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284B1 -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284B1
KR930004284B1 KR1019890014109A KR890014109A KR930004284B1 KR 930004284 B1 KR930004284 B1 KR 930004284B1 KR 1019890014109 A KR1019890014109 A KR 1019890014109A KR 890014109 A KR890014109 A KR 890014109A KR 930004284 B1 KR930004284 B1 KR 93000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amide
compound
nylon
thermoplastic resin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410A (ko
Inventor
김재경
박경남
하승민
Original Assignee
동양 나이론 주식회사
공정곤
동양 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 나이론 주식회사, 공정곤, 동양 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filed Critical 동양 나이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284B1/ko
Publication of KR91000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08K5/435Sulfon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본 발명은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에 가소제, 성형조제 등을 첨가하여 된 시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는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의 인장강력이 우수하여 제지, 제분, 섬유 기계 등의 동력전달벨트(Recycon Belt), 또는 물체 운반용 벨트(Conveyor Belt)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는 높은 인장강력을 가져야 하고, 아울러 벨트의 벤딩(Bending) 및 직진성에 필요한 유연성 및 치수안정성을 겸비해야 한다.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는 인장강력이 다른 소재보다 우수하다는 특성때문에 벨트등에 채용된 것이긴 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여 벨트로 사용할 때에 절단되기 쉽고, 또한 연신 가공에 필요한 성형조제 역시 마땅한 것이 발견되지 않아서 연신 공정중의 시이트 절단, 롤러와의 큰 마찰계수 등의 문제 발생이 심각하다. 게다가 치수안정성마저 불안하여 벨트에 휨이 발생되고, 결국은 정확한 동력전달이 필요한 벨트로서의 사용에 큰 문제가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들은 제조설비, 가공조건, 조성물의 세가지 요소를 모두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해결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타의 요소보다도 조성물 자체에 특히 촛점을 맞춘것이다. 왜냐하면 상당 수준 이상의 물성을 갖는 조성물을 얻는 것이 무엇보다도 선결되어야 할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고유의 인장강력을 살리면서도 유연성과 치수안정성에 있어서, 벨트로 사용하기에 손색이 없는 정도의 물성을 갖춘 시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나이론-6 수지에 아미드기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리 화합물을, 가소제로서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을, 슬립 에이전트(Slip Agent)로서 올레아미드계 화합물을 첨가하는 통상의 방법에 더하여, 기본이 되는 수지를 ① 나이론-6와 ② 나이론-6/66 공중합물의 혼합물로 하고, 공지의 여타 첨가제 외에도 유연성 향상을 위하여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통상의 첨가제인 구리 화합물,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 올레아미드계 화합물에 관하여 재론하자면, 우선 아미드기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리 화합물은 용융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이 좋은 초산구리, 염화 제2구리, 요오드화 제2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기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중량부로 함이 바람직하고, 가소제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진크 스테아레이트, 비스 스테아로마이드 등을 0.1 내지 0.2중량부 첨가하는데 이 가소제의 첨가로 인하여 수지의 흐름성을 양호하게 하며, 나이론의 급격한 고화(固化)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슬립 에이전트는 시이트의 연신 과정에서 표면 윤활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시이트와 롤러 사이의 표면마찰계수 저하와 그로 인한 연신력 감소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 슬립 에이전트로서는 통상의 올레아미드계 표면 윤활제를 기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이 되고 있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혼합물중의 나이론-6/66 공중합물의 함량은 10 내지 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물의 도입으로 인한 유연성, 치수안정성, 재단성 등의 향상 효과는 이후에 설명될 실시예에서 여실히 증명될 것이다.
또한 연신 시이트의 유연성 및 연신 가공성을 배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기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구체적인 화합물의 예로는 N-에틸-o-p-톨루엘로설폰아미드 또는 벤젠 설폰산 부틸 아미드가 있다.
