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66B1 -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4666B1 KR930004666B1 KR1019910017122A KR910017122A KR930004666B1 KR 930004666 B1 KR930004666 B1 KR 930004666B1 KR 1019910017122 A KR1019910017122 A KR 1019910017122A KR 910017122 A KR910017122 A KR 910017122A KR 930004666 B1 KR930004666 B1 KR 930004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pipe
- incinerator
- water
- wat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처리장의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쓰레기처리장치의 소각로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소각로에 구성된 다수의 사각강판의 배치상태 및 사각강판에 부착된 주걱의 경사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장치의 갈대기 및 이송관, 그리고 매연배출관 및 열교환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 수관과 공기공급관과 회전하지 않는 수관과 공기공급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쓰레기 이송장치 B : 쓰레기 소각장치
C : 매연배출장치 D : 폐열이용장치
1 : 분쇄기 2 : 콘베이어 시스템
3 : 임펠러 어셈블리 4 : 깔대기
5 : 이송관 6 : 임펠라
7 : 회전관 8,9 : 베어링
10 : 지지대 11 : 체인
12,14 :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 13 : 소각로
15 : 급유장치 17,18 : 송풍기
19 : 원통관 20 : 수관
21 : 내화벽돌 22 : 사각강판
23,24 : 공기공급관 25 : 버너(burner)
26 : 베어링 27 : 단열벽
28 : 소각재 배출구 29 : 스위블 죠인트(swivel joint)
30 : 소각재이송통로 31 : 매연배출관
32 :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 33 : 스위블 죠인트
34 : 기어 35 : 피니언
36 : 활전대 37 : 매연배출관
38 : 열교환통 39 : 집진기
40 : 굴뚝 41 : 물펌프
42 : 증기통 43 : 발전설비
44 : 온수공급관 45 : 베이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쓰레기를 소각하는 쓰레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연성쓰레기 및 불연성쓰레기등 재생불가능한 모든 쓰레기를 소각시킬 수 있으며, 쓰레기를 소각할때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버려지는 쓰레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쓰레기의 처리가 골치아픈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쓰레기는 종이, 나무등의 가연성쓰레기와, 수분이 많은 쓰레기와 연탄재등의 불연성쓰레기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최근 사회적 운동을 통하여 가연성쓰레기와 불연성쓰레기를 각각 분리하여 버리도록 권장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은 통상적으로 함께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처리장치는 가연성쓰레기만 소각할 수 있고, 불연성쓰레기는 처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함께 버려진 쓰레기를 가연성쓰레기와 불연성쓰레기로 분리하여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불연성쓰레기는 별도로 수거하여 쓰레기 매립지에 매립하는데 쓰레기 매립지의 매립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매립지를 계속하여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불연성쓰레기의 처리능력이 없을뿐만 아니라 가연성쓰레기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열량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장치가 없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연성쓰레기뿐만 아니라 불연성쓰레기도 동시에 소각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쓰레기를 투입하여 소각재로 되어 나올때까지 모든 처리과정이 자동화된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쓰레기처리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각로가 1000℃이상에서 견딜 수 있도록 냉각수단이 구성되어 있으며, 소각로내에서 가장 열을 많이 받는 부분인 다수의 사각강판이 팽창 및 수축을 하여도 소각로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 소각로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가열된 물을 그냥 버리는 것이 아니라 발전설비 및 난방장치등에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 쓰레기를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콘베이어 시스템 및 임펠라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소각로내에 설치된 사각강판에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주걱이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다.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처리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쓰레기이송장치(A), 쓰레기소각장치(B), 매연배출장치(C) 그리고 폐열이용장치(D)로 구성되어 있다.
쓰레기이송장치(A)는 분쇄기(1), 콘베이어시스템(2) 및 임펠러어셈블리(3)로 이루어져 있다.
분쇄기(1)는 가구등 여러가지 종류의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카터방식 또는 헴머방식등 여러 종류의 분쇄기가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쓰레기처리장으로 수집된 쓰레기에서 재생가능한 쓰레기만 회수하고, 가연성쓰레기 및 불연성쓰레기등 모든 종류의 쓰레기를 분쇄기(1)에 집어넣으면 적당한 작은 크기로 분쇄된다.
