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25B1 -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25B1
KR930005125B1 KR1019910002850A KR910002850A KR930005125B1 KR 930005125 B1 KR930005125 B1 KR 930005125B1 KR 1019910002850 A KR1019910002850 A KR 1019910002850A KR 910002850 A KR910002850 A KR 910002850A KR 930005125 B1 KR930005125 B1 KR 93000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script
document
original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436A (ko
Inventor
김동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25B1/ko
Publication of KR92001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제1도는 팩시밀리의 원고 이동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부분적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4도는 종래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 2,5 : 원고감지센서
3 : ADF 4 : ADF롤러
6 : WRP 7 : 독취폭
8 : 광원 9 : 광소자
10 : 화신호 처리부 11 : 컨트롤러
12 : 데이타 트랜시버 13 : 제1버퍼
14 : CPU 15 : 램
16 : 롬 17 : 제2버퍼
18 : 핀치롤러 19 : 드라이브롤러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있어서 이미지 독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의 그림자 데이타를 검출 및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에서 원고를 복사하거나 송신할 경우 종래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CIS(Contacted Image Sensor)와 같은 광소자의 일직선(alignment)과 원고가 피딩(feeding)되면서 만나는 지점에서 그림자가 발생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는 종래의 원고 복사 및 송신 동작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과정을 거쳐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즉, 원고를 복사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고(1)를 제1원고 감지 센서(2)에 까지 밀어 넣으면 상기 제1원고감지센서(2)는 상기 원고(1)를 감지하고 하이상태이던 초기의 상태를 로우상태로 변환한다. 상기 센서(2)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도에 도시된 컨트롤러(11)로 입력되어 데이타 트랜시버(12)를 거쳐 CPU(14)로 전달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된 결과 LCD(Liqued Crystal Display)상에는 원고가 적재(load)되었음이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Tx모터를 구동하여 광원(8)에 불을 밝힌다.
여기서 상기 LCD와 Tx모터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팩시밀리가 이들을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은 공지의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Tx모터가 구동되면 ADF(Auto Document feed)롤러(4)가 돌면서 문서를 진행시키며 ADF(3)는 상기 원고(1)를 위에서 눌러주어 상기 원고(1)가 원활히 피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고(1)가 계속 피딩되면서 제2원고감지 센서(5)까지 다다르면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는 초기의 하이상태를 절환하여 로우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 순간 상기 Tx모터는 정지한다.
이후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에서 부터 독취구간(7)까지 상기 원고(1)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전술한 CPU(14)의 소프트 웨어적인 제어에 의해 이미 계산된 거리 만큼 상기 Tx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복사 버튼이나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광소자(9)가 상기 원고(1)의 이미지를 독취하기 시작하며 상기 Tx 모터의 구동이 시작된다. WRP(White Reference Pannel) (6)는 흰색배경의 역할을 하며 핀치롤러(18)와 구동롤러(19)는 상기 원고(1)를 잡아 롤링시킴으로써 동일한 속도로 원고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에서 독취폭(7)까지 이미 계산된 거리를 상기 Tx 모터를 구동하여 원고를 독취폭까지 피딩시킬 때 상기 ADF(3)의 마찰계수의 차이 및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의 레버 떨림에 의한 감지 차이등에 의해 원고가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와 독취폭(7)사이에 놓이게 되거나 상기 독취폭(7)을 넘어서는 경우가 발생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복사 및 송신시 원고가 진행되면서 상기 독취폭에 도착될 때 광소자(9)와 만나게 되어 그림자가 발생한다. 그 결과 프린트되는 수신 용지에 검은 데이타 라인이 발생되며, 원고와 수신용지의 길이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원고에 데이타 유실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원고의 길이에 비해 수신 용지의 길이가 짧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의 복사나 송신시 광소자의 일직선과 원고가 피딩되면서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그림자를 사전에 검출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참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소자(9)에서 독취된 이미지 신호가 출력되면 화신호 처리부(10)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입력하여 샘플호울드 및 임계(Threshold) 처리한 결과 0.1의 디지탈 상태로 변환된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한다. 상기 0은 흰색을 의미하고, 1은 검은 색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화신호 처리부(10)에서는 CPU(14)에 리퀘스트(DRQ)를 걸어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된 데이타를 가져가도록 요구한다. 이때 상기 CPU(14)는 상기 화신호 처리부(10)로 응답신호(ACK)를 출력한다. 그 결과 상기 데이타 버스상에 있던 데이타는 데이타 트랜시버(12)를 거쳐 상기 CPU(14)로 전달되고, 상기 CPU(14)는 소정의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여 제2버퍼(17)에서 완충하였다가 이로써 램(15)의 어드레스를 지정한 후 상기 데이타 트랜시버(12)로 부터 전달받은 데이타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CPU(14)는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흰색인지 혹은 검은색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CPU(14)는 데이타를 기록 및 독출하기 위해 제1버퍼(13)를 통해 제어부(11)에 해당 명령을 주게 되며, 상기 제어부(11)는 이 명령을 받아 상기 화신호 처리부(10)와 램(15) 및 롬(16)을 억세스한다.
