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04A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04A
KR930004804A KR1019910015393A KR910015393A KR930004804A KR 930004804 A KR930004804 A KR 930004804A KR 1019910015393 A KR1019910015393 A KR 1019910015393A KR 910015393 A KR910015393 A KR 910015393A KR 930004804 A KR930004804 A KR 93000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imag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119B1 (ko
Inventor
이승
Original Assignee
이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 filed Critical 이승
Priority to KR101991001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119B1/ko
Priority to BR9205302A priority patent/BR9205302A/pt
Priority to CA002089093A priority patent/CA2089093C/en
Priority to AU11558/92A priority patent/AU1155892A/en
Priority to PCT/KR1992/000001 priority patent/WO1992022989A1/en
Priority to EP92902363A priority patent/EP0543955A1/en
Priority to JP4502605A priority patent/JPH06500445A/ja
Publication of KR93000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119B1/ko
Priority to US08/327,395 priority patent/US557678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종래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부착시킨 카메라에 의하여 피사체를 찍은 종래의 스테레오 사진(Q),
제4도는 지면(地面)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等間隔)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다중(多重) 슬리트(slit:微細) 격자(格子)(20′)의 단면도 및 진폭(振幅) 분포도(分布圖)(300),
제5도는 지면(地面)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等間隔)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다중 사진 건판 격자(20′)의 단면도 및 진폭 분포도(400).

Claims (98)

  1. 입체적(立體的) 영상정보(影像精報)를 기록 또는 전송하는데 있어서 광학계(光學系)(18)를 통하여 시준화(視準化)된 피사체(被寫體)(17)의 광정보를 지면(地面)에 대하여 수직(垂直)으로 배열(配列)되며 동일한 폭(幅)의 투명부(透明部)(100)와 불투명부(不透明部)(200)가 등간격(等間隔)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格子)에 통과시켜서 격자 뒤에 있는 상면(像面)에 중첩(重疊)되지 않고 결손(缺損)이 없이 교대로 배열되어 지는 두가지 성분의 입체광정보(r,1)로 분해시키는 입체 광정보 분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 방법.
  4. 피사체(17)가 발(發)하는 광정보를 시준화(視準化)시키는 광학계(18)와,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다시 상면(19)에 중첩되지 않고 결손이 없이 교대로 배열되어지는 두가지 성분의 빛의 광정보(r,1)로 분해시키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로 구성되는 입체 광정보 분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 장치.
  7. 피사체(17)가 발하는 광정보를 시준화(視準化)하는 광학계(18)와, 광학계 뒤에 위치하여 시준화되어진 광정보를 다시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 성분으로 분해하는 분해수단(20)과, 분해수단(20)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설치된 필림(23)으로 구성되어져서 입체 영상을 기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사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분해수단(20)으로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를 사용하여 구성시킨 입체 사진기.
  9. 제8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구성시킨 입체 사진기.
  10. 제8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구성시킨 입체 사진기.
  11. 제7항에서부터 제10항까지 어느 한 항(項)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이 선택적으로 광로(光路)상 밖으로 이동되어 통상의 평면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고아정보 분해수단(20)의 이동장치를 가지는 입체 사진기.
  12.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을 통과시켜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여,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설치된 필림(23)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광정보 분해 수단(20)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를 사용하여 얻는 입체 광정보를 필름에 기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얻는 입체 광정보를 필름에 기록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얻는 입체 광정보를 필름에 기록하는 방법.
  16.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을 통과시켜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여,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설치되어진 필림(23)에, 분해되어진 입체 광정보를 한 프레임에 하나의 영상으로 기록되게 하여 얻어진 노광된 필림을 현상하여 만든,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영상정보를 지닌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으로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를 사용함으로서 얻어진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함으로서 얻어진 입체명상 정보가 기륵된 필름.
  19. 제17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함으로서 얻어진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필름.
  20.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다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을 통과시키고, 광정보 분해 수단(20)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위치된 음화 필림에 분해되어진 입체 영상정보를 한 프레임에 하나의 영상으로 기록되게 하여 만든 상기 필림을 현상, 인화하여 얻은 입체 영상정보가 기록되어진 사진 상에 렌티큘러 스크린을 얹어서 입체영상을 얻도록 하는 입체 사진 실현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인 것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얻도록 하는 입체 사진 실현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얻도록 하는 입체 사진 실현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얻도록 하는 입체 사진 실현 방법.