콘베이어시스템(2)은 분쇄기(1)에서 분쇄된 쓰레기를 임펠러어셈블리(3)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술도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임펠러어셈블리(3)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깔대기(4), 이송관(5), 그리고 외부면에 임펠러(6)가 부착되어 있는 회전관(7)으로 이루어져 있다.
깔대기(4)는 콘베이어시스템(2)에 의해서 이송된 쓰레기를 받아서 이송관(5)으로 내려보내주는 통로역할을 하며, 이송관(5)은 깔대기(4)를 통하여 들어온 쓰레기를 소각로(13)의 내부로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송관(5)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후면은 폐쇄되어 있다.
회전관(7)은 그 외부면에 임펠라(6)가 부착되어 있으며, 폐쇄된 이송관(5)의 후면벽에 베어링(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관(7)의 선단은 소각로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대(10)에 베어링(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관(7)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송관(5)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 스프로킷 및 체인(11)에 의해서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12)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로킷 및 체인에 의한 동력 전달방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12)가 작동하면 회전력이 스프로킷 및 체인(11)에 의해서 회전관(7)에 전달되어 회전관(7)이 회전하고, 회전관(7)이 회전함으로써 회전관(7)의 외부면에 부착된 임펠라(6)가 회전하여 이송관(5)의 내부에 있는 쓰레기를 앞으로 전진시켜 소각로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이송장치는 전술한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쓰레기를 분쇄기(1)에서 투입시키기만 하면 잘게 분쇄되어 자동적으로 소각로(1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쓰레기소각장치(B)에 대해서 설명한다.
쓰레기소각장치(B)는 소각로(13), 소각로(13)의 회전을 위한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14), 급유장치(15) 및 소각로(13) 내부에 공기공급을 위한 송풍기(17)(18)로 구성되어 있다.
소각로(13)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관(19), 수관(20), 내화벽돌(21), 사각강판(22), 공기공급관(23)(24) 및 버너(25)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관(19)은 우측벽이 쓰레기이송장치의 이송관에 대해서 베어링(2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원통관(19)의 좌측면은 단일벽(2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으며, 단열벽(27)에는 버너(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각로를 빠져나가는 수관(20)과 공기공급관(24)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단열벽(27)의 하단에는 쓰레기가 완전히 소각된 소각재가 배출되는 소각재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수관(20)은 물이 유동됨으로써 소각로를 냉각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수관(20)내를 흐르는 물이 가열됨으로써 가열된 물이 폐열이용장치에 사용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수관(20)은 쓰레기이송장치의 회전관(7)의 내부를 통하여 소각로안으로 연결되어, 1차적으로 원통관(19)의 원통벽 내면에 접촉하면서 코일형상으로 원통관(19)의 좌측단까지 감겨져 있다. 고정된 수관과 소각로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관사이에는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는 소각로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감겨진 수관(20)의 내부쪽에 내화벽돌(21)이 원통형으로 부착된다.
내화벽돌(21)은 소각로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원통관(19)의 내면에 코일형상으로 설치된 수관(20)은 계속해서 내화벽돌(21)의 안쪽에 소각로의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2차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수관(20)은 계속해서 소각로의 중앙부쪽으로 연결되어 우측에서 좌측으로 다시 3차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좌측단부분에서는 코일형상이 아니고 직선형상으로 뻗어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소각로를 빠져나가 폐수이용장치로 연결되어 있다.
소각로의 중앙부의 수관(20)이 좌측단 부분에서 코일형상이 아니고 직선형상인 것은 수관(20)내를 흐르는 물이 소각로의 중앙부의 좌측단 부분에 이르면 충분히 가열되어 더이상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의 수관(20)이 코일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고 직선형상으로 된 것이다.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 코일형상의 수관과 단열벽(27)을 관통하는 직선형상의 수관사이에는 스위블 죠인트(29)가 설치되어 있어서 코일형상의 수관과 직선형상의 수관이 상대회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위블 죠인트(29)는 소각로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내화벽돌(21)의 안쪽에 2차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의 안쪽면에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사각강판(22)이 일정간격으로 원통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편리를 위해서 원통형상이 아니라 전개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사각강판(22)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열을 많이 받는 사각강판(22)이 팽창 및 수축을 하더라도 소각로가 변형이 되지 않는다. 또한 사각강판(22) 사이의 틈새로 소각재가 빠진다.