원고(11)가 피딩되어 제2원고감지 센서(5)에 다다르면 상기 제2원고감지 센서(5)로 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초기의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광소자(9)에서 읽어들인 데이타를 화신호 처리부(2)를 거쳐 상기 램(15)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고(1)가 피딩되면서 상기 광소자(9)가 매라인(1/7.7㎜)마다 독취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화신호 처리부(10)를 거쳐 디지탈화 하고 이를 상기 CPU(14)가 읽어 상기 램(15)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계속 반복하면서 광소자와 원고 가장자리가 일치되는 지점 즉, 그림자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광소자가 독취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화신호 처리부(10)에서 임계처리 함으로써 디지탈화 된 데이타1이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되며 상기 CPU(14)는 상기 데이타 버스에 출력된 데이타를 상기 램(15)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데이타에서 연속적으로 검은 데이타가 2라인 이상 체크되었을 경우 상기 Tx 모터를 정지시킨다.
CCITT규격(Recommendation T.3)에 의거 원고 독취시 원고의 맨위 가장자리 0-4㎜이내의 데이타는 독취되지 않아도 되므로 그림자 검출후 상기 원고(1)가 0-4㎜이내의 범위안에서 독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가장자리를 보지 못하도록 상기 Tx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후 그림자 검출을 위해 할당한 램(15)의 영역을 초기화 하고, LCD상에는 시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동작 과정을 거친후 사용자가 복사나 송신을 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상기 광소자(9)는 이미 상기 원고(1)의 가장자리를 지나 안쪽을 독취하기 때문에 수신 용지에는 검은 줄이 발생되지 않아 깨끗한 데이타를 얻을 수 있으며 수신 용지의 길이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그림자를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수신 기록 용지의 앞부분에 발생하는 검은 줄이 생기지 않아 깨끗한 데이타를 얻을 수 있고, 다수 페이지를 복사 혹은 송신하는 경우 수신기록 용지의 각장마다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팩시밀리에서 복사 혹은 송신용 원고를 독취폭까지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원고감지 센서로 부터 자동으로 피딩된 원고가 제2원고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이미지를 독출하고 그로부터 그림자 라인 발생수를 체크하여 상기 원고의 독취위치 도달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원고가 독취위치에 도달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원고를 소정거리 만큼 더 피딩한 다음 모터를 정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KR1019910002850A 1991-02-21 1991-02-21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KR93000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850A KR930005125B1 (ko) 1991-02-21 1991-02-21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850A KR930005125B1 (ko) 1991-02-21 1991-02-21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436A KR920017436A (ko) 1992-09-26
KR930005125B1 true KR930005125B1 (ko) 1993-06-15

Family

ID=1931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850A KR930005125B1 (ko) 1991-02-21 1991-02-21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436A (ko) 199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0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data
US2010012833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995253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054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GB2320390A (en) Determining document size in a document image scanner
US473785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16866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6335807B1 (en) Scanner carriage stop/start artifact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US2009020156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930005125B1 (ko) 팩시밀리의 이미지 독취시 원고 그림자 검출 및 제거방법
JP3417723B2 (ja) 画像読取装置
US6313928B1 (en) Document siz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 facsimile apparatus
GB2480786A (en) 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large-format documents
US52165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paper-feeding by detecting a starting point of scanning in a facsimile system
JP3337156B2 (ja) 白紙原稿検知機構
US6643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ge in an image scanner
JPH0393348A (ja) 画像読取装置
JPH04334163A (ja) 原稿読取装置
CN219145438U (zh) 一种快速扫描系统及图像形成装置
KR100428547B1 (ko) 원고의 선단 감지가 가능한 화상 스캐닝 유니트 및 그 방법
JPH07172684A (ja) 排紙装置
KR930001695Y1 (ko) 팩시밀리의 송신장치
JP3040803B2 (ja) 画像読取り装置
KR100787222B1 (ko) 부분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3347787B2 (ja) 画像読取装置における画像濃度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