  24.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에 통과시켜서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여 격자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위치된 음화 필림에 분해되어진 입체 광정보를 한 프레임에 하나의 영상으로 기폭되게 하여 만든 상기 필림을 현상하고 인화하여 얻은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되어진 사진 상에 렌티큘러 스크린을 얻어서 만든 입체 사진.
  25. 제24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 인 것을 사용하여 얻는 입체 영상 정보가 기록된 음화 필림으로부터 만든,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사진상에 렌티큘러 스크린을 얹어서 만든 입체 사진.
  26. 제24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음화 필림으로부터 만든,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사진상에 렌티큘러 스크린을 얹어서 만든 입체 사진.
  27.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17)의 광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루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에 통과시켜서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여 격자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상면(19)에 위치한 음화 필림에 분해되어진 입체 광정보를 한 프레임에 하나의 영상으로 기록되게 하여 만든 상기 필림을 현상하고 인화하여 얻은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영상정보가 기록되어진 사진.
  28. 제27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입체영상 정보가 기록된 음화 필림으로 얻어진 입체 영상정보가 기록된 사진.
  29. 제27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여 입 체 영상 정보가 기록된 음화 필림으로 얻어진 입체 영상정보가 기록된 사진.
  30.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 영상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과 투명 도전막(37) 및 광 도전막(38)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페이스레이트,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 투명 도전막, 광 도전막으로 구성되어진 촬상면(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의 촬상관.
  31.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시키는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과 투명 도전막(透明導電膜)(37) 및 광 도전막(光導電膜)(38)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36) 및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 및 투명 도전막(37) 및 광 도전막(38)으로 구성되어지는 촬상명(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관을 설치하여, 촬상면 앞에 위치한 광학계(18)를 통해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영상 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32. 제31항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로 구성된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33. 제32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34. 제32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35.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시키는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과 투명 도전막(37) 및 광도전막(38)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페이스 플레이트(36) 및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 및 투명 도전막(37) 및 광 도전막(38)으로 구성되는 촬상면(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상관을 설치하여 광학계(18)를 통해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 영상 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
  36. 제35항에 있어서 분해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
  37. 제36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
  38. 제36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
  39.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는 분해수단(20)과, 분해수단(20)에서 뒷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상면(19)에 설치된 필림으로 구성되어져서 입체 영상정보를 지닌 영상을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입체 영화 촬영기.
  40. 제39항에 있어서 분해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영화 촬영기.
  41. 제40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영화 촬영기.
  42. 제40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 건판 격자(20″)인 것을 사용하는 입체 영화 촬영기.
  43. 제39항에서부터 제42항까지 어느 한 항(項)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이 선택적으로 광로(光路)상 밖으로 이동되어 통상의 평면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의 이동장치를 가지는 입체 영상 촬영기.
  44. 피사체를 향하는 두개의 미러(24,25)간격을 일정 거리를 두어 띄우고 상기 두개의 미러에 대향되어진 안쪽의 두개의 미러(mirror)(26,27)가 일정한 각도(α)를 이루게 하되, 피사체를 향한 두개의 미러(24,25)에서 반사되어진 피사체의 광정보가 다시 일정한 각도(α)를 지닌 안쪽 두개의 미러(26,27)에서 재반사되고 이것이 광학계(28)에 의하여 시준화되어 상면에 도달하였을 때 피사체에서 출발한 광정보가 두개의 다른 광로를 거쳐 상면(像面)에서 두개 의 상(像) 이 한 곳으로 일치하도록 결상시켜, 상면에 위 치된 필림의 한 프레임에 하나의 사진이 찍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9).
  45. 광학계(18)를 통하여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는 입체광정보 분해수단(20)과 투명 도전막(37) 및 광 도전막(38)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페이스 플레이트(36)와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 및투명 도전막(37) 및 광 도전막(38)으로 구성되어지는 촬상면(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면을 가지는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의 광학계를 통해서 시준화된 피사체의 광보로 하여금 입체영상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서 송신한 뒤,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1,62,68)을 가지는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로 상기 입체영상 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분해 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로 구성되어지는 것.
