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91B1 -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91B1
KR930004091B1 KR1019900019399A KR900019399A KR930004091B1 KR 930004091 B1 KR930004091 B1 KR 930004091B1 KR 1019900019399 A KR1019900019399 A KR 1019900019399A KR 900019399 A KR900019399 A KR 900019399A KR 930004091 B1 KR930004091 B1 KR 93000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uplexer
power amplifier
lev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099A (ko
Inventor
박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091B1/ko
Publication of KR92001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종속형 부스터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감쇄기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 듀플렉서 2 : 출력 듀플렉서
3 : 감쇄기 4 : 전력증폭기
5 : 제1커플러 6 : 제2커플러
7 : 판정기 8 : 자동이득조절기
10 : 가변용량콘덴서 11 : 스트립라인
12A,12B : 저항 100 : 콘덴서
101 : 배리캡 다이오드 102 : 볼륨(가변저항)
103 : 고주파 쵸크코일
본 발명은 종속형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전송손실에 의하여 부스터내의 전력증폭기가 동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입력수준에 미달되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임피던스를 약간 가변시켜 안정된 송신 출력을 얻기 위한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스터 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공진시키는 입력 및 출력 듀플렉서(1,2)와, 입력 듀플렉서(1)에서 출력되는 공진주파수 신호를 감쇄하기 위한 감쇄기(3)와, 감쇄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4) 및 증폭되어 출력 듀플렉서(2)에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다이오드와 저항 및 버퍼등으로 된 커플러(5,6)와, 커플러(6)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하여 입력 레벨수준을 판정하는 판정기(7)를 포함한다. 그리고, 판정기(7)는 자동이득조절기(8)에 신호를 제공하는바, 자동이득조절기(8)는 판정기(7)로 부터의 신호와 커플러(5)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력증폭기(4)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미설명부호 9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표시한다.
그러나 제1도에 있어서, 전력증폭기(4)가 파괴되는 최대 입력수준은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감쇄기(3)(그의 상세한 도면은 제2도에 도시하였음)가 전력증폭기(4)의 입력단에 존재하지만, 본 발명자는 부스터를 실제 사용조건하에서 시험해본 결과 최소 변동 입력이 전력증폭기(4)에 인가되었을때 전력증폭기(4)가 동작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알았다.
다시 말하면 본체와 부스터간의 연결 케이블에 의한 손실이 4dB 이상되어 최소 변동 입력이 감쇄하므로 전력증폭기(4)를 구동시킬 수가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예측하게 되었던바, 첫째는 최저 레벨에서는 에너지의 손실없이 전력증폭기(4)로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는 것이고, 둘째는 최대레벨에서는 에너지의 전송을 감쇄하여 전력증폭기(4)의 입력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전력증폭기(4) 전단부에 있는 감쇄기(3)를 삭제하는 대신에 최저 입력 레벨 및 최대 입력 레벨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을 구비한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공진시키는 입력 및 출력 듀플렉서(1,2)와, 입력 듀플렉서(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4)와, 상기의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출력 듀플렉서(2)에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제1검출전압을 발생하는 제1커플러(5)와,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에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제2검출 전압을 발생하는 제2커플러(6)와, 상기의 제2검출 전압의 입력수준을 관정하는 판정기(7)와, 제1검출 전압과 입력 수준 판정 전압에 의해 전력증폭기(4)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이득 조절기(8) 및, 출력 듀플렉서(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듀플렉서(1)를 전송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로서, 본 실시예는 입력 듀플렉서(1)로부터 전력증폭기(4)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낮을 경우 무선 주파수 전압 변동을 없게하고, 입력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무선주파수 전압 변동을 크게하기 위한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을 입력 듀플렉서(1)와 전력증폭기(4) 사이에 설치시켜서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은 가변용량 콘덴서(10), 스트립라인(11), 동일값을 갖는 두개의 저항(12A,12B)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쇄기(3) 대신에 임피던스 가변용 비매칭 수단이 제공되는바,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은 제2커플러(6)에서 발생된 검출 전압을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과, 이 가변저항(102)에 의해 얻어진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최소 레벨 입력시에는 입력신호를 감쇄없이 전력증폭기(4)에 제공하고, 최대 레벨 입력시에는 입력신호를 감쇄시켜 전력 증폭기(4)에 제공하기 위한 배리캡 다이오드(101) 및 무선주파수가 가변저항(102) 측으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주파 쵸크 코일(103)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터 회로 구성도인바, 제1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것은 임피던스 비매칭 및 가변용량 콘덴서(10)와 스트립 라인(11)에 의한 결합도의 변화로서 최대 출력이 입력에 인가될 경우 반사계수(σ)는 하기의 식과 같이 된다.
