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93Y1 - 덧양말 - Google Patents

덧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93Y1
KR930004493Y1 KR2019910005120U KR910005120U KR930004493Y1 KR 930004493 Y1 KR930004493 Y1 KR 930004493Y1 KR 2019910005120 U KR2019910005120 U KR 2019910005120U KR 910005120 U KR910005120 U KR 910005120U KR 930004493 Y1 KR930004493 Y1 KR 930004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s
knitting
line
neck
extra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928U (ko
Inventor
남궁규영
Original Assignee
남궁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규영 filed Critical 남궁규영
Priority to KR2019910005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93Y1/ko
Publication of KR920018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덧양말
제1도는 종래의 덧양말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중심선“L”으로부터 측면선 P까지의 조직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덧양말 6 : 앞상면
7 : 앞굼치선 8 : 목부분
9 : 횡선 L : 중심선
P,P′ : 양측선 10 : 구멍
11 : 레이스 12 : 편직사
W : 간격 13,13′,14,15,16 : 편직부
본 고안은 덧양말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덧양말의 앞상면 양측을 절제한 다음 다시 봉합하지 아니하고서도 목부분의 구멍이 앞측으로 벌어지게 할 수 있도록 앞상면을 편직할때에 양측에서 중앙으로 가면서 편직사를 점차 모아서 편직하여 전후가 당겨지게한 것으로서 생산성이 좋고 외관이 미려하며 품질이 우수한 덧양말을 구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덧양말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평판상의 편직물을 양말 형태로 구성하기 위하여 앞상면 양측(1)(1′)과 뒷굼치 중앙(2)을 필요한 량만큼 절단해 버린 다음 봉합하고 또 목부분의 구멍(3)을 타원형으로 절단하여 레이스가 형성된 고무밴드(4)를 봉착한 것이어서 봉합부분에 의하여 보기가 흉하고 절단과 봉합작업의 번거로움 때문에 생산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알았으면서도 재단과 봉합의 방법으로 덧양말을 만들어야만 하는 이유는 덧양말은 목부분의 구멍을 앞측으로 넓게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존의 양말편직기로서는 타원형의 구멍을 이룰 수 없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덧양말의 앞상면의 조직을 개발하여 목부분의 구멍을 타원형이 되게 양말편직기로 제조할 수 있게하고 이에따라 목부분의 마무리작업도 예쁘게 레이스형성을 하여 봉합부가 없고 레이스가 일체로 형성되는 예쁜 덧양말을 구성하므로서 상품의 품질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매우 좋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덧양말(5)의 앞상면(6)에 표시한 앞굼치선(7)으로부터 목부분(8)에 가까운 횡선(9)까지와 중심선(L)으로부터 양측선(P)(P′)까지를 편직할때에 양측선(P)(P′)에서 중심선(L)으로 가면서 편직사(12)를 점차 모아서 편직되게 하여 목부분(8)의 앞측이 앞굼치선(7) 방향으로 당겨져서 구멍(10)이 타원형으로 넓게 파지게하고 또 목부분(8)에 공지의 레이스(11)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한 것이다. 편직사(12)를 모아서 편직한 조직을 제2도의 중심선(L)으로부터 측면선(P)까지의 간격(W)을 직으로 그려본 제3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면선(P)으로부터는 편직사(12)을 2가닥으로 합쳐서 절반으로 줄인 편직부(13′)을 형성하고 다시 편직사(12)를 2가닥으로 합쳐서 절반으로 줄인 편직부(13)를 형성하는 것을 3차 반복하고 또 편직사(12)를 4가닥을 합쳐서 1/4로 줄인 편직부(14)를 형성한 다음 다시 1가닥으로 나누어 편직부(13)를 형성하는 것을 3번 반복하고 그 다음에는 편직사(12)를 5가닥, 6가닥, 5가닥의 순으로 각각 합쳐서 줄인 편직부(15)를 형성하였다가 1가닥의 편직부(13)를 형성하는 것을 3번 반복하고 다음에는 편직사(12)를 8가닥으로 합쳐서 1/8로 줄인 편직부(16)를 형성한 다음 다시 1가닥의 편직부(13)를 형성하는 것을 4번 반복하여 중심선(L)까지 형성한 것이다. 중심선(L)에서 측면선(P′)까지의 조직은 상기한 조직의 대칭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에서 덧양말의 크기에 따라 반복되는 조직의 수를 증감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측선(P)(P′)으로부터 중심선(L)으로 가면서 편직부(13) 사이마다 코수를 줄인 편직부(13′)(14)(15)(16)를 형성하므로서 목부분(8)의 앞측 앞굼치선(7)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구멍(10)이 타원형으로 넓게 파지기 때문에 양말편직기의 일부를 개조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덧양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좋게한데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고 또 이와같이 만들어진 덧양말은 종래의 덧양말과 같이 봉합선이 없는 것이어서 봉합부가 터지지 않아서 질기고 매우 예쁜 외관을 갖추기 때문에 상품성을 좋게한 작용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줄여진 편직부 사이마다 1가닥의 편직사(12)로 편직된 편직부들은 편직부(13′)(14)(15)(16)의 당겨진 거리만큼 오므러져서 곰보모양을 이루어서 더욱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다.

Claims (1)

  1. 덧양말(5)의 앞상면(6)에 표시한 앞굼치선(7)으로부터 목부분(8)에 가까운 횡선(9)까지의 중심선(L)으로부터 양측선(P)(P′)까지를 편직함에 있어 양측선(P)(P′)에서 중심선(L)으로 가면서 각 편직부(13) 사이에 편직사(12)를 합쳐서 코수를 줄인 편직부(13′)(14)(15)(16)를 형성하여 목부분(8)의 앞측이 앞굼치선(7) 방향으로 당겨지게 구성한 덧양말.
KR2019910005120U 1991-04-13 1991-04-13 덧양말 KR930004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120U KR930004493Y1 (ko) 1991-04-13 1991-04-13 덧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120U KR930004493Y1 (ko) 1991-04-13 1991-04-13 덧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928U KR920018928U (ko) 1992-11-16
KR930004493Y1 true KR930004493Y1 (ko) 1993-07-21

Family

ID=1931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120U KR930004493Y1 (ko) 1991-04-13 1991-04-13 덧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785A (ko) * 2002-02-26 2003-09-02 이종영 땀 흡수용 덧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928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0275A (en) Knit-in pocket and method
DE69916315T2 (de) FUSSBEKLEI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163306A (en) Garment blank, brief, and method of making
JPH0860404A (ja) パンティーガーメント及びその製造法
US3985004A (en) Knitted briefs
JPS6117921B2 (ko)
US3656323A (en) Tubular fabric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668896A (en) Knitting of garments
US3807200A (en) Knitted flat double paneled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326393A (en) Decorative footlet-type sock
KR930004493Y1 (ko) 덧양말
GB2140469A (en) A method of producing non-unravelable terminal edges on pieces of knitted work
US4021861A (en) Pantyhose construction
CN209202658U (zh) 一种绑带式的枕套
US2084938A (en) Wearing apparel
US3075375A (en) Fashioned tubular gird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436134A (en) Neckti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82779A (en) Knitted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Z285550B6 (cs) Způsob výroby polotovaru na vícesystémovém okrouhlém pletacím stroji
US3279220A (en) Articles of knitted hose
JPH0649755A (ja) バイアステープ
JPS5831914Y2 (ja) コ−ル天調経編地
US2059097A (en) Hosi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226731A (en) Men's and boys' undershorts
JPH05503325A (ja) フラットベット編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