  47. 제46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로 구성되어지는 것.
  48. 제46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건판 격자(20′)로 구성되어지는 것.
  49. 두개인 다이크로익 미러(39,40)의 적, 녹, 청 세개의 브라운관(43,41,42)을 사용하여 영상의 색신호를 광학적으로 합성시켜 볼 수 있게 구성시킨 공지의 트리네스코우프 텔레비젼 방식에서 나온 영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광학계(44)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61,62,68)을 설치시켜서, 피사체가 발하는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시킬 수 있는 수단(20)을 구성 요소로 하는 촬상기를 가지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 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수신하여, 다시 입체영상으로 재현시킬 수 있도록 한 트리네스코우프 방식의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56)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입체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影像)을 결상시키는 반투명부(54)가 형성된 제1스크린(55)과 그리고 제1스크린(55)의 반투명막(54)과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微細)한 실린드리컬렌즈(59)들로 이룬어진 렌티큘러 스크린 인 제2스크린(60)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 스크린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57)의 거리인 물체거리(5)가 재2스크린(60)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59)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1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런(61)인 트리네스코우프 방식의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1. 제49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63)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투명한 평면을 가지는 제1스크린(64)과 그리고 제1스크린(64)의 안쪽면인 투명한 평면과 마주보고 밀착되는 반투명부(65)가 관찰자(H)쪽으로 향해진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한 실린드리컬렌즈(67)들의 초점(焦点스)거리와 동일한 두께(f′)만큼 떨어져서 초평면(焦平面)을 이루는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66)을 결합하여 만든 제2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2)인 트리네스코우프 방식의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2. 제49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관찰자(H)쪽으로 향하는 가로방침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실린드리컬 렌즈(70)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의 다른 한면에는 입체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을 결상시키는 반투명부(69)가 형성되고 실린드리컬 렌즈(70)의 정점으로부터 반투명부(69)까지의 두께(f′)가 실린드리컬렌즈(70)의 초점(焦点)거리와 같도록 구성된 제3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8)인 트리네스코우프 방식의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3. 피사체에서 발하는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시킬 수 있는 수단(27)을 구성 요소로 하는 촬상관을 가지는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수신하여 적, 녹, 청 세개의 브라운관(45,46,47)을 통하여 다시 입체 영상 정보로 변화된 것이 광학계를 통하여 확대되고 다시 미러(48)에서 반사되어, 미러(48) 전면에 있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1,62,68)에 확대되어진 입체 정보를 가진 영상이 일치되어 결상되며, 이 결상되어진 입체영상 정보를 지닌 영상을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1,62,68)을 통하여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도톡 한 후방 반사형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56)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입체 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影像)을 결상시키는 반투명부(54)가 형성된 제1스크린(55)과 그리고 제1스크린(55)의 반투명막(54)과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微細)한 실린드리컬렌즈(59)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60)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 스크린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57)의 거리인 물체 거리(5)가 제1스크린(60)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59)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1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1)인 후방 반사형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5. 제53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간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63)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투명한 평면을 가지는 제1스크린(64)과 그리고 제1스크린(64)의 안쪽면인 투명한 평면과 마주보고 밀착되는 반투명부(65)가 관찰자(H)쪽으로 향해진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한 실린드리컬렌즈(67)들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한 두께(f′)만큼 떨어져서 초평면(焦平面)을 이루는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66)을 결합하여 만든 제2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2)인 후방 반사형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6. 제53항에 있어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이, 관찰자(H)쪽으로 향하는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실린드리컬렌즈(70)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의 다른 한면에는 입체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을 결상시키는 반투명부(69)가 형성되고 실린드리컬렌즈(70)의 정점으로부터 반투명부(69)까지의 두께(f′)가 실린드리컬렌즈(70)의 초점(焦点)거리와 같도록 구성된 제3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8)인 후방 반사형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57. 공지된 액정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액정패널(L. C. D)상에 투명한 렌터큘러 스크린을 설치시켜서 입체영상 신호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입체영상으로 재현시킬 수 있도록 만든 입체 액정 텔레비젼 수상기.
