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59Y1 - 판 지시 저울 - Google Patents

판 지시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59Y1
KR930003359Y1 KR2019900020201U KR900020201U KR930003359Y1 KR 930003359 Y1 KR930003359 Y1 KR 930003359Y1 KR 2019900020201 U KR2019900020201 U KR 2019900020201U KR 900020201 U KR900020201 U KR 900020201U KR 930003359 Y1 KR930003359 Y1 KR 930003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ver
load
ra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914U (ko
Inventor
유기청
Original Assignee
유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청 filed Critical 유기청
Priority to KR2019900020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359Y1/ko
Publication of KR920012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0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helical 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20Indicating weight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 지시 저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의 조립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의 내부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B부의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뒷면판측의 하중 받침대를 받치고 있는 지렛대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의 판에 판 받침대를 함께 결합하고 있는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의 하중 전달 개념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로서 판받침대에 스토퍼 및 스프링을 걸고있는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통 2 : 판
3-5 : 하중 전달부 6 : 계량표시부
본 고안은 외형이 접시 지시 저울 형상을 하고 있으며, 구조에 있어서 접시 지시 저울과 판 수동저울의 구조의 일부를 결합하여 되는 판 지시 저울에 관한 것이다.
접시 지시 저울은 제작비가 싸고 그 크기가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비교적 큰 줄양물을 계량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시장 상가나 농촌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가 간편하고 외형과 크기가 적기 때문에 구조상 또는 계량기의 규정상 최대의 계량 범위가 제한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접시 지시 저울에 있어서 “접시”의 정의는 “피계량물을 얹는 적재대로서, 1개 지렛대의 2곳 이하의 부분에서 자유로이 진동할 수 없는 기구로 받쳐져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1개 또는 2개의 스프링과 간단한 지렛대의 구성, 그리고 1개 지렛대로 2개 이하의 지점에서 피 계량물을 받아 계량하기 때문에 계량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또한 큰 중량물을 계량할 수가 없으므로 접시 지시 저울의 종류로서 규정하고 있는 끝달림(계량할 수 있는 최대의 질량)을 50㎏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농촌에서는 여러 가지 농작물을 수확하여 용기에 담아 계량하는 농작물이 규모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것 (50㎏초과)들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무거운 것들을 계량하기 위하여서는 50㎏이상 1000㎏까지 계량할 수 있는 판 수동 저울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판수동 저울이란 계량기의 구조에 있어서 “판의 정의를 피 계량물을 얹는 적재대로서, 2개 이상의 지렛대의 동일 직선상이 아닌 3개소 이상 부분으로 받쳐져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3개 이상의 지점에서 피 계량물을 받아 계량하도록 되어 판 수동저울은 외형도 크고 내부 구조가 정밀하여 복잡하기 때문에 농촌에서 대량으로 보급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접시 지시저울의 “접시”의 구조를 “판”의 구조로 변경하고, 따라서 “판”에 얹혀진 피계량물의 하중을 4개소의 지점에서 받도록 하며, 4개의 지점에서 받는 하중을 지렛대에서 정확한 하중비로 바꾸고 다시 접시 지시 저울의 스프링 구조와 유사한 하증 전달 구성을 전달되어 랙과 피니온에 의하여 정확한 중량이 지시 계량되도록 하므로서 접시 지시 저울의 형상과 크기이면서도 판 수동 저울의 구조의 일부를 결합하므로서 50㎏을 초과하여 100㎏이상까지 계량할 수 있고 계량법상 검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값싸고도 사용방법과 계량방법이 간편한 저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판 지시 저울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 지시 저울의 조립 사시도를, 제2도는 판 지시 저울의 절개 사시도를, 제3도에는 제2도의 내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판 지시 저울은 외관상 접시 지시 저울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구성을 크게 나누어 몸통(1)과, 판(23), 하중전달부(3-5)와 계량표시부(6)로 구성되고 있다.
몸통(1)은 밑면판(11)위에 좌우에 두 개의 옆면판(12,12)과 하나의 뒷면판(13) 및 하나의 앞면판(14)으로 에워싸고 그 위에 상면판(15)으로 결합하여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몸통(1)은 철판재 또는 주물로 밑면판(11), 옆면판(12), 뒷면판(13), 앞면판(14) 및 상면판(15)을 각각 성형 또는 주조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연결 성형 또는 주조하여 이들을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몸통(1)의 밑면판(11)에는 하중 전달부(3-5)의 일부 부품을 즉, 랙 레바받침대(51)나 스프링 고정대(45)를 고정 연결하는 것으로 이들을 결합할 때 사용하는 고정볼트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이나 너트 구멍을 뚫어 놓는다.
