의 형상을 하고 있다. 동체(2)와 넥크(3)와 헤드(4)로 구성되는 본체유닛(5)상에는 동체(2)와 헤드(4)와의 사이에서 넥크(3)의 길이방향에 연하여 6본의 현(6a-6f)이 병렬상태로 장설되어 있다(도면에 있어서는 일부 생략되어 있다). 현(6a-6f)은 자성체로된 코일스프링(7)이 동체측 단부의 근방에 피착된 (제3도 참조) 비자성현(나이론현, 견사현, 양장현등)이다. 또, 현(6a-6f)의 각기의 동체측 단부는 동체(2)의 상면의 후부의 중앙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되어 있는 현지지유닛(8)(이것에 대하여서는 제2도-제5도를 참조하고 후술한다)의 현지지부(44)에 지지되고 또한, 현 고정부(45)에서 고정되었다. 현(6a-6f)의 각각의 헤드측단부는 헤드(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현장력 조정기구(이것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의 페그(10)에 고정되었다.
본체유닛(5)의 동체(2)의 상면에는 현지지유닛(8)외에 전원 온, 오프 스위치(11)나 보륨스위치(12) 뮤트스위치(13), 패트조작스위치(14), 리듐 세렉트스위치(15), 음색세렉트스위치(16)등이 배치되어 있다. 동체(2)의 내부에는 전자현악기(1)를 위한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도시없음)이나 스피이커(17)등이 배설되었다.
또, 넥크(3) 상면에는 핑거보오드(18)(이것에 대하여서는 후술함)가 설치되어 있다.
동체(2)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어퍼하아파프(19)와 로워하아프(20)와를 도시없는 볼트에 의하여 상호결합하므로서 구성된 것이다. 넥크(3)도 또한 합성수지에 의하여 동체(2)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고, 동체(2) 상면의 전부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홈(21)에 넥크(3)의 기단부(22)가 감입된 후에 도시없는 볼트등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동체(2)와 넥크(3)와의 강성의 향상을 위한 대판상(帶板狀)의 금속제 보강부재(23)가 넥크(3)의 가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헤드(4)에서 동체(2)의 상면의 현지지유닛(8)과 설치되는 부분까지 넥크(3)의 상면과 동체(2)의 어퍼하아프(19)의 하면에 연하여 연출하고 있다. 보강부재(23)의 헤드측단부(24)는 헤드(4)상면에 고정된 현장력 조정기구(9)의 금속제의 베이스부재(25)에 볼트(26)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보강부재(25)에 볼트(26)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보강부재(23)의 동체측단부(27)는 현지지유닛(8)에 볼트(77)로 결합되었다(제2도-제4도 참조). 금속제보강부재(23)는 넥크(3)상면 개구(28)의 입구에 수용되어 있고, 개구(28)의 전면에 실이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보스(29)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30)에 금속제보강부재(23)의 볼트삽통공(31)을 통하여 도시없는 볼트를 나합시키므로서 넥크(3)에 고정된다.
금속제보강부재(23)의 동체측단부(27)는 넥크(3)의 동체측단판(32)에 형성된 구멍(33)에서 동체(2)의 상면중앙에 현지지유닛(8)에 향하여 형성된 얕은 띠형태의 홈(34)에 끼워져 있다.
이때, 금속제보강부재(23)의 상면은 동체(2)의 상면과 면일이다.
