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046Y1 -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046Y1
KR930005046Y1 KR2019910001484U KR910001484U KR930005046Y1 KR 930005046 Y1 KR930005046 Y1 KR 930005046Y1 KR 2019910001484 U KR2019910001484 U KR 2019910001484U KR 910001484 U KR910001484 U KR 910001484U KR 930005046 Y1 KR930005046 Y1 KR 930005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screw
groove
inn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22U (ko
Inventor
이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01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046Y1/ko
Publication of KR920015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버튼 구동장치.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앞판 12 : 버튼삽입홈
14 : 택스위치 16 : 나사보스
20 : 버튼 21 : 스위치작동돌기
22 : 요홈 23 : 나사삽입공
24 : 조정나사 26 : 복귀스프링
본 고안은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의 구동거리를 임의의 양만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택스위치 사이의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를 참고로 종래 버튼 구동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앞판(1)에 버튼(4)을 장착하고 인두로 앞판(1)에 형성된 융착 보스(3)를 융착하여 버튼(4)을 앞판(4)에 영구고정하고 주 프레임(5)에 택스위치(Tack Switch)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7)을 장착하여 앞판(1)을 주 프레임(5)에 형합한 후 상부 케이스(2)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버튼(4)을 누르면, 인쇄뢰로기판(7)의 택스위치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 고안은 앞판(1)에 버튼(4)을 장착하고 융착보스(3)를 인두로 융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7)에 설치된 택스위치(6)의 불안전한 안착이나 앞판(1)의 변형시 버튼(4)의 구동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고, 버튼(4)의 융착부위가 파손될 경우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0-19310호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삽설고정되어 텍트스위치를 콘트롤하는 푸시버튼이 안출되어 있다.
이 푸시버튼은 푸시버튼의 몸체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그 일단이 수직형성된 연결부재의 배면 양측에 가이드돌기와 그 사이에 압착돌기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기판사이에는 텍트스위치와 한쌍의 가이드공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푸시버튼의 배면측의 한쌍의 가이드 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이 가이드돌기를 인쇄회로기판측에 천공된 가이드공에 삽입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버튼의 조작시 푸시버튼이 직선상으로 안정되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텍트스위치와 푸시버튼의 누름돌기부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텍스트위치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의 안내를 위하여 버튼에는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기판에는 안내돌기가 삽입안내되는 안내공을 형성한 것이므로 충격을 받았을때 안내돌기가 절단되는 등 파손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을 전기저자기기의 앞판에 설치함에 있어서 버튼과 텍스위치사이의 간극을 자유롭게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스위치 조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드롭 테스트(Drop Test)시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기전자기기 본체(10)의 앞판(11)에 버튼삽입홈(1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택스위치(14)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3)을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설치홈(12)내에는 택스위치(14)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작동돌기(21)를 가지는 버튼(20)을 삽입설치한다.
상기 스위치삽입홈(12)의 내측벽(15)에는 나사보그(16)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버튼(20)에는 상기 나사 보스(16)보다 큰 직경의 요홈(22)과 이 요홈(22)으로부터 버튼(20)의 전면으로 관통되며 내측단부가 걸림턱(23a)이 형성된 나사삽입공(23)이 형성되고, 이 나사삽입공(23)을 통해 삽입되어 그 머리부(24a)가 상기 걸림턱(23a)에 걸리는 조정나사(24)를 상기 나사보스(16)에 체결한다.
상기 버튼(20)의 요홈(22)의 내측단면(22a)과 상기 버튼삽입홈(12)의 내측단면(12a)사이에는 복귀스프링(26)를 설치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7은 상기 버튼삽입홈(12)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이고, 25는 버튼(20)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7)에 걸리는 후크로서 이들 걸림턱(17)과 후크(25)는 버튼(20)이 버튼삽입홈(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버튼(20)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나사보스(16)의 외주부에 복귀스프링(26)을 끼우고 버튼(20)을 버튼삽입홈(12)에 끼워넣는다.
이때 버튼(20)의 후크(25)와 버튼삽입홈(12)에 형성된 걸림턱(17)이 걸리게 되는데 약간의 힘을 가하면 버튼(20)과 본체(10)의 재칠 차체에서 오는 탄성력에 의하여 약간의 변형을 일으키면서 후크(25)가 걸림턱(17)을 타고넘어서 완전히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는 버튼(20)이 복귀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방축으로 밀리게 되므로 후크(25)가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며, 버튼(20)은 더이상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삽입공(23)에 전방으로부터 조정나사(24)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보스(16)에 체결하면, 상기 조정나사(24)의 머리부(24a)ㅇ는 나사삽입공(23)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3a)에 걸리게 되며, 버튼(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버튼(20)을 누르면 버튼(20)은 복귀스프링(26)에 대항하여 안으로 전지하게 되고 버튼(20)을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작동돌기(21)가 택스위치(14)를 눌러서 동작시키게 되며, 버튼(20)으로부터 손을 때면 버튼(20)은 복귀스프링(26)에 의하여 후퇴복귀되어 그 스위치작동돌기(21)가 택스위치(14)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작동돌기(21)의 선단과 택스위치(14) 사이의 간극(F)은 버튼(20)을 누름조작에 의하여 택스위치(14)가 작동되는데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좋은바, 이 간극(F)을 조점함에 있어서는 나사삽입공(23)의 전방에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조정나사(24)의 머리부(24a)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에 끼우고 조정나사(24)를 조이면 조정나사(24)는 나사보스(16)에 조여들어가면서 그 머리부(24a)가 버튼(20)의 걸림턱(23a)을 안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버튼(20)은 복귀스프링(26)에 대항하여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버튼(20)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작동돌기(21)의 선단과 택스위치(14)사이의 간극(F)이 좁아지게 된다.
