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85Y1 -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 Google Patents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85Y1
KR930004885Y1 KR2019900016772U KR900016772U KR930004885Y1 KR 930004885 Y1 KR930004885 Y1 KR 930004885Y1 KR 2019900016772 U KR2019900016772 U KR 2019900016772U KR 900016772 U KR900016772 U KR 900016772U KR 930004885 Y1 KR930004885 Y1 KR 930004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output
trigger
voltag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794U (ko
Inventor
원연식
Original Assignee
원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연식 filed Critical 원연식
Priority to KR2019900016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885Y1/ko
Publication of KR920010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2Switching on, e.g. with predetermined rate of increase of lighting current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제1도는 본 고안 할로겐 램프 트랜스포모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정류부 나 : 트리거용 집적회로
다 : 출력전압제어부 R1­R9: 저항
C1­C6: 콘덴서 D1­C1: 다이오드
Q1­Q2: 트랜지스터 VR1: 가변저항
TRANS1: 구동트랜스 TRANS2: 출력트랜스
본 고안은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할로겐 램프를 저잡음 및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 변동없이 고충실도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는 실내 또는 쇼윈도에 전시된 장식이나 전시품을 태양광하에서와 같이 자연그대로 나타내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인바, 이와 같이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를 종래의 트랜스포모는 페라이트코아로된 스위칭 트랜스와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직접 접속시켜 상기 스위칭 트랜스로부터 비교적 높은 15KHZ―80KHZ의 주파수 대폭을 갖는 출력전압으로 스위칭트랜지스터를 직접 구동토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간혹 전원 및 부하에 변동이 생길 경우, 상기 주파수의 변동이 발생되어 램프의 불빛에 떨림현상을 일으키는가 하면 상기 트랜스에 발생되는 높은 주파수 잡음은 그의 주변 전자기기에 영향을 주게 되어 주변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저잡음 및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 변동이 없는 고충실도의 할로겐램프 트랜스포모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입력단의 정류부를 통해서 정류된 전압을 소정의 트리거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트리거 신호발생부와 이 트리거 신호발생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받아 온, 오프 구동하면서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제어부와 전압출력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입력단(IN)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전파 정류시키는 다이오드(D4­D7), 저항(R9), 콘덴서(C8)로 구성된 정류부(가)와, 이 정류부(가)를 통해 정류된 전자정류전압을 받아 제어하여 트리거 신호 및 일정 발진 주파수를 출력시키는 트리거용 집적회로(IC1)와 가변저항(VR), 저항(R2) (R3), 충방전콘덴서 (C1), 트리거발진 콘덴서(C2), 다이오드(D3)로 구성된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와 트리거신호 발생부(나)로부터 공급되는 트리거 신호를 받아 온, 오프 구동하면서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1), (Q2), 구동트랜스(TRANS1), 저항(R4∼R8)역전방지용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출력전압 제어부 (다)와, 저전압을 출력시키는 출랙트랜스(TRANS2) 평활 콘덴서(C3­C5)로 구성된 전압 출력부(라)로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입력단(IN)으로 입력되는 110V의 전원은 저항(R9), 콘덴서(C8), 다이오드 (D1­D4)로 구성된 정류부(가)를 통해서 전파 정류되고, 이 전자 정류된 전압은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의 저항(R1)을 통해서 트리거용 집적회로(IC1)의 전원공급단자(6)에 인가시켜 트리거용 집적회로(IC1)를 구동시키면, 그의 트리거 출력단자(4) 및 발진신호단자(3)를 통해서 트리거신호와 발진신호를 출력전압제어부(다)에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타이머단자(2)에 연결선 충방전콘덴서(C1) 에 의하여 발진신호의 충방전 시간이 결정됨과 동시에 발진단자(3)의 트리거 발진 콘덴서(C2)를 트리거 발진주파수가 결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정류부(가)에서 전파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4)와 출력트랜스 (TRANS2)의 1차측과 구동트랜스(TRANS1)을 거쳐 출력전압제어부(다)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저항(R6) (R8)을 통해서 인가되어 온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전자정류된 전압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 및 에미터단자를 거쳐 (TRANS2)의 1차측에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출력트랜스(TRANS2)의 2차측에 유기되게 된다.
