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74B1 -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74B1
KR930004774B1 KR1019900022461A KR900022461A KR930004774B1 KR 930004774 B1 KR930004774 B1 KR 930004774B1 KR 1019900022461 A KR1019900022461 A KR 1019900022461A KR 900022461 A KR900022461 A KR 900022461A KR 930004774 B1 KR930004774 B1 KR 93000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nce
control signal
microcompu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195A (ko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2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774B1/ko
Publication of KR92001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6Camera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 캠코더의 라이트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마이콤(14)의 신호 흐름도.
제5도는 기준 조도 선택모드의 논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광전부 12 : 기준조도 설정부
13 : 래치부 14 : 마이콤
15 : 라이트 제어부 LT11 : 라이트
SW11 : 조도선택용 스위치 CP11 : 비교기
OP11 : 연산증폭기 AD11 : 앤드게이트
RY2 : 파워용 릴레이 Q11-Q16 : 트랜지스터
R11-R24 : 저항
본 발명은 캠코더의 라이트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 스스로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어두울 경우 자동적으로 직류 라이트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한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캠코더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주위의 조도를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라이트를 점등시키게 되어 있는 바, 제1도는 이와같은 종래 캠코더의 라이트 구동 회로도로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씨전원(DC)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캠코더의 파워스위치(도면에 미표시)를 온시키면 마이콤(1)은 제어신호(CS1)를 출력하여 이때, 파워용 릴레이(RY1)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파워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가 단락되는데,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위의 밝기를 목시적으로 판단하여 촬영하기에 어둡다고 판단되면 스위치(SW1)를 단락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공급되어 그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온되므로 이때 라이트(LT1)가 점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디씨 라이트 구동회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주위의 조도를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라이트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움을 느끼게될 뿐더러 주위가 어두울 때 사용자가 실수로 라이트를 점등시키지 않을 경우 필요한 장면을 제대로 녹화할 수 없게 되고, 주위의 조도가 충분히 밝은데도 걱정된 나머지 라이트를 점등시키면 그만큼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캠코더 자체에서 주위의 조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어두울 때 캠코더 스스로가 라이트를 점등시킬 수 있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위의 밝기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광전부(11)와, 제어신호(CS2)에 따라 기준 조도 설정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조도 설정부(12)와, 상기 광전부(11)의 출력 전압보다 기준조도 설정부(12)에 설정된 전압이 높을 때 고전위를 출력하는 비교기(CP11)와, 상기 비교기(CP11)에서 출력되는 고전위를 래치하는 래치부(13)와, 상기 기준조도 설정부(12)에 제어신호(CS2)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13)에 래치되는 신호를 스캔하여 그에따른 제어신호(CS3)를 출력하는 마이콤(14)과, 상기 마이콤(14)에 출력되는 제어에 따라 라이트(LT11)의 점등을 제어하는 라이트 제어부(15)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제2도의 상세회로도인 제3도, 마이콤(14)의 신호 흐름도인 제4도, 기준조도 선택 모드 논리표인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도면에 미표시)를 온시키면 직류전원(DC)이 인가되고, 마이콤(14)은 파워용 릴레이(RY2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그가 온되므로 그 릴레이(RY2)의 스위치(RY2)가 단락되어 앤드게이트(AD11)의 일측 입력단자에 고전위가 인가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를 조정하여 노멀(NORM), A럭스(A LUX), B럭스(B LUX)중의 한 위치에 그 스위치(SW11)를 고정시켜 놓았다면, 마이콤(14)은 포트(a, b)를 통해 그 스위치(SW11)의 조도 선택 상태를 스캔하여 제5도에서와 같이 포트(c, d)를 통해 기준 조도 선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가 노멀위치에 고정되었다면 상기 마이콤(14)은 포트(c), (d)에 각기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1), (Q12)가 모두 오프되어 비교기(CP11)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은 저항(R19, R20)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상기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가 A럭스(A LUX)에 고정되었다면 상기 마이콤(14)은 포트(c), (d)에 고전위, 저전위를 각각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1), (Q12)가 온ㆍ오프되어 이때, 비교기(CP11)의 기준전압(Vref)은 저항(R15, R19, R20)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가 B럭스(B LUX)에 고정되었다면 상기 마이콤(14)은 포트(c), (d)에 저전위, 고전위를 각기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1), (Q12)가 오프ㆍ온 되어 이때 상기 비교기(CP11)의 기준전압(Vref)은 저항(R18-R20)에 의해 설정된다.
여기서, 각 모드별 조도레벨은 A럭스가 제일높고 중간레벨이 노멀, B럭스가 제일 낮으며, 녹화 모드가 아닐때는 저전위의 기록신호(REC)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3)가 오프되고, 이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14)는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저항(R15, R18-R20)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전압(Vref)은 그 트랜지스터(Q14)를 통해 뮤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녹화 모드를 선택하는 순간 상기 기록신호(REC)가 고전위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3)가 온되고, 이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14)가 오프되므로 상기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상에서 선택되는 조도에 따라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그에따른 기준전압(Vref)이 설정되고, 이때 주위의 밝기에 따라 수광다이오드(LED11)의 통전정도가 결정되어 그에 상응된 전압이 연산증폭기(OP11)에서 출력된다.