  58. 텔레비젼 수상기의 형광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구성되어진 세가지의 색세포의 선조가 하나의 회소(52)를 이루게 하며, 일정한 곡율로 형성되어진 종래의 패널글레스(49)와 같은 곡율을 지닌 형태의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성시켜서 입체영상 정보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로 전송되어진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재현시킬 수 있도록 된 입체텔레비젼 수상기.
  59. 피사체에서 발하는 광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시킬 수 있는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20)을 하나의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촬상관를 가진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킨 것을 직접 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기록한 비디오 테이프.
  60. 제59항에 있어서 입체 광정보 분해 수단(2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며 동일한 폭의 투명부(100)와 불투명부(200)가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격자인 것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촬상관를 가진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킨 것을 직접 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기록한 비디오 테이프.
  61. 제60항에 있어서 격자가 다중 슬리트 격자(20′)인 것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촬상관를 가진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가 피사체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킨 것을 직접 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기록한 비디오 테이프.
  62. 제60항에 있어서, 격자가 사진건판 격자(20″)인 것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촬상간를 가진 입체 텔레비젼 카메라 또는 입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입체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킨 것을 직접 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기록한 비디오 테이프.
  63.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감지 코팅층(56)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입체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影像)을 결상시키는 반투명부(54)가 형성된 제1스크린(55)과 그리고 제1스크린(55)의 반투명막(54)과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微細)한 실린드리컬 렌즈(59)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60)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 스크린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57)의 거리인 물체 거리(s)가 제2스크린(60)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59)의 초점(焦点)길이를 동일하게 구성된 제1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1).
  64.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03)이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투명한 평면을 가지는 제1스크린(64)과 그리고 제 1스크린(64)의 안쪽면인 투명한 평면과 마주보고 밀착되는 반투명부(65)가 관찰자(H)쪽으로 향해질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미세한 실린드리컬 렌즈(67)들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한 두께(f′) 만큼 떨어져서 초평면(焦平面)을 이루는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66)을 결합하여 안든 제2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2).
  65. 관찰자(H)쪽으로 향해진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미세한 다수의 실린드리컬 렌즈(70)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의 다른 한면에는 입체영상 정보를 가진 영상을 결상시킬 수 있는 반투명부(69)가 형성되고 실린드리컬 렌즈(70)의 저점으로부터 반투명부(69)까지의 두께(f′)가 실린드리컬 렌즈(70)의 초점(焦点)거리와 같도록 구성된 제3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68).
  66.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의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75) 또는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관찰자(H)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의 제2스크린(78)과 관찰자(H)쪽으로 향해진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79′)가 형성되며 그 두께(f′)가 실린드리컬 렌즈(79′)들의 초점(焦点)거 리와 동일한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79)으로 구성디는 제4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1).
  67.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이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75) 또는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관찰자(H)쪽에는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의 제2스크린(78)과 그리고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82′)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82)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78)의 반뚜명막(76)과 제3스크린(82)사이외 거리(f)는 제3스크린(82)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82′)의 초점(焦点) 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78)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공기층(85)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
  68.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의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사진 건판 격자(75) 또는 다중 슬리트 격자(75)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그리고 제1스크린(77)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結像)될 수 있는 반투명막(87)이며 두께는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86′)들의 초점(焦点) 거리(f′)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86)으로 이루어지며 제1스크린(77)과 제2스크린(86)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89)의 공기층(90)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
  69. 피사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듸우고 설치한 두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한대의 텔레비젼 카메라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를 장착하여 촬상한 피사체의 오른쪽 영상과 왼쪽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수신한 입체 영상정보인 오른쪽과 왼쪽의 영상을 텔레비젼 수상기내에서 각각 오른쪽영상(r)을 나타내는 브라운관(R)과 왼쪽영상(l)을 나타내는 브라운관(L)으로 분리하여 이러한 각각의 브라운관(R,L)으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영상(r,l)을 각각의 광학계를 거치게 한후 이들 각각의 영상(r,l)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의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75) 또는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관찰자(H)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78)과 관찰자(H)쪽으로 향해진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79′)가 형성되며 그 두께(f′)가 실린드리컬 렌즈(79′)들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한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79)으로 구성되는 제4형태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81)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오른쪽영상(r) 정보는 오른쪽 방향(E1) 그리고 왼쪽영상(l) 정보는 왼쪽방향(E1)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70. 