핑거보우드(18)는 회로기판(35)과 회로기판(35)이 하면에 일체화되는 고무제의 탄성가요시트(3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탄성가요시트(36)의 하면 양측에 연하여 횡단면이 대략 C자형 또는 역 C자형 홈(37,38)을 가진 회로지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회로기판(35)은 양측연을 홈(37,38)에 감입시키므로서 탄성가요시트(36) 하면에 일체화된다. 더우기, 가요시트(36)와 회로기판(35)과는 가요시트(36)중의 볼트삽통공(39)에 배치된다. 도시없는 볼트로 상호결합되어 있다. 회로기판(35)의 상면에는 현(6a-6f)의 각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현의 반음마다에 고정접점(40)이 설정되었다. 또한, 가요시트(36) 상면에는 현(6a-6f)의 반음마다에 프렛(41)이 설치되어 있다. 가요시이트(36)의 하면에는 현(6a-6f)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현의 반응마다의 가동접점(도시없음)이 설치되어 있고, 또 각현의 반응마다의 가동접점간에는 가동접점과 회로기판(35)상의 고정접점(40)과의 사이에 상하방향의 갭을 창출하기 위한 스페이서(도시없음)가 설정되어 있다. 탄성가요시트(36)의 상면을 누르면, 상기 상면의 누름부위에 대응한 가동접점이 대향하는 고정접점(4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위에 대응하는 프렛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어서 소정의 음고지정신호를 음원인 악음발생회로(동체 2에 내장)에 출력하고 악음발생회로가 발생하는 악음의 음고를 설정한다. 고정접점(40) 및 가동접점은 카본인쇄로 회로기판(35)의 상면 및 가요시트(36)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프렛(41) 및 전술한 도시없는 스페이서는 탄성가요시트(36)의 상면 및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핑거보오드(18)는 네크(3)의 상면의 개구(28)의 양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리브구조의 지지대(돌조)(42),(43)상에 재치되어, 금속제보강부재(23)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개구(28)에 감입되어 있다. 핑거보오드(18)는 넥크(3)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현지지유닛(8)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제2도-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는 현지지부(44)와 현고정부(45)와 현진동억지부재(댄퍼)(46)를 위한 부착설치부(47)와 현(6a-6f) 각기에 감착된 코일스프링(7)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부재(48)를 위한 부착설치부(49)와 픽업수단으로서의 전자픽업(50)을 위한 부착설치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현지지유닛(8)의 하면에는 회로기판(52)를 위한 부착설치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현지지부(44)는 현지지유닛(8)의 상면에서 현(6a-6f)의 길이방향의 대략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현(6a-6f)의 각기에 대응한 위치에서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여 대응한 현(6a-6f)이 삽통되는 수평한 현상통공(54)을 보유하는 복수의 현지지돌기(55c-55f)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현상통공(54)은 코일스프링(7)을 삽통가능한 지름으로 되어 있고, 현(6a-6f)에 피착된 상태의 코일스프링(7)이 삽통된다.
현고정부(45)는 현지지유닛(8)의 상면후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로워고정하아프(56)와 로워고정하아프(56)에 도시없는 복수의 볼트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업퍼고정하아프(57)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워고정하아프(56)의 상면은 횡단면이 현(6a-6f)의 수에 대응한 골이 있는 거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의 골의 저면은 대응하는 현(6a-6f)의 각기를 손상하지 않게 반원형의 홈(58)으로 되었다. 로워고정하아프(56)의 상술한 바와 같은 상면에 접면하는 업퍼고정하아프(57)의 하면도 또한 횡단면이 현(6a-6f)의 수에 대응한 현(6a-6f)의 각기를 손상시키지 않게 반원형의 홈(59)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현고정부(45)에 있어서는 로워고정하아프(56)에서 업퍼고정하아프(57)를 해탈한후에 현(6a-6f)의 각기의 동체부 측단부를 로워고정하아프(56)의 각홈(58)에 감입하고, 다음에 로워고정하아프(56)의 상면에 업퍼고정하아프(57)를 볼트에 의하여 결합하므로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6a-6f)의 각 동체부 측단부를 현지지 유닛(8)상에 고정할 수가 있다.