이때 비교기(CP11)는 상기 연산증폭기(OP1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 기준전압(Vref)이 더 높아지는 순간 자신의 출력단자에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RS플립플롭인 래치부(13)에 래치되어 그 래치부(13)의 출력단자(Q)에 고전위가 출력되며, 상기 마이콤(14)은 포트(e)를 통해 그 전위를 스캔하여 포트(f)에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앤드게이트(AD11)의 두 입력단자에 모두 고전위가 인가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가 출력되고, 이로인해 트랜지스터(Q15, Q16)가 온되므로 라이트(LT11)가 점등되어 주위가 밝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연산증폭기(OP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승되어 기준전압(Vref)보다 높아지더라도 래치부(13)의 리세트단자(R)가 접지되어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 계속적으로 고전위가 출력되어 상기 라이트(LT11)는 계속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전위의 포오즈 신호(PAU)를 선택 출력하면, 이는 상기 래치부(13)에 리세트 신호로 제공되어 그가 리세트되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 저전위가 출력되고, 이는 상기 마이콤(14)에 의해 감지되므로 그 마이콤(14)은 포트(f)에 저전위를 출력하여 상기 라이트(LT11)가 소등된다.
또한, 상기 고전위의 기록신호(REC)를 차단시킨 후, 또는 상기와 같이 고전위의 포오즈신호(PAU)를 출력한 후 다시 고전위의 기록신호(REC)를 공급하면 상기와 같이 조도 감지 동작이 다시 수행되어 상기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에 의해 설정된 조도보다 주위의 조도가 낮을 경우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라이트(LT11)가 다시 점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캠코더 자체에서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어두울 경우 스스로 라이트를 점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항상 적정 조도를 제공하여 양질의 화면을 녹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주위의 밝기에 따른 전압을 생성하는 광전부(11)와, 제어신호(CS2)에 따라 기준 조도 설정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조도 설정부(12)와, 상기 광전부(11)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조도 설정부(12)의 출력 전압과 비교하여 그에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CP11)와, 상기 비교기(CP11)의 출력 전압을 래치하는 래치부(13)와, 조도선택용 스위치(SW11)를 스캔하여 그에따라 상기 기준조도 설정부(12)에 제어신호(CS2)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13)에 래치된 전압을 스캔하여 그에따른 제어신호(CS3)를 출력하는 마이콤(14)과, 상기 마이콤(14)의 제어신호(CS3)에 따라 라이트(LT11)의 점등을 제어하는 라이트 제어부(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KR1019900022461A 1990-12-29 1990-12-29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KR93000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461A KR930004774B1 (ko) 1990-12-29 1990-12-29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461A KR930004774B1 (ko) 1990-12-29 1990-12-29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95A KR920014195A (ko) 1992-07-30
KR930004774B1 true KR930004774B1 (ko) 1993-06-05

Family

ID=1930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461A KR930004774B1 (ko) 1990-12-29 1990-12-29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7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95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9226A1 (en) Multi-Button Low Voltage Switch Adaptable for Three States
KR930004774B1 (ko) 캠코더의 라이트 자동 제어회로
JP4134125B2 (ja) 2線式人体検知センサー付き自動スイッチ
KR930011477B1 (ko) 전원제어회로와 이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KR100695481B1 (ko) 가구용 자동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910009148Y1 (ko) 전자기기의 스위치 조명장치
KR940005499Y1 (ko) 발광다이오드의 밝기 조절회로
JPH0398293A (ja) 照明灯の点灯制御装置
KR940003039B1 (ko) 캠코더용 라이트 제어회로
KR950009557Y1 (ko) 캠코더의 자동 백 라이트(BACK-Light) 조절회로
KR200432739Y1 (ko) 가구용 자동 조명 제어장치
KR940000654Y1 (ko) 캠코더용 플래시의 자동/수동 제어회로
KR930003242Y1 (ko) 역광보정 모드 자동 선택회로
KR200215133Y1 (ko) 백라이트용 인버터의 휘도 제어 회로
KR940002301Y1 (ko) 비데오 카메라(camcoder)의 광량 조절장치
KR930006989Y1 (ko) 비디오 카메라의 라이트 자동 제어장치
KR200166997Y1 (ko) 칼라 비디오 도어폰 카메라
KR940006823Y1 (ko) 카메라 레코더의 자동램프 제어장치
KR900005314Y1 (ko) 비데오 카메라 오토포커스 체크회로
KR920004228Y1 (ko) 카메라의 역광 보정회로
JP2572318Y2 (ja) 照明装置
KR920000312Y1 (ko) 조광기구의 조도 자동 조정장치
KR920008256Y1 (ko) 역광보정모드 자동선택회로
JP2666343B2 (ja) 撮像装置
KR930001114Y1 (ko) 트래킹 동작 및 상태 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