피사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우고 설치한 두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한대의 텔레비젼 카메라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를 장착하여 촬상한 피사체의 오른쪽 영상과 왼쪽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수신한 입체 영상정보인 오른쪽과 왼쪽의 영상을 텔레비젼 수상기내에서 각각 오른쪽영상(r)을 나타내는 브라운관(R)과 왼쪽영상(l)을 나타내는 브라운관(L)으로 분리하여 이러한 각각의 브라운관(R,L)으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영상(r,l)을 각각의 광학계를 거치게 한후 이들 각각의 영상(r,l)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의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75) 또는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관찰자(H)쪽에는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78)과 그리고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82′)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82)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거리(f)는 제3스크린(82)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82′)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78)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공기층(85)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에 일치되게 확대영사하여 오른쪽영상(r) 정보는 오른쪽 방향(E1) 그리고 왼쪽영상(l) 정보는 왼쪽방향(E1)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71. 피사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우고 설치한 두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한대의 텔레비젼 카메라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를 장착하여 촬상한 피사체의 오른쪽 영상과 왼쪽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수신한 입체 영상정보인 오른쪽과 왼쪽의 영상을 텔레비젼 수상기내에서 각각 오른쪽영상(r)을 나타내는 브라운관(R)과 왼쪽영상(l)을 나타내는 브라운관(L)으로 분리하여 이러한 각각의 브라운관(R,L)으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영상(r,l)을 각각의 광학계를 거치게 한후 이들 각각의 영상(r,l)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동일한 폭의 투명부(75′)와 불투명부(75″)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75) 또는 다중 사진 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77)과 그리고 제1스크린(77)에 형 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結像)할 수 있는 반투명막(87)이며 두께는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86′)들의 초점(焦点) 거리(f′) 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 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86)으로 이루어지며 제 1스크린(77)과 제2스크린(86)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89)의 공기층(90)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에 일치되게 확대영사하여 오른쪽영상(r) 정보는 오른쪽 방향(E1) 그리고 왼쪽영상(l) 정보는 왼쪽방향(E1)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72. 피사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두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한대의 텔레비젼 카메라에 기존의 스테레오 어뎁터(2)를 장착하여 촬상한 피사체의 오른쪽 영상(映像)(r)과 왼쪽 영상(映像)(l)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한 것을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각각 오른쪽 영상(r)을 나타내는 브라운관(R)과 왼쪽 영상(l)을 나타내는 브라운관(L)을 사용하여 각각 독립된 영상으로 분리한 뒤 이러한 오른쪽 영상(r)과 왼쪽 영상(l)을 각각의 광학계를 거치게 한뒤 제4형태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81) 또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 또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에 일치되게 확대영사(擴大映寫)하여 상기한 입체영사 재현스크린(81,83,92)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73.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장치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된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7a)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 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
  74. 제73항에 있어서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와 불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관찰자(H)쪽에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의 제2스크린(78)과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79′)들의 초점(焦点)거리(f′)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제7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7).
  75.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 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76.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 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費)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77.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헝성되고 안쪽면에 헝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그리고 제2스크린의 반투명막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의 반투명막과 제3스크린 사이의 거리는 제3스크린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과 제3스크린사이의 공기층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
  78. 제77항에 있어서 관찰자(H)의 반대쪽인 겉면에 반사방지 코팅층(9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와 반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관찰자(H)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의 제2스크린(75)과 그리고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82′)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82)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거리(f)는 제3스크린(82)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82′)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78)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공기층(85)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9).
  79.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그리고 제2스크린의 반투명막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의 반투명막과 제3스크린사이의 거리는 제3스크린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과 제3스크린사이의 공기층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80.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찰상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관찰자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제2스크린과 그리고 제2스크린의 반투명막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의 반투명 막과 제3스크린사이의 거리는 제3스크린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과 제3스크린사이의 공기층을 광 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81.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그리고 제1스크린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 이 결상(結像)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며 두께는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 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의 공기층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현스크린.