현진동억지부재(46)는 북킹조작된 현의 현진동을 단시간(수초)내에 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실리콘 고무나 경질합성고무 등에 의하여 각주형으로 구성되었다. 현진동억지부재(46)를 위한 착설부(47)는 현지지유닛(8)의 상면에서 현지지부(44)앞에 배치되어 있고, 현진동 억지부재(46)를 누름등으로 감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에 행성된 홈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스프링 고정부재(48)는 현(6a-6f)의 각기에 피착되고, 또한 현지지부(44)에 지지된 코일스프링(7)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프링고정부재(48)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각주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현지지유닛(8)의 상면에서 현지지부(44)와 현고정부(45)와의 사이에 창출되어 있는 홈형의 부착설치부(49)에 감입된다. 부착설치부(49) 내의 스프링고정부재(48)의 현지지부 측단면(60)이 코일스프링(7)의 동체측단부의 대경부(61)를 현지지부(44)의 후단면에 맞닿게 하므로서 코일스프링(7)을 대응하는 현상에서 현방향에 있어 고정한다.
코일스프링(7)은 대응하는 현이 삽통되기 전에 현지지부(44)의 후단면측에서 현삽통공(54)에 삽통되고, 이후에 부착설치부(49)에 스프링고정부재(48)가 감입된다. 스프링고정부재(48)의 상면에는 코일스프링(7)의 중심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중심공의 깊이까지 요입된 깊은 홈(62)이 형성되었다. 코일스프링(7)에는 현고정부(45)측에서 헤드(4)에 향하여 대응하는 현(6a-6f)이 삽통되지만, 코일스프링(7)과 현고정부(45)사이에서 현(6a-6f)이 스프링 고정부재(48)의 대응하는 깊은 홈(62)내에 감입되므로서 스프링 고정부재(48)는 현(6a-6f)에 의하여 홈형태의 부착설치부(49)내에 압압되어서 고정된다.
전자픽업(5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출력단자(63)를 보유하고 있는 홀더(64)와, 이 홀더(64)의 상면에 부착설치된 철심(코어)(65)와 철심(65)에 피착되어 코일(66)이 권회된 코일보빈(67)과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현(6a-6f)에 각기 피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이 픽킹조작에 의한 현진동에 의하여 대응하고 있는 전자픽업(50)의 전자석(철심 65, 코일 66, 코일보빈 67)에 발생하고 있는 자속을 변화시키면, 그 자속변화에 의하여 유도전위가 발생한다. 상기 유도전위는 현진동에 대응한 전기신호로 하여 검출된다. 전자픽업(50)의 부착설치부(51)는 현지지유닛(8)의 상면에서 현진동 억지부재(46)를 위한 부착설치부(47)의 전방에 현(6a-6f)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단이 형성된 관통공(68)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자픽업(50)은 관통공(68)내에 하면측 개구에 의하여 장착되지만, 이 경우 전자석(65,66,67)이 상부의 소경부(69)에 끼워맞추어지고, 홀더(64)가 하부의 대경부(70)에 끼워맞춰된다. 전자픽업(50)은 후에 상술하는 회로기판(52)상에 부착설치되어 있으므로 회로기판(52)이 현지지유닛(8)의 하면 부착설치부(53)에 고정되면 관통공(68)내에 자동적으로 장착된다.
회로기판(52)에는 각 전자픽업(50)에 의하여 검출된 전기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전기신호를 음원인 악음발생회로(동체 2에 내장되어 있음)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부품(71)이나 전자픽업(50)과 접속된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52)은 현지지유닛(8)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형의 부착설치부(53)에 감입되어서 도시없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지지유닛(8)은 동체(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요입부(72)에 감입된 후, 동체(2)에 대하여 복수의 볼트(73)로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되었다. 수납요입부(72)가 형성되어 있는 동체(2) 상면의 현지지유닛 부착설치영역은 상기 영역에 대응하여 동체(2)의 업퍼하아프(9)의 상벽 내표면에 볼트 고정된 금속판(74)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금속판(74)의 전단부는 넥크(73)에서 동체(2)의 상표면의 홈(34)내에 돌입되어 있는 금속제보강부재(28)의 동체측단부(27)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2)의 상벽(즉, 업퍼하아프 19의 상벽)을 개재하고 대향하고 있고, 상기 상벽에 삽통된 복수의 볼트(77)에 의하여 보강부재(28)의 동체측단부(27)에 고정되어 있다.