사각강판(22)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주걱(22-1)이 부착되어 있다. 주걱(22-1)의 역할은 소각로가 회전할 때에 소각로 내부에 있는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소각로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걱(22-1)은 쓰레기를 소각로의 좌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좌측으로 경사되어 사각강판(22)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경사정도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부분의 주걱이 우측부분의 주걱보다 경사도가 크다. 그 이유는 쓰레기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소각되기 때문에 크게 교반을 시키지 않아도 될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조금씩만 앞으로 전진시켜 소각로의 좌측단에 쓰레기가 쌓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소각로는 추후 설명되어질 장치에 의해서 회전하는데, 소각로가 회전함으로써 사각강판(22)에 부착된 주걱(22-1)에 의해서 쓰레기가 교반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되며, 쓰레기는 그 이송과정에서 소각되며, 소각되어 재로 변한 소각재는 사각강판(22) 사이의 틈새로 빠져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에는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수관(20) 및 공기공급관(23)에 의해서 코일형상의 소각재 이송통로(30)가 구성되어 있다. 내화벽돌(22), 수관(20), 공기공급관(23)등을 포함하는 소각로는 회전하고, 소각재는 중력에 의해서 항상 아래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코일형상의 수관(20) 및 공기공급관(23) 사이에 구성된 코일형상의 소각재 이송통로(30)를 통하여 소각로의 좌측으로 이송되며 소각로 좌측단의 단열벽(27)의 하부에 형성된 소각재 배출구(28)를 통하여 소각로 외부로 배출된다.
소각로에 구성된 수관(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를 냉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원통관(19)과 내화벽돌(21)사이에 1차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이 소각로를 냉각하며, 또한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에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이 소각로를 냉각하며, 또한 소각로의 중심부에 3차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구성된 수관이 소각로를 냉각한다. 상기와 같이 3차례에 걸쳐서 소각로를 냉각하기 때문에 소각로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분성 쓰레기등의 불연성쓰레기를 소각하기 위해서 높은 열로 쓰레기를 소각하여도 소각로의 변형 및 파손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처리되어지는 쓰레기가 수분성인 경우에는 쓰레기가 버너쪽으로 이송되면서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에 구성된 수관(20)을 흐르는 물의 열과 소각로 중심부의 매연의 고열에 의해서 건조되어 소각로의 좌측부분에서 소각된다.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의 수관(20)의 물은 좌측부분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우측부분으로 유동하면서 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는 것이고, 소각로 중심부의 뜨거운 매연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매연열에 의해서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처리장치는 가연성쓰레기 뿐만 아니라 불연성쓰레기도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열로 소각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에 효과적인 냉각수단을 구성하였으며, 또한 가장 열을 많이 받는 여러개의 사각강판(22)을 서로 떨어지게 설치하여 팽창 또는 수축을 하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관(20)은 단지 소각로를 냉각시켜주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를 건조시켜 주는 역할도 하도록 되어 있다.