  82. 제81항에 있어서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9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와 불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그리고 제1스크린(95)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結像)될 수 있는 반투명막(87)이며 두께는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86′)들의 초점(焦点) 거리(f)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86)으로 이루어지며 제1스크린(95)과 제2스크린(86) 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89)의 공기층(90)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
  83.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형성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 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블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그리고 제1스크린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結像)될 수 있는 반투명막이며 두께는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 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의 공기층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84.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대수를 y대 그리고 오른쪽에 설치하는 텔레비젼 카메칵의 대수를 또한 y대라 할 때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2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y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 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y개 영상과 오른쪽 y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y개영상(映像)과 오른쪽의 y개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2y개의 브라운관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2y개의 영상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관찰자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형성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와 본 발명의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映像)을 가진 좌와우 각 광원의 수(數)(y개)와의 관계에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부등간격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과 그러고 제1스크린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結像)할 수 있는 반투명막이며 두께는 관찰자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들의 초점(焦点)거리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 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의 공기층은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85.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4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2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두 영상과 오른쪽 두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두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두 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네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브라운관(L2,L1,R1,R2)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네개의 영상(l1,l2,r1,r2)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확대되고 시준화된 네 영상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9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와 불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관찰자(H)쪽에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들의 제2스크린(78)과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리드리컬 렌즈(79′)들의 초점(焦点)거리(f′)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79)으로 이루어지는 제7형태 입체 영상 재현스크린(97)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왼쪽의 두영상(l1,l2) 정보는 왼쪽의 두방향(El1,El2) 그리고 오른쪽의 왼쪽의 두영상(r1,r2) 정보는 오른쪽의 두방향(Er1,Er2)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86.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4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용하거나 2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두 영상과 오른쪽 두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두 영상(映像7)과 오른쪽의 두 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네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 내의 브라운관(L1,L2,R1,R2)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네개의 영상(l1,l2,1,r2)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확대되고 시준화된 네 영상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겉면에 반사방지 코팅층(7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과 불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관찰자(H)쪽에 입체 영상 정보로 분해된 상(像)이 결상될 수 있는 반투명막(76)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78′)들의 제2스크린(78)과 그리고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마주보며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실린드리컬 렌즈(82′)들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3스크린(82)으로 구성되며 제2스크린(78)의 반투명막(76)과 제3스크린(82)사이의 거리(f)는 제3스크린(82)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82′)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며 또한 제2스크린(78)과 제3스크린(82)사이외 공기층(85)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9)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왼쪽의 두영상(l1,l2) 정보는 왼쪽의 두방향(El1,El2) 그리고 오른쪽의 왼쪽의 두영상(r1,r2) 정보는 오른쪽의 두방향(Er1,Er2)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87.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4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2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두 영상과 오른쪽 두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두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두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네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브라운관(L1,L2,R1,R2)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네개의 영상(11,12,r1,r2)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확대되고 시준화된 네 영상을, 관찰자(H)의 반대쪽인 바깥면에 반사방지 코팅층(94)이 있으며 안쪽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투명부(93′)와 불투명부(93″)의 폭(幅)의 비(比)가 1:3인 부등간격(不等間隔) 다중 슬릿트 격자(93) 또는 부등간격 다중 사진건판 격자가 형성된 제1스크린(95)과 그리고 제1스크린(95)에 형성된 격자면(格子面)과 마주보는 평탄한 면은 입체영상 정보로 분해된(像)이 결상(結像)될 수 있는 반투명막(87)이며 두께는 관찰자(H)쪽으로 향한 실린드리컬 렌즈(86′)들의 초점(焦点)거리(f′)만큼의 두께를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제2스크린(86)으로 이루어지며 재1스크린(95)과 제2스크린(86)사이에 있는 일정한 거리(89)의 공기층(90)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101)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왼쪽의 두영상(l1,l2)정보는 왼쪽의 두방항(El1,El2) 그리고 오른쪽의 왼쪽의 두영상(r1,r2) 정보는 오른쪽의 두방향(Er1,Er2)의 각각 독립된 광로를 취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88. 피사체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띄운 4대의 텔레비젼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2대의 텔레비젼 카메라 각각에 기존의 스테레오 사진 어뎁터(2)를 장착시켜 촬상한 후 송신한 왼쪽 두 영상과 오른쪽 두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하여 독립된 왼쪽의 두 영상(映像)과 오른쪽의 두영상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된 네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 내의 브라운관(L1,L2,R1,R2)으로 재생한 각각 독립된 네개의 영상(l1,l2,r1,r2)을 각각의 광학계를 통과시킨 후 제7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7) 또는 제8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9) 또는 제9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101)에 일치되게 확대 영사하여 상기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7,99,101)을 통해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89. 격자를 사용하여 영상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는데 있어서 격자에 조사되는 좌(左도, 우(右) 각(各) 광원(光源)의 수(數)를 y라 할때,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다중 사진건판 격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수단.