현지지유닛(8)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전자픽업(50)등을 보호하기 위한 도시없는 커버(센서커버)가 착탈가능하게 부착설치된다. 또, 넥크(3)의 가단부(22)의 동체측단판(32)의 상면에는 동체(2)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현진동 억제부재(덤퍼)(86)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4)상의 현장력조정기구(9)는 베이스부재(25)와 베이스부재(25)상에 현(6a-6f)의 각기 대응하게 설치되어 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복수의 페그(10)와 각페그(10)에 개별로 부착설치되어서 페그(10)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조작부재(78)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베이스부재(25)의 상면에는 현(6a-6f)에 대응한 위치에서 현의 길이방향에 연출한 복수의 가이드홈(개미홈)(79)이 형성되어 있어, 이 가이드홈(79)에 페그(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말(8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입되어 있다. 말(80)에는 가이드홈(79)내를 베이스부재(25)의 자유단면(82)에 향하여 현의 길이방향에 연출한 소정길이의 나사간(수나사)(81)이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홈(79)에서 돌출한 나사간(81)의 자유단부에 원통형의 조작부재(버넛)(78)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조작부재(78)는 일단에 나사간(81)에 나합하는 암나사 공을 갖고 또, 타단에 조작부재(78)를 회동시키기 위한 공구(6각 렌치)와 걸어맞추는 구멍(6각공)을 갖고 있다.
조작부재(78)의 일단은 베이스부재(25)의 자유단면(82)에 맞닿아 있으므로, 조작부재(78)를 상기 공구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나사간(81)과 함께 페그(10)가 가이드홈(79)속을 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페그(10)를 베이스부재(25)에 하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서 각 페그(10)에 헤드측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각현(6a-6f)의 장력조정이 행해진다. 더우기 이와 같은 현의 장력조정은 현장력 조정기구(9)를 커버(83)로 덮은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커버(83)는 헤드(4)에 대하여 부착해제자재하게 부착설치되어 상면에 각 페그(10)가 삽통되며, 각 페그(10)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가이드홈(84)을 갖고 있고, 전단면에는 각 조작부재(78)가 삽통되는 구멍(85)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자현악기(1)에 있어서는 전자픽업(50) 및 회로기판(52)이 동체(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설치된 현지지유닛(8)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현지지유닛(8)내의 소정의 착설부(51,53)에 미리 전자픽업(50) 및 회로기판(52)을 부착설치하고 다음에 현지지유닛(8)을 동체(2) 상측표면 소정위치에 볼트(73)로 착설되므로서 전자픽업(50) 및 회로기판(52)을 전자현악기(1)내에 소정 위치에 설치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전자픽업(50)이나 회로기판(52)에 고장이 생긴 경우라도, 현지지유닛(8)이 이외에 동체(2)에 부착설치되어 있는 타의 부품을 동체(2)에서 해탈하는 것만으로서 고장난 전자픽업(50)이나 회로기판(52)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는 현트리거 방식의 전자 현악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치추출방식이나 초음파방식 등의 전자현악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현악기에 의하면, 현지지유닛에 현진동검출수단 및 전자처리기판을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현악기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유닛에 상기 현지지유닛을 부착설치하는 것으로서 본체유닛의 소정위치에 대한 현진동 검출수단 및 전자처리 기판의 확실하고 신속한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현진동 검출수단 및 전자처리기판의 본체유닛에 대한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현진동 검출수단이나 전자처리기판이 고장났을 경우 본체유닛에서 현지지유닛을 해탈하므로서 즉시 고장난 현진동 검출수단이나 전자처리기판의 수리교환이 동일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본체유닛(5)와 ; 상기 본체유닛(5)상에 장설된 적어도 1개의 현(6a-6f)과 ; 상기 현(6a-6f)의 적어도 일단을 지지하고, 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유닛(5)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된 현지지유닛(8)과 ; 상기 현(6a-6f)의 진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진동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현지지유닛(8)에 부착해재가능하게 부착설치된 현진동검출수단(50)과 ; 상기 현지지유닛(8)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되며, 상기 현 진동검출수단(50)에 의하여 검출된 전기신호에 대하여, 발생하여야 할 악음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처리를 하는 전자처리기판(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진동 검출수단(50)의 근방에 상기 현의 진동을 제동하는 현진동 제동부재(46)를 다시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진동 제동부재(46)는 상기 현지지체(8)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6a-6f)이 삽통되며, 일단이 상기 현지지유닛(8)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현의 외주에 부착설치되며, 삽통된 상기 현의 진동에 추종하도록 가요성이 있는 통형상의 자성부재(7)를 다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현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6a-6f)은 비자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7)는 자성재료의 선재를 코일형으로 권회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6a-6f)은 