………………………………………………………………………(Ⅰ)
상기의 식에서 Zr은 저항(12A,12B)의 합산값이다. 예컨대 저항(12A,12B)의 값이 각각 33Ω이고, 케이블 임피던스가 50Ω경우 반사계수는 σ=8.5%가 된다.
또한, 가변용량 콘덴서(10)와 스트립라인(11)에 의한 위상변화를 저항(12A,12B)으로 혼합하여 2중 감쇄하면 실레 부스터의 최대 입력치가 전력증폭기(4) 입력단에 인가될때 전력증폭기(4) 입력단이 견디는 최대치를 약 4dB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전력 증폭기(4)의 최대 한계치 여유를 6dB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최저 레벨 입력시에는 반사계수(σ)에 의한 감쇄는 동일하지만, 결합도는 임피던스(10,11에 의함)에 따라 적절히 변동되어 실제 전력증폭기(4)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력(즉, 전력증폭기(4) 입력단 임피던스 Zi에 걸리는 고주파전압)에서의 고주파 변동은 미세하며 실제 사용조건하에서 1dB 이상의 여유를 유지케하여 부스터가 최대 및 최저 레벨 입력에 충실히 대응하여 소망하는 출력이득을 얻을수가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인바, 제3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표시한다.
우선 전화기로 부터의 고주파 출력은 커플러(6) 및 입력 듀플렉서(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지나 전력증폭기(4)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이때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콘덴서(100)와 배리캡 다이오드(101)로 구성되는데, 최저 레벨 입력시 커플러(6)에 유기되는 고주파 전압을 검파한 것이 배리캡 다이오드(101)에 역방향으로 인가할 때의 배리캡 다이오드(101) 양단의 최적으로 임피던스 매칭 상태가 되도록 볼륨(102)을 조절해 놓는다. 최저 레벨 입력시에는 그 레벨의 감쇄가 거의 없이 그대로 전력증폭기(4) 입력단에 인가되며, 최대 출력에서는 검파출력 전압이 증가하여 배리캡 다이오드에서 부터 최대로 증가된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배리캡 다이오드의 용량이 최대로 증가하여 임피던스의 비매칭이 심화되어 최대 입력 레벨에서도 전력증폭기(4)의 입력단이 파괴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고주파 쵸크 코일(103)은 고주파 전류가 배리캡 다이오드(101)이 아닌 볼륨쪽으로 바이패스 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스터의 실제사용시 최저 레벨입력에 대한 전력 증폭기(4)의 능동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광대역화가 가능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최대 및 최소 입력에 대해 전력 증폭기(4)의 파괴 및 동작상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4)

  1.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공진시키는 입력 및 출력 듀플렉서(1,2)와, 입력 듀플렉서(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4)와, 상기의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출력 듀플렉서(2)에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제1검출전압을 발생하는 제1커플러(5)와,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에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제2검출 전압을 발생하는 제2커플러(6)와, 상기의 제2검출 전압의 입력수준을 판정하는 판정기(7)와, 상기의 제1검출 전압과 입력 수준 판정 전압에 의해 전력증폭기(4)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이득 조절기(8) 및, 출력 듀플렉서(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듀플렉서(1)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로부터 전력증폭기(4)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낮은 경우 무선 주파수 전압 변동을 없게하고, 입력레벨이 높을 경우에는 무선주파수 전압 변동을 크게하기 위한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을 입력 듀플렉서(1)와 전력증폭기(4) 사이에 설치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은 가변용량 콘덴서(10), 스트립라인(11), 동일값을 갖는 두개의 저항(12A,12B)으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