  90. 격자를 사용하여 영상정보를 입체 광정보로 분해하는데 있어서 격자에 조사되는 좌(左), 우(右) 각(各) 광원(光源)의 수(數)를 y라 할때,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격자의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폭(幅)의 비(比)가 1:(2y-1)로 되는 다중 슬릿트 격자 또는 다중 사진 건판 격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광정보 분해 방법.
  91. 액정패널(136)의 전면(137)과, 액정패널(136)의 전면(137)쪽으로 가로방향의 일정한 곡율만을 가진 다수의 실린드리컬 렌즈(140)들로 이루어지고 관찰자(H)쪽으로는 투명하고 평탄한 평면(142)으로 되어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141)사이에는 공기층(139)을 두며, 렌티큘러 스크린(141)을 구성하고 있는 실린드리컬 렌즈(140)의 정점과 공기층(139)을 포함한 액정 패널(136)의 영상(映像)발생부(135)사이의 거리(138)가 렌티큘러 스크린(141)을 구성하는 실린드리컬 렌즈(140)들의 초점(焦点)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지고 이러한 공기층(139)을 광전달매체(光傳達媒體)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정 텔레비젼 수상기(143).
  92.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08)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04)을 설치하고 필림(108)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02), 광원(103,103′), 비구면(比球面)렌즈(105,105′), 장파장광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며 필림(108)의 앞쪽으로 직각 프리즘(109,109′)과 거울(110,110′) 및 상(像)의 좌편(左便)과 우편(右便)을 반전(反轉)시키는 도브 프리즘(DOVE PRISM)(111,111′) 그리고 광학계(112,112′)를 광(光)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
  93.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r)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08)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겅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07)을 설치하고 필림(108)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02), 광원(103,103′), 비구면(比球面)렌즈(105,105′), 장파장광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며 필림(108)의 앞쪽으로 직 각 프리즘(109,109′)과 거울(110,110′) 및 상(像)의 좌편(左便)과 우편(右便)을 반전(反轉)시키는 도브 프리즘(DOVE PRISM)(111,111′) 그리고 광학계(112,112′)를 광(光)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를 사용하여 오른쪽 상(像)과 왼쪽 상(像)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4형태 재현스크린(81) 또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 또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에 일치되게 확대영사(擴大映射)시켜서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94.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20)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16)을 설치하고 필림(120)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14), 광원(115,115′), 비구면렌즈(117,117′), 장파장광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며 필림(127)의 앞쪽으로 직각 프리즘(121,121′)과 거울(122,122′) 및 광학계(123,123′)와 거울(124,124′)을 광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
  95.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20)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겅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16)을 설치하고 필림(120)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14), 광원(115,115′), 비구면렌즈(117,117′), 장파장광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여 필림(120)의 앞쪽으로 직각 프리즘(121,121′)과 거울(122,122′) 및 광학계(123,123′)와 거울(124,124′)을 광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를 사용하여 오른쪽 상(r)과 왼쪽 상(l)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4형태 재현스크린(81) 또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 또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에 일치되게 확대영사(擴大映射)시켜서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96.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30)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32)을 설치하고 필림(130)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25,125′), 광원(126,126′), 비구면렌즈(127,127′), 장파장과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며 필림(137)의 앞쪽으로 상(像)의 좌편(左便)과 우편(右便)을 반전(反轉)시키는 도브 프리즘(DOVE PRISM)(131,131′)과 광학계(133,133′) 및 빛을 굴절시켜 광로(光路)를 바꾸어 주는 얇은 프리즘 혹은 프리즘의 세기가 가변(可變)인 허셀 프리즘(HERSCHEL PRISM)(134,134′)을 광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
  97. 피사체에 대하여 한 프레임의 필름 좌(左)와 우(右)에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 두개의 상을 촬영한 양화 필림(130)의 왼쪽상(像)(l)과 오른쪽상(像)(r)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차광막(遮光膜)(132)을 설치하고 필림(130)의 뒷쪽에는 오목거울(125,125′), 광원(126,126′)과 비구면렌즈(127,127′), 장파장광 흡수필터 및 단일구면 렌즈를 설치하며 필림(130)의 앞쪽으로 상(像)의 좌편(左便)과 우편(右便)을 반전(反轉)시키는 도브 프리즘(DOVE PRISM)(131,131′)과 광학계(133,133′) 및 빛을 굴절시켜 광로(光路)를 바꾸어 주는 얇은 프리즘 혹은 프리즘의 세기가 가변(可變)인 허셀 프리즘(HERSCHEL PRISM)(134,134′)을 광이 지나는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 입체 영사기를 사용하여 왼쪽 상(l)과 오른쪽 상(r)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재4형태 재현스크린(81) 또는 제5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83) 또는 제6형태 입체영상 재현스크린(92)에 일치되게 확대영사(擴大映射)시켜서 입체영상을 재현시키는 방법.