쓰레기를 높은 열로 소각하기 위해서는 소각로의 내부에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소각로는 강제적으로 산소를 공급을 하기 위해서 소각로 내부에 공기공급관(23)(2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공기공급관(23)에는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공기배출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공급관(23)은 쓰레기 이송장치의 회전관(7)의 내부를 통하여 소각로의 우측으로 소각로내로 연결되어 내화벽돌(21)과 사각강판(23)에 부착된 수관(20)사이에 코일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공급관(24)은 소각로의 좌측의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소각로내의 중심부로 연결되어 있다. 공기공급관(23)(24)의 선단에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풍기(17)(18)가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공급관(23)은 송풍기(17)로부터 매연배출관(31)을 관통해서 안으로 들어가서 쓰레기 이송장치의 회전관(7)의 내부를 통과하여 소각로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각로내부의 중심부에는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 공기공급관과 회전하지 않는 공기공급관 사이에는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형상부의 공기공급관(23)이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데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다.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좌우측면에 각각 원판이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관(20)은 좌우측이 원판을 관통하여 어셈블리내에서 스위블 죠인트(33)에 의해서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 수과과 회전하지 않는 수관이 연결되어 있다. 공기공급관(23)은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는 공기공급관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의 좌측원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하지 않는 공기공급관은 우측원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의 좌측에 있는 수관과 공기공급관이 소각로와 함께 회전하고, 우측에 있는 수관과 공기공급관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소각로는 원통관(19)의 외부둘레에 기어(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34)에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14)의 피니언(35)이 맞물려 모타 및 감속기어 어셈블리(14)의 구동력에 의해서 소각로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소각로(8)는 2개 이상의 활전대(3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활전대(36)는 소각로(8)와의 접촉면에 베어링이 구성되어 있어서, 소각로(8)가 회전하는데 큰 저항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은 매연배출장치(C)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매연배출장치(C)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연배출장치(31)(37), 열교환통(38), 집진기(39) 및 굴뚝(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각로(8)에서 발생된 매연은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쓰레기 이송장치의 회전관(7)과 매연배출관(31)의 내부를 통하여 열교환통(38)으로 들어가며, 열교환통(38)을 나온 매연은 매연배출관(37)을 통하여 집진기(39)로 들어가며, 집진기(39)에서 먼지가 여과된 다음에 최종적으로 매연은 굴뚝(40)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매연배출관(31)과회전관(7) 사이는 베어링(8-1)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집진기(39)는 물이 내부에 들어 있어서 매연 집진기(39)를 통과하는 동안에 물에 먼지 점착되어 걸러지도록 되어 있으며, 팬(fan)에 의하여 매연을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굴뚝(40)쪽으로 유동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종류도 다양하므로 이에 대한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열교환통(38)은 매연의 온도가 고온이 되지 않도록 매연을 냉각시켜 집진기(39)를 보호하고, 물을 소각로(8)에 들어가기전에 예열시켜 주어 소각로(8)에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열교환통(38)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매연통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매연통로 주위에 물이 들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매연과 물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며, 원통면에 물유입관이 있고, 좌측면에 물유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은 물의 유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탱크등의 저장장소에 있던 차가운 물은 물펌프(41)에 의해서 유동되어 열교환통(38)을 통과하고 매연배출관(31)과 회전관(7)의 내부를 코일형상으로 통과하면서 매연의 열을 냉각시켜주며, 물은 계속해서 소각로(13)를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수관을 통과하면서 소각로를 냉각시켜 준다. 동시에 물 자신은 가열되어 소각로(13)를 나와서 폐열이용장치로 들어간다.
다음은 폐열이용장치(D)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폐열이용장치(D)는 증기통(42), 발전설비(43) 및 온수공급관(44)로 이루어져 있다.
소각로에 구성된 수관(2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은 일부는 증기로 변하고 일부는 온수상태로 남아 있는다. 증기 및 온수상태의 유체는 증기통(42)으로 들어가는데, 증기통(42)에 있는 증기는 발전설비(43)로 공급되어 터어빈을 돌림으로써 발전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온수는 온수공급관(44)을 통하여 주택난방장치등에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발전설비(43)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견고한 베이스(45)상에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13)에 냉각수단 및 쓰레기건조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열을 가장 많이 받는 사각철판(22)이 팽창 및 수축을 하여도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공급수단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으로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연성 쓰레기뿐만 아니라 불연성 쓰레기도 처리할 수 있으며 ; 소각로(8)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물이 가열되어 얻어진 증기와 온수를 발전 및 난방등에 이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대체 에너지개발의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 쓰레기를 분쇄기(1)에 집어 넣은 후 소각재로 변하여 소각재 배출구(28)로 나올때까지 자동화되어 있어서 쓰레기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 쓰레기를 소각하고, 그때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기(1), 상기 분쇄기(1)에서 분쇄된 쓰레기를 임펠러 어셈블리(3)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시스템(2), 그리고 콘베이어시스템(2)에 의해서 이송된 쓰레기를 받아서 소각로(13)로 공급하는 임펠러 어셈블리(3)로 구성되어 있는 쓰레기 이송장치(A) ; 우측벽은 상기 임펠러 어셈블리(3)에 대해서 베어링(2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임펠러 어셈블리(3)와 결합되고 있고, 좌측면은 단열벽(2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는 원통관(19), 상기 원통관(19)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 상기 원통관(19) 내면에 감겨진 수관(20)의 내면에 부착된 내화벽돌(21), 상기 내화벽돌(21)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면 