몸통(1)의 뒷면판(13)에는 영점조정나사(44)를 몸통(1)의 외부로 돌출시켜 영점 조정나사(44)를 손으로 돌릴수 있도록 구멍(131)을 뚫는다.
몸통(1)의 앞면판(14)에는 눈금이 그려진 눈금판(61)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눈금판(61)의 중앙에 뚫린 축수구멍(611)과 맞추어 질수 있는 위치에 축수구멍(141)을 뚫어놓는다.
몸통(1)은 상면판(15)에는 4개의 하중 받침대 구멍(151)을 뚫어 4개의 구멍(151)에서 4개의 하중받침대(31F,31F,31B,31B)가 충분히 상하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중받침대(31F,31B)의 상단부에는 계량하고자 하는 피 계량물을 얹어놓는 적재대 즉, 판(2)을 형성하여 결합한다.
판(2)은 철판재 또는 합성수지제로 4개의 하중 받침대(31F,31F,31B,31B)를 결합 연결할 수 있고 무거운 피계량물의 중량에도 견딜 수 있는 크기와 강도를 갖도록 만들어지며 판(2)에 직접 하중 받침대(31F,31B)를 용접 결합하거나 또는 판몸체(21)에 볼트구멍을 뚫어 하중받침대(31F,31B)와 볼트 결합을 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판 받침대(21, 제7도)와 같은 것을 따로 만들어 함께 연결 결합하면 보다 결합력이 확실하여지며, 하중 받침대의 하중 분포도 균등하게 할수 있을 것이다.
판(2)하단부에는 4개의 하중받침대(31,31F,31F,31B,31B)를 고정 부착하고 하중전달부(31) 가까이에는 지점 받이홈(321)이 형성된 4개의 지점대(32,32F,32F,32B,32B)를 각각 판(2)에 고정한다.
하중 받침대(31)의 중점홈(31)에는 중점편(33,33F,33F,33B,33B)의 받침홈(331)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고 중점편(33)의 받침홀(332)에는 지렛대(34,34F,34F,34B,34B)에 가공되어 있는 중점편(341)를 접촉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지렛대(34)는 앞면판(14)쪽의 하중받침대(31F,31F)를 받치고 있는 지렛대(34F,34F)를 뒷면판(13)쪽의 하중받침대(31B,31B)를 받치고 있는 지렛대 (34,34B)보다 더 길게하여 나중에 지렛대 연결판(37)으로서 지렛대(34F,34F)를 상호 연결 고정 할 수 있도록 한다.
지렛대(34)는 하중 받침대(31) 가까운곳에 지점부(342)를 가공하고 앞면판(14)쪽 하중받침대(31F,31F)와 뒷면판(13)쪽 하중받침대(31B,31B)의 중간 지점에 결합부(343)를 가공하여 지점부(342)는 지점대(32)에 형성된 지점받이홈(321)에 끼워 받쳐질수 있도록 하고 결합부(343)는 결합판(36,36)의 결합홀(361)에 접촉할 수 있도록 조립함으로서 앞면판(14)쪽 지렛대 (34F,34F)에 전달된 하중과 뒷면판(13)쪽 지렛대(34B,34B)에 전달된 하중이 일정질량비로 합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앞면판(14)쪽의 하중받침대(31F,31F)를 만들고 있는 지렛대(34F)와 지렛대(34F)는 지렛대 연결판(37)으로 고정 연결하고 지렛대 연결판(37)의 좌, 우 (제1도의 계량표시부(6)을 정면으로 함) 중앙 지점에는 연장대(38)을 고정한다.
연장대(38)에는 역점부(381)를 가공하여 스프링 걸이대(41)의 일측에 형성한 역점 걸이홈(411)이 얹혀지도록 한다.
스프링 걸이대(41)의 타측에는 스프링(42)의 한쪽이 연결되고, 스프링(41)의 다른쪽에는 나사식으로 가공된 스프링 걸이(43)가 연결되며 스프링걸이(43)에는 영점조정나사(44)가 나사 조립되고 영점조정나사(44)는 뒷면판(13)에는 뚫린구멍(131)밖으로 약간 돌출시켜 놓은 상태로 밑면판(11)에 고정하고 있는 스프링고정대(43)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밀면판(11)에는 랙래버(52, Rack lever)를 지지하기 위한 래레 받침대(51)를 결합볼트(511)로 고정하고 있으며 레버 받침대(51)의 상대부에는 따로 만들어 준비하고 있는 축핀(513)을 끼우기 위한 핀홀(512)을 뚫는다.