상기한 수지 혼합물, 구리 화합물,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 올레아미드계 화합물 및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통상의 공정과 마찬가지로, 예비 혼합(Premixing)한 후, 압출기를 통하여 시이트 형태로 캐스팅(Casting)한 다음에 연신시킴으로써 시이트를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는 고유의 우수한 인장강력에 덧붙여서 유연성 및 치수안정성까지 겸비함으로써 벨트 등의 용도로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고자 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동종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본 발명의 효과를 재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제시할 뿐이지, 본 발명의 내용 전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잘 알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5, 비교예 1∼4]
나이론-6와 나이론-6/66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산구리 0.05중량부, 칼슘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 올레아미드계 슬립 에이전트 0.7중량부 및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을 첨가한 후 연신 시이트 압출기에 투입하여 230 내지 280℃의 가공온도로 성형하여 시이트 형태로 가공한다.
이때 폴리아미드계 수지 혼합물중에서, 나이론-6와 나이론-6/66의 조성 및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의 종류 및 첨가량은 인장강도, 재단성, 치수안정성 등의 측정 결과와 함께 (표)에 실었다.
[표]
Figure kpo00001
* 화합물 A : 벤젠 부틸 설폰아미드.
화합물 B : N-에틸-o.p-톨루엘로설폰아미드.
[표]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나이론 공중합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연성, 재단성, 치수안정성 등이 향상되나, 소정 함량을 초과하게 되면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내며,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역시 소정함량을 첨가할 때에 물성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에 아미드기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리 화합물, 가소제로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 및 슬립 에이전트(Slip Agent)로서 올레아미드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연신 시이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로는 나이론-6과 나이론-6/66 공중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나이론-6/66 공중합물의 함량이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수지의 10 내지 30중량%로 하며, 유연제로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을 상기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비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력 폴리마이드 연신시이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벤젠 부틸 설폰아미드 또는 N-에틸-o-p-톨루엘로 설폰아미드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KR1019890014109A 1989-09-30 1989-09-30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KR93000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109A KR930004284B1 (ko) 1989-09-30 1989-09-30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109A KR930004284B1 (ko) 1989-09-30 1989-09-30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10A KR910006410A (ko) 1991-04-29
KR930004284B1 true KR930004284B1 (ko) 1993-05-22

Family

ID=1929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109A KR930004284B1 (ko) 1989-09-30 1989-09-30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2212A (en) * 1998-10-23 2003-03-12 Milliken & Co Textile fabric with particle attracting fin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10A (ko) 199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0568A (en) 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ions, and fabricated products thereof having increased notch impact toughness and elongation at rupture
HUP0004964A2 (hu) Ömledékben feldolgozható keményítőkompozíciók
EP0613488A1 (en) LUBRICATED POLYACETAL COMPOSITIONS.
EP1887036A3 (en) Melt processable starch composition
KR20010088303A (en) Melt-processable starch composition
FR2362885A1 (fr) Composition de catalyseur pour la fabrication d'homo et de copolymeres de polydiorganosiloxan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s homo et copolymeres
ATE45283T1 (de) Zusammensetzungen fuer die herstellung von mikropartikeln durch extrusion fuer verzoegerte abgabe von biologisch aktiven substanzen und so erhaltene mikropartikel.
PL310799A1 (en) Polymeric compositions based on well processable lldpe
EP0112542A2 (de) Polyamide mit verminderter Wasseraufnahme
KR930004284B1 (ko) 고강력 폴리아미드 연신 시이트 조성물
GB1492867A (en) Process for the addition of additives in thermoplastics
EP0169721B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US3801530A (en) Stabilized polyalkylen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0305116A2 (en) Compositions and extruded articles comprising polyolefin, nylon and fatty acid amide
KR100199592B1 (ko)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S6351447A (ja) 安定化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CN109206897B (zh) 一种尼龙增韧耐寒用的透明颗粒增韧剂及其制备方法
KR940004868B1 (ko) 내마모성 시이트 조성물
JPH0471105B2 (ko)
JPS62218453A (ja)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11087803B (zh) 防铜污染协效剂用于提高尼龙阻燃材料防铜污染性能的用途
JP2538475B2 (ja) 摺動用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SU859402A1 (ru) Полимерна композици
JPS62156151A (ja)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H11343313A (ja) 過酸化物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