균일하게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23), 상기 원통관(19)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감겨진 수관(20)이 계속해서 상기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같은 형상으로 좌측단에 우측단으로 감겨진 수관(20), 상기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의 내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사각강판(22),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기 위해서 사각강판(20)에 경사지게 부착된 주걱(22-1), 상기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이 계속해서 원통관(19)의 중심부로 뻗어 중심부 우측단에서 좌측단부분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좌측단부분에서 직선형상으로 뻗어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외부로 뻗은 수관(20), 상기 단열벽(27)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25), 그리고 상기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원통관(19) 내부로 뻗은 공기공급관(24)으로 이루어진 소각로(13), 상기 소각로(13)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원통관(19)의 외부둘레에 형성된 기어(34) 및 기어(34)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35)에 의해서 소각로(13)와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모타 감속기어 어셈블리(14), 상기 소각로(1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 이상의 활전대(36), 상기 소각로(13)의 단열벽(27)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25)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장치(15), 그리고 상기 소각로(13)의 공기공급관(23)(24)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7)(18)로 구성된 쓰레기 소각장치(B) ; 상기 쓰레기 소각장치(B)의 소각로(13)에 발생한 매연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쓰레기 이송장치(A)에 연결된 매열배출관(31), 상기 매열배출관(31)과 연결된 것으로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물통로와 매연이 통과할 수 있는 매연통로가 구성된 열교환통(38), 열교환통(38)과 집진기(39)를 연결하는 매연배출관(37), 매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여과하고 매연을 강제유동시키는 집진기(39) 및 최종적으로 매연을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굴뚝(40)으로 이루어진 매연배출장치(C) ; 상기 소각로(13)에 구성된 수관(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수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 및 온수를 저장하는 증기통(42), 증기통(42)에 있는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설비(43), 그리고 증기통(43)에 있는 온수를 온수사용처로 공급하는 온수공급관(44)으로 이루어진 폐열이용장치(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쓰레기 이송장치(A)의 임펠러 어셈블리(3)가 콘베이어시스템(2)에 의해서 이송된 쓰레기를 받아서 이송관(5)으로 내려보내주는 통로역할을 하는 깔대기(4), 상기 깔대기(4)를 통하여 들어온 쓰레기를 소각로(13)의 내부로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이송관(5), 상기 이송관(5)의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면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임펠라(6)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관(20)과 공기공급관(23)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관(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회전관(7)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회전관(7)의 일부가 이송관(5)의 외부로 연장되어 뻗어 있고, 상기 이송관(5)의 외부로 연장된 회전관(7)부분이 모타 및 기어 어셈블리(12)와 스프로킷 및 체인(11)에 의해서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13)에 구성된 수관(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저장 장소로부터 물을 유동시키는 물펌프(41)에 연결된 수관이 열교환통(38)에 연결되어 있고, 열교환통(38)의 유출구에 연결된 수관이 매연배출관(31)과 회전관(7)의 내부를 통하여 소각로(13)에 구성된 수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 상기 소각로(13)에 구성된 공기공급관(2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17)에 연결된 공기공급관이 매연배출관(31)과 회전관(7)의 내부를 통하여 소각로(13)에 구성된 공기공급관(2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13)와 함께 회전하는 수관(20)과 공기공급관(23)과, 각각 열교환통(38)과 송풍기(17)에 연결되어 회전하지 않는 수관(20)과 공기공급관(23) 사이에, 원통벽, 상기 원통벽이 좌우측면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가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수관과 회전하지 않는 수관이 각각 상기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의 좌우측의 원판을 관통하여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 내부로 들어가서 스위블 죠인트(3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공기공급관과 회전하지 않는 공기공급관이 각각 스위블 죠인트 어셈블리(32)의 좌우측의 원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소각로(13) 내부에서 소각된 소각재가 다수의 사각강판(22) 사이의 틈새로 빠져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며, 소각재가 사각강판(22)과 내화벽돌(21) 사이의 공간에 코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관(20)과 공기공급관(23) 사이의 소각재 이송통로(30)를 따라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원통관(19)의 좌측단까지 이송된 소각재를 배출하기 위해서 단열벽(27)의 하부에 소각재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쓰레기를 소각하고, 그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쓰레기 처리장치의 소각로에 있어서, 우측벽에 쓰레기 이송장치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좌측면은 단열벽(2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는 원통관(19), 상기 원통관(19)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 상기 원통관(19) 내면에 감겨진 수관(20)의 내면에 부착된 내화벽돌(21), 상기 내화벽돌(21)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균일하게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23), 상기 원통관(19)의 내면에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감겨진 수관(20)이 계속해서 상기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같은 형상으로 좌측단에 우측단으로 감겨진 수관(20), 상기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의 내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사각강판(22),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기 위해서 사각강판(22)에 경사지게 부착된 주걱(22-1), 상기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공기공급관(23)의 내면에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수관(20)이 계속해서 원통관(19)의 중심부로 뻗어 중심부 우측단에서 좌측단 부분으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좌측단 부분에서 직선형상으로 뻗어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외부로 뻗은 수관(20), 상기 단열벽(27)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25), 그리고 상기 단열벽(27)을 관통하여 원통관(19) 내부로 뻗은 공기공급관(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의 소각로.