자성재료로 형성되었고, 상기 현진동검출수단(50)은 전자형의 픽업장치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지지유닛(8)은 상기 본체유닛(5)에 부착해제가능하게 부착설치된 본체와, 상기 현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상에 형성된 현지지부와 상기 현 지지부(44)와 협동하여 상기 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4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지지유닛(8)의 상기 본체유닛(5)측 표면에 기판부착설치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 부착설치부에 상기 전자처리기판(52)이 부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5)에 설치되며, 상기 현진동검출수단(50)에 의하여 검출된 전기신호에 기준하여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발생수단을 다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KR1019890007632A 1988-06-03 1989-06-02 전자현악기 KR930005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74044U JPH01177794U (ko) 1988-06-03 1988-06-03
JP63-74044(??) 1988-06-03
JP88-74044 1988-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837A KR900000837A (ko) 1990-01-31
KR930005220B1 true KR930005220B1 (ko) 1993-06-16

Family

ID=1353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632A KR930005220B1 (ko) 1988-06-03 1989-06-02 전자현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4588A (ko)
JP (1) JPH01177794U (ko)
KR (1) KR930005220B1 (ko)
GB (1) GB22215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7794U (ko) * 1988-06-03 1989-12-19
US5569872A (en) * 1994-09-21 1996-10-29 Ernie Ball, Inc. Musical pick-up device with isolated noise cancellation coil
JPH10310494A (ja) * 1996-05-31 1998-11-24 Ngk Spark Plug Co Ltd ダイヤモンド被覆膜付き超硬部材の製造方法
WO1999039330A1 (en) * 1998-01-30 1999-08-05 E-Mu Systems, Inc. Interchangeable pickup,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and system for a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046393A (en) * 1999-01-28 2000-04-04 Rose; Floyd D.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replaceable head stock
US6051773A (en) * 1999-01-28 2000-04-18 Rose; Floyd D.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cover for slidable pick-up
US6194645B1 (en) 1999-01-28 2001-02-27 Floyd D. Rose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hidden tremolo
US6111176A (en) * 1999-01-28 2000-08-29 Rose; Floyd D. String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anchors for use with a stringed instrument
US6198030B1 (en) 1999-01-28 2001-03-06 Floyd D. Rose Stringed instrument having improved neck
US6137039A (en) * 1999-01-28 2000-10-24 Rose; Floyd D. Stringed instrument having slidable saddles
US6046397A (en) * 1999-01-28 2000-04-04 Rose; Floyd D.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mechanical control assembly for slidable pick-up
US7045693B2 (en) * 2002-01-11 2006-05-16 Floyd D. Rose Tuning system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040159204A1 (en) * 2002-01-11 2004-08-19 Rose Floyd D. Removable nut assembly, methods and kit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450593B2 (en) * 2003-06-09 2013-05-28 Paul F. Ierymenko Stringed instrument with active string termination motion control
JP2011509800A (ja) * 2008-01-24 2011-03-31 745 エルエルシー 弦付きコントローラおよび/または楽器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装置
US8536430B2 (en) * 2009-01-14 2013-09-17 Geoffrey McCabe Fine tuning means for fulcrum tremolo
US8569608B2 (en) * 2009-12-17 2013-10-29 Michael Moon Electronic harp
IT1398223B1 (it) * 2010-03-09 2013-02-22 Frongillo Sistema con pickup multipolari intercambiabili su motherboard ed attivabili/disattivabili tramite controller posizionato su strumento a corde elettrificato o tramite software per pc
US8519252B2 (en) * 2011-03-16 2013-08-27 Waleed Sami Hadda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123312B2 (en) 2012-01-19 2015-09-01 Geoffrey Lee McCabe Tuning mechanisms
US9047851B2 (en) 2012-09-19 2015-06-02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595245B2 (en) 2015-04-28 2017-03-14 Geoffrey Lee McCabe Locking bearing mechanisms for fulcrum tremolo
US9734804B1 (en) 2015-10-11 2017-08-15 Geoffrey Lee McCabe Drop tuner for fulcrum tremolo