따라서 2차측에서는 소정의 1차 전압을 출력시켜 할로겐 램프를 1차 예열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할로겐 램프를 1차 예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발생부(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트리거용 집적소자(IC1)의 트리거 출력단자(4)로부터 트리거신호가 출력전압제어부(다)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트리거 신호를 가해주게 되면 트랜지스터(Q1)는 온되게 되고 상기 트리거용 집적회로(IC1)의 발진단자(3)로부터의 발진주파수가 다이오드(D3)를 통해서 히스테리시스 변동이 보상된 발진주파수로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와 에미터단자를 통해서 접지되는 동시에 출력트랜스(TRANS2)에 흐르는 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 및 에미터단자로 흘러나게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의 트리거용 집적소자(IC1)의 트리거용 출력단자(4)로부터 트리거신호가 트리거 발진 콘덴서(C2)에 의하여 소정의 주기를 갖고 트리거신호가 출력전압제어부(다)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는 반면에 상기 정류부(가)로부터 전파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4), 출력트랜스(TRANS2)의 1차측과 구동트랜스(TRANS1)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온상태가 되어 상기 정류부(가)의 전파정류된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 및 에미터단자와 상기 구동트랜스(TRANS1) 그리고 출력트랜스(TRANS2)의 1차측 콘덴서(C3)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상기 출력트랜스(TRANS2)의 1차측의 전류가 출력트랜스(TRANS2)의 2차측에 유기되어 상기 출력트랜스(TRANS2)의 2차측으로부터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의 일정 발진주파수에 의한 소정의 저전압을 출력시켜 할로겐램프를 2차점등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트리거신호 발생부(나)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전압 제어부(다)의 트랜지스터(Q1)에 가해지게 되면 다시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전압제어부(라)의 트랜지스터(Q1) (Q2)교번 구동제어로 전압출력부(라)를 제어함으로써 할로겐 램프를 계속 점등시켜주게 된다.
이때 할로겐 램프의 밝기는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의 가변저항(VR)의 조정에 의하여 밝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리거신호 발생부의 트리거용 집적소자의 트리거신호 및 일정발진주파수로 출력전압제어부를 제어하여 저전압으로 할로겐램프 1차예열 및 2차 점등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순간적인 과전압으로부터 할로겐 램프를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가변저항에 의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로겐 램프의 조도(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출력전압 제어부의 트랜지스터를 출력트랜스가 아닌 구동트랜스로 제어함으로써 주파수가 고정되어 전원 또는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동이 없어 안정되게 할로겐램프를 점등시킬수 있는 동시에 변동에 따른 주파수 잡음을 저잡음화할 수 있어 이 잡음으로 인한 그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입히지 않는 고충실도의 트랜스포모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입력단(IN)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전파 정류시키는 저항(R9), 콘덴서(C6), 다이오드(D4­D9)로 구성된 정류부(가)와, 이 정류부(가)로부터 전파정류된 전압을 받아 트리거 신호와 주파수를 출력시키는 트리거용 집적회로(IC1)와 저항 (R2)(R3), 충방전콘덴서(C1), 트리거발진 콘덴서(C2), 다이오드(D|3)로 구성된 트리거신호 발생부(나)와,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나)로부터 공급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온, 오프 구동하면서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1), (Q2), 구동트랜스 (TRANS1), 저항(R4∼R8)으로 구성된 출력전압 제어부(다)와, 출력트랜스 (TRANS2), 콘덴서(C3­C5)로 구성된 전압 출력부(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램프의 트랜스포모.
KR2019900016772U 1990-11-01 1990-11-01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KR930004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772U KR930004885Y1 (ko) 1990-11-01 1990-11-01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772U KR930004885Y1 (ko) 1990-11-01 1990-11-01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94U KR920010794U (ko) 1992-06-17
KR930004885Y1 true KR930004885Y1 (ko) 1993-07-23

Family

ID=1930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772U KR930004885Y1 (ko) 1990-11-01 1990-11-01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8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94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326B1 (en) Fluorescent ballast with isolated system interface
US3999100A (en) Lamp power supply using a switching regulator and commutator
US7259527B2 (en) Stepped dimming ballast for fluorescent lamps
US5396155A (en) Self-dimming electronic ballast
WO1996000935A1 (en) Externally dimmable electronic ballast
US3471747A (en) Starting circuit and solid state running circuit for high pressure arc lamp
KR92000863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대기 전원장치
US6650070B1 (en) Point of use lighting controller
CA1288811C (en) Ac power control
GB2314430A (en) Inverter with regulated output
KR930004885Y1 (ko) 할로겐 램프의 트랜스포모
US6936979B2 (en) Frequency-modulated dimming control system of discharge lamp
KR200211545Y1 (ko) 액정표시기 백 라이트 인버터 구동 장치
KR940009515B1 (ko) 방전등 제어시스템
JP2721523B2 (ja) インバータ回路
JP2942272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960003739Y1 (ko)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JP3603170B2 (ja) 出力調整機構を備えたインバ−タ
JP3029728B2 (ja) ランプ点灯回路
GB2300079A (en) Circuitry of a charging circuit for a welding capacitor
JPS6249823B2 (ko)
KR0185492B1 (ko) 형광등의 조도제어 장치
JPH06302387A (ja) 冷陰極放電管調光装置
KR930007541Y1 (ko) 정전압 전원 회로
JPH05109491A (ja) 高周波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