  98.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15393A 1991-06-12 1991-09-04 입체영상의 기록과 재생 KR93000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393A KR930009119B1 (ko) 1991-09-04 1991-09-04 입체영상의 기록과 재생
BR9205302A BR9205302A (pt) 1991-06-12 1992-01-09 Arquivamento e reproduçao de uma imagem tridimensional
CA002089093A CA2089093C (en) 1991-06-12 1992-01-09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AU11558/92A AU1155892A (en) 1991-06-12 1992-01-09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PCT/KR1992/000001 WO1992022989A1 (en) 1991-06-12 1992-01-09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EP92902363A EP0543955A1 (en) 1991-06-12 1992-01-09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JP4502605A JPH06500445A (ja) 1991-06-12 1992-01-09 3次元イメージの記録および再生
US08/327,395 US5576783A (en) 1991-06-12 1994-10-21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34 1991-06-12
KR13676 1991-08-08
KR1019910015393A KR930009119B1 (ko) 1991-09-04 1991-09-04 입체영상의 기록과 재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04A true KR930004804A (ko) 1993-03-23
KR930009119B1 KR930009119B1 (ko) 1993-09-23

Family

ID=1931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393A KR930009119B1 (ko) 1991-06-12 1991-09-04 입체영상의 기록과 재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057A (ko) * 1995-12-21 1997-07-31 윤종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20014456A (ko) * 2000-08-18 2002-02-25 윤병이 입체영상의 변형보정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057A (ko) * 1995-12-21 1997-07-31 윤종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20014456A (ko) * 2000-08-18 2002-02-25 윤병이 입체영상의 변형보정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119B1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70311A (en) Projection of images for viewing in stereoscopic relief
US4180313A (en) Stereoscopic camera
JPH0651412A (ja) 視野が改善された電子プリント深さ写真システム
US4480893A (en) Optical and viewing system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5576783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US5144482A (en) Three dimensional viewing apparatus including a stack of transparent plates and related method
US3825328A (en) Optical system for a stereoscopic motion picture camera
JP2000515646A (ja) ホログラフィック大画像形成システム
US4009951A (en) Apparatus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3688045A (en) Method for photographing and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4231642A (en) Stereoscopic motion picture-circular to linear scan translator-method and apparatus
US1960011A (en) Apparatus for making stereoscopic parallax panoramagrams
GB119091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cture Projection
US4349252A (en) Stereoscopic motion picture-circular to linear scan translator (alternate screen)-method and apparatus
US3501230A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US1916320A (en) Stereoscopic picture with exaggerated or diminished relief
US3846810A (en) Apparatus for steroscopic photography
KR930004804A (ko) 카메라
US2912488A (en) Recording of color television programs
KR930010608A (ko) 카 메 라
US3014403A (en) Photographic and projection system and process
US4627087A (en) 3-dimensional display of X-ray, CAT scan and NMR images
US1993448A (en) System in stereoscopic photography
KR930004803A (ko) 카메라
KR940015660A (ko) 침입형 격자를 이용한 입체영상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