- 제7항에 있어서,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기 위해서 사각강판(22)에 경사지게 부착된 주걱(22-1)이 원통관(19)의 좌측부분의 주걱의 경사도가 우측부분의 주걱의 경사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의 소각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17122A KR930004666B1 (ko) | 1991-09-30 | 1991-09-30 |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17122A KR930004666B1 (ko) | 1991-09-30 | 1991-09-30 |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6370A KR930006370A (ko) | 1993-04-21 |
KR930004666B1 true KR930004666B1 (ko) | 1993-06-02 |
Family
ID=1932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17122A KR930004666B1 (ko) | 1991-09-30 | 1991-09-30 |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46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4550B1 (ko) * | 1998-06-30 | 2001-11-30 | 이후근 | 음식물쓰레기처리기악취가스처리시스템제조및그운전방법 |
KR200179548Y1 (ko) * | 1999-12-01 | 2000-04-15 | 이창희 |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
KR100444132B1 (ko) * | 2002-01-19 | 2004-08-16 | 이동근 | 유리제품 라벨 제거장치 |
-
1991
- 1991-09-30 KR KR1019910017122A patent/KR93000466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6370A (ko) | 1993-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70669A (en) | Process for disposal of combustible waste | |
US641242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 |
CN107931320A (zh) | 一种环保型有机污染土壤热脱附修复系统 | |
CN204438139U (zh) | 多膛炉污泥焚烧设备 | |
US4089277A (en) | Solid waste disposal | |
US3626875A (en) | Refuse disposal system | |
CN112283710B (zh) | 一种在高原环保高效的焚烧炉热量回收循环利用装置 | |
WO2010150412A1 (ja) | 有機汚泥の処理装置 | |
KR930004666B1 (ko) | 폐열이용장치가 구성된 쓰레기 처리장치 | |
JP4953373B2 (ja) | 廃棄物処理発電炉 | |
CN106082571A (zh) | 低热值污泥三化处理工艺及装置 | |
US3827379A (en) | Rotary kiln type solid waste incinerating system and method | |
CN109556115A (zh) | 医疗废弃物燃烧供蒸汽一体化系统 | |
CN210951295U (zh) | 超低热值循环流化床锅炉除灰渣系统 | |
JPH08332469A (ja) | サーマルサイクル・環境保全型複合システムによる小型都市ごみ処理設備 | |
JP3973310B2 (ja) | 焼却灰の無害化処理方法 | |
JP3722609B2 (ja) | 廃棄物の熱分解溶融燃焼装置 | |
CN209246089U (zh) | 医疗废弃物燃烧利用装置 | |
JP2005230788A (ja) | 有機物含有汚泥の炭化処理装置 | |
JPH08271148A (ja) | 厨芥処理設備 | |
CN210103727U (zh) | 污泥干化焚烧系统 | |
RU2767578C1 (ru) |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утилизатор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 |
CN214701550U (zh) | 间接式热脱附废气全循环烘干设备 | |
KR20230035537A (ko) | 이동형 연속식 올인원 소각시스템 | |
JPS5857643B2 (ja) | 旋回流動層焼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