  3.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공진시키는 입력 및 출력 듀플렉서(1,2)와,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기(4)와, 상기의 전력증폭기(4)에서 증폭되어 상기의 출력 듀플렉서(2)에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제1검출 전압을 발생하는 제1커플러(5)와,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에 제공되는 입력 신호를 검출하여 제2검출 전압을 발생하는 제2커플러와(6), 상기의 제2검출전압의 입력수준을 판정하는 판정기(7)와, 상기의 제1검출전압과 입력 수준 판정 전압에 의해 전력증폭기(4)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 이득 조절기(8) 및, 출력 듀플렉서(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듀플렉서(1)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제2검출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에서 전력증폭기(4)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낮을 경우 무선 주파수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로 하고, 입력 레벨이 높을 경우에는 무선주파수의 에너지 감쇄를 최대로 하기 위한 임피던스 비매칭수단을 상기의 입력 듀플렉서(1)와 전력 증폭기(4) 사이에 설치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임피던스 비매칭 수단은 상기의 제2커플러(6)에서 발생된 검출전압을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102)과, 상기 가변저항(102)에 의해 얻어진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최소레벨 입력시에는 입력신호를 감쇄없이 전력증폭기(4)에 제공하고, 최대 레벨 입력시에는 입력신호를 감쇄시켜 전력증폭기(4)에 제공하기 위한 배리캡 다이오드(101) 및 무선주파수전류가 상기의 가변저항(102) 측으로 바이패스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주파 쵸크 코일(103)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 제어장치.
KR1019900019399A 1990-11-28 1990-11-28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KR93000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399A KR930004091B1 (ko) 1990-11-28 1990-11-28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399A KR930004091B1 (ko) 1990-11-28 1990-11-28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099A KR920011099A (ko) 1992-06-27
KR930004091B1 true KR930004091B1 (ko) 1993-05-20

Family

ID=1930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399A KR930004091B1 (ko) 1990-11-28 1990-11-28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90B1 (ko) * 2009-12-21 2013-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099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40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transmitter
US4560949A (en) High speed AGC circuit
US5152004A (en) Procedure for forming low power levels in a radio telephone transmitter
US4247955A (en) Apparatus for matching the sound output of a radio receiver to the ambient noise level
KR960036392A (ko) 무선 주파수 회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전력을 소정 레벨로 유지시키는 제어 회로 및 그 방법
US4068092A (en) Voice control circuit
US5659893A (en) Transmission circuit with improved gain control loop
JPH07176965A (ja) 電力レベル制御用の方向性検波装置
KR940020711A (ko) 이중 전송장치(arrangement for duplex transmission)
US3696252A (en) Active filter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signals
GB2060292A (en) Transmit level control system
US3323066A (en) Squelch circuit
KR930004091B1 (ko) 종속형 부스터의 입력임피던스 제어장치
US2939139A (en) Transmit-receive systems with means for adjusting receiver output during transmission time
US4806876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circuit
US3435360A (en) Zero output impedance amplifier
JPH03108817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US4416023A (en) Strong and weak signal preamplification system
US3249871A (en) Constant forward power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system
JPS61210727A (ja) 送信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
KR900001068B1 (ko) 전력 증폭기의 자동보호장치
JPH07202604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JPS6046133A (ja) ラジオ受信機
KR960010426Y1 (ko) 튜너의 강전계 보강회로
KR930006650B1 (ko) 고전력 증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