반대로 조정나사(24)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돌리면 그 머리부(24a)가 상기 걸림턱(23a)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때 버튼(20)은 복귀스프링(26)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으므로 버튼(20)은 조정나사(24)의 이완량 만큼 복귀스프링(26)에 의하여 전방으로 후퇴하게 되어 그 스위치작동돌기(21)의 선단과 택스위치(14)와의 사이의 간극(F)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20)과 택스위치(14)사이의 떨어진 거리(F)는 미세 조정 스크류(24)를 조정하기전 자유상태에서 최소 0.5㎜F 이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튼(20)을 앞판(11)에 조립한 후 버튼(20)과 택스위치(14)간의 간극(F)을 조정나사(20)로 자유롭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20)은 안내돌기와 안내공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이 아니고 버튼삽입홈(12)의 내측벽(12a)에 형성된 나사보스(16)와 버튼(20)에 형성된 요홈(23)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이므로 안내돌기와 안내공에 의하여 버튼을 안내하던 종래의 버튼 구동장치에 비하여 견고하며 드롭 테스트(Drop Test)시 충격에도 버튼(9)이 견딜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전기전자기기 본체(10)을 앞판(11)에 버튼삽입홈(1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택스위치(14)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3)을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설치홈(12)내에는 택스위치(14)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작동돌기(21)를 가지는 버튼(20)을 삽입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삽입홈(12)의 내측벽(15)에는 나사보스(16)를 전방으로 돌출형성하고, 버튼(20)에는 상기 나사보스(16)보다 큰 직경의 요홈과 (22)과 이 요홈(22)으로부터 버튼(20)의 전면으로 관통되며 내착단부에 걸림턱(23a)이 형성된 나사삽입공(23)을 형성하고, 이 나사삽입공(23)을 통해 삽입되어 그 머리부(24a)가 상기 걸림턱(23a)에 걸리는 조정나사(24)를 상기 나사보스(16)에 체겨하며, 상기 버튼(20)의 요홈(22)의 내측단면(22a)과 상기 버튼삽입홈(12)의 내측단면(12a) 사이에는 복귀스프링(26)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KR2019910001484U 1991-01-31 1991-01-31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KR930005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484U KR930005046Y1 (ko) 1991-01-31 1991-01-31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484U KR930005046Y1 (ko) 1991-01-31 1991-01-31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22U KR920015722U (ko) 1992-08-17
KR930005046Y1 true KR930005046Y1 (ko) 1993-07-29

Family

ID=1931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484U KR930005046Y1 (ko) 1991-01-31 1991-01-31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0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22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3223A1 (ja) スイッチの接点構造、トリガー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US4066838A (en) Apparatus for detachably mounting electrical assembly units to supporting panels
KR930005046Y1 (ko) 미세 조정 가능한 버튼 구동장치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5593011A (en) Shift lock unit
US6919520B2 (en) Stoplight switch and mounting method
CN218384927U (zh) 薄型开关及其开关装配结构
KR930005054Y1 (ko) Tv의 파워스위치 노브 고정장치
JP2589480Y2 (ja) 押しボタン
JP2596783Y2 (ja) スイッチ装置
JPH0729448A (ja) 押しボタン機構
JPH0537292Y2 (ko)
KR200235382Y1 (ko) 인쇄회로기판유동방지기구
CN114724878A (zh) 一种按压结构及应用其的电子开关、设备
KR20000014818U (ko) 버튼의 누름 제한장치
KR930003867Y1 (ko) 전기 전자기기용 노브
KR960008247Y1 (ko) 모니터의 스위치 접촉장치
KR0120580Y1 (ko) 노브의 편심 및 변형방지 구조
KR0129177Y1 (ko) 전자제품의 전원노브 편심 방지구조
JPH024424Y2 (ko)
KR0135188Y1 (ko) 통신기기의 접점용 스위치 버튼장치
KR200251242Y1 (ko) 스파크발생이 줄어드는 압력스위치
KR19990025603U (ko) 카오디오의 버튼 편심 방지 구조
JPH08307078A (ja) 挿入式電子機器の引き抜き防止機構
KR19990028850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