랙래버(52)를 래버 받침대(51)의 축핀(513)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 조립하고, 랙래버(52)의 한쪽에 부차된 연결브라켓 렉레버(52)에는 한쪽이 연장대(38)에 축핀(522)으로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53)의 타측을 축핀(531)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렉레버(52)의 다른쪽 끝단 가까이에는 축핀(522)으로 랙(54)을 끼워 조립한다.
랙(54)에는 피니온(55)을 이맞물림하여 랙(54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며 랙(54)의 상단부에는 랙레버(52)에 한쪽이 고정된 스프링(523)을 걸어 랙(54)과 피니온(55)의 상호 이탈을 방지한다.
피니온(55)에는 피니온축(56)이 연결되며 피니온축(56)은 앞면판(14)과 눈금판(61)에 형성하고 있는 축수구멍(141,611)에 끼워 회전이 자유롭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피니온축(56)에 끼워 사용하기 위한 지침(57)을 별도로 만들어 준비한다.
앞면판(14)에는 계량표시부(6)가 구성되고 있다.
계량표시부(6)는 눈금판(61)에 그 원주를 따라 질량을 표시하는 눈금(62)과 눈금(62)이 표시하는 양의 값 또는 그 수치(63)를 표기하고 있으며, 눈금판(61)의 중심부에는 피니온축(56)을 끼울수 있도록 축수구멍(611) 또는 축수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눈금판(61)에 최소눈금 1㎏, 끝달림 100㎏의 눈금과 수치를 표시하고 있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계량표시부(6)의 눈금판(61)은 축수구멍(611)을 앞면판(14)의 축수구멍(141)과 맞추어 앞면판(14)에 고정 부착하고 몸통(1)안에서 축수구멍(141,611)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피니온축(56)에 지침(57)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판 지시 저울을 이용하여 피계량물을 계량할때 하중의 전달과정 및 계량방법을 제8도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피계량물을 판(2)위에 얹어놓으면 4개의 하중받침대(31)에 피계량물의 하중이 분포 전달되고 하중받침대(31)에 전달된 하중은 중점판(33)을 거쳐 중점판(33)을 받치고 있는 지렛대(34)에 전달되게 된다.
지렛대(34)에 하중이 전달되면 지렛대(34)는 지점대(32)을 중심으로 하중받침대(31)쪽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운동하고 그 반대쪽은 이와 반대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중받침대(31)에서 하중을 받아 지렛대(34)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앞면판(14)쪽 지렛대(34F,34F)의 결합부(343)와 뒷면판(13)쪽 지렛대(34B,34B)의 결합부(343)을 각각 결합하고 있는 결합판(36,36)에서 각각의 하중받침대(31)에 전달된 하중이 1차로 합치되고 결합판(36,36)에서 1차로 합치된 질량은 지렛대(34F)와 지렛대(34F)를 연결 고정하고 있는 지렛대 연결판(37)에서 다시 2차로 합치되고 균등화 되어 지렛대 연결판(37)에 고정하고 있는 연장대(38)의 역점부(381)에 전달된다.
역점부(381)는 스프링 걸이대(41)를 화살 C 방향으로 운동시켜 스프링 걸이대(41)는 스프링(42)을 질량비에 맞추어 랙(54))의 운동량을 정하고 있는 길이만큼 늘어나게 하여 화살표 D방향 운동하게 한다.
이 운동량에 따라서, 연장대(38)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53)가 화살표 E방향으로 운동하면 연결대(53)에 연결하고 있는 랙 래버(52)는 래버 받침대(51)를 중심으로 하여 연결대(53)와 연결된 쪽이 화살표 E방향으로 운동하면 그 반대쪽은 화살표 F방향으로 운동하여 랙(54)을 화살표 G방향으로 운동시키고 랙(54)에 치합된 피니온(56)을 회전 운동시킨다.