US9484007B1 (en) 2015-11-18 2016-11-01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top tuner and tremolo stabilizer
US9847076B1 (en) 2016-10-18 2017-12-19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pring and stabilizer tuner
US10157602B2 (en) * 2016-03-22 2018-12-18 Michael S. Hanks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keyboard guita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5247A (en) * 1960-04-20 1962-01-02 Gibson Inc Mute means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s
US3733953A (en) * 1971-12-30 1973-05-22 D Ferbe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optoelectronic pickup sound amplifier
JPS5383728A (en) * 1976-12-29 1978-07-24 Chiyuushin Gatsuki Seizou Kk String vibration converter bridge for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4201108A (en) * 1978-05-22 1980-05-06 Bunker Instruments, Inc.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US4236433A (en) * 1979-04-02 1980-12-02 Stephen Holland Electric string instrument
GB2045993B (en) * 1979-04-04 1983-05-11 Staccato Research & Dev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501186A (en) * 1982-06-21 1985-02-2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Pickup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658690A (en) * 1983-05-10 1987-04-21 Synthaxe Limit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702141A (en) * 1984-11-08 1987-10-27 Carmine Bonanno Guitar controller for a music synthesizer
WO1987004288A2 (en) * 1985-01-08 1987-07-16 Synthaxe Limited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723468A (en) * 1985-10-26 1988-02-09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US4911053A (en) * 1986-07-04 1990-03-27 Casio Computer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string trigger switch
US4765219A (en) * 1986-08-15 1988-08-23 Alm John A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625095B2 (ja) * 1986-08-20 1994-04-06 明治製菓株式会社 抗生物質sf−2415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US4928563A (en) * 1987-12-31 1990-05-29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tun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1177794U (ko) * 1988-06-03 1989-1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14588A (en) 1991-05-14
KR900000837A (ko) 1990-01-31
GB2221558B (en) 1992-05-13
GB8912660D0 (en) 1989-07-19
GB2221558A (en) 1990-02-07
JPH01177794U (ko) 198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220B1 (ko) 전자현악기
US5399802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130312590A1 (en) Electromagnetic Cymbal Pickup
US11145280B2 (en)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75045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 monitor therein
US4522101A (en) Mounting ring and thumbrest
US977971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coustic transducer and musical instrument
US2089171A (en) Electrical stringed musical instrument
EP2980785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coustic transducer and musical instrument
EP3131090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vibrator, instrument, and attachment method of vibrator
US5391832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with wraparound permanent magnet
US5627336A (en) Percussion instrument having an electromagnetic sensor
KR920004102B1 (ko) 전자 현악기
US3165022A (en) Tone production system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2310606A (en) Musical instrument
JPH05173559A (ja) 弦楽器
GB99119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3762781B1 (ja) 電子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装置
JPH0745113Y2 (ja) 弦楽器
JP5394755B2 (ja) 楽器の弦アース回路遮断器
CN101263550A (zh) 振动弦乐器的装置和方法
US20230178054A1 (en) Stringed instrument system with magnetically attached electronics module
US10818272B1 (en) Bridge mono-saddl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N114762036A (zh) 音响装置
US4762045A (en) Anti "click" electronic pickup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