피니온(55)의 회전운동은 피니온축(56)에 고정되고 있는 지침(57)을 회전운동시켜 지침(57)이 피계량물의 무게에 해당하는 눈금(62)을 지시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면판(15)과 받침판(21)에 스프링(22)을 걸어 판(2)에 피계량물을 놓거나 들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또한 받침대(21)에는 구멍(H)을 형성하여 상면판(15)에 고정하고 있는 스토퍼(23)을 구멍(H)에 끼워 판(2)을 들어 저울을 이동할때 저울의 각 구성부품들이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지시 저울은 하중을 얹어놓은 판(2)의 4지점에서 하중을 받아 연장대(38)까지 전달하는 구성은 판수동 저울과 유사하게 하고 연장대(38)에 일정한 질량비로 정확하게 전달된 하중을 계량표시부(6)에 까지 전달하는 구성은 접시지시 저울과 유사한 구성으로 하므로서 접시 지시 저울에서는 측정할 수 없는 무게 즉 50㎏을 초과하여 1000㎏까지도 개량할 수 있고 계량법상 검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일반 시장이나 특히 농산물 계량에 매우 유익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판(2)에 3개이상의 하중받침대(31)를 고정하여, 하중받침대(31)를 몸통(1)의 상면판(15)에 뚫고 있는 하중받침대구멍(151)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우고, 지점받이홈(321)이 형성된 지점대(32) 상단부를 몸통(1)의 상면판(15)에 고정하고 지점받이홈(321)에는 지렛대(34)에 가공되어 있는 지점부(342)가 접촉되게 하고 지렛대(34)에 가공하고 있는 중점부(341)는 상기 하중 받침대(31)를 받들고 있는 중점편(33)의 받침홈(322)에 접촉되게 조립하며, 앞쪽 2개의 지렛대(34F,34F)와 뒤쪽 2개의 지렛대(34B,34B)의 결합부(342)를 결합판(36,36)의 결합홀(361)에 접촉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앞쪽 지렛대(34F,34F)을 지렛대 연결판(37)으로 상호 고정하고 지렛대 연결판(37)의 좌,우 중앙에는 역점부(381)를 형성하고 있는 연장대(38)을 고정하며 역점부(381)에 스프링 걸이대(41)의 역점걸이홈(411)이 접촉되게 조립하고 스프링걸이대(41)에 스프링(42)의 한쪽을 고정하고 스프링(42)의 다른 한쪽은 스프링 고정대(45)로 밑면판(11)에 고정하며 상기 연장대(38)의 역점부(381) 가까이에는 연결대(53)을 연결하고 연결대의 끝 부분을 레버 받침대(51)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랙 래버(52)에 고정하며 랙래버(52)에는 랙(54)을 조립하여 랙(54)에 피니온(55)을 치합하며 피니온축(56)에 지침(57)을 고정하여 지침(5)이 앞면판(14)에 장치하고 있는 계량표시부(6)를 지시하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시 저울.
KR2019900020201U 1990-12-19 1990-12-19 판 지시 저울 KR930003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201U KR930003359Y1 (ko) 1990-12-19 1990-12-19 판 지시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201U KR930003359Y1 (ko) 1990-12-19 1990-12-19 판 지시 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914U KR920012914U (ko) 1992-07-25
KR930003359Y1 true KR930003359Y1 (ko) 1993-06-11

Family

ID=1930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201U KR930003359Y1 (ko) 1990-12-19 1990-12-19 판 지시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914U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129A (en) Bowling ball total weight/top weight scale
KR930003359Y1 (ko) 판 지시 저울
CN101476923B (zh) 物料称
US4792002A (en) Proportionate rocker balance
KR930003358Y1 (ko) 판 지시 저울
CN107389174B (zh) 六自由度解耦砝码加载装置
US3334698A (en) Level-balance beam scale with eccentrically mounted counterweight
US327152A (en) Prescription-scales
CN208075811U (zh) 一种具有自平衡轴的测量臂
US3743039A (en) Weight scale structure
KR950008214Y1 (ko) 반지시 판 수동저울
US3621928A (en) Weighing scales of force-balancing type
JP2507331Y2 (ja) 計量装置と該装置を用いた計量式充填装置
US2282052A (en)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mass distribution
JPS6114541A (ja) ねじり曲げ複合試験機
CN217877971U (zh) 一种桥柱式称重传感器模块
US659830A (en) Weighing and counting machine.
CN214426826U (zh) 一种商超用智能化电子秤
CN219714618U (zh) 一种三坐标测量机超重z轴重力平衡机构
US3115202A (en) Automatic counting and weighing scale
US2355292A (en) Weighing scale
CN214935444U (zh) 称量集装箱重量及偏载的装置
DK173004B1 (da) Enhed til vejning af last og anvendelse af sådan enhed
US3097715A (en) Weighing scale
CN211317480U (zh) 一种新型天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